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비자의 자동차 정비업체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정비업체를 중심으로

        최성재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비자의 자동차 정비업체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정비업체를 중심으로 - 경제성장과 자동차 등록대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기술의 발달로 인한 정비 서비스 수요의 감소, 정비요금의 비현실성, 정비요원의 수급불균형, 제조사들의 프랜차이즈 점 확대,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기술력이나 자금력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 정비업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자동차정비 업체들이 효과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정비업체의 4가지 형태인 자동차 종합정비공장, 소형자동차 정비공장, 자동차 부분정비업소, 원동기 전문정비공장 별로 표적시장의 특성과 소비자들이 이들 정비업체들을 선택할 때 중요시 여기는 정비서비스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 소재 자동차 정비업체에서 직접 서비스를 받고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회수된 설문지 285매 중 부실하게 기입된 설문지 36매를 제외한 249매를 통계처리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 ver. 18.0을 사용하였으며 주요한 분석방법은 신뢰성분석, 타당성분석, 교차분석, 그룹별 평균 비교를 하기 위한 일원분산분석 등이었다. 실증분석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비서비스 시장 특성과 자동차 정비업체의 선택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즉 수리형태, 고장유형, 차량 종류, 자동차 소유형태에 따라 소비자의 자동차 정비업체의 선택이 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각 유형의 자동차 정비업체를 선택할 때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서비스 특성이 차이가 있었다. 즉 자동차 종합 정비공장의 경우에는 유형성과 공감성을, 자동차 부분정비업소의 경우에는 응답성을. 그리고 원동기 전문정비공장의 경우에는 신뢰성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소형 자동차 정비공장의 경우에는 중시하는 서비스 특성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셋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소비자가 중시하는 자동차 정비 서비스 특성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각 정비업체의 형태별로 수리형태, 고장유형, 차량 종류, 자동차 소유형태의 관점에서 어떠한 시장에 집중해야 하는지를 제시하였으며 정비업체의 형태별로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공감성 측면에서 어떤 서비스 특성을 강화해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자동차 정비, 정비업체, 서비스 특성,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A Study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Auto Repair Shop Type Choice in Ulsan Choi, Sung Ja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Ul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auto repair shops for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in response to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 Ulsan. The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market by each type of auto repair shops classified as general auto repair shops, small scale auto repair shops, automotive part repair shops, and professional service shops for engines. In addition,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service characteristics which are considered significantly when consumers choose the types of auto repair shops they are needed. The consumers of auto repair service were surveyed in Ulsan area, and empirical study was executed by analyzing the survey data. 249 questionnaires were processed through SPSS ver. 18.0, and utilized the analysis for reliability test, feasibility test, crosstab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oice of car repair shop types and the types of repair, the types of failure, the types of vehicle, and the car ownership. In additi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considered by consum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uto repair shop types. Finally, the service characteristics considered by consumers are partly significant in terms of demography of consumers. Keywords: auto repair, repair shop, service characteristic.

      • 살인사건의 연관성 프로파일링 연구 : 행동증거분석(BEA) 기법 원리의 활용

        최성재 경기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련의 살인사건들에 대한 연관성을 결정함에 있어 수사관들이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변인들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변인들 중 어떠한 변인이 연관성 결정에 보다 중점적으로 작용할 것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행동증거분석(BEA) 기법에서 연관성 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변인화하고, 7건의 살인사건 사례들을 참가자들이 각 변인별로 평가하도록 하여 평가 패턴을 분석하였으며, 2) 참가자들로 하여금 변인들 간에 일치하는 빈도를 토대로 각 사례의 연관성을 판단하도록 하고, 3) 각 사례의 관계에 관한 추론을 토대로 연관성을 판단하도록 하였으며, 4) 2)에서는 부정확하게 판단하였으나 3)에서 정확한 연관성 판단에 이르게 된 참가자들과 2)에서는 정확하게 판단하였으나 3)에서 부정확한 연관성 판단에 이르게 된 참가자들의 추론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정확한 연관성 판단에 보다 중점적으로 작용하는 변인들로는 어떠한 것들을 제시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관성 평가를 위해서는 범죄를 구성하는 특성들의 단순한 변인화가 아닌 보다 구조화된 평가방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변인들 간의 높은 일치도는 사건들이 연관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는 하지만 동일범이 저지른 사건 전체를 포함시키지는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범죄가 발각되거나 