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MM을 이용한 한국어 말뭉치에서의 오류 탐지

        최민석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computational linguistics, a corpus is a large and structured set of language samples collected from real world text for a specific purpose. There are be various types of errors in the corpus because most corpus are built manually and/or semi-automatically and the errors are caused by human intervention. Such errors make corpus-based learning systems worse in performance. Many studies have therefore been conducted to detect and correct such errors in various ways and most studies have been done from pre-built corpus. Human intervention is, however, still required. In addition, error correction is not only very tedious as well as laborious and cost-expensiv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detecting corpus errors using GMM clustering algorithm.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detect errors under the small size of corpus. That is,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in developing corpus by integrating into annotation tools.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o make word embedding vectors of some error-prone context. The second step is to reduce the dimension of the vectors because clustering with a large dimension of vectors is time-consuming. The third step is to group the reduced vectors and to detect outliers as errors. For experiments, we have used two kinds of corpora: Korean dependency corpus and Korean semantic role labelling (SRL) corpus of which each one comprises only 1000 sentences. Our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serve as a error detector in early stage of corpus development. Our best results achieve recall of 65.15% for Korean dependency corpus and recall of 69.46% for Korean SRL corpus. In the future, we will do research on representing features for detecting errors and also on correcting errors as well as detecting errors. Motivated by the proposed method, we will start to investigate error detection in case that there is a large tagged corpus. 말뭉치란 특정 목적을 가지고 언어 표본을 추출한 집합을 의미한다. 이런 말뭉치에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대부분의 말뭉치는 사람의 수작업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다양한 오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오류가 포함된 말뭉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좋은 성능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방법들이 이미 제작된 말뭉치를 학습하여 오류를 탐지하고 수정한다. 이러한 작업을 여러 번 수행하여야 하며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 문제를 다소 완화시키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GMM(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한 군집화를 통해 오류 탐지 방법은 제안한다. 군집화는 비지도학습의 한 방법으로 표지가 부착된 학습데이터가 없거나 적더라도 오류 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제작된 말뭉치가 아니라 말뭉치를 구축하는 과정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수행된 오류 탐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문분석 말뭉치와 의미역 말뭉치를 사용하였다. 성능 평가의 척도는 정보검색에서 널리 사용되는 정밀도와 재현율을 사용하였다. 구문분석 말뭉치와 의미역 말뭉치에서 각각 65.15%와 69.46%의 재현율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모델을 사용하여 다양한 말뭉치의 오류 탐지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재현율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자질 확장 등의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말뭉치 구축 도구에 직접 적용하여 제안된 시스템이 얼마나 효율적인지도 평가할 계획이다.

      • 초음파 발생기를 이용한 TiO2 광촉매 시스템에서의 가스상 톨루엔 제거에 관한 연구

        최민석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occur in work-places like a chemical stamp facility, print facility, and oil-chemistry process. And it reacts with nitrogen oxide then become origin of photochemical smog or itself is causing an bad effects in earth environment and human body as offensive odor or carcinogenic agent. Generally, these VOCs are dealed with incineration, adsorption, and absorption. But nowadays photocatalyst oxidation is in the spotlight because of its economic and stable character. In this study, using ultrasonic generator which make TiO₂ mist, inquired into a removal characteristic of gas state toluene that extensively used as a imitation gas of VOCs. Photocatalyst reactor which consist of mist generator and photo-reactor was designed and produced. And in this reactor, ultrasonic reactor's frequency was 1.72㎒. toluene's concentration was sampled in front of reactor and in the back of reactor, and that was analized by GC-FID. Using SEM/EDX and XRD, analyzed surface and crystal structure of TiO₂ particle, and After stabilization of photocatalyst system was confirmed, toluene removal efficiency was measured with changing of inflow toluene gas concentration, TiO₂ solutions's concentration and a kind of UV lamp. Generally, photocatalyst system was stabled after about 30 min. from operating. In