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펙트럼 쉐어링을 위한 게임이론 기반의 안전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확장에 관한 연구

        최예진 성신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면서 고도화된 무선통신 네트워크와 주파수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제한된 주파수 자원 환경에서 효율적인 주파수 공유를 가능하게 하도록 스펙트럼 쉐어링 기술에 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스펙트럼의 관리 방식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스펙트럼 공유자들이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기반 스펙트럼 쉐어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면 기존의 중앙 집중형 시스템보다 더욱 다양한 사용자들의 참여와 많은 주파수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동적 수익 및 비용을 평가하고 관리 할 수 있으며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 자원의 증가와 일반 사용자의 스펙트럼 공유를 유도하기 위한 문제를 게임 이론적 접근을 통해 해결하였다. 게임 이론을 적용하여 스펙트럼 쉐어링 시스템에 참여하지 않는 사용자들의 협력을 끌어내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협력하는 사람들에게만 협력하고, 협력하지 않으면 동일하게 협력하지 않는 Tif for Tat (TFT) 전략을 적용하였다. 일정 비율 이상의 TFT 전략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들이 공유 전략을 지속해서 변경하도록 한다면, 기존의 중앙집중식 방법보다 스펙트럼 쉐어링을 55.1% 이상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꽃의 이미지를 응용한 슈링클스 장신구 연구

        최예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식물은 소통의 매개체이다. 우리는 떨어지는 낙엽을 보며 쓸쓸한 감정을 느끼기도 하지만 만개한 식물을 통해 행복한 감정을 느끼기도 한다. 그중에서 꽃은 함축적인 의미를 전달해주는 대상이다. 생일이나 결혼식과 같은 기념일을 축하하는 뜻으로 선물하기도 하며, 누군가의 슬픔을 위로하는 추모의 의미로 전달되기도 한다. 정서적인 안정과 위안을 주는 꽃은 끊임없이 생성되고 소멸하는 순환의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보이지 않는 움직임까지 상상하게 하여 예술적 영감을 얻기에 무궁무진하다. 꽃은 한 곳에 자리를 잡아 주어진 환경에 맞춰 성장하고 생존하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개화(開花)는 ‘꽃이 피다’라는 뜻이므로 물, 햇빛, 영양 등 많은 조건을 충족한 후에 시작되기에 꽃의 생명력이 극대화된 시기이다. 만개한 꽃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끊임없는 생명 운동의 결과물이며, 이를 통해 생동감을 느낄 수 있다. 우리는 꽃에서 드러나는 생동감으로 인해 행복함, 심리적인 치유, 안정감 등을 느낀다. 연구자는 개화한 꽃에서 발견되는 유기적인 형태와 색채를 재구성해 생명력을 이미지화하여 긍정적인 정서적 반응을 유도하려고 한다. 슈링클스(Shrinkles)는 색연필을 비롯한 다양한 채색 도구를 이용하여 종이처럼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플라스틱이다. 열에 의해 크기 변화가 일어나는 이 재료는 최대 1/7까지 수축되며, 그려진 그림은 줄어드는 정도에 따라 더욱 섬세하고 정교하게 변한다. 슈링클스는 수축하면서 유동적인 입체 형태로 변하는데, 이 과정에서 예측 불허성과 우연성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슈링클스는 우리나라에서 장신구로 활용된 사례가 거의 없다. 하지만 가변성과 내구성이 뛰어나 파손될 위험성이 적으며 매우 가벼워 장신구로 제작했을 때 큰 장점이 된다. 유동적인 형태를 보이는 슈링클스는 꽃에서 나타나는 곡선과 다양한 색감을 표현하기에 효과적이다. 꽃잎의 유기적인 선은 역동적인 힘과 내부에서 일어나는 생명체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변형된 슈링클스의 비정형적인 형태는 생명 운동이 느껴지며 곡선이 강한 꽃잎과 유사하다. 연구작품은 총 12점의 브로치로 이루어져 있다. 열에 의해 순간적으로 형태가 결정되는 슈링클스의 우연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꽃의 생명력을 이미지화하였다. Plants are a medium of communication. We feel lonely looking at falling leaves, while feeling happy when we see plants in full bloom. Among them, flowers are the object that conveys implicit meaning. Flowers are sometimes presented to celebrate anniversaries including birthdays or weddings, and also delivered to comfort someone's sorrow. Flowers that provide emotional stability and comfort visually show the process of a cycle of constant creation and extinction. In addition, it is limitless for us to get artistic inspiration from flowers by imagining even invisible movements. Settled in one place, flowers exert strong vitality to grow and survive according to a given environment. Particularly, the flowering period is a time when the vitality of flowers is maximized in full bloom after satisfying many conditions such as water, sunlight and nutrition. Flowers in full bloom are the moment when they externally emit formativeness such as structural features of the shape and various colors. In other words, it is the result of the constant movement of life occurring inside, through which we can feel the vital power. We can feel happy and receive heal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due to the vitality from flowers. The researcher tries to induce emotional responses by reconstructing organic shapes and colors found in blooming flowers to make image of life force. Shrinkles is a plastic on which pictures can be drawn like paper using a variety of coloring tools, including colored pencils. Shrinkles decrease up to 1/7th with changing properties by heat, and the drawn picture is depicted more delicately and elaborate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shrinkage. This material, which begins with a flat surface, changes its shape into a fluid solid through the process of shrinking,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unpredictability and contingency in this process. The organic lines of petals signify the dynamic force and movement of life occurring inside. The changed form is similar to petals with strong curves, and life activity can be felt in the form of modified Shrinkles. Shrinkles has been rarely used as Jewellery material in Korea. However, it has good flexibility and excellent durability with little risk of damage. Moreover, it is very light and has a great advantage when manufactured as ornaments for the body. This material, which shows a contrasting shape before and after shrinkage, is effective in expressing the form and color of the curve of flowers. The research works consist of a total of 12 brooches. The vitality of flowers was imaged by using the accidental effect of Shrinkles, whose shape is instantly determined by heat.