검거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취해지는 범인의 예방적 행동(precautionary acts)은 범죄가 거듭될수록 범행수법(MO)의 다양한 변화를 초래하며, 이러한 변화는 특정 사건이 전체적으로 동일범의 다른 사건들과 달라보이게 할 정도로 범죄 특성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넷째, 동일한 범인이라도 일련의 살인사건들 속에서 다양한 범죄 동기를 보일 수 있으므로 특정한 동기 측면에 중점을 두고 연관성을 판단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다섯째, 살인사건들 간의 연관성 판단에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수 있는 변인들로는 공격방법과 흉기특성, 상해패턴, 그리고 예방적 행동의 치밀성 정도 등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살인사건의 연관성 프로파일링을 위해서는 적절히 구조화된 변인들로 구성된 평가도구뿐만 아니라 잘 훈련된 전문적인 프로파일러의 역할 또한 필요하며, 연관성 프로파일링에 관한 프로파일러의 교육에 있어서는 동일한 범인이 저지른 범죄에서 쉽게 변하지 않는 변인들과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변인들을 구별할 수 있게 하여 전체적인 사건의 맥락 속에서 연관성을 판단하도록 훈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variables to be analyzed by criminal investigators in determining linkage profiling for a series of homicides, and to find which variables among these should be primarily considered in determining more accurate linkage profiling. The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further structured analysis methods which could go beyond the simple variables of characteristics of crime is necessary to assess linkage. Second, although a high correspondence rate among the given variables means that homicides are related one another, but it does not always include all the criminal offences that were committed by the same offender. Third, the precautionary acts which are intended to confuse investigative efforts for the purpose of concealing crime itself, or avoiding apprehension make a variety of development in modus operandi over time, and such development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crime so far as a specific crime look distinctive from other crimes committed by the same offender. Fourth, it might not be appropriate to determine the linkage of homicides focusing on a particular crime motivation because the same offender often shows a number of different motivations of crime in a series of offences. Fifth, the variables which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accurate linkage profiling for seemingly associated homicides are the methods of attack, the characteristic of weapon, wound pattern, and the level of precautionary acts. In sum, this study uncovered that it is important to secure not only an assessment tool composed of properly structured variables but also the role of well-trained profilers for a more reliable linkage analysis of serial homicides. In addition, it seems vital that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linkage analysis should enable field profilers to distinguish the variables which are not easily changed from those that are changeable upon situations by the same perpetrators.

      • 충남 공주지역 문화유적의 지리적 입지 연구

        최성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relic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modern times distributed in the Gongju area of Chungnam for the first time. For this, 70 relics (i.e.: tomb, fortress, Buddhist, and Confucian relics) for which quantitative analysis can be carried out on were extracted to carry out topographic analysis and GIS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Buddhist relics, they were distributed in hills and alluvial fans standing less than 120m high and slopes of 3.3-10° (especially in flatlands and soft slopes) around the Baekje capital (or Jemincheon) prior to the Unified Silla Period. But after the Goryeo Period, they were distributed alluvial fans and valley plains with gradients between 2.8-32° (especially in flatlands and soft slopes) at over 120m in the Charyeong Mountain Range and Gyeryong Mountain area reflecting the social aspect of the Zen doctrine and Pro-Confucianism/Anti-Buddhism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case of tomb relics, they are located in 40-50m hills with slopes of 5-16° (especially in flatlands and soft slopes). In the case of fortress relic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y are located in 50-70m hills with slopes of 15-21° (especially in slope areas) and in the Chosun Dynasty, beacon fire stations were mainly distributed in mountain areas of 200-330m altitude and gradients of 0-10° (especially in flatlands and soft slopes). In the case of Confucian relics, pavilion relics are located on the upper flatlands river cliffs of meandering rivers advantageous for viewing the scenery, while official buildings and Confucian schools are located on alluvial fans or valley plai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importantly as basic data for research in the future (i.e.: geography, archaeology, etc.).

