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포시 정책형성과 시의회의 역할 : 인구출산장려정책과 야간경관조명정책을 중심으로
최석호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국문초록> 목포시가 지역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 중 인구유입 및 출산장려정책과 야간경관조명정책 2대 주요 정책을 통해 정책형성시 의회의 역할을 파악해 봄으로서 의회 활동을 통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목포시 의사록을 중심으로 2대 정책사업의 추진결과 및 추진과정별 의회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구유입 및 출산장려정책에 있어서 목포시 신생아수 및 인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출산장려 종합 대책 5개년 계획을 수립 시행함으로써 서남권 광역도시로 성장가능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평가되어진다. 또한 최근 중앙의 인구정책 경진대회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상을 비롯해 주변 지방자치단체의 벤치마킹 사례가 많아지는 등 사업성에 대한 인정과 현실적으로 인구증가 결과가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범국가적인 정책에 대해 목포시의회도 집행부서와의 같은 목소리로 사업에 동참하고 있으나 막대한 예산투입으로 인한 시 재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염려와 현재 추진되어지는 인구 증가 지원책이 단순히 단기적인 정책사업의 목표로서 보다는 장기적인 국가의 현재와 미래의 문제와 과제라는 점에서 국가적 지원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추진과정결과의 도출되기까지의 의회의 역할을 평가하자면, 첫째, 의회의 집행부 계획에 대한 심의과정에서 저출산 고령사회문제가 범국가적인 정책사업으로 추진됨으로 인하여 집행부서에서의 발의와 주민견수렴, 정책방향 제시 등에 있어서 의회의 역할 다소 미흡하였다. 하지만 출산장려 종합대책 5개년 계획 수립으로 향후 인구관련 사업추진 및 지원․협력체제 구축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 예측되어진다. 둘째, 예산결산심의과정에서는 추진안에 대해 원안가결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등 정책의 중요성과 심각성에 대한 집행부와 의회의 공통 인식하에 상호보완적 관계가 형성되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방비와 함께 전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한 사안으로 재정자립도가 미약한 지방예산보다는 국비지원 비율이 높은 시책중심으로 심의가 진행되었다. 셋째, 조례제개정과정에서는 임산부 의료비지원 조례와 여성장애인 출산지원 조례만이 의회의 발의로 제정되었으나, 출산장려 종합대책 5개년 계획에 대한 상임위 보고,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확대시행 등에 대한 시정질문, 인구증가 종합대책 기본계획 상임위 활동보고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조례제개정에 있어서 주민의견수렴과 중간과정에서의 평가 및 보완사항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제시로 의회의 역할이 다소 긍정적이라 평가되어진다. 넷째, 감사 및 평가에 있어서는 추진사업에 대한 평가보다는 미추진된 사업에 대한 의견제시나, 사업추진 독려측면에서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인구유입 및 출산장려정책은 현실적으로 예산 및 인력, 조례제개정 등 다양한 추진체계에 있어서 목포시 차원의 시책이 라기 보다는 사회적 합의와 협력․지원체계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바, 이에 정부주도의 정책하에서 운용되어져야 할 것이라 여겨진다. 다음으로 야간경관조명사업은 관광사업을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과 아름답고 깨끗하고 쾌적한 이미지 제고를 목표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계획에서 평가단계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도시경관 계획과는 무관하게 즉흥적인 빛의 도시 사업의 추진이 집행부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고, 이에 의회와 시민단체와의 의견충돌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특히 자연 환경에 악영향과 생태계 변화 등의 사회문제로까지 파급될 수 있다는 사회적 위기감 등과 예산활용에 대한 의견이 좁혀지지 않는 등 중간단계에서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정책추진과정상 의회의 역할을 살펴보면, 첫째, 의회의 집행부 계획에 대한 심의과정에서 시민과 사회단체의 의견수렴의 미흡이 제기되었고, 둘째, 예산결산심의과정에서는 시 예산사용에 있어서도 무려 20억원이상의 사업비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의견조정이나 협의과정을 거치지 않고 집행부서의 단독사용에 대해 주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의회의 중요한 기능 및 역할 중 하나인 예․결산심의에 대한 소홀함이 지적되어진다. 셋째, 조례제개정에 있어서는 의회가 적극적인 의견제시와 사업수정 및 보완 등을 통해 직간접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넷째로 감사와 평가에 있어서도 사업추진과정상의 예산사용, 시민 및 사회단체의견 등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의견제시와 수정․보완책 등을 제안하는 등의 활동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의사록 발췌를 통한 의회 역할에 대한 연구의 부재와 의사록에 수록된 내용만으로 전체 의회의 활동 및 역할을 모두 규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음을 지적하며, 더욱이 목포시 2대 주요 정책사업을 연구의 범위로 국한 한점을 연구의 한계로 남기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는 향후 의원으로서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과 전문가적인 학습과정을 통해 활발한 의정활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 집행부의 투명하고, 효율적인 행정, 사회단체의 올바른 적극적인 감시를 위한 지역사회구성원의 공동노력이 우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I’d like to see how Mokpo Council made changes on Mokpo city by understanding the role of Mokpo city when policies are made; I’ve looked at two main policies, which are systematic increase of population and child birth encouragement plan for five years and Mokpo City night view business plan, among many policies that Mokpo City has been working on. So, I’ve been looking over the result of the two policies as those processes and the role of the council of each step of the two policies process; I used mainly the minutes of Mokpo City council of last years. The systematic increase of population and child birth encouragement plan for five years of Mokpo City is evaluated positively; the number of new born baby and total population are increasing and it gives Mokpo City the potential power that will help Mokpo to be a metropolitan city of south-west area of South Korea. It is also proved that this policy has business value and it actually increases population by getting award from Federa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Mokpo has been a role model of other cities that also have same population problem. Since, population