      •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 대조 연구

        최예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을 대조 분석하여 각자 가지고 있는 특성과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국적의 화자들 사이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회적 교류에 필수적인 문화적 배경, 공손함, 속어 등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다양한 요소 중에서 한국어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경어법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범주이다. 대부분의 서양 언어권 국가들은 경어법이 문법 범주에 나타나지 않지만, 상호 작용적 의사소통을 위한 공손 표현 활용은 적용이 되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지금까지 영어, 불어, 일본어, 중국어 등의 공손 표현과 관련된 연구는 많았지만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에 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기에 본 언어를 선택하여 대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우선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문법을 형태적 측면과 통사적 측면으로 나누어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의 공손 표현과의 대조 분석을 실행할 때 주목해야 할 문법적 요소들을 이해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어서 공손의 개념과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한국어의 공손 표현은 규범적인 성향이 강한 반면,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은 전략적인 성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격적인 한국어와 브라질 포르투갈어 공손 표현의 대조 분석은 문법 층위, 어휘 층위, 화용 층위를 토대로 삼아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어휘 층위와 화용 층위에서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공손 표현의 활용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고 한국어의 공손 표현과의 비교를 통해 서로의 공통점 혹은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polite expressions in Korean and Brazilian Portuguese by comparing them. In order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speakers of different nationalities, they must have knowledge of the cultural background, politeness, etc. for social interaction. Among these various elements, the politeness in Korean, which is a high percentage of the language, is a category tha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access. The study is very important as the usage of polite expression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does not appear in the grammar category of most part of Western countries. Also,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concerning polite expressions in English, French, Japanese, and Chinese, but no studies on polite expressions in Brazilian Portuguese were found; so it was selected as an analysis target of this paper. First of all, the grammar of the Portuguese in Brazil was simplified by dividing it into form and syntactic aspects. It intends to understand the grammatical factors that should be noted when performing a contrast analysis with the Korean language's polite expressions. Then, this study presented the concept of polite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lite expressions in Korean and Brazilian Portuguese. While Korean politeness was more prescriptive, Brazilian Portuguese politeness was more strategic. The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to Brazilian Portuguese politeness was conducted based on the grammar hierarchy, vocabulary and chemistry levels. As a result, the vocabulary and chemistry layers showed a high frequency of using Brazilian Portuguese polite expressions, and a comparison with Korean polite expressions was made to identify similarities or differences between them.

