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실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연숙 경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emergency room nurses.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178 emergency room nurses randomly selected from 6 general hospitals in two metropolitan cities. Measures were burnout, QEC, depression, decision latitude and job demand. Data were analysed using frequencies,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or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8.0 version. Results : The mean score for burnout in emergency room nurses was 2.59 out of possible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according to exercise, leisure, position, job demand and depression. Burnout correlated negatively with exercise and leisure, and positively with job demand and depression.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emergency room nurses were identified as exercise(β=-.399, p<.001), leisure(β=-.354, p<.001), job demand(β=.301, p=.006) and depression(β=.189, p=.021). These factors explained 49.8% of burnout reported by emergency room nurses. Conclusion: The result indicate which factors are major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emergency room nurses in general hospitals. Therefore, these factors may serve as predictors of burnout in emergency room nurses.

      • 간병인의 직업의식 및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최연숙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병원 및 노인전문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병인들의 직업의식과 직무만족도를 조사·분석하고 검토함으로써 간병인을 위한 직무환경 개선 등 직무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일반병원 및 노인병원의 간병인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수행하였다. 먼저, 직업의식에 관한 조사결과, 간병인이 근무하는 병원의 종류와 관계없이 간병인으로서의 직업의식은 힘든 근무조건에도 불구하고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동기에 따른 직업의식 차이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직무헌신, 소속감·사명감, 근속의지 및 근무자세 모두 자기발전 및 사회경험을 쌓기 위해 취업한 집단과 가정에서의 간병 경험을 이유로 취업한 집단이 경제적 이유로 취업하게 된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근속의지 및 근무자세는 간병인을 직업으로 선택한 이유와 관계없이 비교적 높았으며, 직무헌신도 및 소속감·사명감은 자신의 적성에 맞아서 간병인을 선택한 집단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간병인의 근무 병원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는 일반병원 근무 간병인이 노인병원 근무 간병인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일반병원 근무 간병인이 노인병원 근무 간병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조건 및 업무수행에 대한 만족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동기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자기발전 및 사회경험을 위해 취업한 집단과 가정에서의 간병경험을 이유로 취업한 집단이 경제적 이유로 인해 취업한 집단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즉, 간병인으로 취업하게 된 동기와 관계없이 직무만족도는 어느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병인의 직업의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인 직업의식이 높을수록 전체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며, 그 세부 영역인 업무수행, 근무조건, 근무환경 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such as improvement of occupational environment by investigating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satisfaction of the care givers. Total 122 question papers by the care givers working in 4 general hospitals and geriatric hospital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 way ANOVA analysis were performed.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occupational consciousness, it was shown that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as a care giver was so firm despite inferior job condi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hospitals. In case of the difference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motivation, occupational sacrifice, a sense of belonging, long service willing, and work attitude of the group having the employment motivation such as self development, social experience, and caring experience in home were so high compared with the group having the employment motivation regarding the economic problems. Long service willing and work attitude were so high regardless of the reason for job choice. And it was confirmed that occupational sacrifice and a sense of belonging were much higher in the group having a vocational aptitude as a care giver. It was investigated that overall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the care give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as higher than the care givers of the geriatric hospitals. In detail,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related with job environment the care giver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as higher than the care givers of the geriatric hospitals, but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related with job condition and work performance was similar. According to the results on differenc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motivation, the overall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the group having the employment motivation such as self development, social experience, and caring experience in home were slightly high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with the group having the employment motivation regarding the economic problems.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occupational satisfaction such as job performance, working condition, and working environment was proportional to the overall occupational consciousness.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요인 연구

