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IT상품 태도와 계획구매행동

        최윤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관광객들의 동기와 태도, 관광형태는 다양화․개성화되어가고 있으며 특수목적(SIT)상품에 대한 관심과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관련업계는 SIT상품에 대한 중요성만 인식하고 있을 뿐 SIT상품을 구매하는 관광객의 욕구와 동기, 태도 등 고객행동에 관련된 정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관련 연구 또한 생태, 농촌, 스포츠 등 일부 SIT 유형에 국한되고 있으며 그 수가 미미하여 SIT 관광객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SIT상품은 관광객의 관여도가 매우 높은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PKG상품과 같은 맥락에서 취급되어지고 있으며 여행사의 수익성, 행사진행 불가, 여행사 직원의 권유 등의 이유로 관광객이 사전에 구매하고자 계획한 상품을 구매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일부 유형에 국한되지 않은 SIT상품을 구매한 전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행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요인들의 상관관계와 영향을 파악하여 규명된 결과가 SIT상품의 개발과 관리, 기존 고객의 유지 및 신규 고객 확보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SIT상품 구매 관광객의 동기를 push요인(신기성, 일탈, 사회적 교류, 자아실현)과 pull요인(지역 매력성, 편의성, 서비스 매력성)으로 분류하였으며, SIT 관광객의 태도는 감정적 요소로만 검증하는 단일차원이 아닌 감정적, 인지적, 행동적 태도의 3가지 유형으로 3원론적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구매는 인적(가족, 지인, 여행사 직원 등의 권유)/비인적(홍보물, 매체정보, 여행사의 규모) 영향을 받은 관광객이 인적/비인적 영향에도 사전에 구매하고자 하는 SIT상품을 구매한 것을 계획적구매로, 인적/비인적 영향에 의해 목적 또는 속성이 변화된 상품의 구매를 비계획적구매로 구분하였으며, 만족도는 전반적 만족도를, 재구매와 구전 의도는 단일항목으로 도출하였다. 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토하여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그에 따라 총 4개의 가설(14개의 하위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SIT(특수목적관광)상품을 경험한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2011년 1월에서 2월까지 약 2달 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600부 중 554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IT상품 구매 관광객의 동기 중 추진요인은 신기성, 일탈, 사회적 교류, 자아실현 요인 모두 감정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적 태도에는 신기성을 제외한 일탈, 사회적 교류, 자아실현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적 태도에는 신기성과 자아실현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인요인은 편의성, 서비스 매력성을 제외한 지역 매력성 요인만이 감정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인지적 태도에는 지역 매력성과 서비스 매력 요인이, 그리고 행동적 태도에는 지역 매력성 요인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IT상품 구매 관광객들의 태도와 구매의 영향관계에 있어 감정, 인지, 행동적 요인 모두 계획적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계획적구매에는 감정적 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매와 만족의 관계에서는 계획적구매 요인만이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만족이 재구매와 구전 의도의 관계에서는 만족이 재구매와 구전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SIT상품 구매 관광객의 심리적 내적동기와 상품 선택 시 특정관광목적지와 연관된 외적동기를 이해할 수 있으며, 동기와 3원론적(감정, 인지, 행동) 차원의 태도, 태도와 인적/비인적 영향에 의한 계획적구매와 비계획구매, 구매(계획/비계획)와 만족, 만족과 재구매/구전의도에 이르는 과정에서 상호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PKG상품 구매 관광객 대상의 연구에서 벗어나 최근 증가하고 있는 SIT상품 관광객들의 수요를 확대․강화시키기 위한 연구 결과로 SIT상품 개발 시 중요도와 우선순위의 선정, 고관여 상품의 판매방법 등 관련 산업분야의 마케팅전략과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향후 SIT 관광객과 관련된 욕구체계에 관한 연구 및 SIT상품 구매(계획/비계획)행동과 관련된 후속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유연적 HRM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BSC도입­미도입 집단간의 지각반응 비교를 중심으로

        최윤근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1. The purpose of study The source of business competitive predominance is a human being. The organizational capability, which can secure human resources of high quality to manage them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will control the performance and success or failure in business and organization. The necessity and its meaning, which will strategically control how the flexibility of HRM (Human Resource Management) makes a contribution towards management performance, are growing in business management. Many businesses are not well controlling human resources, and even though they are controlling them, they are measuring them not by general point of view in the side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by financial performance-centered viewpoint. As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and the relation between HRM and business strategy, and HR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re growing from this financial performance-centered viewpoint, the studies that are designed to examine the validity are in full swing.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the effect of the perceptive difference of performance between BSC (Balanced Scorecard) Implementation and non-Implementation and flexible HRM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organizational members of subway corporations, local public enterprises. This thesis will inquire into the following problems through this. First, it is willing to examine the effect of flexible HRM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 it is willing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ir perception of flexible HRM according to BSC Implementation. Third, it is willing to positively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i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BSC Implementation . Fourth, it is willing to positively examine what the effect of flexible HRM on thei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difference according to BSC Implementation. 