      • 소똥구리(Gymnopleurus mopsus)의 기초생태 및 월동특성

        최예진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 국내 발견기록이 없어 현재 지역절멸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 소똥구리의 국내 복원을 위한 기초생태자료 및 월동특성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소똥구리의 복원을 위한 모개체군을 몽골에서 도입하기 위한 절차와 실내사육을 위한 사육법, 월동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서술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basic ecological data and data on winter characteristics for domestic restoration of endangered wildlife II-class cattle dung beetles, which are currently presumed to have been destroyed in the region due to lack of domestic discovery records since the 1970s. In this paper, the procedure for introducing the Mogaegi group for the restoration of cow dung beetles in Mongolia, the breeding method for indoor breeding, and the research results on wintering characteristics were described.

      • 한국어 교재의 음운 현상 교육 내용 연구 : 대학 통합 교재를 중심으로

        최예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대학 한국어 통합 교재에서 음운 현상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교재 간 비교 분석을 통해 음운 현상에 관한 교육 내용에 대해 제언함으로써 한국어 교재 내의 음운 현상 교육 내용 구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한국어는 음운 현상에 의해 표기와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학습자가 제대로 된 발음을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한국어 통합 교재는 자모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나, 음운 현상은 독립된 교육 영역으로서 다루고 있지 않거나 개별 어휘를 통해 학습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게 되면서 이 연구를 시작하였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음운 현상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대상 선정의 문제, 제시 순서의 문제, 용어 사용의 문제, 발음 표기의 문제’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특히 대상 선정의 문제의 경우 기존의 논의들에서 다루어졌던 교육 대상에서 더욱 확장하여 대상을 선정하거나 기존의 논의들에서 선정하였던 교육 대상들 중 일부는 그것의 교육 내용을 더욱 확대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제시 순서의 경우에는 기존의 연구들을 참고하면서, 한국어의 특수성,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음운론적 제약, 음운 현상 설명 시의 복잡성, 개별 음운 현상들 사이의 연관성 등을 기준으로 하여 순서를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하여 한국어 교재 속의 음운 현상 교육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학에서 출판된 통합 교재인지, 음운 현상 교육 내용을 개별적으로 다루고 있는지의 두 가지 기준을 통해 『한국어』, 『재미있는 한국어』, 『(new) 서강 한국어』, 『서울대 한국어』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상의 4종의 교재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교육 대상을 선정하고 있는지, 교육 대상에 대한 설명이나 예시는 어떠한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4종의 교재들은 교육 대상을 각각 다르게 선정하고 있었다. 『한국어』의 경우 다른 교재에 비해 선정한 교육 대상의 수가 적었으며, 『재미있는 한국어』의 경우 다른 교재들보다 모국어 화자의 실제 발음과 관련된 교육 대상을 많이 다루고 있었다. 이 외에도 교재들에서의 음운 현상 교육 대상들의 제시 순서나 용어의 사용 양상, 발음 표기 방법 등도 살펴보았다. 3장에서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4장에서는 교재 간 비교 분석을 통해 음운 현상 교육 내용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교육 대상으로 선정하여야 한다고 했던 음운 현상들 중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교재에서도 대부분 교육 대상으로 선정하고 있었다. 대체로 동일한 음운 현상은 교재들 역시 유사하게 설명하고 있었으나, 같은 음운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교재마다 설명이 다른 경우도 있었다. 제시 순서 측면에서, 통합 교재는 말하기나 읽기 영역에서 사용되었던 지문과의 연관성을 토대로 음운 현상 교육 대상이 채택되는 경우가 많고, 그것에 따라 제시 순서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론적인 입장에서의 제시 순서와 실제 교재의 제시 순서를 단순하게 비교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통합 교재일지라도 개별 음운 현상들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심화 반복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문법 용어 측면에서는 문법 용어를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 것인지와 관련하여 교재를 분석해 보았다. 문법 용어를 사용할 때는 학습자에게 친숙하고 일상적인 어휘를 사용해야 하며, 설명어를 중심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고, 한국어로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발음 표기 측면에서는 평파열음화를 교육할 때를 제외하고는 모든 교재가 음운 현상으로 인해 표기와 달라진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운 현상은 학습자들이 한글을 학습하고 난 이후에 교육되므로 한글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발음을 나타낼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 Innervation in Women with Uterine Myoma and Adenomyosis