problem is international problem, Mokpo Council agrees with what the executive branch is insisting; however, it worries about the enormous budget that the plan needs. In addition, the council thinks that it should be long term goal plan rather than plan that simply trying to see short term results; it is the present problem that this nation is facing and will face in the future, the council thinks that there should be a national plan that will figure it out. If I may evaluate the role of the council to come up with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population increasing plan, there are several points. First point of my opinion is that the executive branch of the council was insufficient adopting the public opinion and directing the plan in general, although the population decreasing and aging society are international problem that the whole nation and sal pny other countries are facing now; however, the systematic increase of population and child birth encouragement plan for five years of Mokpo City has been made and it created the foundation of future population related business, support and cooperating system, so I'd assume that there will be positive result in the future. Secondly, through the process of evaluating budget, majority of original bills have been evaluated proper, so I'd say that there is complementary cooperation relationship created between the executive branch and the council. Also, it is hard to support the whole plan with the local finance, which has low Self-Reliance ratio, the plan was mainly related with plans that has high level of government funding. Third, when the council enacts and reforms the ordinance, only ordinance related with medical expenses of pregnant women and supporting childbirth of handicapped women. However, the council is been actively acting recentiy, such as, reporting the systematic increase of population and child birth encouragement plan for five years of Mokpo City to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asking questinos to the administration about the policy expansion enforcement, and reporting overall plans for the population increasing plans to the committee. In addition, it has been evaluated positively that the council started taking the public opinions, and active suggesting about the appraisal of the plan progress and supplementations. Lastly, I figured it out that inspection and evaluating are leaning toward to the unscheduled plans and encouragement of current plans. However, I’d like to insist that it needs to be under government control because it most likely requires social agreement and cooperation and concrete supplementary system and it is hard to say that it is independent policy of the Mokpo Council. Another big plan that Mokpo Council prepares is Mokpo City Night View Business; the purpose of the plan is that it will create economic value and enhance beautiful, clean and pleasant image of Mokpo through tourism. However, the whole plan, from planning to evaluating, is disgraced that the executive excludes the public opinion and decides the plan on impulse under the name of making ‘the city of light’ plan; it is unfortunately true that there has been a lot of argument fight between executive and civic groups. Especially, the main argument topics are about the procedure of the plan process, such as, the light plan can damage to the nature and it might change ecosystem and the usage of the budget and so on. So, if I may look over the role of the council again, there are four opinions that I’d like to insist. First of all, it is insufficient taking public opinion when the executive evaluates the overall plan. Secondly, the council as public representing institution is negligent with reviewing budget; executive turns out that it used 8 billion Korean Won without opinion adjustment and consultation with the council. Third, when the council enacts and reforms the ordinance, it has been doing its job directly and indirectly by suggesting opinions actively and modifies plans and so on. Lastly, the council has been working hard audit and evaluate budget usage on plan procedure with public opinion as the center; it has also suggested many modification and supplementary opinions. In conclusion, I’d like to mention that it was very hard to investigate the whole council activities and play role of the council with only congressional records of the Mokpo Council; my research might show a little bit of deficiency of specific and solid information, and I’d like to limit my research that it is only about these two main plans, so it can be more focused in that way. The limitation of my research will be covered and it will continue with me being active in congressional politics with my love to this community and future profession education; in addition, attention of the community and participation, clean and efficient executive procedure, accurate civic groups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above all.