consequence of Toluene removal efficiency measurement, with condition changing, from TiO₂ solutions conc. 0.2 g/ℓ to 1.0 g/ℓ. When condition was 0.6 g/ℓ, it show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In case of Toluene 10ppm, removal efficiency was 53.1% and in case of Toluene 200ppm, it was 18.0%. This is considered that high TiO₂ concentration slurry had so many dissolved TiO₂ particles that it helped to remove gaseous toluene. But more than 0.6 g/ℓ TiO₂ slurry interrupted the vibration of ultrasonic mist generator. As a result,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Moreover in the same condition, when injected Toluene 10ppm showed higher removal efficiency than injected Toluene 200ppm. From that reasonable concentration range was confirmed. In the experiment with different UV lamp which has specific wavelength, the lamp has the shortest wavelength show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In the other word, higher photo energy made higher removal efficiency. In result of this study, possibility of photocatalyst system using ultrasonic was identified. But it has some problem like massed TiO₂ particles with the passage of operating time or selection of the adequate concentration range.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는 도장시설, 인쇄시설, 석유화학공정과 같은 사업장에서 많이 발생하며 질소산화물과 반응하여 광화학 스모그 원인이 되거나 그 자체만으로도 악취 및 발암 유발 물질로서 지구 환경 및 인체에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은 VOCs은 일반적으로 열 소각법, 흡착법, 흡수법 등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이들보다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광촉매 산화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발생기로 TiO₂ 미스트를 분무시켜 VOCs의 모의가스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가스상 톨루엔(toluene)의 제거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미스트 발생부와 UV 광 반응부로 구성된 광촉매 반응기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진동수가 1.72㎒인 초음파발생기를 사용하였다. 톨루엔의 농도는 광촉매 시스템의 전·후단에서 채취하였으며, GC-FID로 분석하였다. SEM/EDX와 XRD를 이용하여 TiO₂ 입자의 표면 분석 및 결정구조 분석을 수행하였고 광촉매 시스템의 안정화를 확인한 후에 유입 톨루엔 가스 농도, TiO₂ 용액의 농도 및 UV 램프의 종류를 변화시키면서 톨루엔 제거 효율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광촉매 시스템을 작동하고 약 30 분 후에 안정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TiO₂ 용액의 농도를 0.2 g/ℓ에서 1.0 g/ℓ까지 증가시켜가며 톨루엔 제거 효율을 확인한 결과, TiO₂ 용액의 농도가 0.6 g/ℓ일 때, 가장 높은 톨루엔 제거 효율을 보였다. 톨루엔 10ppm 주입 시에는 제거율 53.1%, 톨루엔 200ppm 주입 시에는 18.0%을 보였다. 이는 TiO₂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미스트에 용해된 TiO₂ 입자가 많아 높은 톨루엔 제거율을 보였지만 TiO₂ 농도가 0.6 g/ℓ 이상일 때는 초음파 발생기의 진동이 원활하지 못해 오히려 제거율이 낮아졌다. 게다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저농도 톨루엔 10ppm을 주입하였을 때가 고농도인 톨루엔 200ppm을 주입했을 때보다 높은 제거 효율을 얻어 광촉매 시스템의 적정 농도 범위를 확인하였다. 파장 영역이 다른 UV 램프의 비교 실험에서는 파장이 짧을수록 즉, 광 에너지가 높을수록 높은 톨루엔 제거효율 값을 얻게 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초음파 미스트 발생기를 이용한 광촉매 시스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작동 시간이 길어질수록 용액 내 TiO₂ 입자가 뭉친다는 점과 주입 가스의 적정 농도 선정에 대한 문제점 등은 해결해야 과제로 사료된다.

      •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에 의한 병원경쟁력 영향요인의 중요도분석

        최민석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병원 경쟁력 핵심요인의 중요도를 알아보고자 대구지역 700병상 이상 병원경영관리부서 기획, 총무, 홍보, 경리, 교육연구, QA 6개 부서를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1년 8월 22일부터 8월 31일 10일간 진행되었고, 총 145부를 배부하여 140부를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병원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요도에 대하여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을 실시한 결과 상위계층인 요인인 경우 ‘의료기술(0.564)’, ‘접근성 및 편의성(0.235)’, ‘인적자원측면(0.136)', '물리적 환경(0.066)’의 순이었다. 즉 병원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의료기술이었다. 각 상위계층에 대한 하위계층에 대한 분석을 살펴보면, 먼저 ‘의료기술’의 경우에는 ‘의료의 질(0.674)’, ‘진료전문화(0.238)’, ‘최신의료기술(0.086)’의 순이었고, ‘접근성 및 편의성’ 은 ‘의사의 충분한 설명(0.653)’, ‘짧은 대기시간(0.260)’, ‘입지조건(0.086)’의 순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 중 ‘시설(0.280)’, ‘장비(0.194)’, ‘주차시설(0.188)’, ‘편의시설(0.112)’, ‘대기장소(0.096)’, ‘휴식공간(0.077)’, ‘병원위생환경(0.054)’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적자원 측면’ 중 ‘의사의 태도와 친절(0.373)’, ‘간호사의 태도와 친절(0.266)’, ‘진료지원부서의 태도와 친절(0.205)’, ‘행정직의 태도와 친절(0.107)’, ‘기타부서태도와 친절(0.049)’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급, 근무경력, 부서에 따라 위의 결과와 하위계층에서 중요도가 약간 차이가 있었으나. 거의 전체결과와 차이가 없었다. 병원경쟁력 향상에 있어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의료기술’이다. 