        최예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s: To determine if NF is expressed in the endometrium and in the lesions of myomas and adenomyosis, and to determine if this expression i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NF in the endometrium. Methods : Histologic sections were prepared from hysterectomies performed on women with adenomyosis, uterine myoma, and carcinoma in situ of the uterine cervix. Full-thickness uterine paraffin blocks, which included the endometrium and myometrium histologic sections, were stained immunohistochemically using the antibodies for monoclonal mouse antihuman neurofilament (NF) protein. Results : NF-positive cells were shown in the endometrium and the myometrium of the patients with myomas and adenomyosis, although such results could not be statistically verified.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existence of NF-positive cells and menstrual pain/phases, but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existence of NF-positive cells in the functional layer of the endometrium and the existence of NF-positive cells in lesions of myomas and adenomyosi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NF-positive cells in myoma and adenomyosis might play a role in pathogenesis and disease-related pains. It should be further studied if NF-positive cells in the endometrium and the lesions of myomas and adenomyosis could play a role in pathogenesis and disease-related pain. 목적: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이 있는 여성의 병변에서 신경필라멘트(NF)의 발현여부와 이 발현이 자궁내막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및 자궁경부 상피내암으로 자궁절제술을 시행 받은 여성들의 조직 절편을 바탕으로 진행 하였다. 자궁내막과 근육층의 조직 절편을 포함하는 전체 두께의 자궁 파라핀 블록을 단클론 생쥐 항인간 신경필라멘트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 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하었다. 결과: 신경 필라멘트 양성 세포가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 환자의 자궁내막과 자궁근육 층에서 발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검증되지 못했다. 신경필라멘트 양성 세포의 존재와 월경통이나 월경기간의 상관성은 없었지만, 신경 필라멘트 양성 세포가 자궁내막층의 기능층에 존재 하는지 여부는 신경필라멘트 양성 세포의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 병변에서의 존재 여부와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에서 신경필라멘트 양성세포가 병인과 질병과 관련된 통증에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자궁내막 그리고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증 병변에서 신경필라멘트 세포가 병인과 질병과 관련된 통증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앞으로 더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궐련형 전자 담배 폐기물의 열분해를 통한 화학 공급 원료 생산

        최예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열중량분석(TG)과 열분해-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Py-GCMS)를 이용하여 담뱃잎(TL), 폴리유산(PLA)필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필터로 이루어진 궐련형 전자 담배 (EHT) 폐기물의 열분해에 대해 연구하였다. 흡연 후 얻어지는 폐 EHT의 열분해 특성은 EHT의 열분해 특성과 비슷하였다. 순수 및 폐 TL과 순수 및 폐 CA의 최대 분해 온도(Tmax)는 EHT 성분의 분해 온도와 비슷했으나 그을림으로 인해 폐 PLA의 Tmax는 PLA보다 다소 높았다. PLA와 CA의 Tmax는 열분해 중간체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TL과 혼합열분해 되었을 때 낮아졌다. 폐 EHT 성분의 비등온 열분해에 대한 활성화에너지 값은 EHT 성분 활성화에너지 값 보다 높았다. Py-GC/MS 분석 결과 TL에서 니코틴과 리모넨, PLA에서 카프로락톤과 락타이드, CA에서 아세트산과 트리아세틴 등의 화학원료들이 EHT의 단순 열분해 과정을 통해 회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L, PLA, CA들의 혼합열분해시 반응중간체의 상호 작용으로 락타이드의 생성량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yrolysis of waste electronically heated tobacco (EHT), consisting of tobacco leaves (TL), a poly-lactic acid (PLA) filter, and a cellulose acetate (CA) filter, was investigated using thermogravimetric (TG) and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y-GC/MS) analysis. The pyrolytic properties of waste EHT obtained after smoking were comparable to those of fresh EHT. Although the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s (Tmax) of waste TL and CA were similar to those of fresh EHT components, the Tmax of waste PLA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fresh PLA due to smoldering. The Tmax of PLA and CA were lowered when they were co-pyrolyzed with TL due to interactions between pyrolysis intermediates.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ies for the non-isothermal pyrolysis of waste EHT compon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fresh EHT components. Py-GC/MS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onsiderable amounts of chemical feedstocks, such as nicotine and limonene from TL, caprolactone and lactide from PLA, and acetic acid and triacetin from CA, can be recovered by simple pyrolysis of EHT. Co-pyrolysis of TL, PLA, and CA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amount of lactide was much larger than the calculated value, suggesting its synergistic formation.

