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편백(Chamaecyparis obtusa ENDL.) 추출물의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효과

        최아랑 숭실대학교 중소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진균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자연물질인 편백의 잎, 줄기, 열매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여드름 균(Propionibacterium acne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및 Pityrosporum ovale)에게 미치는 항균효과를 평가하였다. 용매는 70% ethanol을 사용하였으며 줄기를 25℃에서 24시간 추출하였고, 잎, 열매를 25℃에서 24시간과 78℃에서 6시간 추출하였다. 추출수율은 최저 17.0%에서 최고 22.0%로 부위별, 온도별에 따라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Microbroth dilution test에서 99% 이상의 세균증식 억제효과는 78℃열매 추출물이 Pityrosporum ovale에서24.6ppm으로 다른 균주들에 비해 더 낮은 농도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고, 50% 세균증식 억제효과(LD50)는 Propionibacterium acnes에서 78℃열매 추출물이 9.9ppm으로 가장 낮은 농도에서 항균효과를 보인 것으로 보아 편백의 78℃열매 추출물은 다른 부위별, 온도별 추출물에 비해 항균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편백의 추출물은 4종의 여드름 균에 유효하게 작용하였고 이를 이용한 천연생리활성 물질로 여드름의 치료뿐만 아니라 예방차원에서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리라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Chamaecyparis obtusa ENDL. leaves, stems and fruits which are natural and known to be antimicrobial on the 4 types of acne strains (Pityrosporum ovale,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and Propionibacterium acnes) were investigated effect against fungal growth. Using the 70% of ethanol as a solvent, the extracts from stems at 25℃ for 24 hours, and leaves and fruits at 25℃ for 24 hours, at 78℃ for 6 hours were obtained. The yield percentage was from the lowest 17.0% to the highest 22.0%, and showed the various values according to the region and temperature. In microbroth dilution test, over 99% of suppression effect against fungal growth, 24.6ppm of fruit extract at 78℃ in Pityrosporum ovale showed suppression effect against fungal growth at lower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other strains. For 50% of antimicrobial effect(LD50), the fruit extract at 78℃ showed antimicrobial effect in Propionibacterium acnes at 9.9ppm, which was the lowest concentration. Consequently, it is assumed that the extract from fruit of Chamaecyparis obtusa ENDL. is superior for antimicrobial effect.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Chamaecyparis obtusa ENDL., as natural phytonutrient, works effectively on 4 types of acne strains, and it will be used very usefully not only for acne cure, but for prevention.