또한 ‘접근성 및 편의성’, ‘물리적 환경’, ‘인적자원 측면’ 영향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의료 기술적 서비스’의 중심의 향상과 ‘의료기술 외적 서비스’ 보완적 향상으로 병원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Hospital Competitiveness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Seok-Min Choi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am, Sin)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mportance degree of factors affecting hospit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concerned th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Daegu’s more than 700 bed hospitals. It regards 6 different kinds of departments: Planning, General Affairs, Marketing, Accounting, Education Research and QA. A self-admin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22 and 31, August, 2011 and 140 of 145 copies distributed were analyzed. After conduct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main factors of hospital competitiveness improvement were ‘medical technology(0.564)’,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0.235)’, ‘human resources quality(0.136)’ and ‘physical environment(0.066)’. There were also many subcategories for each factor. For ‘medical technology’,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quality of medical treatment(0.674)’ and ‘medical expertise(0.238)’ and ‘high end medical technology(0.086)’; and for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the doctor's full explanation(0.653)’ was the top factor, followed by ‘short waiting time(0.260)’ and ‘location(0.086)’. Regarding ‘physical environment’, ‘Facilities(0.280)’ was ranked first and ‘equipment(0.194)’, ‘parking facilities(0.188)’. ‘amenities(0.112)’, ‘waiting room(0.096)’, ‘relaxation area(0.077)’, ‘hospital hygiene(0.054)’ were followed. The subcategories of ‘human resources quality’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physician's attitude and friendliness(0.373)’, ‘nurses' attitudes and kindness(0.266)’, ‘attitude and kindness of medical support(0.205)’, ‘administrative staff‘s attitude(0.107)’ and ‘other department's attitude and friendliness(0.049)’ After analyzing position, work experience, department, the above results and importance in the subcategories are slightly different but the difference is very similar. The most affecting factor of competitiveness in the hospital is medical technology. In addition, the demands for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human resources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are increasing. Therefore, improvements in both medical technology and related services will be the key to a competitive hospital.

      • 핑거프린팅 기반 정확한 실내 위치 측위 알고리즘 연구 : 실내 위치 측위 알고리즘 연구

        최민석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해 WiFi, Bluetooth 등 무선 신호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내 위치 측위 기술에는 크게 삼각측량법, 핑거프린팅 기법, Cell-ID 기법 등이 있다. 삼각측량법의 경우 범위 넓은 지역에서 대략적인 위치를 찾는데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실내의 좁은 공간의 경우에서는 물리적 장애물, 신호의 간섭 등의 요인에 의해 오차가 높은 단점이 있다. 핑거프린팅 기법은 실제 환경에서의 참조 위치를 지정 및 참조 위치를 기반으로 측위하기 때문에 삼각측량보다 외부 요인에 의한 오차는 낮지만, 지정된 셀 크기 안에서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 힘든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무선 신호를 이용한 효율적인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해 향상된 핑거프린팅 기법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핑거프린팅 기법 기반으로 측위 할 공간을 일정한 크기의 셀로 분할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셀을 우선적으로 찾게 된다. 이때, 정확도를 높이고자 K-NN알고리즘과 연속 측위 시 오차를 낮추고자 Moving average 필터를 사용한다. 같은 환경에서 삼각측량법, 핑거프린팅 기법, 제안하는 방식의 실내 위치 측위 결과를 비교하여 성능을 분석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기법의 정확도 86%로, 핑거프린팅 기법 72.58%, 삼각측량법 45.63%의 정확도보다 우수한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다. 키워드: 실내 위치 측위, 무선 신호, 삼각측량법, 핑거프린팅 기법, Cell-ID, K-NN 알고리즘, Moving average 필터. Recently, many studies using wireless signal, such as WiFi and Bluetooth, has been proceeded. There are three types of indoor positioning system - which are Triangulation method, Fingerprinting technique and Cell-ID technique. Triangulation method has advantages in finding locations in wide environment, but common errors are found in narrow indoor environment due to physical obstacles and signal interfere. Fingerprinting technique results less error because it determines position based on reference in actual environment, but it has disadvantage in determining precise position in selected cell size.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 Improved Fingerprinting using wireless signals to determine precise indoor position. Determining space is evenly divided based on Fingerprinting technique and the cell which user belongs will be determined by priority. To raise accuracy, K-NN algorithm and Moving average filter is used. The performance of Triangulation method, Fingerprinting technique, and the amalgamation technique is analyzed under same situ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ccuracy of the propsed method is 86%, which is better than the accuracy of Fingerprinting method 72.58%, and Triangluation method 45.63%. Keyword: Indoor positioning system, Wireless signals, Triangulation, Fingerprinting technique, Cell-ID, K-NN algorithm, Moving average filter.

