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기록관의 개인기록관리 방안

        최영주 명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인기록물이란 개인의 활동으로 생산되는 기록물을 말한다. 대학기록관의 개인기록물은 대학을 구성하고 있는 개인의 기록물이다. 대학을 구성하는 개인은 크게 행정가, 교수, 학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개인기록물은 대학기록관의 아카이브즈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개인기록물은 기록관의 행정기록물들이 말해줄 수 없는 보다 세밀한 부분의 역사적 사건에 대해서 알려주기도 한다. 또한 연구적인 면에 있어서는 특히 개인기록물의 활용도가 아주 높다고 하겠다. 그러나 현재 개인기록물에 관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은 상황이다. 그 이유는 아직까지 기록학연구에 있어서 행정기록물을 중심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되어 왔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기록물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개인기록물의 특징은 행정기록물과는 틀리다. 매뉴스크립트의 한 분야이기는 하지만 이 기록물에는 개인의 일생일대를 담고 있다. 개인의 생각, 인간관계, 관심분야, 감정 따위의 모든 것이 녹아 있다. 따라서 매뉴스크립트의 관리 방안만을 가지고 개인기록물을 운영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기록관의 개인기록물의 관리방안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학기록관의 개인기록물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첫째, 개인기록물의 관리를 위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맞는 정책과 제도 그리고 재정적인 면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둘째, 수집에 있어서는 개인기록물의 범위를 선정하고 수집전략에 따라 이를 시행한다. 셋째, 개인기록물의 특성을 고려한 정리와 기술이 필요하다. 개인기록물을 활동에 따라 정리하고 이용을 위한 주제별 정리방안을 모색했다. 기술에 있어서는 ISAD(G)와 ISAAR(CPF)를 이용하여 개인기록의 특성을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넷째, 이용에 있어서는 개인기록을 이용하는 방법과 검색도구 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학기록관은 점차 발전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개인기록에 대한 관심은 아직 높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개인기록물을 관리함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인식하고 이를 관리함으로서 대학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Personal document stands for document which is produced by personal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a university archive, personal document arises from individuals who consist of a university, for example, largely university administrators, professors, and students. This personal document has a unique value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kinds of materials in a university archive. Personal document may reveal more minute parts of historical events, which cannot be shown in administrative document in an archive. In addition, personal document plays a significant role in research. However, only a few research on personal document has been done so far. It is because that the study of documentation has only focused on the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document. Also, there has been lack of acknowledgement on the importance of personal document.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document are different from ones of administrative document. Even though personal document is also a part of manuscripts, this contains a person's biographies. In other words, it has included personal thoughts, human relationships, personal interests, emotions and so 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nage personal document by the standard of management applied for manuscripts. In this reason, this study suggests possible ways of managing personal document in a university archive. In order to manage personal document in a university archive, firstly the needs of managing personal document should be acknowledged, and relevant policies, systems and budgets should be supported to meet those needs. Secondly, in terms of the acquisition of personal document, a range of personal document should be defined, and according to established strategies, collecting document should be done. Thirdly, categorizations and interpretations specially design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document, are needed. In this study, thematic categories are investigated, as they can make personal document arranged according to activities for accessibility. In regards to interpretations, ISAD(G) and ISAAR(CPF) are adopted for the better express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document. Lastly, in terms of the uses of personal document, this study suggests how to use personal document and what kinds of searching tools can be used.