      • 인간소외를 주제로 한 현대미술 감상 지도 방안 연구

        최아랑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오랜 시간 지속된 산업화와 계속적인 경제 성장을 통해 과학과 테크놀로지는 눈부시게 발전하고 풍요로운 생산과 소비의 사회가 되면서 도시는 거대해지고 점점 복잡해지며 다원화 되었다. 이러한 사회 상황 속에서 인간은 개인의 다양성 보다는 단지 사회의 일부분으로서 존재하는 ‘사회적인 인간’을 지향하게 되었다. 즉 상대적으로 한 개인은 축소되고 자신을 점차 상실해가는 소외의식을 경험하게 된 것이다. 현대인들이 겪는 소외의식과 같은 심리적 문제들은 학교라는 작은 사회 안에서 학생들에게서 학교폭력이나 왕따, 높은 자살률 등의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현대의 물질만능주의가 만들어낸 이기주의, 즉 남을 밟고 올라서야 성공한다는 경쟁심만을 강조하며, 타인과의 소통이나 서로에 대한 배려심 등의 인성교육이 학교교육 현장에서 미흡하게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현대미술 감상교육을 통해 그 실마리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이유는 현대미술은 과거와 달리 현대라는 삶 속에서 겪는 수많은 문제들을 그 표현의 소재로 삼고 있으며, 특히 앞서 말한 현대인의 불안한 심리현상이 현대 미술 작품에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간의 소외문제를 표현한 미술가들은 소외의 아픔과 절망, 그리고 물질화에 지친 현대인의 모습을 작품을 통해 드러냄으로써 감상자로 하여금 감정을 정화하고 스스로 극복해 나갈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안내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미술은 그 개념자체가 난해하고 접근방식이나 작품을 보는 관점이 모호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지도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현대미술 교육이 학생들의 실생활과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인간소외’라는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현대미술에 접근하여 감상 범위와 관점의 모호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앞서 언급한 청소년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들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술수업에서 이러한 현대사회 속에서의 인간의 소외의식을 주제로 한 현대미술 작품들을 감상함으로써, 일차적으로는 학생들이 현대미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통해 자신이 속한 현대사회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자신과 타인의 감정에 대해 공감하며, 깊이 고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소통과 배려의식을 배워 타인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나눔의 의식을 지닌 사회구성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 제안한 인간소외를 주제로 한 현대미술감상방법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학생들에게 주제에 대한 내면화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반응 중심 학습법을 활용하였다. 총 4차시로 구성된 학습지도방안은 1차시에서 먼저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회 문제점들에 대해 인식하고 이와 연결해 인간소외 현상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하는 수업이다. 2차시는 소외를 표현한 대표적인 화가인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을 감상한 후 작품 속에 담긴 상징성에 대해 토론하고, 3차시는 소외를 표현한 또 다른 작가인 프랜시스 베이컨의 작품을 감상한 후 그의 작품과 고전명화를 비교하며 토론하고 특징을 찾아보도록 하여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어떻게 인간소외 현상을 다루고 있는지를 고찰하게 하였다. 마지막 4차시는 이전에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퀴즈활동을 통해 복습한다. 퀴즈 활동이 끝난 후에는 다시 한 번 소외의식이라는 문제를 상기 시켜 앞으로 실생활에 적용하여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해 생각해 보도록 하였다. 이러한 주제를 표현한 현대미술 감상교육을 실행한다면 첫째, 광범위하고 난해한 현대미술의 범위를 좁힐 수 있으며, 둘째, ‘인간소외’와 같은 주제는 현재를 살아가는 학생들이 실제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실생활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As the modern society becomes a society of abunda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ere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remarkably developed through sustained industrialization and continued economic growth, cities have become bigger, more complicated and diversified. In such social situation, people have been pursuing for “social human-beings” as a part of the society rather than individual’s diversity. In other words, people have experienced a sense of alienation of gradually losing themselves while relatively being reduced as an individual. The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a sense of alienation experienced by people in the modern times are emerging in a small society of school and influencing on students, in the forms of school violence, outcast and high suicide rate.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because the society only emphasizes selfishness created by modern materialism, that is, the competitive spirit to achieve success only by beating others, and character-building education including communications with others and thoughtfulness for others has been insufficiently provided in schools.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seek for a clue to address such issues through education of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s. The idea behind this is that contemporary arts take many issues in the life in modern times as a material of expression unlike the past, and particularly, the uneasy psychological state of contemporary people has been reflected in contemporary artworks. For example, by picturing the image of modern people who are tired of pain and despair of alienation and materialization, the artists who expressed the issue of human alienation are serving as a guide to purify emotions and develop the power of the appreciators to overcome the hardship by themselves However, since contemporary arts have complicated concepts and ambiguous approaches and perspectives to appreciate the artwork, art teachers have many difficulties in actual education fields. In particular, contemporary arts education is not connected to the real life of the student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imed to improve the ambiguity of the range and perspective of appreciation by approaching to contemporary arts based on a particular theme of “human alien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suggest the solutions to above mentioned physical issues of adolescents. This research aimed to offer an opportunity for the students to expand the range of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s as well a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the modern society where they belong, sympathize with and ponder the feelings of students themselves and others by appreciating the contemporary artworks with the theme of a sense of human alienation in the modern society in arts classes. 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students can learn a sense of communication and thoughtfulness that has been emphasized by the education course revised in 2009 and grow as members of the society who understand others and have a sense of sharing to live altogether in the society. The method of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s with the theme of human alienation suggested by this research used the response-based learning method because it was targeted at middle school students and aimed to encourage students to internalize the theme. Among the four learning guide methods, the first period is a class to recognize the social issues emerging in the surrounding areas and think about the relevant phenomenon of human alienation. The second period is a class to enjoy the artworks drawn by one of the representative artists who expressed alienation, Edward Hopper, and discuss the symbolism in the artworks. The third period is a class to appreciate the artworks painted by another representative artist who expressed alienation, Francis Bacon, and compare his works with classical famous paintings, discuss, find the features and contemplate how such phenomenon of human alienation was treated during the process. The fourth period is a class to review the previously learned parts by taking the quiz. After the quiz, the class reminded students of the issue of a sense of alienation and encouraged them to think about the attitude to have that they can apply to the actual life. It is convinced that education of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s with such theme can first, narrow the wide and complicated range of contemporary and second, provide education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ctual life of the learners, since the theme of “human alienation” is an issue that the students in the modern days are actually experiencing.