      • 기후요인에 따른 토종꿀벌(Apis cerana)과 서양꿀벌(Apis mellifera)의 외역활동 빈도 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

        최민석 인천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꿀벌은 진사회적 조직을 구성하는 곤충으로 봉군의 내부환경 유지와 외역활동(out-nest activities)은 주요 생존요소이다. 꿀벌의 행동은 여러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환경요인은 장소, 시간, 온도, 습도 등의 기초적인 조건을 포함하며 더불어 오염원, 천적의 유무, 패치의 분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요인들은 꿀벌 일꾼의 외역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특정 기후요인(온도, 습도, 조도)에 따른 꿀벌 일꾼들의 외역활동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는 개체의 의사결정 메커니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토종꿀벌(Asiatic honey bee, Apis cerana)과 서양꿀벌(Western honey bee, Apis mellifera)에서 봉군 내·외부 온도가 외역활동을 할 것인지 둥지에 머물 것인지에 대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실험적으로 봉군 내·외부의 온도를 조작하여 일벌들의 외역활동 의사결정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토종꿀벌과 서양꿀벌에서 봉군 내·외부의 급격한 온도변화가 집단 구성원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집단의 생산성과 효율성 유지를 위해 구성원의 외역활동을 변화시킨다는 아이디어에 기반을 두고 있다. 꿀벌의 일주활동과 기후요인(온도, 습도, 조도)과의 관계, 봉군 외부 온도에 따른 벌통 내부 온도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꿀벌의 일주활동은 오전 6시에 시작하여 오후 8시에 끝났으며, take-off는 오후 2시에서 3시에 최고에 달하였고, 5시에서 6시 이후 landing수가 take-off하는 일벌의 수보다 많아지게 되며, 시간에 따라 take-off와 landing 수가 감소하다 귀소활동이 끝났다. 2. 서양꿀벌의 외역활동과 온도의 상관은 take-off r=(0.532~0.858), landing r=(0.504~0.941)으로 유의하였고, 습도는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조도는 take-off r=(0.577~0.849), landing r=(0.201~0.803)으로 유의하였다. 토종꿀벌의 외역활동과 온도의 상관은 take-off r=(0.411~0.703), landing r=(0275~0.631)으로 유의하였고, 습도는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조도는 서양꿀벌과 다르게 상관관계를 나타나지 않았다. 3. 외역활동에 영향을 주는 주성분으로는 서양꿀벌, 토종꿀벌 모두 제 1성분으로는 온도가, 제 2성분으로는 습도, 제 3성분으로 벌통온도가 나왔다. 4. 봉군 외부 온도에 따른 외역활동의 변화는 오전 시간대 벌통 외부 온도가 높을수록 take-off가 많아졌으며, 오후 시간대는 38℃ 보다 낮은 온도에서 take-off가 많이 나타났다. 5. 벌통 외부 온도가 33℃에서 38℃증가 할 경우 벌통 내부 중앙 온도에 변화가 없고, 28℃감소 할 경우 벌통 내부 중앙온도가 감소하였다. 꿀벌에게 온도는 내부 colony에 스트레스 요인으로도 작용 하며 이러한 스트레스가 초유기체(superorganism) 항상성 유지를 위해 에너지를 더 필요로 하게 되므로 외역활동에 변화를 주게 된다. 기후요인(온도, 습도, 조도)중에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 습도와 조도의 상호작용도 간과 할 수 없는 것 같다. 그리고 지역의 기상 조건, 조사 시기, 밀원식물의 밀도와 분포 상태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교통카드 솔루션의 제품속성과 서비스품질이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사용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민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oduct attributes that is internalized in the product and the service quality provided by the company are important elements to consider for a consumer when deciding on which product to purchase and use. Therefore, many companies have contemplated on how to match the product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ies with the consumers' interests to continuously use the product, and further on the management strategies to expand the product's market with the utilization of word of mouth marketing.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of an individual's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by Davis(1989)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concept of service quality, presented by Parasuraman, Zeithamal & Berry(1985), has been extended to the verific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 and thus it has been utilized in diverse academic fields until now, but empirical study that is applied to product attributes in the marketing perspective as an external factor is evident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 regards to transportation card solution(terminal), verifies the overall route of influence of product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y on the consumer's continuance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nd present an integrated model extended from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order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orporate marketing strategy. For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a survey on Seoul citizens who have had experience of using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was conducted with 580 final samples being collected, and as the analysis tool, the SPSS and Amos 18.0 were used. As an analytical conclusion, first, the product attributes of the transportation card solution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expectation-confirmation, which is contributed by the simplicity of terminal use and repetition of consumer's behavior. Also, the conclusion can be interpreted that when designing the new product, making the product's attributes complex by including diverse functions showed weaker preferences than a product which concentrated on core functions. Second, for the service qu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 and expectation-confirmation showed to be positive, and among the service qualities, the immediate response of the terminal and the 'responsiveness' in terms of the immediate response capacity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expectation-confirmation while the 'tangibility' which represents the provision of the latest product and convenient environment, had the weakest impact. Third, the perceived ease of use has negative impact on the expectation-confirmation, and the a positive impact on the continuance, and this can be interpreted so that people may consider using the transportation card to be easy and convenient than using cash, but the heightened expectations from the consumers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s not necessarily satisfied. Fourth, it has been identified that expectation-confirmation gives positive impact on continuance, and continuance gives positive impact on word of mouth intention.