Membership 과 Public 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최석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상업 스포츠센터의 대표적인 분류 형태인 Membership과 Public 스포츠센터의 이용자 특성과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 하여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봄 으로써 헬스 및 스포츠센터 사업에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있는 각 유형에 해당하는 스포츠센터 5곳씩 총 10곳을 방문하여 무작위 무선 표집법(simple cluster random sampling)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고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각 센터에 50부씩 총 500부를 배포하여 수거된 설문지 중 자료처리에 사용한 설문지는 총 472부이며 SPSS win 14.0을 활용하여 자료처리 하였다. 유의도 수준(significance level) 은 p<.05로 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독립 t-검정(t-test), 종속 t-검정,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 자료처리 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인식에는 부분적인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촉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시설, 인적자원, 가격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에는 남녀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별로는 촉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50세 이상에서 다른 연령 집단보다 촉진에 대한 인식 정도가 낮았는데 서비스 품질 다양화 측면에서 최근 강조가 되고 있는 요인으로 비교적 고령층에서는 인지가 덜 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직업에 따라서는 가격을 제외한 시설, 인적자원, 프로그램, 촉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수입과 학력에 따라서는 시설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고 소득자이면서 고 학력자가 서비스 품질 요인 중 시설에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본 연구의 핵심 중의 하나인 스포츠센터 유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 인식에는 유효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Membership 스포츠센터 이용자가 시설과 인적자원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Public 스포츠센터 이용자는 가격, 프로그램 촉진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스포츠센터 유형에 따른 고객 충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Membership 스포츠센터가 행동적 충성도 및 태도적 충성도에서 Public 스포츠센터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Membership 스포츠센터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충성도와의 인과 관계는 서비스 품질 요인 중 촉진, 인적자원, 프로그램이 고객충성도 요인 중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쳤다. R²값은 .302로서 30.2%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태도적 충성도에서는 시설, 인적자원에서 영향을 미쳤다. R²값은 .389로 38.9%의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Public 스포츠센터 서비스 품질과 고객충성도와의 인과 관계는 서비스 품질 요인 중 가격, 프로그램이 고객충성도 요인 중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쳤다. R²값은 .357로서 35.7%의 영향력이 나타났다. 태도적 충성도에서는 프로그램, 촉진, 가격에서 영향을 미쳤다. R²값은 .553로 55.3%의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종합하면, Membership 스포츠센터와 Public 스포츠센터를 이용하고 소비자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부분적인 인식의 차이가 있으며 고객 충성도에도 영향력에 차이를 보였으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시설, 인적자원, 가격, 프로그램 및 촉진이외의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 요인에 대한 고찰과 질적 연구를 통하여 보다 객관적인 이론적 배경을 얻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며 스포츠센터 사업 타당성 검토 및 마케팅 계획 수립과 같은 전략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국내 스포츠센터 사업이 고객의 욕구를 정확하게 인지하는 소모적인 경쟁 구도가 아닌 양적, 질적인 성장이 되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professional baseball team marketing mix influences team loyalty. A questionnaire using simple cluster random sampling surveyed spectators at J baseball stadium in Seoul and those of M baseball stadium in In-chon. 563 sheets of the entire 6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treat the data handling, for which SPSS win 10.0 was us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a<.05,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dopted to accomplish this survey. Based on the above methods and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pectators show a different marketing mix. In detail, compared to female spectators, male spectators are usually more interested in the capabilities of the star player and manager, the convenience of stadium and parking facilities, the influence of baseball team on the community, and their flexibl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Furthermore, we can investigate some interesting results from diverse age groups: teenagers are prone to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price of the sports products the spectator who earns more income are indicated to be most influenced by baseball players and managers who are intimately related with the baseball game itself and factors concerning the facilities. Second, several factors, such as primary and subsidiary products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s and players' inward and outward activities, can exert a decisive influence in producing spectators' continuous affection, interest and preference for a specific professional baseball team. Third, public relations, such as team's products, team's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and inter-communication between team and spectators on or off-line are one of the major factors to maintain and, going one step further, increase the total number of spectators. Fourth, among the several marketing mix factors, public relations are considerably significant in creating active team loyalty on the basis of psychological activity.