2. The method of study This study carried out theoretical and positive researches. It made inquiries into the key theoretical viewpoints that had made a contribution towards HRM and SHRM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It arranged viewpoints that explain flexible HRM through these theoretical researches, and it made an examination of factors that flexible HRM system can have an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 In addition, it showed determinants of HRM that can have an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study models for positive research fixed flexible HRM, BSC Implementation , BSC non-Implementation and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independent variable, classified variable, t-test and dependent variable, respectively. It made an examination of five variables such as outsourcing, educational training, flexible compensation, flexible labor system and career management as variables of flexible HRM presented by Atkinson (1995) & Brunhes (1989), and strategically promoted by local public corporations through analysis of factors to measure the perception degree of flexible HRM.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classified into four variables such as learning & growth viewpoint, internal process viewpoint, customer viewpoint and financial viewpoint. It made a survey to analyze the effect of flexible HRM on the perception of each four viewpoint of BSC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study models. It made a collection of total 974 copies of effective questionnaires after researchers made a direct visit to members being in the service of the head office, which it is two years or more since they entered six subway corporations such as Seoul Metro,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Busan Transportation Corporation, Daegu Metropolitan Subway Corporation, Incheon Rapid Transit Corporation and Gwangju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except for Daejeon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opened in March of 2006 out of local public corporations, from June 28 to August 18, 2006 to give out total 1200 copies of questionnaires. 3. The result of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flexible HRM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ir educational training of flexible HRM and their perception of flexible compensation were perceived in all of learning & growth, internal process, financial and customer viewpoint. They had an important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training of human resources as the source of continuous growth. In other words, the more the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training is high, the more it has a significant connection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flexible HRM, which has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learning & growth, internal process, financial affairs and customer, was by order of flexible compensation, educational training, career management and outsourcing, by order of educational training, career management, outsourcing and flexible compensation, by order of flexible compensation, educational training and career management, and by order of flexible compensation, educational training and flexible labor system, respectively. Second, i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flexible HRM according to BSC Implementation. Members of BSC Implementation were more perceived in educational training, flexible compensation and labor system than those of BSC non- Implementation. But the satisfaction of outsourcing and career management were no difference according to BSC Implementation. Third, i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BSC Implementation. Members of BSC had more Implementatio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an those of BSC non-Implementation. Members of organizations carrying out an annual salary system had an important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 of learning & growth and internal process. Fourth, it showed that the effect of flexible HRM on thei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BSC Implementation. BSC Implementation had more effect on internal process and customer perception than BSC non-Implementers, whic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BSC Implementation and non-Implementation according to BSC Implementation. As th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learning & growth and financial viewpoint was no difference, which it is one year since BSC was Implemented, the learning & growth viewpoint will grow as an expectation effect. And they had a low understanding of the perception of financial affairs as it has an effect on the objective index. This study linke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 flexible HRM as the perception of four viewpoint of BSC. It showed that flexible HRM had a partial effect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BSC Implementation, which it can ultimately be a source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organiz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gree with contents that Kaplan & Norton had maintained the relation between dependent variables for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1992. Th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flexible HR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ll consider the interconnection and multidimensionality of performance.