      • 당뇨병-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최종 당화산물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의 역할

        최성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당뇨병-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최종 당화산물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의 역할 배경: 골관절염 (osteoarthritis: 이하 OA)은 노인에서 흔히 장애를 유발하는 만성 질환 중 하나이다. 골관절염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노화가 가장 중요한 위험 요소로 알려져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관절 연골에 나타나는 변화 중 하나는 최종 당화 산물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이하 AGE)의 축적인데 이 물질은 당뇨병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 연골에서 AGE의 축적이 골관절염의 진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골관절염의 유발을 위해 전방 십자인대 절단을 이용한 동물모델을 이용하였고, streptozotocin 주사를 이용하여 당뇨병을 유발시켰다. 28마리의 실험용 흰쥐를 당뇨병 (dibetes mellitus: 이하 DM)과 골관절염 (OA)의 유발 여부에 따라 4 군으로 분류 하였다.각 군은 DM/OA 군, control/OA 군, DM/control 군, control/control 군으로 명명하였다. 골관절염의 중증도를 평가하기 위해 생화학적, 조직학적, 행동 평가를 시행하였다. 또한, DM/OA 군에서 일부를 대상으로 최근 개발된 AGE 교차결합 차단제인 alagebrium 약제를 투약하여, 관절염의 진행을 지연시키는지 조사하였다. 결과: 연골 내 AGE의 침착 정도는 DM/OA > DM/control > control/OA > control/control 군의 순서로 증가되었다. 연골의 파괴를 반영하는 콜라겐 손상은 DM/OA > control/OA > DM/control > control/control 군의 순서로 심하였고, 골관절염의 조직학적 중증도 (severity)는 AGE level과 비례하였다. 행동 평가에서는 각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GE 교차결합 차단제는 연골 내의 AGE level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나, 골관절염의 중증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 관절 연골 내에 최종 당화산물 (AGE)의 축적은 골관절염을 진행 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AGE 교차결합의 분해는 연골 내의 AGE level을 감소시키기는 하였으나, 관절염의 조직학적 진행을 지연 시키지는 못하였다. 이번 연구는 골관절염과 최종 당화산물간의 관계를 in vivo 실험으로 관찰한 최초의 연구이며 앞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role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AGE) in diabetes-osteoarthritis animal model Objective: Osteoarthritis (OA)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and disabling chronic conditions affecting the elderly. Its etiology is largely unknown, but the age is the most prominent risk factor. One of the intriguing changes in articular cartilage by aging is the accumul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which are known to be increased in diabetes mellitus (DM).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whether accumul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which are known to adversely affect cartilage turnover and mechanical properties, provides a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diabetes mellitus (DM)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OA. Methods: The hypothesis that elevated AGE levels predispose to the development of OA was tested in the rat anterior cruciate ligament transection (ACLT) model of experimental OA. Diabetes was made by injecting streptozotocin. The 28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4 subgroups based on the induction of diabetes mellitus (DM)/osteoarthritis (OA) or both, which were DM/OA group (n=15), control/OA group (n=5), DM/control group (n=5), and control/control group (n=3). The severity of OA was assessed by chemical, histological and behavioral analysis 60 days after ACLT surgery. A novel AGE crosslink breaker (ALT-711, alagebrium) was challenged to reverse or diminish the severity of OA. Result: Diabetic animals show increased AGE level and collagen damage in the articular cartilage. The histologic severity of OA was in concordance with AGE level and collagen damage. Behavioral analysi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iabetic and non-diabetic OA groups. Treatment with AGE crosslink breaker reduced the AGE level remarkably, but did not affect the severity of OA. Conclusion: Diabetic animals had more accumulation of AGEs in their articular cartilage than non-diabetic animals. The severity of OA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cartilage AGE levels. Novel AGE crosslink breaker, alagebrium, reduced the AGE content in the articular cartilage, but 15-week treatment of alagebrium was not effective in reversing histologic severity of OA. This result is the first in vivo experimental evidence for a molecular mechanism by which diabetes may predispose to the development of OA. Keywords: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AGE), AGE crosslink breaker, Diabetes mellitus, Osteoarthritis.