4K 해상도를 갖는 NIR-ICG(Near Infrared Indocyanine Green) 형광 강체 내시경 광학계 설계
내시경 광학계는 인체 내부를 탐색하기 위해 설계된 좁고 긴 광학계를 말한다. 내시경 광학계는 3개의 독립된 광학계인 대물렌즈 시스템, 릴레이 시스템 그리고 Viewing system(접안렌즈 혹은 이미징 렌즈)으로 구성된다. 이때 사용되는 릴레이 시스템에 따라 Flexible 내시경 혹은 강체 내시경으로 분류된다. Flexible 내시경에서 릴레이는 광섬유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릴레이 시스템은 구부러지나, 어떠한 수차도 보정 할 수 없다. 강체 내시경의 경우 릴레이는 굴절광학 소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강력한 수차 보정능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강체 내시경 설계를 목표로 한다.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의 경우 제거해야 할 종양과 혈관은 그 형태와 색상이 유사하다.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HD(High Definition)를 넘어서 4K 디스플레이 분해능과 같이 높은 분해능을 갖는 고수준의 내시경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ICG(Indocyanine Green)은 혈관 관측을 위해 사용되는 형광 조영제이다.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흡수 및 방출하는 특성이 있다. 영상처리를 통해 일반 가시광선 영상과 ICG를 통해 획득한 근적외선 영상을 합성하여 혈관과 종양의 높은 대비를 이루는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4K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만족하며, NIR(Near Infrared)-ICG(Indocyanine Green) 형광 이미징에 요구되는 광학계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목표로 하는 4K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만족하는 NIR-ICG 형광 이미징 광학계의 설계를 제시한다. Endoscopic optical systems refer to very long and narrow optical systems to probe interior parts of the body. The endoscopic optical system consists of three independent optical systems: an objective lens system, a relay system and a viewing system(i.e. eyepiece or imaging lens). It is classified as a Flexible Endoscope or a rigid endoscope depending on the relay system used. In Flexible Endoscopes, relays are made through optical fibers. These relay systems can be bent, but they can not correct any aberrations. In the case of a rigid endoscope, the relay is made through a refractive optical element and has a strong aberration correction capability during the relay. This paper aims to design a rigid endoscope. In the case of endoscopic surgery, the tumors and blood vessels to be removed are similar in shape and color. In order to distinguish tumors from blood vessels, demand for high-level endoscopes with high resolution, such as 4K display resolution, is increasing beyond high definition. Indocyanine green is a cyanine dye used in medical diagnostics. It has the property of absorbing and emitting light in the near-infrared region.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echnologies that achieve high contrast between blood vessels and tumors by properly synthesizing images acquired in general visible light and near-infrared images acquired through ICG (Indocyanine Green) by image processing algorithm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system required for NIR-ICG fluorescence imaging, satisfying the 4K display resolution. Based on these analyses, we present the design of Near Infrared Indocyanine Green fluorescence imaging optics that satisfy the 4K resolutionresolution
청소년 씨름선수의 운동재미요인과 내적동기 수준비교 연구
최석호 인제 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본 연구는 스포츠 행동의 지속성, 유지, 행동 발현 등에 가장 중요하게 주목되는 내적동기 요인과 스포츠 재미 요인에 대한 청소년 씨름선수들의 지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청소년 씨름선수들의 체급, 학년 등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기준으로 내적동기와 스포츠 재미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209명의 중학교, 고등학교 씨름선수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경험하거나 혹은 지각하고 있는 내적동기와 스포츠 재미의 하위구조를 알아보고, 차이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내적동기의 하위영역은 재미흥미, 유능지각, 노력중요, 긴장불안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재미요인은 유능재미, 팀분위기, 승리경쟁, 상급진학, 부모지원, 연습혜택요인으로 도출되었다. 학년에 따른 내적동기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재미흥미, 유능지각, 노력중요에서 중학교 씨름선수가 고등학교 선수들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수준의 내적동기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에 따른 스포츠 재미 요인에 대한 통계적 분석결과에서도 중학교 씨름선수들이 고등학교 선수들에 비하여 유능재미, 팀분위기, 승리경쟁, 상급진학요인에서 보다 높은 재미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체급에 따른 내적동기 수준을 알아본 결과 재미흥미와 유능지각에서 중량급 선수들의 동기수준이 경량급 선수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긴장불안요인에서는 경량급 선수들이 중량급 선수들에 비하여 보다 높은 긴장 및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포츠 재미에 대한 분석결과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능감에 따른 내적동기 분석결과 긴장불안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자신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선수들이 그렇지 못한 선수에 비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내적동기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 재미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의미 있는 통계적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ternal motivation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continuity, maintenance and behaviors and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in sports' entertaining factors of the youth Korean Traditional Wrestling (Ssireum) players.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 of their inner motivation and pleasur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weight and grade, 209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sireum playe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s.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ir inner motivation that they experience or perceive and the sub structure of the pleasure they feel when they play the sport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are induced. The sub areas of the inner motivation were interest, competency perception, importance of the efforts and tension and anxiety factors. The sports pleasure factors were joy from competency, team atmosphere, competition for victory, going to upper schools, parental supports and practice benefit factors. When the level of inner motivation was reviewed by grade, middle school players felt higher level of inner motivation in interest, competency perception and importance of the efforts. I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ports joy factors by grade, middle school players felt higher interest and joy in joy from competency, team atmosphere, competition for victory, and going to upper schools.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l of inner motivation was reviewed by weight, heavy weight players had higher motivation level than the lightweight players in interest and competency perception. In tension and anxiety factors, lightweight players showed higher tension and anxiety than the heavy weight play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ly statistical differences in joy of sports. Finally, when the inner motivation according to the perceived competency was analyzed, those who evaluate their competence more positively showed higher inner motivation than those who didn't in all factors excluding the tension and anxiety factor.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alysis of joy from sports.