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attributes and word of mouth intention which was additionally set, showed to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and results showed that aesthetics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product attributes. Fifth,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expectation-confirmation had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continuance route on the product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y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oduct attribute's impact on perceived ease of use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the impact of continuance on word of mouth intentio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brand awarenes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rticulated as follows. First, the distinguishable product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y as a system's characteristic variable of the external characteristic variables, had a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composition concept of the product attributes is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to consider on top of the exist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of Davis(1989) which was actively applied and used for extension studi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ystem utilization. Second, the fact that there were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for the perceived ease of use with the expectation-confirmation and continuance, and the expectation-confirmation with the continuance respectively, corresponds with the results from Bhattacherjee(2001), based on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that the confirmation of expect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intentions for continuance through satisfaction. In particular, in terms of perceived ease of use, the social influence (subjective norm, image, voluntariness) and the cognitive instrumental (job relevance, output quality, result demonstrability, perceived ease of use) were all meaningful with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had influence on intention of use, which supports the results of the extended studi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rom Venkatesh & Davis(2000). For the aspect of data collection, had 51 questions in the survey and used rather diverse measurements, which leaves the questionable limitation that the survey respondents could have answered the questions without sincerity and that the refinement for the measurement items of the service quality was insufficient. Also, in Korea, the transportation card terminal is already widely used. Therefore, the models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performing empirical studies on the countries that will adopt the transportation card solution in the future. 제품에 내재되어 있는 제품속성과 기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품질은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그로 인해 기업들은 제품속성과 서비스품질에 관하여 어떻게 하면 소비자의 관심에 일치시켜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는 가에 대한 고민과 더 나아가 구전 마케팅을 활용한 제품의 시장 확대를 위한 경영전략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은 개인의 정보기술 수용에 대한 행위를 이해하는 것을 초점으로, Parasuraman, Zeithamal & Berry(1985)가 제시한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과 재 구매의도에 대한 관계 검증까지 확대되어 현재까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외부변수로서 마케팅 관점의 제품속성을 적용한 실증연구들은 극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카드 솔루션(단말기)을 대상으로 제품속성과 서비스품질이 소비자의 지속사용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전체 경로를 검증하고, 기존 기술수용모델을 확장한 통합적인 모델을 제안하여 기업 마케팅 전략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조방정식 분석을 위해 대한민국 서울에 거주하면서 교통카드 단말기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580부의 표본을 수집하였고, 분석도구로는 SPSS와 Amos 18.0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서 첫째, 교통카드 솔루션의 제품속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기대충족에 부(-)의 영향관계로 나타났는데, 이는 단말기 사용의 단순함과 소비자 행동의 반복성에서 기인한다. 