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소 제조업 사업장의 안전관리 위험요인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최상도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산업재해는 인적,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안전에 관한 불안감 조성 등 많은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에 사업장의 재해 감소와 예방을 위한 사업주 및 근로자의 안전관리에 관한 책임과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국가 차원에서도 제도적·정책적 지원과 관리 체계 확립이 요구된다. 특히, 국내의 산업재해의 특성은 중·소규모의 사업장의 발생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들 사업장에 대한 재해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안전보건공단에서 수행하고 있는 산업안전보건동향 자료를 이용하여 상시 근로자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사업장으로 규모를 분류하고 안전보건 위험 요소와 안전보건에 대한 의사소통, 안전문화, 정책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사업장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 중 위험 물리적 위험이 전체 92.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생물학적 위험이 4.8%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규모별 위험 요소는 화학물질 위험, 인간공학적 위험, 위험한 기계 기구의 존재, 위험장소에서의 작업은 사업장의 규모가 클수록 높게 나타났고, 생물학적 요소는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존재 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사업장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의 관리 방안 중 작업절차서는 생물학적 위험요인, 화학물질 위험, 위험장소에서의 작업, 위험한 기계 기구의 존재 순으로 관리방안 구축이 높게 나타났으며, 모니터링 지침은 위험장소에서의 작업, 물리적 위험, 위험한 기계 기구의 존재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정신적·심리적 위험은 다른 위험 요소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요소의 근로자 정보제공은 화학물질 위험, 물리적 위험, 위험한 기계 기구의 존재, 인간공학적 위험 순으로 관리방안 구축이 높게 나타났으며, 위험요소 교육실시 여부는 화학물질 위험, 물리적 위험, 인간공학적 위험, 위험한 기계 기구의 존재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기타 예방 조치에 관한 사항은 물리적 위험과 위험한 기계 기구의 존재에 관한 관리방안 구축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리 조직은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기업/모기업 지역 사업장에 비하여 하청업체의 구성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내 안전관리자 선임과 보건관리자 선임 모두 300인 이상 사업장의 자체선임(전담)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50-99인, 100-299인은 대행, 자체선임(겸직)+대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기업/모기업 지역 사업장과 하청업체 모두 대행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안전보건 정보전달 및 의사소통과 안전·보건문화는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산업안전 보건 정책은 50-99인 사업장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중·소 사업장의 기업 간 관계를 대상으로 안전관리에 대한 위험 요인과 관리 방안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중·소 사업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본 연구가 안전관리 방안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 중·소 제조업사업장, 산업안전보건동향, 안전관리, 산업재해, 모기업, 협력업체 Industrial accidents cause many problems, including human and economic losses, as well as anxiety about safety throughout society. Responsibility and role of safety management of employers and workers for the reduction and prevention of disasters at the workplace are very important, and institutional and policy support an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national level.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industrial accidents are reported to be very high in small and medium sized workplaces, so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auses of disasters. In this study, by using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rend data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e classify the size of workplaces into less than 300 regular workers and over 300 workplaces. In addition, we analyzed safety and health risk factors, communication about safety and health, safety culture, and policy satisfaction. First, among the risk factors in the workplace, the highest risk physical risk was the highest (92.4%), and the biological risk was the lowest (4.8%). The risk factors for each size of the workplace showed that chemical risks, ergonomic hazards, presence of dangerous machine tools, and work in dangerous places were found to be higher at larger scale and biological factors existed at smaller scale . Secondly, among the management methods of risk factors existing in the workplace, the work procedures are highly structured in the order of biological risk factors, chemical risks, work in dangerous places, existence of dangerous machinery, Physical hazards, and presence of dangerous machine tools. However, mental and psychological hazards were found to be lower than other risk factors. Providing workers' information on the risk factors showed a high degree of management in the order