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적화와 침수피해를 고려한 도시유역 우수관망의 최적 개량 방안 연구

        최소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에 따라 단시간동안 급격한 강우량이 발생하고 있으며 도시지역은 불투수면적의 증가로 도달시간이 감소하고 유출량은 증가되어 배수시스템의 용량을 초과하여 도시유역에서 지속적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유역의 침수피해는 대부분 배수시스템의 우수배제 능력의 초과로 인한 내수침수가 발생하며, 비도심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접적인 피해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교통마비 등의 2차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 내수침수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기설치된 우수관거의 개량, 저류지 및 배수펌프장의 설치와 같은 구조적 대책과 홍수예경보 프로그램의 개발, 침수해석에 따른 침수위험지역의 예측 등 시스템 및 제도적 개선을 통한 비구조적 대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조적 대책은 직접적으로 침수피해를 저감할 수 있으나, 대규모 예산이 장기간에 걸쳐 투자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강우로 인한 유출량을 산정하고 침수해석을 통해 침수발생지역을 예측하여 대상유역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우수관거 개량 방안이 필요하다. 기존의 침수저감을 위한 하수관거 개량사업은 설계빈도에 따른 확률강우량을 합리식 및 SWMM 모형 등을 통한 강우-유출 해석으로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여 개별 관거의 관경을 결정하였다. 도시유역에서 강우로 인한 유출해석은 대부분 SWMM 모형을 이용하며,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실무자의 경험을 토대로 우수관거를 개량하여 실무자 개인의 능력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된다. 실무자의 주관적 판단에 따른 시행착오법에 의한 우수관거의 개량 방법은 설계안의 개수가 제한적이고, 설계강우에 따른 유출량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더 나은 개선안이 도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EPA SWMM과 프로그램 개발도구를 통해 최적화 알고리즘을 연계하여 객관적이고 다양한 설계안의 도출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존 강우-유출에 대한 최적화는 목적함수로 비용의 최소화 또는 비용, 신뢰성, 월류량 등의 다목적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나, 이는 내수배제를 위한 더 나은 개선안이 도출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월류량의 최소화를 목적함수로 하였으며 패널티 함수를 사용하여 기존 관망의 공사비를 초과하는 설계안은 제외하였다. EPA SWMM은 지표면에 따른 침수해석 기능이 없으므로 월류 발생 지점에서의 월류량만을 산정하나, 이는 침수심 및 침수면적을 고려할 수 없으므로 지표면의 특성을 고려한 2차원 침수해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침수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적화를 통해 도출된 대안들을 2차원 침수해석이 가능한 상용화 프로그램인 XP SWMM에 적용하여 침수분석을 수행함으로서 침수량을 산정하고 침수양상 및 침수발생위치를 검토하였다. 또한, 사회·경제적 가치에 따른 대상유역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침수피해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우수관거를 개량하고자 하였다. 침수피해평가를 위해서 토지이용도를 기반으로 도시유역의 침수피해 항목을 산정하였으며, AHP-Entropy 방법의 연계를 통해 침수피해 항목별 상대적 중요도와 대안 간의 편차를 모두 고려하여 침수피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침수피해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각 대안별 침수량에 따른 우선순위를 산정하였으며, 침수양상 및 침수발생위치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최적의 우수관거 개량 방안을 선정하였다. Recent localized heavy rainfall has caused rapid rainfall for a short time. In urban areas, the time of concentrate decrease and the runoff increase are caused due to the increase of impermeable area and the flooding damage occurs continuously because of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drainage system. Inundation damage in urban watersheds is mostly due to the excess capacity of the drainage system. This is not only a large direct damage compared to the non-urban area, but also may cause secondary damage such as traffic paralysis. The method to reduce the inundation classify structural methods such as the improvement of stormwater drainage, the installation of reservoirs and pumping stations and the non-structural methods through institutional improvement such as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flooding and flood area. In general, structural methods can directly reduce flood damage but it have the disadvantage that large budgets must be inves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the runoff due to rainfall and to predict the inundation area through inundation analysis, and to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improve the drainage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watershed. In the sewer network improvement plan to reduce the existing inundation, the probability of rainfall based on the design frequency was estimated by the rainfall-flow analysis using rational equations and SWMM model and then the diameter of individual conduits was determined. Most of the runoff analysis in urban watershed is using SWMM model and in Korea, the resul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ractitioner's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derive objective and various design plans by linking optimization algorithms