      • 감성적 소구와 이성적 소구의 세대별 효과차이에 관한 연구 : 고관여 제품을 중심으로

        최성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고관여 제품 광고의 감성화에 근거하여 고관여 제품을 감성적인 소구로 광고하는 것이 이성적인 소구로 광고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인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고 이러한 효과는 연령대와 세대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측정하고 결과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광고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의 소비자는 소비의 다각화, 개성화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또한 축적된 소비 경험으로 인해 새롭게 시장에 등장한 제품이라고 할 지라도 이미 제품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갖고 있으며 광고로부터 접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는 불신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광고는 이제 더 이상 소비자들에게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재미 거리, 볼거리로서 위치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시장은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으며 새로운 매체들의 발달로 제품에 대한 격차를 줄이기가 더욱 쉬워졌다. 결국 소비자들은 이제 어떤 상표를 고르더라도 비슷한 품질의 제품을 사게 된다. 결국 기업들은 경쟁이 치열한 시장 상황에서 수익을 올리기 위해 과거보다 소비자의 특성을 더욱 자세하게 알아내는데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는데 최근에 들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세분화 마케팅(segment marketing)의 경우가 이러한 이유로 설명이 가능할 것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 중에서 연령대에 따른 세분화 마케팅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연령에 의한 세분화 마케팅은 90년대 초. 중반, 당시 X세대라 불리던 세대들을 위한 마케팅 방식으로 쓰이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졌다고 할 수 있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N세대라고 지칭되어지는 신세대들과 과거의 X세대라고 불렸던 지금의 2535세대가 연령대에 따른 세분화 마케팅에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N세대와 X세대들은 감성적인 소구의 광고물을 더욱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제작된 SK텔레콤의 TTL광고가 특히 N세대들을 대상으로 큰 성공을 거두게 되면서 고관여 제품 전반에 걸쳐 감성적 소구 광고가 보다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감성적 광고의 경우는 특정 제품의 물리적 속성이 아니라 특정 제품과 관련되어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기 때문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다음의 3가지 요인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가 특정 제품군과 맞아야 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광고가 제시하는 가치는 타깃 오디언스가 추구하는 가치에 철저하게 부합해야 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광고 제작물의 완성도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에 우리 나라에서 제작되고 있는 많은 고관여 제품을 위한 감성적 소구 광고들을 보면 앞서 제시한 점들을 간과하고 있는 경우도 발견할 수 있다. 그 중 타깃 오디언스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보편적인 내용을 가진 감성적 광고라는 것에서는 문제점이 발견될 수 있다. 특히 최근 많이 사용되는 티저 광고물의 경우, 타깃 오디언스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광고에 민감한 나이 어린 사람들에게만 어필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럴 경우 상대적으로 신중한 구매 형태를 갖고 있는 높은 연령대의 소비자들에게는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만들어 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고관여 제품을 위한 감성적 광고는 연령대에 따라 제품에 대한 정보 격차를 가져올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본 연구는 연령대에 따른 감정적인 소구와 이성적인 소구의 효과를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서 분석해 보고자 연구 문제들을 설정하였는데 이는 첫째, "각 세대들은 선호하는 소구 방법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광고에 대한 태도는 소구 방법에 따라서 세대별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제품에 대한 태도는 소구 방법에 따라서 세대별로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구매의사는 소구 방법에 따라서 세대별로 차이를 보이는가?"이며 이러한 연구 문제들을 통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감성적 소구와 이성적 소구 광고의 설득효과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과 개념들을 정리하고 설정된 연구 문제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시키기 위해서 우선 실험 광고물을 티저형과 정보 제공형으로 제작하였고 연구의 목적이 고관여 제품의 경우에 한정되어 있었으므로 제품 요인은 고관여 제품으로 한정지어졌다. 또한 세대는 연령에 따라서 N세대, X세대, 베이비 붐세대로 지칭하였다. 연구 결과 N세대는 감성적인 광고물을 이성적인 광고물보다 좋아하며 감성적인 기법을 통해 광고한 제품에 대해 더욱 선호도를 보였으나 구매 의사는 이성적인 기법을 사용한 것이나 감성적인 기법을 사용한 것이나 별 차이가 없음이 밝혀졌다 X세대는 감성적인 광고를 이성적인 광고보다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적인 광고로 광고된 제품에 대한 구매 의사가 이성적인 광고로 광고된 제품의 구매 의사보다 더욱 높았으며 이들 간의 차이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광고 메시지 소구 방법에 따른 제품에 대한 선호도 평균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 붐세대의 경우도 감성적인 소구의 광고를 더욱 선호하였으며 감성적인 광고 기법을 사용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도 더욱 높았다 그리고 이러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의 평균은 앞선 X세대의 평균보다 오히려 높은 것이었다. 그러나 구매의사는 N세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음으로 밝혀졌다. 광고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에 대한 결과를 보면 N세대는 광고가 감성적이건 이성적이건 다른 세대들에 비해 일단 광고물 자체에 대한 선호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적인 광고물과 이성적인 광고물의 경우 제품에 대한 선호도는 N세대-베이비 붐세대-X세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검증을 해본 결과 선호도의 정도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에 대한 선호도는 감성적 소구와 이성적 소구에서 N세대-X세대-베이비 붐세대의 순으로 같게 나타났으나 감성적 소구의 경우에서만 제품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유의미 함이 밝혀졌다. 감성적 소구와 이성적 소구 광고를 사용한 제품에 대한 구매 의사를 보았을 때 역시 N세대-X세대-베이비 붐세대의 순으로 구매 의사의 평균값이 나왔으며 이들간의 차이 역시 검증 결과 모두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감성적인 광고와 이성적인 광고 기법은 전반적인 광고 태도에 있어서 연령대에 따라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였다. 