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institutionalize flexible HRM for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performance, given that the perception of HRM can be a source of value crea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not businesses’ expense side, and given that organizational members can show their ability to the full through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that the heart of organization is human resources. 재무성과 중심의 인식에서 인적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HRM과 기업전략, HRM과 조직성과와의 연관성이 높다는 주장에 대해 그 타당성을 규명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본 연구는 BSC를 도입한 집단과 도입하지 않은 집단간의 성과에 대한 지각 차이와 유연적 HRM이 조직성과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지방공기업인 도시철도운영기관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연적 HRM이 조직성과 지각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유연적 HRM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교육훈련과 유연적 보상에 대한 인식이 학습과 성장, 내부 프로세스, 재무 및 고객 관점 모두에 지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 가능한 성장의 원천으로서 인적자원의 교육훈련을 중요하게 인식 하고 있으며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조직성과에 유의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과 성장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유연적 HRM의 중요도는 유연적 보상, 교육훈련, 경력관리, 아웃소싱 순으로 나타났다. 내부 프로세스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유연적 HRM의 중요도는 교육훈련, 경력관리, 아웃소싱, 유연적 보상 순으로 나타났다. 재무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유연적 HRM의 중요도는 유연적 보상, 교육훈련, 경력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고객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유연적 HRM의 중요도는 유연적 보상, 교육훈련, 유연적 근로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BSC도입 여부에 따라 유연적 HRM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BSC를 도입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미도입한 구성원들보다 교육훈련, 유연적 보상, 유연적 근로제가 더 높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웃소싱과 경력관리는 BSC도입 여부에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셋째, BSC도입 여부에 따른 조직성과에 대한 지각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BSC를 도입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도입하지 않은 집단의 구성원들보다 조직성과에 대한 지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봉제를 실시하고 있는 집단의 구성원들은 학습과 성장, 내부 프로세스 지각에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넷째, 유연적 HRM이 조직성과 지각에 미치는 영향은 BSC도입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BSC를 도입한 집단이 도입하지 않은 집단보다 내부 프로세스와 고객 지각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BSC도입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과 성장 관점과 재무 관점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은 BSC도입이 1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학습과 성장관점은 장기적인 기대효과로 성장할 것이다. 그리고 재무에 대한 지각은 객관적인 지표로 미치기 때문에 낮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성과를 BSC의 네 가지 관점에 대한 지각으로 유연적 HRM과 연계 시켰다. 궁극적으로 유연적 HRM이 조직의 경쟁력 향상에 필요한 원천이 될 수 있으며 BSC도입여부에 따라 조직성과 지각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직성과 지각에 대한 종속변수간 관계에 대해 Kaplan & Norton(1992)이 주장한 내용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유연적 HRM과 조직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방향은 성과의 상호연계성과 다차원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의 핵심이 인적자원이라는 점에서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인식이 기업의 비용 측면이 아닌 가치창출과 성과향상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지각하고 조직구성원들이 동기부여와 참여를 통해 마음껏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연적 HRM을 체계화하고 제도화해 가는 것이 성과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農漁村定住生活圈 開發에 따른 住居環境의 改善方案 : 古水面 城山 마을을 中心으로

        최윤근 全北大學校 環境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is high tide of liv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in this, rural Settlement living due to it's change form production oriented life to for the living itself. For The high tide, which is the demands both from it's outside and inside and caused by intake of urban living conditions, we need to recreate a balanced rural environment. Thus we present the direction of rural settlement environmental improvement which we considered thoroughly with it's ideal form and futuristic form. Firstly, The central factors of rural settlement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construction of living condition and better community, should be developed surely after the determination of it's direction and purpose. Secondly, Mere urbanization of rural settlement living environment may be reconsidered we need to value the traditional as well as cultural-social environment of it's own. Thirdly, In it's improvement we consider not only productional and functional aspects but also it's characteristic and balance with surrounding communities. Fourthly, It is desirable to provide nearest public services to needed rural people but we should avoid unneeded redundancy with government rural development policies. Fifthly. the size of rural houser is analized to be at least 49.5rti but with average familly number (4-6) basement size of house to 82.5m according to our survey. In our study we conducted both analization and juagement in rural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 But we regret that we could not evaluate the actual contribution that we made through this study. we also desire that there should be continuous, profound and systematic studies on this area.