      • 초등학교 학생들의 분수 오개념 분석 및 분수 개념 형성 지도방안

        최영주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가장 복잡하고 중요한 수학적 개념 중의 하나인 분수 지도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성취도가 낮은 여러 가지 원인 중 한 가지가 학생들이 분수 개념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한 채 절차적인 지식이나 알고리즘을 형성하도록 요구받는 것이라고 보고, 분수 개념을 학생들이 어떻게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으로 통하여 효과적인 개념 지도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많이 보이는 오개념 유형을 설정, 유형별 원인을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관련하여 분석하였고, 효과적인 분수 개념을 지도하기 위한 교수학습 활동에 관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지는 2, 3회에 걸친 예비검사를 통해 학생들이 오개념을 많이 보이는 항목을 추출, 분수의 여러 가지 의미와 분수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와 오개념을 분석할 수 있도록 객관식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검사지를 통한 오개념 유형 설정 및 원인 분석과정에서 특수한 반응으로 일관된 오개념을 보이는 학생 2∼3명을 선정하여 면담 및 관찰을 통하여 원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수 개념 검사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분수 개념 이해 정도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분수 개념 자체를 많이 어려워하고 있으며 또한 분수개념이 자신의 지식 구조 안에 내면화되어 있지 않아 동일한 구조를 갖는 상이한 문제에서도 일관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학생들은 분수 개념검사지에 객관식형태로 주어진 문제형태에서보다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더 다양한 오개념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오개념 유형을 분석한 결과 등분할 오개념, 전체와 부분의 혼돈에 대한 오개념, 동치관계에 대한 오개념, 분모와 분자의 상호관계를 무시하여 생기는 오개념, 전체가 1이 아닌 데서 전체를 1로 생각하여 생기는 오개념, 측정에서 생기고 남은 부분을 분수로 표현하는 데서 생기는 오개념, 분모가 같은 분수와 단위분수와의 관계, 1과 단위분수와의 관계에 대한 오개념으로 나눌 수 있었다. 본 연구검사에서 실시한 검사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이 분수 개념영역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오개념은 부분의 수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대한 오개념(예, 8은 20의 얼마인가?)과 전체를 1로 생각해서 전체가 1이 아닌 상황에서 전체를 1로 보는 데서 생기는 오개념이 많았다. 넷째, 분수 개념 검사에서 학생들이 나타내는 분수 오개념 원인을 찾아본 결과 오개념 유형별로 그 원인이 있었으며, 그 원인들은 수학 학습 이론 및 교수학적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학생들은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제한된 형태의 분수 개념 문제 유형들로 인해 학생들은 잘못된 개념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분수의 각각의 의미별 분수들에 대해 이해를 하지 못하고 분수 의미들이 수직적으로 전개되어 분수 의미들을 서로 통합하여 개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의미들을 분리하여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분수의 크기를 비교할 때, 분수에 대한 양감이나 수감각을 통하여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알고리즘적인 사고로 인해 항상 각각의 분수들을 공배수로 통분을 하여 비교를 하는 것을 보았다. 다섯째, 연속량에서보다 이산량에서 학생들은 분수를 생각하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연속량의 경우 학생들은 전체가 항상 1이라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여섯째, 이를 통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교과서가 잘못된 오개념을 줄이고 학생들이 의미있는 활동들을 통하여 자신의 지식을 자주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다양하고 실제적인 활동을 위한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갖고 있는 오개념을 처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처방이 필요하다. 또한, 학생들의 비형식적인 지식과 학생들의 생활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료들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분수는 일상생활과 동떨어져 있는 개념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분수의 생성배경과 분수의 필요성들을 충분히 학생들에게 이해시켜 학생들이 분수학습의 필요성을 스스로 깨닫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ough the learning of fractions concept, which is one of the most complicated and important concepts that is being taught in elementary schools, has been spent a lot of time and efforts, the achievement is very low. One of the reasons is that students don't understand the concept properly and are forced to form procedural knowledge and algorithm.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find out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fractions concept through the analysis of misconcepts of fractions. The test I used to analyze how students understand the fraction concept and find misconcepts of fractions students have was made from pre-tests taken 2 or 3 times. Two or three students who showed consistent misconcept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to indentify the misconcepts and their cau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that students think that fractions concept is very difficult in itself. For the concept is not inherent in their network of knowledge, they don't show consistent responses in different problems with the same structure. Second, students shows a wider variety of misconcept in interview and observation rather than in the objective questions through the test. Third, the results are divided into several misconcept; misconcept about confusion of whole and part, about the equivalent, about the interrelation between denominators and numerators, from mistaking the whole into 1, from fractionlizing the rest of the measure, about the relation between numerators with the same denominators and unit fract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1 and unit frac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est papers, the most frequently shown fraction misconcept are two cases; misconcept about the proportion of partial number in the whole number(for example, what part of 20 is 8 ?) and misconcept from mistaking the whole into 1. Fourth, the causes of those misconcepts of fractions concept are found to be able to be explained through the learning theories and teaching methods of math. Students form false concepts from the types of limited fraction questions in their textbooks. So the can't understand each meaning of fractions, and only recognize each meaning separately, instead of forming incorporated concepts of fractions. And from the textbook where the algorithm is more highlighted than the concepts, to compare two fractions, they only get the equivalent fraction numbers and compare without the thinking massiveness or the sense of fractions. Fith, students are more likely to have difficulty thinking about fractions in the case of discrete quantity than continuous quantity. Sixth, as a result, there are several important current issues. Revised textbooks and students' various, practical, and meaningful activities is needed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the fractions concepts and the treatment is also needed to form the misconcepts to right concepts.