그런데 요번 연구의 결과 중 베이비 붐세대에 대한 결과는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베이비 붐세대가 고관여 제품에 대한 감성적인 소구의 광고를 이성적인 소구의 광고보다 더욱 선호하는 점, 그리고 N세대의 광고에 대한 반응 등은 이번 실험 연구의 결과 중 관심 갖고 보아야 할 점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lies in understanding how much more effective it is to advertise the 'high-involvement products' with the emotional ad than with the rational ad, based on the emotionalization-effects of high-involvement products, which has been given attention to recently. The next objective is to measure what differences these effects show by age as well as generation, and finally suggests the more effective advertisement strategy. Today's consumers are generally characterized by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in consuming. Modern consumers become wiser and already have lots of information about products, even if the products are newly introduced in the market. Therefore, their much consumption-experiences incline to make them not to trust the new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dvertisements. Accordingly, advertisement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not in offering consumers information about new products but in offering amusing or sight-worthy things. The competitiveness also inclines to be enhanced in the market, besides,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made all products' quality similar. As a result, consumers purchase similar quality products, even if they choose different brands. Consequently, companies have made more efforts in getting more concrete information about consumers' characters in the recent market circumstance than the past, in which the competitiveness of products is being intensifi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financial benefits. One of the examples is 'segment marketing' that has been focused on by markers and consumers in recent. This research particularly focused on the segment marketing by age. The segment marketing by age has begun to be publicized after the early and middle 90s by marketers' targeting young generation called 'X-generation'. And now, a new generation called 'N-generation' and the 'X-generation' of during the past are leading the main stream of 'segment marketing by age', both of whom are called '2535 generation'. In particular, N-generation and X-generation, above all, prefer the emotional a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TL advertisement of SK-Telecom that was produced on the basis of the above point, which showed a successful result particularly toward N-generation. So that the methods of emotional ad have been used over the high-involvement products. However, these emotional ads convey not some physical attributes of products but the values related with the products, therefore, the below 3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succeed in advertising. Above all, the product's values to be conveyed by its advertisement should be relevant to the product itself. Nest, the values that the product suggests should be absolutely relevant to the values that the target audience purses. Finally, advertis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advertisement's perfection extent. Observing many emotional ads that have been recently produced for the high-involvement products in Korea, it is indicated that most of the advertisements ignore the things pointed in the above. The problem was that the emotional ads had some universal contents that appeal to every person included in the target audience. In particular, in case of the recently produced advertisements of 'teaser-type', they only appeal to young people who are sensitive to the advertisements, not to the whole target audience group in general. And aged adult people who usually purchase products with a very considerate consideration are not affected by those emotional ads, instead, the influences from those emotional ads easily cause a negative affects for the aged. Also, emotional advertisements for the high-involvement products are possibly give different information for different products respectively, by age group. This thesis decided several study subjects based on the above issues, in order to analyze the actual effects of both emotional ad and rational ad by age group, by means of a demonstrative research; first, "Does each generation show any differences in their preferring ad-methods?" Second, "Are their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ments different by ad-method as well as by generation?" Third, "Are their attitudes toward products different by ad-method as well as by generation?" Fourth, "Are their intentions of purchase different by ad-method and by gen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ose study-subjects set in the above. To begin with defining the existing theories and concepts about the persuasive effects of emotional ads and rational ads, and advancing the research activity on the set study-subjects, experimental advertisements were produced after dividing their types into 'teaser-type' and 'information-offer-type'. The research purpose was only confined to the high-involvement products, so that the factor of product was also confined to the high-involvement products. And the generations were named 'N-generation', 'X-generation', and 'baby boon generation' according to age group. After conducting the research activity, it was proved that N-generation prefers the emotional ad to the rational ad, that they, therefore, prefer the products advertised by emotional ad techniques to those by rational ad techniques, and that they didn't show any different attitudes both in purchasing the emotional ad's products and in buying the rational ad's products. Also, it was shown that X-generation much more preferred emotional ad to rational ad, that they, therefore, prefer the products advertised by emotional ad techniques to those by rational ad techniques, an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attitudes toward both produ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 