      • 20, 30대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이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예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편의점으로부터 “혜자스럽다”, “편퇴족”, “얼리어먹터” 등의 신조어가 발생하는 등 편의점 식품이 주목받고 있다. 1인가구의 등장, 경기불황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으로 인해 편의점 PB식품의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층 중에서도 취업난과 경쟁풍토 속에서 살아가는 20, 30대 젊은 세대가 편의점에서 끼니를 떼우는 등 편의점 PB식품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데 이들은 편의를 추구하는 동시에 건강이나 영양을 생각하는 등 모순적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편의점 식품을 소비하는 사람들의 건강 및 영양적인 측면에 대한 우려가 논의된다. 하지만 젊은 세대가 식품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 항상 편의성과 경제성뿐만은 아니라는 점에서 어떠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이나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이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총 3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20, 30대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어떻게 유형화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각 척도의 문항을 구성하고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다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집단 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에 대한 교차분석 및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20, 30대 소비자의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분석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특성,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을 독립변수로 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연구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한 결과 ‘편의추구형’, ‘탐식형’, ‘새로움추구형’, ‘무관심형’의 총 4가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건강추구, 미식추구, 음식탐험, 요리도전, 편의추구라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하위 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별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간편성, 음식의 질, 그리고 위생이라는 선택속성에서 유의미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 그리고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이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집단에서는 탐식형과 새로움추구형, PB식품 선택속성에서는 간편성, 경제성, 음식의 맛이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대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0, 30대 편의점 PB식품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편의추구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됨을 의미한다. 또한 간편성, 경제성, 음식의 맛이라는 선택속성이 다른 특성보다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보다 편리함, 저렴함, 맛 등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향이 만족도에 더 큰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선택속성에 따른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집단별 특징을 편의점 PB식품소비 및 사회적 배경과 결부시켜 해석했으며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편의점 PB식품 선택속성이 편의점 PB식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함의하는 바에 대해 논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Convenience PB(Private Brand) food is highly recognized that neologism regarding convenience store such as “Hyeja(Sufficient amount)” has come up.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 and shrinkage of consumption have also made convenience PB food more popular. Consumers who are in their 20s and 30s are leading the actual consumption of convenience PB food since they are the ones living the competitive era of employment difficulties and spending their money on convenience stores.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consumers in 20s, 30s are segmented with FRL measure and how the segmented groups and convenience PB food selection attributes influence convenience PB food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02 consumers who are in their 20, 30’s and have bought convenience store PB food at least once in the last one year. After checking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each scale,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Post-Hoc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4 clusters named as “Convenience seeking”, “Voracity”, “Adventurer”, and “Not Interested” are distributed by FRL scale. Second, three convenience store PB food selection attributes, “Convenience”, “Quality of food”, and “Sanitary”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4 clusters. Third, “Voracity” group, “Adventurer” group, “Convenience”, “Price”, and “Taste” had significant effect on convenience store PB food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who are in 20s and 30s could be distributed into diverse groups regarding FRL. It also demonstrates that FRL and convenience store PB food selection attribute have more influence on convenience store PB food satisfaction tha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segmented convenience store PB food consumers in their 20s, 30s with FRL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regarding social circumstances. It also has a signification trying to explain the effect of each group and convenience store PB food selection attributes on convenience PB food satisfaction reflecting social situation.