      • Effect of Eccentric Exercise in Combination with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n Pain, Function, and Grip Strength in Chronic Lateral Epicondylitis

        최윤근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SWT and intervention combining ESWT and eccentric exercise on pain, function, and grip strength of patients with LE before vs. after the intervention. Methods: Fifty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LE and visited our hospital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rough block randomization excluding 16 dropou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ESWT with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ICT) group (EIG)(n=18), who received ESWT and ICT, and the eccentric exercise group (EEG) (n=16), who performed eccentric exercise following ESWT. The EIG received ESWT and ICT once a week, for 4 weeks, and the EEG received the same treatment as that in the EIG but also performed eccentric and stretching exercises at home, five times a week for 4 weeks.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measuring pain (visual analogue scale), function (Patient-Rated Tennis Elbow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grip strength (pain-free grip strength) and comparing the outcom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3.0 for Windows. Results: Regarding pai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reduction within both the EIG and EEG (p<.05, both).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IG and EEG, the EEG showed more reduction in pai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Regarding func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functional enhancement within both groups (p<.05, both).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IG and EEG, the EEG showed more improvement in function,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Regarding grip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both groups (p<.05, both).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IG and EEG, the EEG showed more increase in grip strength,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Conclusion: Both interventions, ESWT and ESWT combined with eccentric exercise, for patients with LE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s in pain, enhancement in function, and increase in grip strength.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IG and EEG. Further studies on exercise program, detailed exercise method, exercise duration, and effective monitoring of home exercise for eccentric exercise are required.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외측상과염 환자의 체외충격파 치료와 체외충격파 치료와 병행한 원심성 운동 중재 방법이 실험 전, 후의 통증, 기능, 악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외측상과염을 진단을 받고 내원한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도 탈락자 16명을 제외한 무작위 배정을 통해 체외충격파와 간 섭 파 치 료 를 받은 충격파그룹 (EIG, N=18)과 체외충격파 치료 후 원심성 운동을 병행한 원심성 운동 그룹 (EEG, N=16)으로 2개의 그룹으로 진행 하였다. 충격파 그룹은 체외충격파와 간섭 파 치 료 를 주 1회, 총 4회를 받았고, 원심성 운동 그룹은 충격파 치료 그룹과 같이 받으면서 집에서 원심성운동과 스트레칭을 병행하여 주5회 총4주간 실시하였다. 평가는 실험 전, 후로 통증, 기능, 악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3.0 for window를 사용하여 통계를 처리 하였다. 결과: 두 군간 중재 전·후 통증 비교에서는 충격파 치료와 원심성 운동 군간 내에서는 통증 감소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05), 충격파 치료와 원심성 운동 군간 비교에서는 원심성 운동 그룹이 조금 더 통증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05). 두 군간 중재 전·후의 기능의 비교에서는 충격파 치료와 원심성 운동의 군간 내에서는 기능의 향상의 변화 값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05), 충격파 치료와 원심성 운동의 군간 비교에서는 원심성 운동 그룹이 조금 향상 되었지만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05). 두 군간 중재 전·후의 악력의 비교에서는 충격파 치료와 원심성 운동의 군간 비교에서는 악력 증가의 변화의 값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05), 충격파 치료와 원심성 운동의 군간 비교에서는 원심성 운동 그룹이 충격파 치료그룹보다 증가하였지만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05). 결론: 외측상과염 환자에게 체외충격파 치료와 원심성 운동을 병행한 중재 방법 둘 다 통증을 감소시키고, 기능을 증가시키며, 악력을 증가시키는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그렇지만 충격파 치료 그룹과 원심성 운동 그룹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원심성 운동에 대한 운동 프로그램, 세부적 운동 방법, 운동 기간과 집에서의 효과적인 운동 감독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실험적으로 유발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의 C-ras 암유전자 표현

        최윤근 전남대학교 1991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까지 알려진 50여종의 암유전자중 인체종양에서 가장 흔히 검출되는 암유전자는 c-ras이며 활성화되어 p21 단백질을 생성한다. c-ras p21은 세포증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실험적으로 유발한 악성 섬유성조직구종에서 c-ras p21이 어떻게 출현되는지는 악성 섬유성조직구종의 발생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리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백서에서 9,10-dimethyl-1, 2-benzanthracene (DMBA)에 의해 유발된 종양이 악성 섬유성조직구종임을 확인하고 종양의 발생과정에서 c-ras 암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Wistar계 흰쥐 25마리의 슬관절강 내에 2% DMBA용액 0.1ml을 4주간격으로 3회 주입하여 종양을 유발시켰다. DMBA 최종주입후 2.5 - 4.5개월 사이에 종양을 광학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으며 종양세포의 세포질에서 단클론성 항체를 이용한 c-ras p21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강도를 화상분석 방법에 의해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DMBA처치를 25마리중 24마리에서 DMBA최종 투여후 4-8주 사이에 원형의 중앙이 형성되었다. 중앙은 슬관절강 주위의 피하조직과 근육조직 내에 형성되었으며 종양과 슬관절강과는 직접적인 연결이 없었다. 2. 광학현미경상 종양세포는 부분적으로 storiform 형태의 조직구축을 보임으로서 악성 섬유성조직구종의 소견을 보였다. 