values of their preference degrees by product and by ad-method that convey particular messages were proved to be insignificant. The baby boon generation much more preferred the products advertised by emotional-ad techniques to the other, and they also preferred the products advertised by emotional ad techniques to those by rational ad techniques. And in the group of baby boon genera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preference degrees toward those two kinds of products was higher than that of in X-generation. But their purchasing intentions were not significant like in the above N-generation. With regard to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of those generations, N-generation showed a higher preference degree toward the advertisement itself than other generations. In case of emotionally advertised product and in case of using the rational ad techniques, the preference degrees toward products were arranged as N-generation's, Baby-boom-generation's and N-generation's in good order; after conducting a demonstrative research,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toward products were arranged as N-generation's, X-generation's, and Baby-boom-generation's in good order and only in case of emotionally was significant. Observing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toward the products advertised by emotional ad techniques and rational ad techniques. the average values of purchasing minds were N-generation's, X-generation's, and Baby-boom-generation's in good order. The differences among those values of those groups were proved to be definitely significant. As shown in the above research, the techniques of both emotional ad and rational ad have respectively different characters by age group, in their general advertising-attitudes. One important point to be given attention to, after conducting this research, was the research-results about and baby-boom-generation; generally, baby boom generations preferred the emotional advertising to the rational advertising and it need be indicated that n-generations positively affected not only emotional but also rational advertising.

      •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이미지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충성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 산업관광을 중심으로

        최성재 영산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Due to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the tourism environments are also changing. The form of travel to break away from everyday life and enjoy leisure as well as the form of industrial tourism, that is, travel related to the industry are being emphasized. Many local government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revitalize tourism products highligh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 a form of industrial tourism in the country. The typical forms of industrial tourism include expos, exhibitions, fairs and local festivals. But, the result of such events is insignificant for the original intent of industrial tourism.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industrial touris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vitalization of regional economy as regional tourism resource as well as utilization of regional industry as tourism resou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corporate image obtain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on the brand value, brand reliability and brand loyalty based on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cedent studies and revie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and the managerial performance. It was also intended to review what managerial performance such industrial tourism brought to automobile manufacturers by verify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variable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presented research hypotheses,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WIN 22.0. Als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MOS 22.0 and the path coefficient was determined for verifying the hypotheses between the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hown as follows. First,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positiv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positiv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ymbolic value was rejec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positiv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reliabl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reliabl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ymbolic value was rejec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reliabl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n external corporate attrac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n external corporate attrac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ymbolic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n external corporate attrac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ymbolic valu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functional value was rejected. Secon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positiv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reliability was rejec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reliabl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reliability was rejec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n external corporate attrac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reliability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reliability was adopted. Thir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positiv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 reliable corporate imag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an external corporate attrac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was adopted. Fourth,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the subjective brand valu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rial performanc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the symbolic brand valu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rial performance was adopted.