        최연숙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주의력결핍ㆍ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라 함)는 학령기 아동에서 유병율이 3~7% 정도 나타나는 증상으로서, 학교에서의 학교생활과 학업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DHD의 대표적 증상인 부주의, 충동성, 과잉행동은 교실 내에서의 학업에 어려움을 초래하며, 교사는 이런 ADHD 증상을 가장 먼저 관찰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초등학교 통합교육환경에서 교사들이 ADHD 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들의 긍정적 자세와 태도가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제시하고, 태도 측정을 위한 설문항목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교사의 태도를 인지적ㆍ정의적ㆍ행동적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인지적 요소에는 효능감, 촉진조건, 가정교육 기대, 정서적 요소에는 ADHD 학생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부담감, 긍정적 인식, 부정적 인식을 포함시키며, 행동적 요소는 학부모 협업, 수업혁신, 진로지도 등의 활동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정하였다. 설문항목의 내용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ADHD 태도관련 선행연구를 심도 있게 분석하여 설문항목후보를 선정하였다. 또한 통계적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20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받았고, 이 중 ADHD 아동을 경험해 본 적이 없는 교사 93명을 제외한 227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통계적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응답자의 성별, 교사경력, ADHD 관련 연수시간 등을 포함하고 있다. 교사 태도에 관련된 설문 데이터는 요인분석과 크론바하 알파계수 분석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공분산구조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상당히 적합도가 높음을 결론지을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 35개의 설문항목이 확정되어 추가 분석에 활용하였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집단을 구분한 뒤 태도를 구성하는 요인들 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였으며,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성별과 ADHD 관련 연수시간 등의 요인들이 태도의 구성요인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 가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헌으로는 ADHD 아동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태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식별해 내고, 태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통계적 타당도를 이용해 측정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지역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설문 응답을 받아 결과의 일반화를 시도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를 수 있다는 것과, 1회로 제한된 설문조사를 통해 통계적 검증을 시도하였기에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제고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ADHD is a common disorder known to be associated with behavioral and academic difficulties, affecting approximately 3–7% of school-age children, with specific subtypes that capture differences in children that display predominantly inattentive behaviors, hyperactive and impulsive behaviors or a combination of both. The core symptoms of ADHD frequently lead to significant academic difficulties and delays that often result in the child’s teacher being the first to suspect the disorder. In order for educators to effectively deal with ADHD students in primary school classrooms, the teachers must overcome barriers toward inclusion including existing attitud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attitude of primary schoo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in dealing with ADHD students. This thesis developed the attitude scale, that consists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omponents. The cognitive component includes efficacy, facilitating condition, expectation toward home education and the affective component includes burden from dealing with ADHD students, positive recognition and negative recognition. The collaboration with parents, classroom improvement and career guide are included in behavioral component. To ensur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s, validated items adapted from prior studies were used. A survey methodology was used to test the statistical validity. Total 320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primary school teachers, and 93 responses were discarded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s with ADHD students. Finally 227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pondents indicated their agreement or disagreement with the survey instruments using a five-point Likert-type scal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teaching experiences, training hours related to ADHD, were also measured. The scale items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coefficient alpha analysis. In addi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test the goodness-of-fit.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 most of model-fit indices were reasonably adequate to assess the results for the structural model. 35 scale items were finalized for further analysis. This thesis also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 factors which play critical roles in determining the level of primary teachers' attitude level, and empirically test differences in each of the components of attitude.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gender and training hours are the only independent variables in some of the regression model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thesis is that it identified the major components of primary school teachers' attitude and tested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scale items. But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should be noted. First, the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presented here were obtained from a single study that targeted primary school teachers residing in limited regions of Korea. Thus, caution needs to be taken when generalizing our findings to other user groups or different organizational contexts. Seco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snapshot research approach, so additional research efforts are neede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and our findings.