또한, 신제품을 설계할 때는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여 제품속성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 보다는 핵심기능에 집중한 제품들을 출시하는 것이 소비자들에게 더 선호 받을 수 있다는 결과로도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서비스품질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기대충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품질 중에서 단말기의 즉각 반응과 신속한 반응 능력의 ‘대응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기대충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최신 제품과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는 ‘유형성’은 가장 낮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기대충족에 부(-)의 영향을 주고 지속사용은 정(+)의 영향의 결과가 나타났는데,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현금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쉬우며 편리하게 느껴지지만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소비자들의 높아진 기대욕구를 반드시 충족하지는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기대충족은 지속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지속사용은 구전의도에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에서 추가로 설정된 제품속성과 구전의도의 관계는 유의하였으며, 제품속성에서 심미성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결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기대충족은 제품속성과 서비스품질에서 지속사용의 경로를 통해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제품속성이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지속사용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브랜드 인지도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외부특성요인 중 시스템의 특성변수로써 구분할 수 있는 제품속성과 서비스품질은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에 인과관계가 성립된다는 사실이다. 특히, 제품속성의 구성개념은 기존 정보시스템 활용분야에서 응용 및 확장 연구로 활발하게 다루어져 왔던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에 새롭게 고려해야 할 특성변수를 제시하였던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기대충족과 지속사용에, 기대충족은 지속사용에 인과관계가 성립된다는 사실은 Bhattacherjee(2001)가 기대충족 모델을 토대로 기대충족과 지각된 유용성이 만족을 통해서 지속사용의도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결과와 일치한다. 특히,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Venkatesh & Davis(2000)의 기술수용모델의 확장 연구에서 사회적 영향(주관적 규범, 이미지, 자발성)과 인지적 도구(직무관련성, 출력품질, 결과증명 가능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가 모두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하고,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자료수집 측면에서 설문지 문항이 51개로 다소 많은 척도가 사용되면서 설문 응답자가 무성의하게 답변을 하였을 수도 있다는 점과 서비스품질의 측정항목에서 정제화가 미흡하였다는 것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아울러 국내에서는 교통카드 단말기가 이미 널리 보급되어 사용하는 제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정된 모형은 향후 교통카드 솔루션을 처음 도입하여 사용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다양한 실증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의 부양가족가구 의료비 지출과 의료이용 영향

        최민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9년까지 5개년도 한국 의료패널 조사를 활용하여 과거 정부뿐만 아니라 현 정부에서도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으로 제시하고 있는 4대 중증질환(암, 뇌혈관질환, 심장병 및 희귀난치병 등), 중증 치매, 난임치료, 15세 이하 아동입원비 등 범위를 확대하여 혜택이 주어지는 65세 이상 부모와 15세 이하 아동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각 소득 수준에 따른 의료비 지출과 의료이용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의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는 SPSS 23.0, 잠재성장모형 분석은 AMOS 23.0을 이용해 연구대상자의 의료비 지출, 의료이용 등의 선행요인과의 상호관련성 탐색과 가구별 변화와 변화 간 차이를 설명하는 선행요인 분석 및 요인 간 변화와 변화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대상자는 총 3,354명으로, 65세 이상, 15세 이하 부양가족을 가진 건강보험가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결과 주요 내용은 총의료비, 외래방문횟수, 외래회당본인부담금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해당자와 비해당자 총의료비와 외래방문횟수는 모두 증가 추세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외래회당본인부담금의 경우 해당자는 증가하다 감소하였고, 비해당자는 증가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중증질환/중증치매/불임에 따른 총의료비, 외래방문횟수 및 외래회당본인부담금에서도 총의료비 및 외래방문횟수에서는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외래회당본인부담금은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나타났다. 또한, 총의료비는 연구대상 그룹의 경우에서는 t2이후, 비해당자 그룹에서는 꾸준히 증가했으며, 외래회당본인부담금 변동도 연구대상집단에서 t2와 t4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총의료비, 외래방문횟수, 외래회당본인부담금의 발달궤적 분석에서는 연구대상자 간에 초기치의 개인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의료비, 외래방문횟수, 외래 회당본인부담금 모두에서 최초값이 적은 대상자는 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반대로 초기값이 높았던 대상자는 보다 낮은 증가율을 보여, 결과적으로 개인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총의료비의 변화율을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결혼경험은 초기치에, 연령, 가구소득, 민간보험 유형, 질환 코드(중증질환/중증 치매/불임) 해당 여부는 초기치와 변화율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래방문횟수의 변화모형에서는 성별은 초기치, 연령, 결혼경험, 경제활동 유무, 경제활동인원수, 질환코드(중증질환/중증치매/불임) 해당 여부는 초기치와 변화율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외래회당본인부담금에 연령은 초기치에, 민간보험 유형은 변화율에, 가구소득은 초기치와 변화율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비, 외래방문횟수, 외래회당본인부담금의 발달궤적 분석에서는 연구대상자 간에 초기치의 개인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의료비, 외래방문횟수, 외래 회당본인부담금에서 개인차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 제도의 정책적 핵심관리 대상인 중증질환 및 보장성 확대 정책의 실질적 혜택이 주어지는 65세 이상, 15세 이하 부양가족을 대상으로 실질적 건강보험 제도의 보장성 확장에 혜택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시행된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정책은 의료비 지출과 의료이용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인부담금 감소에도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보험제도의 보장성 확대로 인해 제도의 목적을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의료비 지출과 의료이용의 증가는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의 한계성을 야기시킬 수 있어 적절한 본인부담과 이에 따른 적정 건강보험율에 대한 논의와 검토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고령화, 소득의 증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에 따라 더욱 가파르게 의료비는 증가할 것이다. 의료재정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원조달 방안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이 수립돼야 할 것이다. 