최석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A remarkable number of people are migrating overseas in pursuit of business opportunities since the recovery of diplomatic tie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back in 1992. Most of them work as self-employed entrepreneurs, often forming ethnic business different from not only Chinese citizens but also Chaoxianzu (朝鲜族; Chinese people of Korean descent). The New immigration by some Korean entrepreneurs has somewhat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traditional immigration resulted in Chaoxianzu. The traditional immigration requires one’s foundation removed from his motherland and adapting it into foreign country and additionally grouping of emigrant society. But on the other hand, self-employed Korean entrepreneurs in China maintain their citizenship but they still hold their residency in China; which event is now defined as “transnational migration.” The transnational migrants tend to travel around the globe rather than settling in one country,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the traditional migrants. A high ratio of self-employed entrepreneurship that has been established by transnational migrants shows that they have arduous barriers to communicate and entering the labor market. This paper intends to explain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job satisfaction. I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paper is three. (1) the level of income is determined by social capital as well as socioeconomic variable, (2) the change of income levels between origin (Korea) and destination (China) is also determined by social capital as well as socioeconomic variables, (3) the job satisfaction is explained by the change of income levels abd the family relationship as well as socioeconomic variables. As regarding their job satisfac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emotional relationship representing family.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entrepreneurs are building social capital not only through their relationship with various Chinese citizens of various levels of social classes but also through associations, meetings, religious groups of Korean communities. Transnational migrants hardly rely on location which makes it auspicious for any business activities.
최석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연구는 사학정책의 역사적 변천을 되새겨보고, 사립초등학교의 변화 모습 중에서 특히 사립초등학교의 수, 학급 수, 학급 당 학생 수, 사립초등학교의 교사의 수, 재정과 시설, 사립초등학교 교육과정 등의 변화를 공립초등학교와 비교하면서 사립초등학교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미래의 사립초등학교에 시사하는 점은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은 첫째, 사학정책은 어떤 모습으로 변화되어 왔는가를 알아보고, 둘째, 사립초등학교의 변화모습은 어떠한가를 알아보았으며, 셋째, 사학정책의 변화와 사립초등학교의 변화가 미래의 사립초등학교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내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자료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문헌연구는 주로 법령자료집, 관보, 교육 법전, 국내 관련 단행본, 학위논문, 학술지등을 살펴보았고, 자료 분석은 기존 논문과 학술지, 단행본에 수록된 통계자료와 인터넷으로 제공되고 있는 교육통계서비스와 기존 논문과 학술지, 단행본에 수록된 분석 내용을 참고하면서 그 시기의 교육정책과 사학정책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현상을 분석하였다. 사학정책의 변천과 사립초등학교의 변화에 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제식민지 시기의 사학정책은 민중 속에 뿌리박고 있는 문화적·정신적 전통과 생활양식의 파괴, 동시에 일본의 문화와 정신을 이식시키려고 동화교육정책을 펼치기 위하여 수많은 사립학교 탄압정책을 시행하였으며, 해방 이후 사학정책은 교육인구가 급격하게 증가와 교육재정의 부족으로 인하여 사학에 대하여 개방적이고 자유방임적 정책을 시행하였다. 1960년대에 들어와서 사학통제정책과 초등학교 의무교육의 실시로 공립초등학교의 교실 수가 부족함에 따라 교실 난 해소를 위하여 사립초등학교설립을 권장하여 사립초등학교의 양적 성장이 있었으나 국가보조금의 지원이 서서히 끊기면서 경제적 자립 능력이 없는 사립초등학교는 폐교되는 등 많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1980년 7·30 교육개혁을 단행하면서 교육세 신설 등 교육 재원을 확보하는 정책을 마련하였지만, 사립초등학교는 지원체제가 미비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되는 현상을 보이면서 사립초등학교는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사립초등학교 수의 변화는 일제식민지 시기부터 현재까지의 사립초등학교 학교 수의 변화는 각 시대의 사학정책의 유형에 따라 그 수는 증감을 반복하였고, 1980년 이후 현재까지 75개교로 수치상으로 큰 변화 없다. 학급 수 및 학급당 학생 수의 변화는 해방 이전까지는 점점 그 수가 증가하였고 해방이후 더욱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학급당 학생 수는 점점 감소하여 2008년 현재 학급 수는 1,465학급, 학급당 학생 수는 30.8명이고, 교사 1인당 학생 수는 2008년 현재 24.9명으로 감소하였으며, 재정에 있어서 사립초등학교는 수익자부담의 원칙에 의하여 예산의 규모는 점점 확대됨에 따라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은 계속 늘어가고 있다. 시설의 변화에서는 컴퓨터 1대당 학생 수는 2007년 현재 6.4명으로 줄었으며, 학생 1인당 교사대지 및 체육장 면적은 증가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변화에서 교육목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의 변화에 맞추어 변화해 왔고, 사립초등학교 운영의 핵심이 되는 특색교육에서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의 변화에 맞추어 왔지만 사립의 특색을 살려 영어교육, 중국어교육 등 외국어교육과 개성과 특기를 살리는 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 위하여 주 당 시간 배당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시간 배당 수 보다 많이 배당되어 운영되고 방과후 학교, 체육프로그램, 행사활동과 체험활동을 다양하게 운영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문화체험과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내용을 통해 볼 때 사학정책은 사립초등학교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사립초등학교의 변화는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변화이기 보다는 진퇴양난의 위기의 변화였으며, 어려운 변화를 겪으면서도 꿋꿋하게 학교 존립과 발전을 위하여 노력해왔고, 국가에서는 사학을 탄압의 시각이 아닌 발전을 위한 사학정책을 수립함으로서 사학의 전통과 국민기본교육에 충실할 수 있도록 여건 조성을 위하여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national private school policies and to compare private and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terms of school size, class size, the number of teachers, finance, facilities and curriculum. It's basically meant to check changes in private elementary schools to discuss what implications their changes would have for future private elementary school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shifts have there been in national private school policies? 