      • 김치유래 lactic acid bacteria의 antagonistic activities 및 probiotic potential 연구 : Antagonistic activities and probiotic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derived from Kimchi

        최아랑 동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김치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인 Lactobacillus curvatus KCCM 43119, Leuconstoc mesenteroides KCCM 43060, Weissella cibaria KCTC 3746, W. koreensis KCCM 41517를 이용하여 식품을 매개로 하는 병원성 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35150, Salmonella Enteritidis KCCM 12021,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925 and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335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고, 프로바이오틱스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젖산균으로부터 취한 cell free supernatants(CFS)는 병원성 균의 성장을 완전히 저해했으나, pH를 6.5로 조정하였을 때는 부분적으로 병원성 균의 성장을 저해하였다. 젖산균을 장내상피세포에 병원성 균과 동시에 혹은 순서를 다르게 하여 부착시켜, 병원성 균의 부착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실험에 사용된 모든 젖산균은 장내상피세포에서 병원성 균의 부착을 억제하였으며, 억제 정도는 젖산균과 병원성 균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장내상피세포 부착에 관여하는 autoaggregation과 coaggregation 특성을 확인하였을 때, 각각의 젖산균은 높은 autoaggregation능을 보였으며, 병원성 균과도 높은 coaggregation능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젖산균의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은 인체의 위장관 내 환경을 시뮬레이션하여 젖산균의 생존율과 항생제 내성을 평가하였다. 위를 시뮬레이션 하였을 때는 W. cibaria KCTC 3746를 제외한 3개의 젖산균이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장을 시뮬레이션 하였을 때는 담즙산 염의 농도에 따라 각각의 젖산균이 다른 생존율을 보였고, 낮은 담즙산 염에서 모든 젖산균의 높은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모든 젖산균은 chloramphenicol, kanamycin, streptomycin, gentamycin, erythromycin 항생제에서 내성을 보였고, 오직 W. cibaria KCTC 3746, W. koreensis KCCM 41517 만이 vancomycin에 내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L. curvatus KCCM 43119, Ln. mesenteroides KCCM 43060, W. cibaria KCTC 3746, W. koreensis KCCM 41517이 생성한 유용물질이 식품을 매개로 하는 4개의 병원성 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장 세포에서의 병원성 균 부착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김치로부터 분리된 4개의 젖산균은 모두 위장관 내에서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항생제 실험으로 안전성을 검증함으로써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In this study, antagonistic activities and probiotic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LAB) derived from a plant-based fermented food, kimchi, were demonstrated. The cell free supernatants (CFS) from Lactobacillus curvatus KCCM 43119, Leuconstoc mesenteroides KCCM 43060, Weissella cibaria KCTC 3746 and W. koreensis KCCM 41517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while neutralized CFS (pH 6.5) partially inhibited the growth. The competition, exclusion, and displacement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by the LAB strains from adhesion to HT-29 cells were investigated. The LAB strains were able to compete with, exclude, and displace the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but the degree of inhibition of adhesion was dependent on the LAB strains. The LAB strains showed high autoaggregation and coaggregation with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and they also exhibited high resistance to acidic condition. Except W. cibaria KCTC 3746, all LAB strains were capable of surviving in the presence of bile salts. Furthermore, while all LAB strains were resistant to chloramphenicol, kanamycin, streptomycin, gentamycin, and erythromycin, only W. cibaria KCTC 3746 and W. koreensis KCCM 41517 displayed resistance to vancomyc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AB strains derived from plant-based fermented food exerted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with probiotic pot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