      • 구두 DCT와 회고적 보고 방법을 활용한 불평 화행의 전략 사용 연구 : 베트남 결혼이민자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최연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불평 화행의 전략 사용에 관한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 구두 DCT((Discourse Completion Test, 이하 DCT)와 회고적 보고(retrospective report)방법을 활용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 베트남어 모어 화자 간, 불평 화행의 전략 사용에 있어 어떠한 차이점과 유사점이 드러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고는 크게 5개의 장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며 선행 연구 검토 후,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문제를 소개하였다. Ⅱ장 전반부에서는 본고의 연구 방법으로 활용된 구두 보고 방법의 개념과 문제점 및 이를 활용한 화행 연구를 다루고 있다. 후반부에서는 불평 화행에 대해 개괄한 후 본고에서 사용할 불평의 정의와 전략 유형으로 무엇을 다룰 것인지 설명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다뤘다. 본 연구에서 피험자로 선정한 세 집단은 모두가 20대에서 30대 후반의 여성들로 각 집단 당 10명씩, 총 3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 들어가기 전, 9명의 피험자를 상대로 예비 실험을 거친 결과, 절차상의 몇 가지 문제와 설문지의 구성 방식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고 이러한 사항들을 수정하였다. 또한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와 베트남어 모어 화자 간, 동일 집단에서 피험자들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두 집단별로 비교해 본 결과, 베트남어 화자들은 지역 차에 따라 성향 차이가 발생함을 알게 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내용 또한 반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피험자의 선정 조건 중, 베트남어 화자들은 남부 지역과 북부 지역이 동일한 비율로 각 집단에 선정될 수 있도록 조정하였다. Ⅳ장은 실험의 결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본 실험은 약 두 달 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세 집단 간 또는 출신 지역 간에 불평 화행의 전략 사용에 있어 모두 차이점과 유사점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북부 출신의 베트남어 모어 화자들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사한 반응과 전략 사용이 있었지만 남부 출신의 베트남어 모어 화자들은 이와 상당히 대조적이었다. 그리고 이것은 베트남이라는 국가가 북부와 남부 지역이 전혀 다른 역사적 배경과 생활 방식, 정치, 경제, 사회적 사건들을 통해 매우 이질적인 형태로 발전되어 왔고 이러한 차이가 출신 지역의 사회 구성원에게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베트남에 대한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두 번째는 본 연구 문제에서 제기했던 바로, 회고적 보고 방법을 통해 전략 사용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는지 알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었다. 결과는 본 연구 방법을 통해 피험자들의 해당 발화가 가능했던 배경과 이유를 고찰해 볼 수 있었고 이들이 최종 전략을 선택하기까지 다양한 요소들이 전략 선택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었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 본 연구에서 다룬 내용들을 정리하며 본 논저의 의의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베트남에 대해 연구한 선행 논저들은 공통적으로 남부와 북부 간, 역사. 정치. 사회. 경제. 종교 등을 포함해 거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런 점에서 베트남이라는 국가에 대해 지역 간 특수성을 고려해 화행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며 하나의 주제를 탐구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일원적인 연구 방법이 아닌 다각적인 방법을 시도해 결과와 과정을 함께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연구 방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관계로 다수의 피험자를 상대로 진행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본 연구와 뜻을 같이 하는 후속 연구가 차후, 진행된다면 본 연구의 미비점들을 십분 고려하여 연구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on the use of speech act of complaining. The oral DCT(Discourse Completion Test, hereinafter DCT) and the retrospective report method were used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or resemblances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in the speech act of complaining. This study has five chapters. The first chapter provides explanation about the object of this study and the need, also introduce the question which needs to be addressed after the review of advanced research. Next, in the second chapter, the first half discusses the fundamental concept and types of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and speech act studies using this. The second half explains speech act of complaining after recap the points of speech act theory. Thirdly, in the third chapter, it covers the broad outline of this study. Three groups selected for subjects in this study are all female in their twenties and late thirties, every ten in the each group,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thirty. Before begin the experiment, in the preparatory experiment with nine subjects, we corrected details pointed out some procedural problems and the questionnaire format. Also we found out there’s a difference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Vietnamese learners of Korean, and realized the difference in disposi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among Vietnamese by compared them divided by two groups. Therefore, we adjusted the selection criteria of subjects, to make southern and northern Vietnamese to be selected at the same proportion in each group. The experiment proceeded for two months and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s introduced minutely in the fourth chapter. To sum up them, firstly, both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ere discovered among three groups or depending on where they are from. In a rough way, northern native speakers of Vietnamese language used the similar strategy with native Korean speakers, but in contrast, southern native speakers of Vietnamese language was quite a contrast to this. And this result in chime with the result of advanced research that separate northern and southern area that developed in Vietnam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historical background, lifestyle, politics, economy, and social events, these differences influenced directly and indirectly to members of society who from each region. In the second, as the issue in this study, it’s about what factors are there that influence the use of speech act through the retrospective report method. As the final outcome through this study, the fact that various constituents affects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choice of speech act was discovered with the consideration about cause and background of subjects. The advanced thesis explains in common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there are many differences almost entirely including historical background, politics, economy, community, and relig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attempted study into the use of speech act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Vietnam, also it represent much to the study method on one subject that tried diversified methods to contemplate the process and the result. But this study has a sense of frustration in the way that the study method was intricate and required to spend a lot of time, so it couldn’t be proceeded with many more subjects. If a like-minded follow-up study is upcoming later, it should be carefully attended to existing loopholes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