2. What changes have private elementary schools undergone? 3. What implications do the transition of private school policies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have for future private elementary schools? Literature review and data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literature investigated included collections of data on the law, official gazettes, codes of educational law, domestic books, theses,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And the data analyzed involved statistical data of articles, journals and books, online educational statistical materials, findings of studies, and additional materials provided by journals and books. All the materials were analyzed to keep track of national policies of education and private schools in each ag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transition of private school policies and private elementary schools were as follow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Japan tried to push ahead with a lot of oppressive policies against private schools to ruin deep-rooted cultural and mental heritage and traditional lifestyle among contemporary Korean people to make them adjusted to Japanese culture and spirits. After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more open and laissez-faire policies were executed due to a rapid increase in the student population and a lack of educational finance. In the 1960s, private schools were under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and elementary education was provided as compulsory education. Since public elementary schools weren't large enough in size to satisfy all the demand for educ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schools was urged, which led to a quantitative growth of private elementary schools. However, the schools faced lots of difficulties because of the gradual withdrawal of national subsidy, and some of the schools that lacked finance were abolished. The 7·30 Educational Reform in 1980 made it possible to secure economic resources available for education by levying an educational tax, but there wasn't sufficient backing for private elementary schools, which resulted in making the schools lag behind. As for the number of private elementary schools, there has been a continual change in it according to relevant national policies since the Japanese occupation. The schools continued to number 75 in and after 1980, and little change was found in that regard. Concerning school size and class size, there was a gradual increase in school size and class size until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and the schools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size after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But their class size gradually got smaller. As of 2008, the schools were equipped with 1,465 classes, and there were 30.8 students per class.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dropped to 24.9 as of 2008. In terms of finance, the budget of the private elementary schools was gradually enlarged in accordance with the benefit principle, and that phenomenon continued to put an economic strain on parents. Regarding shifts in school facilities, the number of students per computer dropped to 6.4 as of 2008, and the area of school site and gym per student was on the rise. As to changes in curriculum, the objectives of education kept on changing in line with the changing national curriculum. The private elementary schools complied with the changing national curriculum in terms of a supply of specialty education, which was their unique characteristic. But they alloted more school hours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such as English and Chinese and to specialty education, compared to the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y provided a variety of after-school programs, P.E. programs, special events and hands-on activities for students to gain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howed that national private school policies had a huge impact on the transition of private elementary schools. But their shifts couldn't be called constructive. Rather, they had no choice but to undergo the changes to get out of the dilemma, and they strived to survive and develop against all odds. The government should formulate more constructive private school policies instead of taking suppressive measures and spare no efforts to assist private schools to serve as basic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ompliance with their own tradition.