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the functional brand value perceived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rial performance was adopted. Fifth,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the brand reliability perceived by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rial performance was adopted. Sixth, the hypothesis indicating that the brand loyalty perceived by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through industrial touris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rial performance was adopted. The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corporate image, brand value, brand reliability, brand loyalty and managerial performance perceived by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were consider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determined structurally. The theory on the corporate image, brand value, brand reliability, brand loyalty and managerial performance perceived by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was established systematically through this study,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image, brand value and managerial performance which was insufficiently examined in the precedent studies was examined closely and the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research model targeting automobile industrial tourists were presented. The limit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able scale for corporate image and brand value. Seco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e corporate image, brand value, brand reliability, brand loyalty and managerial performance of a corporation which hosts automobile industrial tourism through this study. Since it was impossible to secure various samples on a national scale due to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the generalization became impossible, and therefore, an additional study will be necessary in future. Third,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a problem in the aspect that the same respondents presented all information on the reason variables and result variables so it is impossible to exclude a possibility that more factors than actual factors were created in this study. Lastly, a segmented and independent study of researchers who study industrial tourism on automobile manufacturers as well as other manufacturers is a subject area which is worthy of study in future. Key words : Industrial Tourism, Automobile Industrial Tourism, Corporate Image, Brand Value, Brand Reliability, Brand Loyalty, Managerial Performance 국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관광환경도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일상을 벗어나 여가를 즐기는 여행의 형태 뿐 아니라 산업관광(industrial tourism), 즉 산업과 관련된 여행의 형태가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산업관광의 한 형태로 여러 지방자치 단체가 지역의 특색을 살린 관광상품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산업관광의 형태로 엑스포나 전시회, 박람회, 지역축제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산업관광의 본래의 취지에 있어서는 그 성과는 미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관광은 지역관광자원 뿐 아니라 지역의 산업을 관광자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산업관광객을 중심으로 산업관광을 통해 얻게 되는 기업의 이미지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충성도에 대한 내용을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알아보고, 또한 산업관광을 통해 형성된 지각된 이미지와 브랜드가 경영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검증해 봄으로써 산업관광이 자동차 생산 기업에 어떠한 경영성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WIN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AMOS 22.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들 간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경로계수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긍정이미지는 주관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긍정이미지는 상징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긍정적이미지는 기능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신뢰이미지는 주관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신뢰이미지는 상징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신뢰이미지는 기능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외적매력은 주관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외적매력은 상징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외적매력은 기능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사회공헌도는 주관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사회공헌도는 상징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사회공헌도는 기능적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긍정이미지는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신뢰이미지는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외적매력은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사회공헌도는 브랜드 신뢰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셋째,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긍정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신뢰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외적매력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기업의 