and EPA SWMM. In the optimization, the objective function is to minimize the amount of overflow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e drainage system. Since inundation analysis is necessary through two-dimensional flood analysis considering the surface altitude characteristics, inundation analysis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lternatives derived from optimization. In this study, immer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XP SWMM. It was calculated the inundation amount, pattern and lo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basin according to socio-economic values, the flood damage assessment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were reflected when improving the stormwater drainage system. For the flood damage assessment, the flood damage items of urban watersheds were classified based on land use. In order to consider both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item and the variation between alternatives, the flood damage assessment was performed by linking the AHP-Entropy method. Finally, the priority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nundation amount of each alternative by reflecting the result of the inundation damage assessment and the optimal stormwater improvement plan was selecte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inundation pattern and the location of the inundation

      • Richard Meier 박물관의 감성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최소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산업 혁명을 계기로 이룩된 물질문명과 과학의 발달은 실용적, 합리적, 이원론적 사고를 보급하였고, 이는 인간과 사물의 관계를 기능과 실용을 중심으로 한 수단으로만 이용하려는 사회적 영향으로 예술상에서의 모더니즘은 기능주의, 기계문명, 과학이나 합리주의에 바탕을 둔 인간의 이성을 중심으로 발전한 전위예술의 한 형태였다. 하지만 21세기 현대에 이르러 이성을 중시하였던 객관적이고 계몽주의적인 사고를 거부하면서 유토피아적인 기하학적 모더니즘에서 벗어나 이성 중심이 아닌 인간의 존재 가치와 본질, 경험을 강조하며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감성’ 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현대의 공간 개념은 심리적, 생태적, 인지-행태적으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종합적인 요인이 반영되어 인간의 가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으며 인간은 공간 안에서 주체적이고 끊임없는 인식과정을 통한 상관성을 갖는다. 또한 단순히 실용적, 기계적, 기능주의 만을 강조하는 것에 지나 감각적으로 새로운 경험을 불러일으키는 인간의 ‘감성’ 이 중심이 된 공간으로 그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공간에서의 ‘감성’ 은 공간의 형태 자체를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과 공간의 주체인 인간의 자아와 상호작용 할 때 감성적 공간 체험이 만들어 진다. 따라서 건축가의 공간에 대한 사고 와 가치를 반영한 상징적 공간은 인간에게 인지, 지각 되며 무한한 감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오늘날 공간 개념의 다원화 경향 속에서 공간은 ‘감성’ 개인의 ‘존재 가치’ 와 더해져 더욱 가치 있고 풍부한 문화적 자산을 만들어 가고 있다. 감성 공간은 물리적 대상만이 아닌 그곳이 가진 상징성, 즉, 기호적 성격에 의해 공간은 인간과 커뮤니케이션 매개체가 된다. 또한 공간은 의미를 만들고 교환하며 상호작용하는 장의 중심이 된다. 현대의 공간은 인간의 감각, 지각, 인지를 통한 경험과 체험을 중심으로한 감성적 공간으로서의 변화에 따라 디자이너들은 공간에 다양한 자유로운 형태와 예술적 표현을 도입, 공간 이용자들의 감성을 자극 한다. 즉, 공간은 ‘무한한 감각의 장’ 으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더니즘을 계승 발전시켜 기하학적 형태와 백색 건축, 절제된 공간 안에서도 빛과 그림자를 이용해 다양한 공간의 경험을 창출하며 일관성 있는 작품 활동으로 자신의 건축 스타일을 지속적으로 발전 시켜온 리차드 마이어의 박물관 전시공간의 구성요소 및 감성적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 그가 현대의 박물관 건축 공간 제시하는 의의를 조명하며 결과적으로 그의 공간이 관람객에게 미치는 영향과 현대 박물관 공간을 보다 인간중심의 감성적 교감을 이루는 공간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먼저 건립 예정중인 박물관을 제외한 현재까지 설계된 박물관 중 리차드 마이어의 대표적 박물관 작품을 수록하고 있는 작품집 「Richard Meier Museums, Rizzoli, 2006」에서 소개된 17개의 박물관을 1차적으로 선별하고 건축 정보자료 CA Press, C3 에서 소개된 작품과 선행 논문과 학술지에서 주로 분석된 박물관을 주요 대상으로 총 5 개의 작품을 선정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전시공간의 범위는 박물관 전체를 하나의 공간으로 간주하여 총체적으로 분석한다. 연구 방법은 감성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해 감성의 개념과, 감성 디자인의 의미, 감성적 접근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을 하며, 공간에서의 ‘감성’ 이 대두된 배경과 철학적, 미학적, 건축적 흐름에 나타난 공간의 감성적 인식에 대해 알아본다. 다음으로 발표된 학회지와 연구 논문 중 감성적 표현 특성을 분석 하여 감성적 공간 특성의 분석기준(틀)을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로 감성적 공간 특성으로는 연속성, 장면성, 상징성, 행태 지원성, 탈 스케일, 오감 체험, 조건 반사적 체험 등이 빈번하게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분석된 표를 토대로 감성 키워드의 유사어휘를 분류해 특성을 도출하여, 공간의 시간성, 이동에 의한 공간의 시지각적 체험, 공간의 표현요소 ,공간의 상징성, 공감각적 체험으로 감성적 공간특성을 도출하였다. 