of chemical hazards, physical hazards, presence of dangerous machinery, and ergonomic hazards. Risk education was high in the order of chemical hazards, physical hazards, ergonomic hazards, and dangerous machinery. Other precautionary measures showed a high degree of control over physical risks and the existence of dangerous machinery. Third,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rganization of the workplace is composed of the larger size of the workplace, and the subcontractor composition ratio is higher than the main contract. Both the appointment of a safety manager in the workplace and the appointment of a health manager were found to have a high rate of self-selection (over 100%) in the workplac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nd the ratio of the main contract and the subcontractor was high. Fourth, safety and health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safety and health culture were found to be higher at larger size, an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olicies at 50-99 were most satisfi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ttempted to grasp the risk factors and management plan of safety management for inter-company relations of middle and small business sit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of safety management plan. Keyword: Small and Medium Sized Industries, safety management,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trends, main contract, Subcontractor
최상도 東亞大學校 産業大學院 1991 국내석사
This study has related to the health living of the nation which based on the structure of distribution of the medical products and try to search for the method of improvement after its analysis of speciality of which concerned matters. As the structure of distribution arranged by the stage of distribution of all kinds of styles and then noticed that it's also made by social, which take care of the course of distribution properly. Consequently, the whole situation which were appeared widely by reason of the structure of medical distribution in our country and it'll put in good order of distribution routine such as build up an ability of wholesales as well as retails for distribution. Therefore, it's summarized so as to the method improvement of system as a result of the side of our government policy. In addition, it has also felt the necessary for the social responsibility for the purpose of definite settlement of the distribution of medical products routine together with the national's health growth.
복합침수 연계모의 기법 개발 및 도심지 침수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최상도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최근 도심지에서는 산업화 및 고도성장에 기인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침수 피해가 더욱 극심해지고 있다. 침수 피해는 일반적으로 크게 3가지 기작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며, 하천 수위가 증가하여 발생하는 외수범람과 배수불량으로 인한 내수침수 그리고 파랑으로 인한 해수 범람으로 구분된다. 침수 피해는 한 개 이상의 기작에 의해 발생하게 되며, 하천 주변과 연안에 위치한 저지대 도시의 경우 외수 범람 및 해수 범람 등 다양한 기작이 중첩되어 침수 피해를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유역 출구에 위치하는 저지대 도시의 정확한 침수 피해 분석을 위해서는 해수범람과 더불어 강우로 인한 외수범람 및 내수침수를 동시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정부에서는 침수예상도를 제작하고 정책제언의 근거로 하여 방제 대책을 세우고 있지만 현재의 침수예상도는 각각의 범람요인을 독립적으로 해석하여 개별적인 침수예상도가 산출되고 있으며, 복합요인에 의한 가중적 효과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로 복합 침수 자료의 구축, 침수 원인에 따른 가중효과 판단 등이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다양한 기작을 반영할 수 있는 복합침수 흐름해석 필요성의 부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침수 원인 기작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복합침수를 고려한 도심지 침수해석을 수행하고 단일 침수 기작과 복합 침수 기작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복합침수와 단일침수간의 효과분석을 정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주제어: 복합 침수, 해수범람, 외수범람, 내수침수, 침수예상도 ABSTRACT Development of Integrated Simulation Method for Flooding from Multiple Sources and Assessment of Urban Inundation Risk Choi, Sang-do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 recent years, flood damage has become more severe in urban areas due to the effects of global warming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nd rapid growth. Flooding is generally caused by three major mechanisms, and it is divided into river flooding caused by an increase in river level, inundation caused by poor drainage, and costal inundation caused by storm surge. Flood damage is caused by one or more sources, and in the case of low-lying cities located near the