      • 증강현실 게임특성이 여가이득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포켓몬 고(Pokemon Go)를 중심으로

        최예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에 대한 고찰 및 적용을 통해 증강현실 게임의 특성을 도출해내고 증강현실 게임을 하나의 여가활동으로 정의하여 여가활동으로서 증강현실 게임의 특성과 몰입, 여가이득, 여가유능감, 생활만족 변수간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각 변수간의 매개효과,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궁극적으로 여가활동과 증강현실에 사용자 경험을 결합시킨 새로운 연구방향을 이끌어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증강현실 게임 특성, 여가이득, 여가유능감, 생활만족 간 영향관계 검증을 위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포켓몬 고 게임을 1개월 이상 플레이 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을 병행하여 표본을 수집하였다. 총 317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신뢰성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Process Macro를 통한 조절 및 매개효과 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증강현실 게임특성은 여가이득과 생활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여가이득 또한 생활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강현 실 게임특성은 여가이득과도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여가이득은 증강현실 게임 특성과 여가유능감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위적 몰입은 여가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증강현실 게임특성과 여가유능감 사이에서 음의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위적 몰입의 수준이 낮으면 조절효과가 증가하며 행위적 몰입 수준이 높아질수록 조절효과가 감소하였다. 연구결과 증강현실 게임특성, 행위적 몰입, 여가유능감, 여가이득, 생활만족의 각 변수간 영향관계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매개모형은 매개변수가 없어도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모형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증강현실 게임특성에 대한 행위적 몰입은 여가유능감을 매개로하여 여가이득에 영향을 주는데 유의한 조절효과를 하였다. 하지만 증강현실 게임특성과 여가이득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전체 모형은 행위적 몰입의 직접 조절효과는 없지만 간접 조절효과가 나타나는 완전 매개된 조절모형이라 판단되었다. 전반적으로 행위적 몰입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몰입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영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본 연구는 자주 다루어지지 않던 여가활동과 증강현실 기술 간의 관계를 포켓몬 고를 통해 다루었으며 궁극적으로 각 변수들은 유의한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최근 삶의 질과 생활만족 등이 이슈로 떠오르며 다양한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만족감 등 긍정적 변수와 자주 다루어지지 않던 게임의 긍정적 영향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또한 시사점을 가진다. 추후 증강현실 게임 몰입에 대한 개개인의 수준과 그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본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와 시사점을 나타내지만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진다. 첫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을 병행하여 표본을 수집하였으므로 일반화의 한계 문제를 포함한다. 둘째, 본 연구 모형은 기존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에 제시된 두 가지 모형(model 4, model 8)을 함께 다루고 있는 형태로 하나의 모형으로 각각 변수간의 관계는 검증 가능하지만 두 가지 모델이 하나로 합쳐졌을 때의 유의성에 대해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다. 셋째 게임을 여가활동으로 다룬 연구가 많지 않으며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대표 사례인 포켓몬 고만을 다루고 있으므로 역시 일반화의 한계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최근 신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는 증강현실 기술을 다루기 위해 여가활동으로서 증강현실 게임과 그 특성을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몰입, 여가유능감, 여가이득, 생활만족 간 영향관계를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채프먼 형제(Jake and Dinos Chapman) 인체 작품의 조형적 특징 연구