키워드 도출에 따라 마이어의 작품 특성을 분석하며 선정된 5개의 박물관 중 getty center 와 Museum of TV & Radio는 현장 방문을 통해 조사, 분석을 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감성적 공간 특성에 따라 새로운 박물관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한다. The material civilization which is formed from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popularize a practical, rational, and dualistic thinking. As that is a social effect which are only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 and thing as a mean, the Modernism from the arts is a shape of avant-garde art which is developed from reason of human being based on functionalism, machine civilization, science, and rational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it is ,however, opposite to the thinking of enlightenment and out of utopia's geometric modernism and existence value, intrinsic nature and experience of human are emphasized unlike a center of reason. Sensibility also continues to be regarded as being more important with human being as a center. According to this situation, the conception of space is reflected in a composite cause centering around human being as psychological, ecological, and cognitive-morphology, and then it begins to takes importance to the human value and human being has relations within space through subjective and continuous the course of cognition. It is simply not only focused on practical, mechanical, functional aspects, the paradigm is changed as a space that is the center about the sense of human being, which arouses new experience as being sensuous as well. 'Sensibility' of a space is not a preception of space's shape itself, but space for sensibility is finally completed when the space interacts with the ego of human being. The symbolic space accordingly reflected in he architects's thinking and value about a space becomes recognition and perception to human being and provides infinitely sensible experience. These days, within pluralism's tendency about the notion of a space, the space has been making valuable and cultural property in addition to the 'worth' of the individual. Sensibility space is the medium between human being and communication, not just a physical object. The space takes the central position of making meaning, exchanging, and interacting. As modern space is sensuous one which is around experience throughout human being's sensibility, preconception, and awareness, designers introduce freely various forms and artistic expression into the space and stimulate people's sense, who uses the space. That is, the space can exist 'a infinite sensual place'. Consequently, in this thesis, to develop Modernism in geometrical form, the white architecture, and a temperate space, using the light and the shadow create the experience of various space and the component and a character of sensibility expression on Richard Meier's Museum display space, who continues to develop his architecture style, are analyzed and the meaning, which he propose architecture space as modern museum is as coherence work performance. First of all, the scope of this study sorts out seventeen museums which are introduced in the works of Ricahrd Meier,「Richard Meier Museums, Rizzoli, 2006」 and . Second, totally five works are selected as major objects analyzed mainly with works and pre-thesis introduced in the information resource of construction 'CA Press' and 'C3' and an academic book. Lastly, the scope of the exhibition place for analysis. A method of study has consideration about necessity about the notion of sensibility, the meaning of sensuous design, and the sensuous access through a general consideration about sensibility. It also searches the way how to rise the background of 'sensibility' on the space and the emotional awareness of space presented into a philosophical, aesthetic, and architectural stream. Among published research papers in the next time, it can be aware of making frequent use of continuity, setting, symbol, morphologic application, post-scale, experience of the five senses, and experience of the conditioned reflex as a result of sensuous space's characteristic. On the basis of a analyzed list, with an analogous term of sensual keyword classified and then sensuous space characteristic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 drew, time of a space, the visual and sensuous experience of a space on locomotion, expression's factor of space, symbol of space, experience of synesthesia. According to drawing keyword, a specific character of Meier's work is analyzed and 'getty center' and 'Museum of TV&Radio' where are selected among five museums are analyzed through a site visit.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 sensual space which is a preceeding analysis, I am going to offer the new museum's design.