종양에서는 storiform 외에도 round cell type, myxoid type 및 pleomorphic type이 다양하게 혼합 되었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round cell type이 감소하고 storiform type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종양세포는 대부분 vimentin 양성이었으며 일부는 desmin양성이었으나 cytokeratin과 lysozyme 및 α1-antichymotrypsin에는 음성이었다. 3. 종양세포는 c-ras p21에 대해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반응의 강도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달랐다. Round cell type에서의 양성 반응은 storiform type에 비하여 거의 3배정도 더 강하였다. Pleomorphic type과 myxold type은 storiform type보다는 악한 반응도를 보였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성적은 DMBA에 의하여 유발된 백서의 종양은 악성 섬유성조직구종이며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의 형성초기에는 미분화 round cell을 중심으로 활발한 증식을 하면서 점차 악성 섬유성조직구종의 형태로 분화하는 것임을 시사하였다. Products of c-ras oncogenes, p21, play an important role as a signal transducer for cell proliferation and thus Ray be involved in experimental oncogenesis. The author induced furors in rats with 9,10-dimethyl-1, 2-benzanthracene (DMBA) and investigated the evolution of the tumors in relation to c-ras p21 expression. Tumor was induced by injection of 0.1ml of 2% DMBA, three times at 4 week-interval, into the right knee joint of 25 Wistar rats. Between 2.5 and 4.5 months after the last injection of DMBA, the rats were autop-sied. Toners were examined light microscopically and staining intensity of the tumor cells, inmunostained using monoclonal anti-c-ras p21 antibody. was measured by image analysis. Tumors Here formed in 24 rats (95 percent) between one and two months after the last injection of DMBA. The tumors were located within the subcutaneous and muscle tissues near the knee joint. but no direct connection was noted between the furor mass and the joint cavity. Light microscopically, the tumor tissue showed storiform feature, indicative of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n addition to round cell, myxoid, and pleomorphic features. With time elapsed, there was a tendency for the storiform feature to increase and the round cell feature to decrease in proportions of the tumor tissue components. The tuner cells were vimentin-positive and, focally, desmin-positive, whereas they were all negative for cytokeratin, lysozyme, and al-antichymotrypsin. Immunostaining intensity for c-ras p21 was highest in tumor cells of the round cell type, nearly three times more than that of the storiform type. Staining intensity of the tumor cells of the myxoid and pleomorphic types was slightly less than that of the storiform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lignant fibrous histiocytoma in rats induced by DMBA evolves through active proliferation of the round cells in earlier phase and progressive morpholegical differentiation toward fibrous histiocytoma.

      • 고관절 금속판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윤근 전남대학교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하게 분쇄된 전자간 또는 전자하 골절은 최선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고율에서 각종 합병증을 초래한다. 치료 결과가 불량한 까닭은 분산된 골편들을 해부학적 위치로 정복한 후 그 상태로 골 유합이 완성될 때까지 유지할 수 있는 금속고정물이 개발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고관절 금속판은 이러한 필요성에 맞추어 개발된 금속내고정물로서 대퇴골 대전자부와 근위골간의 외측면에 잘 맞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기존 내고정물로써 불가능하였던 고도의 불안정골절에 있어서 매우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고관절 금속판의 사용에 있어서 두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첫째 금속판 고정에 있어서 근위부 고정은 해면골을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피질골에 비하여 쉽게 고정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견해와, 둘째 대전자부에 밀착되도록 만곡된 금속판 부분이 견고한 내고정을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만곡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나 만일 외력 에 의하여 쉽게 변형된다면 고정실패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견해이다. 저자는 이러한 의문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하여 몇 가지 역학적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째, 금속판을 수직으로 세운 뒤 상하로 압력을 가한 후 만곡부의 변형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둘째, 금속판을 수평으로 하여 금속판 중앙부에 압력을 가한 후 만곡부의 변형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세째, 방부보존한 대퇴골에 골절을 만들어 이를 고관절 금속판으로 내고정한후 대퇴골두로부터 압박을 가하면서 근위부 고정의 견고성 여부와 금속판 만곡부의 변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의 결과 금속판의 만곡부는 매우 견고하여 변형되지 않았으며, 근위고정도 매우 안전하여 고정실패가 없었다. It has been well known that unstable intertrochanteric or subtrochanteric fracture, which is severely comminut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fractures. Recently the hip plate was developed and introduced by a staff of our department to solve this difficulty. The hip plate is designed to fit on the lateral surface of the greater trochanter and proximal shaft of the femur. Therefore it is very effective in reducing and maintaining the fracture anatomically.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know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hip plate. Three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to 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resent part of the hip plate; axial and bending load directly on the plate, and compression load on the bone-plate complex. In conclusion, the present part of the plate is very sound mechanically and strong purchase can be achieved in the cancellous proximal segment by driving the screws through the calcar femorale.