        최예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채프먼 형제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 속에 물질적으로 풍요롭고 편리한 삶을 누리는 반면 급속한 발달에 따른 부작용에 관한 우려의 목소리를 다양한 작품을 통해 표출하면서 그들만이 가진 독자성과 특수성으로 그 예술성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채프먼 형제의 작품들은 데미안 허스트나 트레이시 예민의 작품들에 이어 yBa(young Britist artists) 특유의 엽기적이고 충격적인 이미지 표현을 작품 속에 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채프먼 형제 특유의 독자성을 가진 인체 작품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작품에서 나타나는 형식적, 주제적 특성을 통해 채프먼 형제의 인체 작품이 갖는 조형적 특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그들의 인체 작품에 내재된 미학적 의의를 알아보는 데도 부차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제 2장에서는 채프먼 형제의 생애를 알아보고, 작품 형성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채프먼 형제는 태어난 지리적 특성 때문에 yBa의 영향을 자연스럽게 받았고, 작가로서 성장한 후에는 yBa를 대표하는 스타작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작품의 형성 배경에 있어서는 표현적인 부분에서는 고야의 「전쟁의 참상」시리즈에서 영감을 받았고, 내용적인 부분에서는 조르주 바타유의 죽음과 성의 관념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채프먼 형제 인체 작품의 특징 분석을 위해 형식적 측면과 주제적 측면으로 나누어 그들이 작품을 형성하게 된 배경을 토대로 참고도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채프먼 형제의 인체 작품에서 나타나는 형식적 측면의 특징으로는 원작위에 그림을 덧입혀 새로운 작품으로 탄생시키는 차용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인간의 본성이 지니는 어둡고 잔혹한 면이 탐미적이고, 아름답게 재현되면서 그 양면성이 극대화 되어 사회가 우리에게 부여하는 금기와 무의식적 욕망을 인형이나 마네킹을 통해 표현하기까지 채프먼 형제의 작품에서 수용했던 아브젝트 표현과 공포스러움의 그로테스크적 표현, 실제와 비슷하게, 혹은 실제보다 더 실제스러운 리얼리티적 표현의 형식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형식적 특징을 통해 ‘죽음과 성‘ 이라는 주제적 특징이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 4장에서는 채프먼 형제의 인체 작품에 내재된 미학적 의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채프먼 형제의 원작 훼손과 새로운 작품의 탄생과의 관념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원본성을 부정하는 방법으로 새로운 예술가상을 반영하였고, 이것은 기존의 예술가 개념의 의미론적인 죽음을 표현함과 동시에 ‘탈작가’의 새로운 개념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파편화되고 재조합된 인체 표현을 통해 죽음, 소외, 타자로서의 불순하고 저급한 신체를 드러냄으로써 인체에 대한 의미를 확장했으며, 그로테스크한 형상이 아름다운 결과물로 만들어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통해 미추에 대한 관념의 탈피를 시도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채프먼 형제의 인체 작품에서 드러나는 표현에 의한 그들만의 독자성과 특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들의 인체 작품이 갖는 논란의 쟁점이 미치는 미술사적인 영향과 앞으로 채프먼 형제 작가로서의 모습을 기대해 보았다. Chapman Brothers have a reputation for the originality and uniqueness of their various works which represent concerns about people who live a wealthy and abundant life, but on the other hand, suffer from side effect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the growth of mass media Their works show distinctive bizarre and shocking images of yBa(Young British Artists) like Damien Hirst and Tracy Emin. This thesis aims to analys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hapman Brothers’ unique human figure sculptures. In addition to this, finding a aesthetical meaning in their works by study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heir human figure sculptures throughout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s is considered as a secondary objective. In the 2nd chapter, the biography of Chapman Brothers and the forming background of their works were studied. They were naturally affected by the yBa due to a geographical background, and they have become the representative star artists of the yBa. They were inspired by Goya's Disasters of War series for their forming background and affected by death and sexual concepts of Georges Bataille for subjective parts. In the 3rd chapter, the forming background of Chapman Brothers works were studied using reference images with formative and subjective sides of view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human figure sculptures. For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ppropriat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created by repainting over the original classic paintings was founded. Considering a concept of the Abject that Chapman Brothers adopt while they express it through mannequins that maximize both sides of human by representing dark and brutal side of human nature aesthetically and beautifully, this thesis studies the method of the satires. Theses expressions which are close to real or more realistic than real clearly show an subjective characteristics of 'Death and Sexuality'. The 4th chapter was an analysis of aesthetical meaning in their human figure sculptures. Chapman Brothers ask us a question about a concept between vandalism and re-create, and represent a aspect of new artists. This means the death of old concept of art and represent the new artists figure. They are expending the concept of human bodies with separate and combine itself and tried to escape from the concept of beauty or ugliness representing the ironical situation that grotesque become beauty. Throughout these, originality and uniqueness of their human figure sculptures are founded. The effects caused by their controversial work and their future steps as the artists are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