      • 집단모래상자놀이가 중도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최소현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도장애인들에게 집단모래상자놀이를 실시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집단모래상자놀이가 중도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가, 둘째 집단모래상자놀이가 중도장애인의 회기 내 언어적 표현에서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가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A시에 거주하며, A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인 중 소극적이고 장애를 수용하는데 어려움을 보인 중도장애인 중 장애수용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여 하위 30%의 점수를 보인 3명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 단계별 목표는 안정감(Security), 자기이해(Selfhood), 대인관계(Affiliation), 목적의식(Mission), 유능감(Competence)을 중심으로 전개하였으며(Reasoner, 1982), 단기프로그램으로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주 2회 총 10회기 실시하였다. 중도장애인의 자아존중감 변화는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이후에 자아존중감 척도와 장애수용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된 점수를 비교하였으며, 중도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언어적 표현을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은 중도장애인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다. 둘째, 집단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회기 별 자아존중감의 긍정적 표현은 증가하였고, 부정적 표현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수사례연구로써 일반화 하는데 제한점은 있으나, 집단모래상자놀이 프로그램이 중도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group sand tray play improves self-esteem of Non-Congenital Disabled. For this purpose,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does the group sand tray play improves self-esteem of Non-Congenital Disabled in the self-administered scale? Second, does the group sand tray play changes verbal expressions of Non-Congenital Disabled in each session? The phased goals of the program were to improve stability, self-understanding, personal relations, a sense of purpose and competence, and it was conducted total 10 times for 60 minutes twice per week. After measuring the changes of self-esteem of Non-Congenital Disabled using the self-esteem scale, the measured scores were compared and their verbal expressions related to self-esteem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sand tray play improved self-esteem of Non-Congenital Disabled in the self-administered scale. Secondly, the group sand tray play improved self-esteem of Non-Congenital Disabled in each session. Their positive verbal expressions increased and negative verbal expressions decreased. In conclusion, it was proven that the group sand tray play was effective to improve self-esteem of Non-Congenital Disabled, although there is a limit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as a case study targeting a minority of Non-Congenital Disabled only.

      • 담화 맥락에 따른 '-어 가지고'의 의미와 의사소통 기능 연구

        최소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meanings and communicative functions in conversational context through analysis on actual colloquial corpus using auxiliary predicate, ‘-eo kajigo’ The foregoing studies mostly see ‘-eo kajigo’ as auxiliary predicate having a similar meaning as connective ending, ‘-eoseo’ but unlike other auxiliary predicates, it can’t be otherwise used and due to its characteristic that it is only used in the form of ‘-eo kajigo’ discussion on it grammartizing process or its meaning has been made and yet ‘-eo kajigo’ ended has not been much studied. This paper divided locations where ‘-eo kajigo’ is used in sentences into connection and ending and analyzed its meaning in connecting position and its communicative functions and conversational functions in ending position through spoken corpus. Chapter one of this paper discussed the need, purpose, methods and procedures of this research are stated. Chapter two review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ts communicative functions and foregoing studies and grammatical debate on ‘-eo kajigo’ are arranged and looked into how the Korean education handles ‘-eo kajigo’ by analyzing education materials of the Korean language. Chapter three arranges the meaning of ‘-eo kajigo’ in connection position by analyzing corpus and chapter four reveals its communicative functions in ending position and conversational functions through corpus. And chapter five arranges what’s been discussed and draws out a comprehensive conclusion and discusses the meaning and limit of this paper. This paper has its meaning in that it pointed out that ‘-eo kajigo’ has been much studied on its meaning at connecting position by existing studies though it’s often used in the ending position of colloquial sentences and in that it studi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eo kajigo’ in colloquial sentenc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many textbooks of Korean do not deal with the sentences with ‘-eo kajigo’pattern as part of their contents and use it only in a very limited sense if they do. This paper may also have its meaning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 to teach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pertinent sentence patterns in an integrative manner. 