      • 조족문토기 고찰

        최영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Chochogmun pottery is the paddling pottery with bird's footprint shape on its body surfa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cognize changes by the time and characteristics by the area through investigating Chochogmun pottery, which is discovered at the south of Midwest area in Korea and Japan. The buried relics, which is placed at the discovered spot of Chochogmun pottery, are using the pit tombs as main body of the tomb in Midwest area and it was changed by the time through the following steps, the pit tombs→outer stone coffin→stone chamber for the coffin. In southwest area, it was buried in mounded and circular moat of the large-sized ancient tomb and after the mid-sixth century, jar coffin, main body of the tomb, was changed from Young-san river style stone chamber to Baekje style stone chamber. The daily relics are mainly found at the place called a hill fort rather than the living place in Midwest area and other various daily relics are found in southwest area. In the case of Japan, the buried relics are found more at the living place of the North than the daily relics, and the daily relics are found more at the metropolitan area than the buried relics. The patterns of Chochogmun pottery are four types of A·B·C·D. The combination of Pyeonghangmun(parallel pattern) and Chochogmun is the general form and other forms such as Seungmun(straw rope pattern), Kyekjamun(lattice pattern) and Mumun(patternless) are discovered. Types of pottery, which is a jar type, are short-neck jar, short-necked and smalled jar, large-mouthed and short-necked jar, large-mouthed jar, two-eared jar, long-necked jar with stand, and so on. These were generally from Midwest area and there were various types of jars at the I-3 stage. Furthermore, circular moat pottery, deep pottery, long-egged pottery, jar, earthenware steamer, ornamental pottery and circular pottery were found at the II stage in southwest area. The forms of short-neck jar were chang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A I b→B I b․B I c→C I c in Midwest area, and A II a, A II b, A I a→A II c, B I b, C I b in southwest area with longer body and larger circumference of the mouth. The tumulus in Shinbong-dong, Chungju and in Bannam·Bokam-ri, Naju, which are excavated at the same spot, are divided in three periods according to cross-dating and these are divided again in six stages. Midwest area is the Hangsungbaekje period in the mid·late-fourth century to the mid·late-fifth century. In Midwest area, Hangsungbaekje styled pottery was appeared at the I-1 stage and Chochogmun pottery was showed up for the first time. At the I-2 stage, outer stone coffin was appeared, and the burial of Hangsung stage 2-style pottery(lid and bowl, large-mouth and short-neck jar) was expanded. Chochogmun pottery was changed with the developing style. At the I-3 stage, stone chamber for the coffin was appeared and the pottery, the weapons and the horness were changed to Baekje style various types of Chochogmun pottery was showed up. After this time, Chochugmun pottery was disappeared in this area. The power of Midwest area(Mahan), which was represented by the tumulus in Shinbong-dong, Chungju, was experienced subsumption and subordination by Baekje in the basin of the Han river and their territory was included in Baekje territory by stages. At this time, the lid and bowl of Japanese traditional pottery were found and the style of Chochogmun pottery was as same as Japanese' so it can be presumed that the rest of the power, which was represent by Chochogmun pottery, ran away from Baekje and went over to Japan. Southwest area is the Ungjinbaekje period in the