주요언어 : 국민건강보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의료비 지출, 의료이용, 한국의료패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olicy to enhance the coverage of NHI on the expenditure of medical expenses and medical use according to each income level using the five-year Korean medical panel survey from 2013 to 2019. The policy to enhance the coverage of NHI includes four major severe diseases (cancer, cerebrovascular disease, heart disease and rare incurable disease), severe dementia, infertility treatment, and hospitalization for households with dependents over 65 and under 15 years old as suggested by past governments to current government. For this, SPSS 23.0 was used for data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AMOS 23.0 was used for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The interrelationship with the prior factors such as medical expenditure and medical use was investigated, and the anticipant factors explaining the differences of each households and the changes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the changes were analyze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included in the analysis was 3,354, and the subjects are NHI subscribers with dependents over 65 and under 15 years ol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otal medical expenses, the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tended to increase. The total medical expenses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of all subject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cost sharing per outpatient visit increased and decreased again in the study group, and the trend of increase in the non-study group was not clear. The total medical expenses and outpatient clinic visits also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otal medical expenses,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due to severe disease/severe dementia/fertility. However,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increased and decreased again. In addition, the total medical expenses increased after t2 in the study group and steadily increased in the non-study group. The outpatient cost sharing fluctuations decreased slightly in the study group at t2 and t4, but showed an overall increase. In addition, in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analysis of total medical expenses,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values ​​between the study subjects were distinct. In addition, in the total medical expenses, the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the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the subjects with the smallest initial value showed a high increase rate. Conversely, the subjects with the high initial value showed a low increase rate, resulting in a decrease in individual differences. Finally, as a variable that predicts the rate of change in total medical expenses, the marriage experience had an impact on the initial value. Age, household income, type of private insurance, and disease code (severe disease/severe dementia/infertility) affected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change model of the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gender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Age, marriage experience, economic activity status, number of people in economic activity, and disease code (severe disease/severe dementia/infertility) affected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Finally, in the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age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The type of private insurance influenced the rate of change, and household inco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analysis of medical expenses, number of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individual differences in initial values ​​between the study subjects were distinct. It was confirm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are reduced in total medical expenses, outpatient clinic visits, and cost sharing per outpatient clinic visi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there are practical benefits for households with dependents aged over 65 and under 15, who are given substantial benefits of coverage enhancing policy, which are the core targets for NHI policy management. The policy to enhance the coverage of NHI implemented so far affects expenditure of medical expenses and medical use, and also contributes to cost reduction. In other words, the expansion of NHI coverage has achieved some of the objectives of the system. However, an increase in expenditure of medical expenses and medical use can lead to financial limitations of the NHI.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d review appropriate cost sharing and appropriate health insurance expenses. With the aging population, increasing incomes, and expanding NHI coverage, medical expenses will increase more rapidly.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medical finances, specific financing plans should be established. Key Words : NHI, Effect of the Policy to Enhance the Coverage, , Use of Medical Expense, Medical Use, Korea Health Panel