본 논문은 보조 용언 ‘-어 가지고’를 대상으로 실제 구어 말뭉치 분석을 통해 담화 맥락에서의 의미 및 의사소통적 기능을 밝히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어 가지고’는 주로 연결어미 ‘-어서’와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보조 용언으로 보고 있는 것이 주류이나, 다른 보조 용언과는 달리 활용이 불가능하며 ‘-어 가지고’의 형태로만 사용된다는 특성 때문에 문법화 과정이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가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종결화된 ‘-어 가지고’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어 가지고’ 문형이 사용되는 문장 내 위치를 연결과 종결로 분류하고, 연결 위치에서의 의미, 종결 위치에서의 의사소통 기능, 그리고 담화적 기능을 실제 말뭉치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그리고 연구 방법 및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2장에서는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어 가지고’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과 문법적 논의를 정리하였으며, 한국어 교육자료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어 가지고’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말뭉치 분석을 통한 연결 위치에서의 ‘-어 가지고’ 의 의미를 정리하고 4장에서는 종결 위치에서의 ‘-어 가지고’의 의사소통 기능 및 담화적 기능과, 문장 내 첫머리와 중간에 모두 위치할 수 있는 ‘그래 가지고’와 ‘이래 가지고’, ‘해 가지고’를 대상으로 담화 표지적 기능을 밝혔다. 그리고 5장에서는 앞에서 논의한 것을 정리하여 종합적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본고의 의의와 한계를 논하는 것으로 논문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화자가 입말에서 ‘-어 가지고’ 문형을 종결 위치에서 자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연결 위치에서의 의미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왔음을 지적하고, 구어에서의 ‘-어 가지고’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어 교육적 측면에서 볼 때, 많은 한국어 교재에서 ‘-어 가지고’ 문형을 교육 내용으로 다루고 있지 않으며 교육 내용으로 삼고 있다고 하더라도 제한된 의미로만 교육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본 연구를 통해 해당 문형의 의미와 기능의 통합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우리나라 중학생의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수준과 흡연 실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최소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수준과 흡연 실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로 2008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국민건강증진연구소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미국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주관으로 실시한 세계청소년흡연조사(Global Youth Tobacco Survey, GYTS)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 소재25개교, 6개 광역시의 25개교, 7개 지역의 25개교 총75개 중학교를 선정하여 무작위 추출에 의해 학급을 선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전체 흡연율은 494명(8.3%)이고 남자는 312명(9.7%), 여자는 182명(6.7%)이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흡연군의 비중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흡연여부와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점수는 흡연군에서 저집단(0-1점)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비흡연군에서는 고집단(4-5점)이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요인과 흡연교육이수여부와 관련하여 부모가 흡연하지 않은 군에서 비흡연군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친구의 흡연여부에서 흡연군은 “가까운 친구 대부분“이 흡연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에서의 금연 메시지 여부는 흡연군과 비흡연군 모두 ”약간 보거나 들었다“가 가장 높은 차이로 나타났다. 담배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관련 수업이수여부에서는 흡연군과 비흡연군 모두에서 ”있다“가 가장 높은 차이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과 흡연여부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점수는 고집단에 비해 저집단에서 흡연할 위험이 2.45배 높았고 흡연관련수업을 이수하지 않은 군에서 흡연할 위험이 1.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생을 대상으로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수준과 흡연 실태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로 흡연 관련 구강건강지식을 체계적인 흡연예방 교육 자료로 제작하여 청소년 흡연예방교육의 효과를 최대화하고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가정에서도 유대관계를 가지고 흡연의 문제점에 대해 확실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뚜렷한 지식을 가지고 자녀들의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해 구강건강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금연을 유도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국내 언어재활사의 음성사용 양상에 따른 음성장애지수 및 음성관련 삶의 질