late-fifth century to the mid-sixth century. At the II-1 stage in southwest area, Mahan's originality was approved with the existence of large jar coffin tomb, the appearance of the tomb of Young-san river style stone chamber, and the emergence of Jang-go tomb. At this period, Chochogmun pottery were found at the circular moat of ancient tomb, and short-neck jar and the kind of strainer were found. At the II-2 stage, the burial of Baekje style relics were expanded and the ornaments for coffin were appeared. Chochogmun pottery, which was related to funeral ceremony, were found. The power of southwest area(Mahan), which was represented by the tumulus in Bannam·Bokam-ri, Naju, was not included in the process of Baekje dominance and developed their unique culture. Chochogmun pottery at this time in Japan, cooking utensils of daily relics at the fifth century were found, and short-neck jar of the late-fifth and the mid-sixth century were found from ancient tombs. These aspects are inferred that the possibility of move to Japan was high from the early-fifth century. It is the disappearing stage of Chochogmun after the mid-sixth century.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appearance and the changing process of Chochogmun pottery with relics and excavated relics at the same spot. Chochogmun pottery was emerged in the midwest area, spreaded to the southwest area and developed. The discovery of Chochogmun pottery in Japan is thought to be the movement of residents. 鳥足文土器는 토기 동체면에 새 발 모양의 문양을 타날한 토기를 말한다. 본고의 목적은 한국 중서부이남지역과 일본에서 출토되는 조족문토기에 대한 검토를 통해 조족문토기의 시기적인 변천과 지역적인 특성을 알아보고자한다. 조족문토기가 출토되는 매장유구는 중서부지역권에서 주로 토광묘를 매장주체부로 사용하며, 시기별로 토광묘→석곽묘→석실분으로 변화한다. 남서부지역권에서는 대형고분의 분구와 주구에 매납되며, 6세기 중엽이후에 매장주체인 옹관과 영산강식석실에서 백제계석실로 변화한다. 생활유구는 중서부지역권에서 주거 공간보다는 산성이라는 공간에서 주로 확인되며, 남서부지역권에서 다양한 생활유구에서 확인되고 있다. 일본은 북부구주지역권은 생활유구보다는 매장유구에 집중되며, 기내지역권은 매장유구보다는 생활유구에 집중된다. 조족문토기의 문양은 A․B․C․D유형으로 4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문양구성은 평행문과 조족문의 조합이 일반적이며 이 외에 문양은 승문, 격자문, 무문이 확인되고 있다. 기종은 호류인 단경호, 단경소호, 광구단경호, 광구호, 양이부호, 대부장경호 등이 있는데 주로 중서부지역권에서 출토되며, Ⅰ-3기에 다양한 호의 기종들이 출현한다. 이외에 주구토기, 심발, 장란형토기, 옹, 시루, 분주토기, 와형토기 등은 남서부지역권에서 Ⅱ기에 다양한 기종들이 출토된다. 단경호의 형식분류는 중서부지역권은 AⅠb→BⅠb․BⅠc→CⅠc로 변화하며, 남서부지역권은 AⅡa, AⅡb, AⅠa→AⅡc, BⅠb, CⅠb 형식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동체가 길어지면서 구연의 외반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청주 신봉동고분군과 나주 반남․복암리고분군의 유물공반관계를 통해 교차편년을 통해 크게 3개의 분기로 설정하고 다시 세분하여 6개의 소기로 구분된다. 중서부지역권은 4세기 중․후엽~5세기 중․후반으로 한성백제 단계이다. 중서부지역권은 Ⅰ-1기는 한성백제양식토기들이 출현하기 시작하고 조족문토기가 출현하는 시기이다. Ⅰ-2기는 석곽묘가 출현하고, 한성 2기양식토기 기종(개배, 광구장경호)의 부장이 확대되는 시점으로 조족문토기는 발전된 양식으로 변모한다.Ⅰ-3기는 석실분이 출현하고 토기 기종과 무구류와 마구류가 백제화된 시점으로 조족문토기는 다양한 요소를 보인다. 이후로는 이 지역에서는 조족문토기가 소멸된다. 청주 신봉동고분군으로 대표되는 중서부지역권의 세력(마한)은 한강유역의 백제세력의 의해 단계적으로 백제의 영역에 포함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시기에는 일본의 須惠器系 개배가 확인되는 점, 조족문토기의 기종양식이 일본의 것과 비슷한 점으로 보아 조족문토기로 대표되는 세력들의 일부가 백제를 피해 일본으로 건너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서부지역권은 5세기 후반~6세기 중반으로 웅진백제 단계이다. 남서부지역권 Ⅱ-1기는 대형옹관묘 존속, 영산강식석실분의 등장과 장고분의 출현 등으로 보아 마한은 독자성이 인정되며 조족문토기는 주로 고분의 주구에서 출토되며 단경호와 조리와 관련된 기종이 확인된다. Ⅱ-2기는 백제계 유물의 부장이 확대되고 관식이 확인되는 시점으로 조족문토기는 장제의례행위와 관련된 기종이 확인된다. 나주 반남․복암리고분군으로 대표되는 남서부지역권의 세력(마한)은 백제의 영역화되는 과정 속에 포함되지 않고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고 있다. 이 시기에 일본의 조족문토기는 주로 5세기 대에 생활유구에서 조리용 토기들이 확인되며,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중반에는 주로 고분에서 단경호가 출토된다. 이런 양상은 5세기 초반부터는 마한의 사람들이 일본으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6세기 중반 이후는 조족문토기가 소멸하는 단계이다. 본고는 조족문토기의 출현과 변천과정을 유구와 공반유물을 통해 살펴보았다. 조족문토기는 중서부지역권에서 출현해서 남서부지역권으로 전파되어 발전한 것으로 보이며 일본에서 확인된 조족문토기는 주로 주민의 이동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 야수주의(Fauvism) 회화의 색채표현에 관한 연구