극저습 공조실 내의 수분 환기 특성을 수치해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환기에 있어서 중요한 세 가지 인자(배기구 위치, 수평단면의 종횡비, 환기율)가 실내 환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환기효율지수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네 가지의 배기구 배치에 대해 종횡비와 환기율의 변화에 따른 환기특성을 분석하였다. 폭방향 측벽에 배기구가 배치되면 종횡비가 커짐에 따라 환기 성능이 나빠지고, 길이방향 측벽에 배기기구 배치되면 종횡비 4에서 가장 좋은 환기 성능을 가진다. 또한, 종횡비에 상관없이 천장영역 배기구 배치가 바닥영역 배기구 배치보다 더 나은 환기 성능을 가진다. 모든 종횡비 및 배기구 배치에서 실내 환기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급기유량의 증가는 환기율 60 h-1까지가 적절하다. The characteristics of moisture ventilation in a dry room are studied numerically. The effects of three important parameters: the positions of outlets, the aspect ratio() of horizontal section and the air exchange rate(), are analyzed by using the scales of ventilation efficiency. The ventilation performance is evaluated by varying the aspect ratio and the air exchange rate for the four different outlet arrangements. It is shown that the ventilation performance is improved by decreasing the aspect ratio in the transverse arrangement of outlets. The highest ventilation performance is determined when is 4 in the longitudinal arrangement of outlets. Regardless of the aspect ratio, the upper arrangement of outlets has better ventilation performance than the lower arrangement of the outlets. For all models and aspect ratios, the increase of the air exchange rate to improve the ventilation performance is only valid up to .
에어컨 실외기용 2블레이드 프로펠러 휀의 유동해석 및 저소음화
최근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서 쾌적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에어컨의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에어컨의 보급 증가와 더불어 에어컨에 대한 소비자 불만사항도 늘어나고 있다. 에어컨을 사용함에 있어 발생하는 소비자의 주요 불만사항 중 하나가 소음 문제이다. 분리형 에어컨의 경우 기존에는 실내기에서 발생하는 송풍 소음이 주요 소비자 불만사항이었으나 최근에는 에어컨의 용량이 커지면서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소음도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실외기에 대한 소음규제도 심해지고 있다. 분리형 에어컨의 실외기 소음특성은 크게 2가지로, 유체역학적 송풍소음(air-born noise)과 구조진동음(structure-born noise)으로 구분되어진다. 송풍소음은 제품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에어컨 실외기인 경우 전체 소음의 약 40∼50%를 차지하고 있으며 스펙트럼상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고르게 퍼져 있다. 이러한 송품소음은 휀 자체소음, 휀과 오리피스 간의 상호복합적 소음, 그리고 열교환기, 유로 등의 시스템 저항에 의한 흡입소음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 중 열교환기나 유로 등은 에어컨 용량에 의해 결정되는 사항으로 실외기의 소음 저감을 위해서는 휀 자체의 소음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실외기에 적용되는 프로팰러 휀에서 발생되는 공력소음의 주원인은 휀 블레이드 두께에 의한 단극 소음, 휀 운전 시 발생되는 유체력(정압과 유량)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블레이드면의 압력변동으로 인한 소음, 블레이드 사이의 압력변동이 휀의 회전으로 인하여 고정된 오리피스(orifice)와 주기적으로 만나면서 나타나는 블레이드 통과주파수(BPF, blade passing frequency) 소음, 그리고 손실이 있는 유로로 인하여 발생하는 유동장의 와류에 의한 광대역 소음(broadband noise)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리형 에어컨 실외기에 주로 적용되었던 기존의 3 블레이드 이상의 프로펠러 휀과는 다른 2 블레이드 프로펠러 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 블레이드 프로펠러 휀의 경우 저소음, 고효율, 경량화 등의 장점이 있으나 회전수 대비 유량이 작은 단점이 있어서 실외기에 적용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난류 모델링을 사용하여 실외기 내부 휀 주위의 유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3 블레이드 휀과 2 블레이드 휀 주위에서 발생하는 와류(vortex)와 난류운동에너지(turbulent kinetic energy)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2 블레이드 휀의 단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형상의 2 블레이드 프로펠러 휀을 제시하였다. 또한 새로 제시된 2 블레이드 프로펠러 휀에 대하여 휀 인자들의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치명인자를 찾아내었고, 그 치명인자에 대하여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소음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반응표면법을 이용하여 선정된 최적의 2블레이드 프로펠러 휀의 경우 기존의 2 블레이드 프로펠러 휀 보다 동일 유량에서 소음성능이 5.2 dB 개선되었고, 기존의 3 블레이드 프로펠러 휀 보다는 동일 유량 대비 1.2 dB 개선되었다.