        최소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언어재활사는 음성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은 음성장애 비율을 가지고 있다. 음성장애는 음성 오남용, 음성사용량과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된다. 본 연구는 음성사용 양상(음량, 음도, 말속도), 음성사용량이 음성장애지수 및 음성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언어재활사 137명에게 온라인으로 주관적 음성사용 양상, 음성사용량, K-VHI-10, K-VRQOL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음성사용 양상(음량, 음도, 말속도), 음성사용량이 음성장애지수 및 음성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K-VHI-10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들 중 유의미한 것은 현직 언어재활사의 음량으로 나타났다. 현직 언어재활사의 음성 음량이 커질수록 K-VHI-10 점수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체 언어재활사와 예비 언어재활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 변수를 찾아볼 수 없었으나 음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음성장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화자의 음량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성사용 양상이 K-VRQOL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K-VRQOL의 사회-심리 영역, 신체적 기능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끼치는 변수는 전체 언어재활사와 현직 언어재활사의 말속도였다. 말속도가 높아질수록 사회-심리 영역, 신체적 기능영역의 점수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예비 언어재활사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으나 사회-심리영역, 신체적 기능에는 음량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언어재활사, 현직 언어재활사와 예비 언어재활사 모두에서 K-VRQOL의 총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없었다. 셋째, 전체 언어재활사와 현직 언어재활사의 음성사용량은 K-VHI-10, K-VRQOL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예비 언어재활사의 음성사용량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 언어재활사의 높은 음성사용량이 주관적 음성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언어재활사가 주관적으로 경험하는 음성 문제는 음성 오남용, 높은 음성사용량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음량을 크게 말할수록 주관적 음성장애의 위험성은 증가하였으며, 음성사용량이 많을수록 음성장애로 인한 삶의 질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언어재활사는 본인의 음성장애를 예방 및 줄이기 위해 음성위생법을 실시하고, 음성사용량을 줄이는 등의 적극적인 자가음성관리가 필요하다. Speech-language pathologists more often feel subjective voice disorders rather than other professions despite learning vocal hygiene education and practicing education with patients that have voice disorders. Voice disorders are known to be highly related to vocal overuse, misuse and voice us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aspects of vocal use through intensity, speech rate and pitch, speech usage and K-VHI-10, K-VRQOL. After collecting data by conducting subjective aspects of vocal use, voice usage, K-VHI-10, and K-VRQOL online to 137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orrelation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VI-10 was the voice intensity of current pediatric speech-language pathologists. It can be interpreted that K-VI-10 increases as the voice intensity of current language rehabilitation increas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variables were found in study conducted by the tota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group and the prospective pediatric speech-language pathologists, but the intensity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This shows that the speaker's intensity is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subjective voice disorder. Second, the variable that exerts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emotional and physical functioning of K-VRQOL was the speech rate of tota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group and current pediatric speech-langauge pathologists. The higher the speech rate, the better the social–emotional and physical functioning. In the case of the prospective pediatric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nsity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ffect on social-psychological and physical functions. There were no variables for current and prospectiv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at affected the total score of K-VRQOL. Third, the voice usage of the the total speech-language pathologists group and the curren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do not affect K-VHI-10 and K-VRQOL, while the voice usage of prospectiv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hows to significant influence. Consequently, from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the speech problem of speech rehabilitation is caused by the vocal overuse, vocal misuse and the high intensity of speech usage.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intensity, the greater the risk of subjective vocal disorder, and the higher the intensity of vocal use,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would become as a direct result of the voice disorder. Therefor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need active self-voice management, such as vocal hygiene practice and reducing voice usage in order to prevent or reduce impact of their voice impairment.