        최영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rtists tried to enhance the quality of works through lots of interest, passion and study on colors regardless of era. Impressionism art presented human's aesthetic sensitivity, expressing light and beautiful colors on the screen. That was, a color was perceived as a language expressing internal emotion released from the role of reproductive description of objects. Such Impressionism colors had en effect on Fauvism. Fauvism was the first art campaign of modern art in the 20th century. In this campaign including Henri Matisse, subjectivity of artists was focused, liberal brush touch and color autonomy were pursued according to liberation of colors to present sensitivity to the external world by daringly using loud primary colors. Fauvism exhibited emotion of artists through colors by random selection, and this was a full-scale trial for abstraction and led abstraction of colors. Fauvism was an art campaign by hosting a meeting of associate students such as Henri Matisse, Andre Derain, Maurice de Vlaminck, Raoul Dufy, and Georges Rouault for a short time starting from 1905. Fauvism, the name was called because a reviewer called them 'beast' when they used unnatural primary colors and unrefined techniques. Their colors' independent and autonomous value perception was more thorough, and after that, expression on color order without regard to objects had en effect on art. Fauvism Artists contributed to conversion of progress of colors into any color fields, and they used lines, formation and symbols as subsidiary roles so that paintings became color art, and the concept changed.

      • Non-equilibrium Solidification of δ-TRIP Steel : δ-TRIP강의 비평형 응고거동

        최영주 포항공과대학교 철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olidification kinetics of TRIP-assisted steels with high-aluminum contents is investigated,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icrostructures containing dendritic δ-ferrite. The as-cast specimens contain higher fractions of dendritic δ-ferrite than what expected from the equilibrium phase fraction, probably for kinetic reason. Numerical simulations using DICTRA software and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experiment were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kinetic effect. However, experimentally observed ferrite fractions were higher than simulated values. Several possible factors for the discrepanc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simulation showed little changes with the cooling rate while experimentally measured ferrite fraction is increased under higher cooling rates, the accuracy of diffusivity database or the cell size set for the simulation probably is not the reason. Also, the modification in liquid diffusivity has little influence on the phase evolution. It seems that γ phase formed between the liquid and δ-phase grows more into the liquid phase due to direct solidification, resulting in considerable amount of residual δ-ferrite. The characteristic of aluminum partition, which makes liquid phase solute-depleted, is attributed to the preferred growth of γ phase toward liquid.