      • 자가점유에 영향을 미치는 주택 및 도시 특성 분석 연구

        최윤근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자가 점유에 영향을 미치는 주택 및 도시 특성 분석 연구 최 윤 근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지도교수 서정렬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특히 주택 시장은 정부와 주택 시장과의 충돌로 인한 혼란스러운 분위기가 형성돼있다. 현 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정책이 계속적으로 발표되었는데, 2017년 6월 19일에는 '주택시장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한 선별적 맞춤형 대응방안'이 먼저 발표되었다. 하지만 주택 시장에 투기 수요가 지속적인 유입의 영향으로 더 강도 높은 정책을 발표하였는데, 2017년 8월 2일에 '실수요 보호 및 단기 투자 수요 억제를 통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국토교통부 장관이 발표하였다. 우리나라 최근 주택 시장이 실수요자의 주택 수요보다 투기성 주택수요가 많으며, 과열된 주택시장의 불안한 모습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불안정한 주택 시장에서 자가 점유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매년 많은 물량의 주택 공급이 이루어지는데 자가 점유율은 2008년 금융 위기이후 하락하였다가, 최근 몇 년 사이에 해마다 조금씩 증가하면서 2015년 56.7%를 나타냈지만 정체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자가 점유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을 162개 시,군 지역으로 구분하고 선행 연구를 통한 자가 점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성을 주택특성, 인구특성, 경제특성, 도시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자가 점유 현황의 시, 군별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 통계청에서 전수조사를 통해 5년마다 발표하는 자료를 추출하여 이용하였는데, 2015년 자료를 사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 및 분석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전국 자가 점유율을 살펴보고 자가 점유에 영향을 미치는 주택 및 도시 특성을 연구하는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 논문의 구성 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자가 점유를 선택하는 기본적인 배경과 주택의 유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자가 점유의 특성을 연구한 선행연구를 특성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는데 주택특성, 인구특성, 경제특성, 도시특성에 관한 기존 연구를 고찰하여 본 연구에 연관된 분석 결과를 도출하도록 하였다. 제 3 장에서는 도시별 주택 유형과 거래현황을 살펴봤으며, 각 지역별 경제 현황, 가구 구조의 변화와 현황, 인구 분포 현황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거주하고 있는 주택 유형과 거래 현황의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현재 대표적인 거주유형인 아파트를 위주로 살펴보았으며, 전체 가구 중 50%정도가 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통계청에서 전국을 5개 지방청으로 구분했는데, 지방청별 자가 점유 비율을 조사했으며 시지역과 군 지역을 구분해서도 분석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자가 점유율을 종속변수로 하고 선행연구에서 분석된 변수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많은 주거 형태는 아파트로 조사되었으며, 아파트 가구 비율이 높고,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상승률과 아파트 분양가(3.3㎡)가 높을수록 자가 점유율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주택보급률은 자가 점유율과 의미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자가 점유가 양적인 주택 공급에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국 아파트를 지역적, 시대적 상황에 따라 공급하고, 아파트가 투기적 수단에 이용되지 않도록 정책적인 규제를 강화하여 주거 안정을 위한 자가 점유율을 높여야겠다. 둘째, 가구의 분화는 사회적 요인과 가치관의 변화, 국가의 정책 문제 등 다양한 이유로 나타나고 있다. 1인가구의 증가는 세계적인 트렌드이면서 우리나라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1인 가구의 비율이 높은 지역이 자가 점유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그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베이비부머 세대는 경제적 안정과 스스로의 노후 대책으로 자가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일자리가 가장 중요할 수 있는데, 인간다운 기본적인 삶을 위해서는 경제력을 제외하고는 설명할 수 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결국 일자리가 많은 지역으로 사람들은 이동하게 되는데 순 이동인구가 높을수록 자가 점유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계청에서 전국을 지역적으로 5개 지방청별로 구분하였는데 경인 지방을 더미변수로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인지방(서울, 인천, 경기)에 거주하는 경우 자가 점유율이 낮은 비율로 조사되었다. 제 5 장에서는 본 논문의 목적이었던 자가 점유율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내용을 정리하고, 결론과 시사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서술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석된 결과로 주거 안정을 위한 자가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별 맞춤형 주택 정책이 필요하고 1, 2인 가구에 필요한 소형 주택의 공급 및 실수요자 중심의 거래를 위한 정부의 주택정책 개선 방향과 대책에 기본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국외골프상품속성과 고객행동연구