사회공헌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넷째,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브랜드의 주관적가치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브랜드의 상징적가치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브랜드의 기능적가치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다섯째, 자동차산업관광객이 산업관광을 통해 지각된 브랜드 신뢰도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여섯째, 자동차산업관광객이 산업관광을 통해 인식된 브랜드 충성도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동차 산업관광객이 지각한 기업이미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충성도, 경영성과 요인을 고찰하였고, 변수들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자동차 산업관광객이 지각한 기업이미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충성도, 경영성과에 대해 체계적으로 이론 정립을 하였고, 특히 선행 연구들에서 부족했던 기업이미지와 브랜드 가치, 경영성과와의 관계연구와, 자동차산업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연구모형의 개발과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미지, 브랜드 가치에 대한 안정적인 척도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한 산업관광에 대한 자동차산업관광을 주최하는 기업이미지,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신뢰도, 브랜드 충성도, 경영성과를 일반화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시간적, 공간적 한계와 전국적인 단위의 다양한 표본을 확보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고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동일한 응답자가 원인과 결과변수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문제를 지니고 있어 실제 변인 이상의 변인을 창출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산업관광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보다 세분화 되고 독자적인 자동차 생산기업 및 기타 제조 기업에 관한 연구도 추후 연구해 볼 만한 가치가 있는 주제라고 생각된다.

      • 손목 액티그래피 일주기 수면-활동 패턴 기반 수면시간 예측

        최성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면은 뇌가 상대적으로 휴식 상태에 있는 무의식적인 활동 상태이며 수면 단계 중 서파 수면일 때 활동 중 누적된 피로를 해소하여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므로 적절한 수면을 취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현대사회의 현대인들은 교대근무나 밤샘 근무 등 여러 외부요인으로 인하여 적절한 수면시간을 취하지 못하여 수면장애에 취약하며 수면장애는 신체적으로 심혈관 질환이나 면역체계 이상을 일으키고 정신적으로 불안감이나 기억력 감퇴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최적의 수면시간을 제공하여 수면장애를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어떤 신체 활동이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시간 동안 신체 활동을 해야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액티그래피를 활용한 신체 활동량 기반의 수면 예측 연구는 단순히 신체 활동량 특징점과 일주기 특징점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거나 액티그래피 신호를 딥러닝 모델을 통해 수면을 예측하는 수준에 그쳤다. 그러나 수면은 "Two process 모델"이라고 불리는 누적 신체 활동량과 개인의 일주기 수면-활동 패턴에 의해 결정된다는 수면 조절 모델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에도. 이전의 연구들은 Two process 모델을 고려하지 않고 신체 활동량 특징점과 일주기 특징점을 개별적으로 사용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wo process 모델에 기반한 수면 예측이 그렇지 않은 수면 예측에 비해서 더 성능이 더 나을 것으로 판단하여서 연구를 진행했으며 연구 과정으로 누적 신체 활동량과 5일 길이의 액티그래피 기반 개인의 일주기 수면-활동 패턴을 이용하여 여러 머신러닝 기반 회귀 모델 성능을 비교했다. 추가로 누적 신체 활동량에 기반하고 일주기 수면-활동 패턴의 유무에 따른 딥러닝 회귀 모델 성능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반 수면시간 예측 회귀 모델에서 모두 Two process 모델을 고려한 입력을 모델에 인풋으로 넣었을 때 성능이 그렇지 않은 입력보다 더 좋게 나왔다. 본 연구는 Two process 모델에 기반 누적 신체 활동량과 개인의 액티그래피 기반 일주기 수면-활동 리듬을 동시에 이용하여 수면시간의 예측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Two process 모델 기반 방법은 액티그래피 기반 수면 예측연구가 부족한 현재 상태에서 새로운 접근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국세기본법상 과점주주의 제2차납세의무 제도에 관한 연구

        최성재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세는 납세의무자가 납부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납세의무자가 이행하지 못한 납세의무를 일정한 요건이 충족되면 제2차적으로 납세의무를 책임지는 자가 있는데 이를 제2차납세의무자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제2차납세의무제도는 국세기본법 제38조 내지 제41조로 4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장 문제가 되는 조항이 제39조 출자자의 제2차납세의무 제도이다. 그 중 과점주주를 구성하는 출자자와 그 특수관계인의 합이 50% 초과이고 실질적인 권리행사의 위치에 있는 자이면 고의나 과실 유무와 관계없이 출자지분의 범위에 한하여 주된 납세의무자가 납부하지 못한 조세체납분을 부담해야 한다. 이는 주주유한책임원칙에 위배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노출되어 법제정 이후 헌법재판소 및 대법원 판결에 영향을 받아 수차례 법개정이 이루어 졌다. 과점주주의 제2차납세의무에 대한 법이론적 근거로 법인격부인론, 실질과세원칙, 이사의 책임이 있다. 먼저 법인격부인론은 채무를 부담하는 법인의 채무를 개인이 보충적으로 납부하는 것이 아니라 법인격을 부인하여 자신의 채무를 부담하는 논리이다. 그러나 보통 개별적이고 특수한 사항에 대해 법인격부인 이론을 적용하는 것으로 법으로 획일적으로 규정하여 적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의견이다. 다음으로 실질과세 원칙을 근거로 삼는 견해는 납세자 자신의 과세물건에 대하여 납세의무를 책임지는 것인데 제2차 납세의무는 자신의 납세의무가 아니고 보충적 납세의무이기 때문에 맞지 않다. 마지막으로 이사의 책임이론에 대하여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경영을 하였으나 내수 부진 등 환경적 요인에 따라 경영실패일 경우 이사의 책임을 물어 제2차납세의무를 부과할 수는 없다. 독일, 일본, 미국 등 주요국의 제2차납세의무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과점주주의 제2차납세의무와 동일한 제도는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론적인 관점에서 과점주주의 제2차납세의무에 대한 법이론적 근거는 확립되어 있지 않고 헌법재판소나 대법원에서도 각기 다른 법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제도적인 관점에서도, 조세회피의 가능성 거의 없는 주권상장법인의 주주를 포함하는 것은 비상장법인과의 형평성 차원에서 정당하다고 볼 수 있으나 50%를 초과하는 과점주주를 가진 상장법인이 적어 실효성이 적다고 하겠다. 또한 실제로 경영에 관여하거나 주주권을 행사하는 자가 아닌 실질적인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자에게도 제2차납세의무를 부담지우는 것은 재산권을 제약한다고 볼 수 있다. 과점주주에 해당하는 자는 보유 주식에 대한 손실 뿐만 아니라 법인의 체납분까지 부담을 가지기 때문에 해당 주주에게는 이중 부담을 지운 것이라고 판단된다. 현재에는 금융실명제, 부동산실명제 등이 도입되어 과거와 달리 제도적으로 투명해졌으며, 조세회피 방지를 위한 다양한 제도들이 있으므로 과점주주의 제2차납세의무 제도가 과연 필요한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차납세의무의 일반이론을 먼저 살펴보고, 우리나라 과점주주의 제2차납세의무 제도의 도입취지와 법이론적 근거를 살펴본 후 제2차납세의무 제도를 가지고 있는 독일, 일본, 미국의 관련 제도를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과점주주의 제2차납세의무 제도가 과연 필요한 지 논의해보기로 한다. 존치 시에는 상장법인의 투자목적에 따른 의결권 행사 주식 과세 문제, 특수관계자 범위 등 합리적 설정 문제 등에 관하여 제3자의 재산권 침해를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