rivers and coasts, various flooding sources overlap due to their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adding to flood damage. Therefore, each source of flooding needs to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for accurate analysis of flooding damage in low-lying cities located at near the rivers and coasts. To prevent flood damage, the government is making a flood prediction map, and based on this, measures are being taken to prevent flooding. However, the current flood forecast map is produced by independently analyzing each flood source, and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aggravating effect of flooding from multiple sources. The reasons for this include the construction of flooding data and judgment of weighting effects according to the causes of flooding, but the biggest cause is the lack of a need for flooding from multiple sources flow analysis that can reflect various mechanisms. Through th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mple flood analysis results and the multiple source flooding analysis results is present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weighting effect. Keywords : flooding, inundation, flooding from multiple sources, aggravating effect
최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오늘날 강의는 도처에서 비판받고 있으며 지양해야할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학교에서 수업연구나 공개수업을 할 때 교사중심 교수방법인 강의를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언론 및 대중매체에서는 교사가 무엇인가를 전달하는 강의를 비판하고, 교육선진국이라 불리는 국가의 수업모습을 모델로 학습자가 중심이 된 미래형 교실, 미래형 수업을 조명한다. 학계에서도 학습자 중심 수업이라 불리는 배움중심 수업, 거꾸로 학습 등의 교수법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으며, 교육정책 또한 그러한 교수법에 대한 연구를 교육현장에 확대, 적용하는 방향으로 수립되고 있다. 이렇듯 교육계와 사회전반에서 강의는 비판받고 있으며, 그 이면에는 교사의 언어를 통해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으로는 비판적 사고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기르기 어렵다는 인식이 분명히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강의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풍토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는 여전히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들은 대부분의 수업을 강의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강의를 비판하고 지양하는 현실 속에서, 정작 교육현장의 일상은 강의로 가득 채워지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강의의 본질적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과연 강의의 근본성격은 무엇이며, 강의의 어떤 점이 교육현장에서 시대의 변화와 관계없이 그 생명력을 계속 지속시키고 있는가? 이를 고찰하기 위해서, 우선 오늘날 강의가 어떠한 비판을 받고 있는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강의는 통념적으로 권위주의적인 면이 있고, 학습자 중심이 아니라는 점에서 비판받는다. 전자는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수평적이지 않고 교사 우위의 수직적인 관계라는 점과 강의의 대부분이 교사는 말하고 학생은 듣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그리하여 교사의 귄위가 학생에게 압력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비민주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는 비판이다. 후자는 강의가 학습자의 흥미와 필요를 무시하고 학습자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교사가 중시하는 것을 가르치는 교수방법이라는 점을 비판한다. 더욱이 교사가 전달하는 지식보다 학습자가 발견하고 창조하는 지식을 중시하는 시대에 강의로는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이 강의를 비판받게 만든다. 과연 강의에 대한 이러한 통념적 비판은 타당한가? 강의가 권위주의적인 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교육사태에서 교사의 위치와 역할을 고려했을 때 교사가 지닌 권위를 바탕으로 학생을 가르치는 것은 불가피하고 자연스러운 일이다.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플라톤이 말한 에로스적 관계이며, 교육사태는 본질적으로 계획되고 통제된 환경이며 학생의 선택은 반드시 교육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것 중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교육사태에서 학생의 자유가 구속되는 것을 반드시 권위주의적이고 비민주주의적인 것으로 비판할 수는 없다. 강의가 학습자 중심의 관점에 위배된다는 비판은, 학습자의 흥미와 필요가 교육의 본질이 될 수 없다는 점을 바탕으로 무엇이 진정한 학습자 중심인지를 살펴보는 것에서 그 타당성을 검토할 수 있다. 또한, 진정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교사의 지식을 자신의 지식으로 내면화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룰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이 일치된 ‘강의’이다. 교육은 교사가 학생에게 무엇인가를 가르치는 일이고, 가르친다는 것은 교사가 알고 있는 지식을 학생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오우크쇼트에 따르면 지식은 정보와 판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언어로 표현된 ‘정보’ 이면에 있는 ‘판단’은 학생이 스스로 획득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지식의 전달이라는 가르치는 사태에서 교사의 개입은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고, 이는 교사가 알고 있는 교육내용이 언어적 설명을 통해 학생에게도 드러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강의의 근본성격은 수많은 교수법 중 하나의 교수법이 아니라, 내용과 방법이 일치된 교육의 본질적인 영위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은 강의를 통해 지식이 내면화된 교사와 만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