      • 방과후학교 수업에 대한 중학생들의 만족도 비교연구

        최영주 울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과후학교 수업’이란 학교의 교육기능을 보완하고, 교육복지와 사교육비를 줄이고, 학교의 지역사회화라는 목표로 누구나 학교에서 최고의 다양한 교육을 받게 하고 사교육 수요를 학교로 흡수한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방과후학교 수업은 사회교육의 일환으로 학교 교육을 보완하고 미래 사회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창의적이고 심신이 건강한 인재 육성을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2012년 현재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대부분이 방과 후 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많은 학생들이 이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방과후학교 수업’ 프로그램이 전면적으로 진행되면서 여러 가지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나 효과적으로 운영되기에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의 학습욕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대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과후학교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 정도와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방과후 수업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교육 수요자인 중학교 1학년과 3학년을 비교 연구 중심으로 그에 따른 학생의 인식, 운영실태 및 문제점, 수업의 환경, 개선 방안, 기대되는 효과를 조사하고, 1학년과 3학년의 각각의 비교되는 원인을 분석하여 그 결과로 방과후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방과후학교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방과후학교 수업은 대부분의 학생이 참여 하고 있었으며, 학교 선생님이 직접 제작한 교재를 이용하여 오답노트와 함께 활용하여 수업을 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방과후학교 수업에 대한 인지는 긍정적이나 강제성을 띤 수업에 대하여 매우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을 고려하지 않는 일방적인 교과 과정의 하나의 행태로 자발적인 참여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방과후학교 수업의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에도 학생들은 다양하지 못한 프로그램에 사교육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 수업 시간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주당 2~4시간 정도의 수업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방과후학교 수업의 담당 교사를 본교 교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방과후학교 수업의 유형에 대한 형태로는 교과과정의 보충개념이 아닌, 취미, 특기, 소질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학생들의 만족도가 중요한 정책적 지표가 될 수 있기에 학생들 중심으로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은 방과후학교 수업의 활성화에 중요한 지침이 되어야 할 것이다. A comparative study on middle-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f 'After-school class' The main goals of 'After-school class' are to complement educational functions of the school and to reduce the Education Welfare and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its visions are to cover the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and to provide the best variety of education for whomever with the aim of school's regional socialization. As a part of the social education, it is also created in order to train a talent who are creative and mentally and physically healthy, therefore, play a leading role in the future. It is shown that most of school(elementary, middle, high) all over the country have 'After-school class' and many students participate. Although there are several positive effects of operating 'After-school class', it still has concerns to solve the problems about satisfying of each student’s demand with limited program. Thus, in this report we would like to find how the future 'After-school classes' should be forwarded in order to be operated more effectively. For the purpose of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After-school class’, this study focus on surveying student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comparing the first grade to the third grade in the middle school, with investigating students’ recognition, problems on the operation, environment of the class, plan for improvement and expected effects. After analyzing differences between two grades and causes of the problems of present ‘After-school class’,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to develop effective program applied to ‘After-school class’ in practice. As a result of research about the ‘After-school class’, most of the students take the class and they use a textbook made by school teacher with the feedback note. Students have a positive opinion about the 'After-school class', on the contrary, they feel negative about school's forcibleness which does not take account of students’ opinion and of course it is not voluntary. Nonetheless high level of the student satisfaction of environment of 'After-school class', lack of variety of subjects for the class make students prefer private education. Students want to take 'After-school class' 2~4 hours a week and prefer their school teacher as ‘After-school class’ teacher rather than visiting teacher. For the type of ‘After-school class’, they have a preference for subjects that they can learn as a hobby and interest or develop their speciality rather than supplement regular curriculum. Since students’ satisfaction can be important indicator for future policy, school need to develop suitable program and management system fitted to students’ demand which would be a crucial guideline for invigoration of ‘After-school class’

      • 문학 치료적 관점을 적용한 고전 문학 교수 학습 방안 : 서사 무가 <바리데기> 중심으로

        최영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즘 가장 대표적인 단어가 ‘힐링’ 이다. 힐링(Healing)은 치유하다, 고치다, 화해시키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몸을 치유하고, 마음을 치유하며, 몸과 마음의 근본이 되며 조절하는 의식을 정화하고 확장 시켜준다. 많은 현대인들에게 힐링이 필요하지만 가장 절실한 대상은 가치관의 위기에 처해 있는 청소년이라고 생각된다. 학교 현장에서 살펴보면 많은 청소년들이 보다 더 밝고 건강하게 생활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치관의 혼란으로 인해 그렇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아 정체성이 올바르게 발달해야 할 청소년들에게 가치 위기가 다양한 도덕적 문제를 일으켜서 사회적인 물의를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다양한 예방 및 치료 방법들의 모색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방안으로 본 학교 현장에서 문학 치료적 관점을 적용한 고전 문학 교육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고전문학이야말로 오랜 세월 속에서 수많은 경우들을 거치면서 드러나게 된 온갖 심리적 장애들의 모습과 그리고 그 장애들을 극복해내기 위해 필요했던 문학적 장치들을 총체적으로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학 치료적 관점을 적용한 고전문학 교수법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데 있어 적극적 자세를 갖게 하고 청소년들의 정서에 긍정적 치유 작용을 하며 나아가 고전문학 교육에 있어서 삶의 질 향상이라는 문학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대안적 방법으로 제안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