        최윤근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행업에서 판매되고 있는 여행상품은 소득과 여가시간의 증대,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인한 생활양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로 성장하여 단순한 여행상품에서부터 특수목적상품까지 다양한 상품이 판매되고 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국외골프상품은 이용고객들의 속성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단순히 일반적인 여행상품에 골프를 포함시켜 판매하는 형태이며 과다한 경쟁 속에서 만들어진 무리한 스케줄과 열악한 환경, 저급한 서비스로 대부분의 이용고객들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외골프상품을 선택하는 이용고객들은 일반상품을 선택하는 고객들과는 다른 특성을 보일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국외골프상품선택속성의 중요도와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고객만족과 반응을 연구하여 골프상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필요한 정보와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방법을 병행하였다. 문헌적 연구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국외골프상품선택속성을 토대로 실증적 연구에서는 국외골프상품을 경험한 이용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중국, 태국, 필리핀, 그 외 국가의 국외골프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300명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법에 따른 표집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설문응답에 오류 및 응답률이 낮은 67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실증분석이 가능한 233명의 응답내용이 조사·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조사목적은 크게 3가지 측면으로 이용고객들의 인구통계, 이용상황별 차이와 선택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국외골프상품선택속성과 만족과의 영향관계, 고객만족과 고객반응과의 영향관계 분석이었다. 본 연구는 국외골프상품선택속성이 인구통계, 이용상황 변수와의 상관관계에서 어떠한 변수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여 골프상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유용한 정보를 얻어내고자 하였다. 또한, 국외골프상품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고객만족이 고객반응(구전과 재구매)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외골프상품 이용고객의 인구통계, 이용상황에 따른 골프상품선택속성의 중요도와 차이분석의 결과, 인구통계, 이용상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은 국외골프상품은 일반적인 여행상품과는 다른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구매횟수’에 따른 중요도 차이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국외골프상품선택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회귀분석의 결과 ‘부대서비스’와 ‘비용’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셋째, 국외골프상품 이용고객이 지각하는 만족과 고객반응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변수는 고객만족 단일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그 결과 고객만족이라는 단일 요인이 고객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인구통계, 이용상황 변수, 국외골프상품선택속성의 중요속성, 고객만족, 그리고 고객반응에 관련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인구통계 변수, 이용상황 변수에 따른 국외골프상품선택속성의 중요도와 차이를 규명하였으며 고객만족 그리고 고객반응에 관련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국외 골프상품 관광자의 유치 및 확보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구통계, 이용상황 특성, 선택속성, 만족, 반응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된 내용을 분석하여 국외골프상품 이용고객의 선택속성을 파악하고 가설을 검증하여 국외골프상품을 판매하는데 있어 품질관리, 고객서비스, 신상품개발 등의 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으나 향후 이용고객의 다양한 욕구와 국외골프상품의 고객행동을 연구하는데 있어 다양한 국가와 지역별, 골프상품별로 조사대상을 구분지어 연구결과의 적용 및 외적 타당도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이용 상황의 선정과 적절한 변수들을 보다 확대시켜 광범위한 조사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향후 연구를 통해 여행사에서 판매되고 있는 국외골프상품의 정확한 현실의 이해와 국외골프상품의 고객행동에 따른 마케팅적 방안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