MDO기법에 의한 원자로용 수중탐상기 및 심지층 고준위 핵폐기물 처분용기 완충장치의 구조해석
산업용 로봇은 초기에는 단순작업과 같은 일에 주로 쓰였으나 산업이 고도로 발달해 감에 따라 점점 복잡한 작업과 정밀도를 요구하고 위험 환경에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기술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런 기술력의 요구로 산업용 로봇 산업이 발달해 오늘날 로봇은 의학분야, 산업분야, 우주 개발 분야등 각종 분야에서 안 쓰이는 곳이 없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극고온이나 극저온에서의 작업환경, 원자로 내의 방사능 위험지역, 무중력 상태의 우주공간, 압력이 아주 높은 심해와 같은 위험한 환경에서 그 역할이 점점 증대하고 있으며, 그 사용 환경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보다 정밀한 구조 설계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로봇의 하나인 원자로용 수중탐상 기는 사람이 직접 작업할 수 없는 원자로 내에서 원자로 입출구 노즐 부위의 미세결함을 검사하는 기계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원자로용 수중 탐상기(Reactor Inspection Robot :BIROB) 및 심지층 고준위 핵폐기물 처분용기 완충장치의 구조해석 문제에 MD0기법을 적용하였다. 원자로용 수중탐상기의 구조해석을 위해 MD0기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센서축의 회전 및 이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유체력의 해석은 난해하므로 센서축에 작용하는 유체력은 간단한 계산에 의하여 가정하여 기구동역학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해석결과를 분석하여 정적해석을 위한 최대 반력을 구할 수 있었으며, 탐상기 장치의 기구동역학적 거동에서 발생하는 반력들의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동시에 정적해석을 수행하여 탐상기의 최적 경량설계를 위한 housing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었다. 또한 심지층 고준위 핵폐기물 처분용기 완충장치의 구조해석 문제에서는 비선형 구조해석 기법을 적용하여 순간적인 약 10cm의 전단 변형에 의한 완충장치의 대변형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완충장치에 대한 물질 모델은 Drucker-Prager 모델을 적용하였다. MDO(Multidisciplinary Design Optimization) methodology is a new technology to solve a complicate design problem with a large number of design variables and constraints. The design of RIROB(Reactor Inspection Robot) system is a typical complicate problem, and so it requires the MDO methodology. Actually, several analyses such as kinetodynamic analysis, fluid dynamic analysis, and structural stress analysis etc.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MDO methodology application to the design of RIROB. In this paper MDO methodology is adopted through the use of computer aided engineering(CAE) systems. In a MDO methodology application to the design of RIROB, kinetodynamic analysis is carried out using a simple fluid dynamic analysis model for the water flow over the sensor support surface instead of difficult fluid dynamic analysis. Simultaneously the structural static analysis is carried out to obtain the optimum structural condition. The minimum thickness (0.8cm) of the RIROB housing is obtained for the safe design of RIROB. The kinetodynamic analysis of RIROB is done using ADAMS and the static structural analysis of RIROB is done using NISA. Generally spent nuclear fuel disposal canister is stored at a deep underground repository. In this paper, the nonlinear structural analysis for the composite structure of spent nuclear fuel disposal canister and 50cm thick bentonite buffer is also carried out to predict the collapse of the canister while the sudden rock movement of 10cm is applied on the composite structure. This sudden rock movement is anticipated by the earthquake etc. at a deep underground. Horizontal symmetric and asymmetric rock movement are assumed together in this structural analysis. Elastoplastic material model is adopted. The Drucker-Prager yield criterion is used for the material yield prediction of bentonite buffer and the von-Mises yield criterion is used for the material yield prediction of canister(cast iron insert and copper outer shell/lid and bottom).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even though very large deformation occurs beyond the yield point in the bentonite buffer, the canister structure still endures the elastic small strains and stresses below yield strength. Hence, the 50cm thick bentonite buffer can protect the canister safely against the 10cm sudden rock movement by earthquake etc., Analysis results also show that higher stresses occur in case of asymmetric rock movement than in case of symmetric rock movement and bending deformations occur in the canister structure due to the shear deformation of the bentonite buffer. The elastoplastic nonlinear structural analysis is done using NI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