      • 보험회사 손익 변동성의 요인 : 투자손익 중심

        최소현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보험회사의 안정적인 투자손익의 관리와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익변동성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이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측정하였다. 특히 생명보험사는 최근 저금리 상황에 따라 금리역마진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대한 리스크관리를 위하여 투자부문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생명보험회사에 초점을 두고 어떠한 요인들이 향후 보험사의 투자손익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연구하였다. 생명보험사의 총자산대비 투자손익의 변동성에 영향을 미친 변수로는 부동산 구성비, 주식 구성비, 회사채 구성비, 약관대출 구성비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사는 부동산, 주식, 회사채 구성비 및 약관대출 구성비를 통하여 운용자산의 비율을 관리함으로써 향후 발생할 이익의 변동성을 줄이고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민간주도 노후 숙박시설 재생사례 연구

        최소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한민국은 1960년대 이후 민간 자본과 인력의 유입으로 인해 빠른 도시화를 이루었다. 하지만 과잉개발과 난개발로 인해 도시 기반시설의 부족, 주거와 산업시설의 집적, 교통 인프라 부족 등 도시 환경의 혼돈을 야기하였다. 또한 급속한 도시화와 건설 블루오션으로 많은 건물들이 세워졌다. 도시화로 인해 방문객과 거류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근대적 숙박업소인 여관이 규모와 시설 측면에서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했다. 이는 곧이어 대중적인 숙박시설인 여인숙, 여관 그리고 모텔로 진화했다. 그리고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인해 이러한 숙박시설 수가 증가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해당 시설들이 노후화되며 노후 숙박시설은 도시 문제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노후 숙박시설은 부티크 호텔과의 경쟁 속에서 생존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노후 숙박시설은 우리나라 사회에서 금기시되는 민속적인 편견과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기에 관광객들에게 선택받지 못하며 폐업하고는 한다. 노성훈(2015)의 시공간 분석과 위험영역모델링을 활용한 범죄예측모형의 예측력 검증 연구에 따르면 노후 숙박시설은 대개 특정 지역에 몰려 있으며, 이는 지역 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노후 숙박시설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은 범죄율이 높아지거나, 불법적인 성매매나 마약 등의 범죄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해당 지역은 도시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 그리고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또한, 2023년 기준 6년 동안 폐업한 노후 숙박시설이 5,500여개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를 보면 앞으로 노후 숙박시설의 리모델링 및 개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노후 숙박시설로 인해 발생하는 도시 공간상의 문제점은 단순히 이용객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주변 주민들과 지역 전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주민들의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증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도시 이미지의 저하와 관광객 유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서울시 및 여러 지자체에서는 이를 인지함과 동시에 노후 숙박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을 재정비 계획 등의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계속해서 증가하는 노후 숙박시설과 폐업하는 숙박시설에 대비하여, 민간 비즈니스의 노후 숙박시설 재생 현황 조사를 통해 이들의 재생사업에 선택받는 노후 숙박시설의 특성을 분석하고 추가적으로 심층 사례 분석을 통해 재생 과정을 알아보았다. 먼저 노후 숙박시설을 활용하여 새로운 공간으로 재생하는 51개의 사업을 조사하여 민간 비즈니스가 적극적으로 매입 또는 임대하는 노후 숙박시설의 입지적 특징과 공간적 특징을 분석하며 어떠한 노후 숙박시설이 재생의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추가적으로, 민간 비즈니스의 활용 대상으로 선택 받지 못하는 노후 숙박시설과의 비교를 통해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보며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정리한 민간 비즈니스가 활용하는 노후 숙박시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화재 위험과 같은 안전 문제를 가진 숙박시설이나 좁은 골목이나 경사로에 위치한 불편한 입지 조건을 가진 시설들은 대체로 민간 매입이나 임대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향이 있었다. 민간이 선호하는 노후 숙박시설은 대부분 지하철역과 가까운 이면가로에 위치하며 접근성이 용이한 곳이었다. 이는 사업의 성공 그리고 매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어서, 수익을 내야하는 민간주체에서 해당 노후 숙박시설을 왜 재생을 하였으며 어떤 방식으로 재생 및 운영을 하고 있는지 재생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세 개의 다른 스케일의 재생사업을 대상으로 심층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심층 사례 분석을 통해 디벨로퍼, 기존 노후 숙박시설 사업자, 신규 사업자의 관점에서 도출 해 낸 노후 숙박시설 재생 과정에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많은 시설들이 기존 설비와 가전제품을 유지함으로써 비용 효율적인 개선과 리모델링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노후 된 설비의 교체 필요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셀프 리모델링을 통해 현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시설로의 개선이 가능하다. 점진적인 리모델링을 통해 빠른 수익 창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미 객실로 구획된 구조를 활용하여 공간의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으며, 이는 추가적인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숙박업’ 명칭을 통해 이용 타겟 및 연령층을 확대하고,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여 매출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노후 숙박시설 재생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민간에서 노후 숙박시설을 활용한 재생사업이 도심의 슬럼화 개선에 기여하는 요소 중 하나이지만, 연구 과정 속에서 발견한 사실은 대부분의 노후 숙박시설 소유주인 고령층 사업자들은 이러한 재생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렇게, 민간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 노후 숙박시설, 즉 재생의 가치가 떨어지는 노후 숙박시설들은 여전히 도심 속 방치된 상태로 남아있었다. 지속가능한 노후 숙박시설 재생 사업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1) 고령 사업자에 대한 교육 및 지원 시스템 구축, 2) 기술적 구조적 지원의 강화, 3) 노후 숙박시설 임대 및 매입에 관한 추가적 연구 필요 등의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After the 1960s, South Korea achieved rapid urbanization due to the influx of private capital and manpower. However, overdevelopment and haphazard urban planning led to insufficient urban infrastructure, the concentration of residential and industrial facilities, and a lack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causing chaos in the urban environment. The rapid urbanization and construction boom led to the construction of many buildings. As the number of visitors and residents increased due to urbanization, Korea's modern accommodations such as inns began to develop rapidly in terms of scale and facilities. This soon evolved into popular accommodations like boarding houses, inns, and motels, and their number increased with urbanization and population growth. However, as time passed, these facilities aged, and the aging accommodations became a serious urban issue. The aging accommodations struggled to survive amidst competition with boutique hotels. They also suffer from societal taboos and negative images in Korea, leading to their frequent closure by tourists. According to No Seong-hoon's (2015) study 'Verification of the Predictive Power of a Crime Prediction Model Using Spatio-temporal Analysis and Risk Area Modeling', these aging accommodations are often clustered in specific areas, negatively impacting these regions. Areas dense with such facilities tend to have higher crime rates and are more prone to illegal activities like prostitution and drug crimes, lowering the quality of life for local residents and their perception of urban safety. A survey shows that over the past six years, as of 2023, about 5,500 aging accommodations have closed, suggesting a continuous increase in the demand for remodeling and redevelopment of these facilities. The issues arising from these aging accommodations affect not just the guests but also the local residents and the entire area, increasing residents' concerns for safety. This problem can also negatively impact the city's image and tourist attraction. Seoul and other local governments are aware of this and are setting standards for redevelopment plans in area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these facilities. Therefore, a survey on the status of private business regeneration of aging accommodation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ccommodations chosen for regeneration projects and to understand the regeneration process through in-depth case studies. Firstly, 51 projects that regenerated aging accommodations into new space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location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se facilities preferred by private businesses. Additionally, a comparison with facilities not chosen for private use was made to identify differences and derive implications. Characteristics of aging accommodations utilized by private businesses include their exclusion from purchase or lease targets if they have safety issues like fire hazards or are located in narrow alleys or on slopes. Preferred facilities are usually located near subway stations on side streets with easy access, indicat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uccess of the business and revenue. Then, an in-depth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ree different scales of regeneration projects to understand why these aging accommodations were regenerated and how they were operated. Many facilities maintained existing equipment and appliances for cost-effective improvements and remodeling. However, the need to replace outdated equipment must also be considered. Self-remodeling allows for modernization, and gradual remodeling can lead to quick profit generation. Utilizing the pre-partitioned rooms for diverse spaces offers additional revenue opportunities. Finally, expanding the target demographic and age group through the 'accommodation' label can improve social perception and increase sales. These characteristics are key to the success of aging accommodation regeneration. This study analyzed private-led regeneration projects using aging accommodations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Although these projects contribute to improving urban slum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most elderly owners of these facilities are not fully aware of the need for regeneration. Consequently, facilities not chosen by the private sector remain neglected in the city. To establish a sustainable model for aging accommodation regeneration projects, policy support is needed, including 1) establishing educational and support systems for elderly business owners, 2) strengthening technical and structural support, and 3) conducting further research on the lease and purchase of aging accommod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