      • 보건의료 분야 비정부조직의 활성화 방안

        최민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 세계적으로 비정부조직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가운데 1980년대 이후 우리 나라에서도 비정부조직이 급성장하고 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은 120여 개에 이른다. 이들은 대개 보건정책, 보건의료서비스, 의료교육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보건의료 발전을 위해 비정부조직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이들 조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건의료 분야의 비정부조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사례연구를 한 결과 크게 회원, 조직, 재정, 사업의 측면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재기되었다. 회원의 수가 적고 회원의 참여범위가 제한적이고, 조직의 규모가 적고 체계적이지 못하며 재정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자연히 그 조직의 본연의 목표달성을 위한 사업의 위축으로 연결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비정부조직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회원확보, 조직구조 개선, 재정확충과 사업활성화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회원의 확보를 위하여 시민들이 공감하는 사명, 비전과 목표의 설정, 회원으로 참여하는 시민들에 대한 참여동기 유발 방안 개발과 적절한 홍보가 필요하다. 조직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리더쉽의 확보와 사회저명인사의 참여 유도, 업무분장 체계화와 조직성원들에 대한 적절한 보상이 필요하다. 재정확보를 위해서는 회비의 확보, 후원금 조달 활성화와 기업 참여를 유도, 공공기금의 활용과 수익사업개발이 필요하다. 또,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기부금에 대한 세제상의 유인책을 비롯한 각종 제도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개발, 국제적 비정부조직 및 유사 비정부조직들간의 연대 구축, 종교계, 학계, 연구기관, 언론계와의 연계방안 마련과 시민들의 보건의료 관련 요구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구축 등이 필요하다. Since 1980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hereafter 'NGOs') are growing rapidly in Korea, and there are nearly 120 NGOs in health care. These NGOs are working on the problems of health care policy, health care support and health education for the vulnerable social groups like elderly, poor people, and handicappe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se NGOs' activities and their problems to be solved, and also to suggest some ways for activating those organizations on the assumption that their role is very important in national health promotion. By a couple of method including a questionnaire survey to 86 NGOs (30 NGOs responded) and another depth interview survey to 3 NGOs in health care, a few problems in current NGOs were identified in the phases of organization structure, financial aspect, and activities. Most NGOs have problems in that the number and scope of participation as members is too limited to achieve their objectives, and also the financial capacity is too small and make the NGOs' activities shrinking. Here are suggested some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ctivate the NGOs in health care. There are including increase and expansion of the participating members, improvements i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und raising methods, and so on.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ticipation, NGOs need to develope more socially persuadable mission, vision, and goals, and advertise them effectively. For more fund-raising, the number of member should be increased, more public funds and businessmen induced, and the national tax system reformed. To activate NGOs' programs, some attempts are needed to develop solidarities with international NGOs, religious, academic institutes, and media. And also it's desirable to make monitoring systems to follow up people's needs on the health care problems.

      • 오토캠핑장 관광동기가 만족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성별과 체류기간에 따른 조절효과

        최민석 부경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 오토캠핑장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관광목적지 선택에 있어서 관광객의 욕구와 내부적인 심리적인 요인에 해당하는 일상탈출, 휴식, 휴양 등 사회적 상호작용 등과 관광목적지에 대한 외부적인 상황이나 인식에 대한 매력성에 해당하는 접근성, 편리성, 환경성, 다양성 등 관광동기의 push-pull동기가 오토캠핑장의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만족과 삶의 질 관계를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개념인 오토캠핑장 관광동기, 만족, 삶의 질에 대한 기존 문헌들을 토대로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둘째 push-pull동기가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변수의 정의와 측정변수를 선정하고, 셋째 만족과 삶의 질 요인을 구체화시키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관광동기와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위의 관계에서 만족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통해 체류기간에 따른 조절효과와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오토캠핑장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을 통해 부산 인근의 밀양(3곳)과 김해(2곳), 양산(1곳) 지역의 오토캠핑객들을 대상으로 사이트가 50개 이상, 온라인/오프라인 예약이 가능한 오토캠핑장을 선정하여 오토캠핑 활동을 가장 많이 하는 봄, 여름, 가을의 계절성을 극복하기 위해 1차(여름) 2017년 6월 30일부터 7월 30일 까지, 2차(가을) 9월 1일부터 10월 29일까지 주말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으로 최종 379부를 가지고 SPSS 22.0와 AMOS 22.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집중 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측정하는 도구로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관측변수와 잠재변수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 오토캠핑장 이용 동기가 만족을 통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오토캠핑장의 동기(push동기, pull동기요인)는 만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토캠핑 활동의 만족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토캠핑장의 동기인 push요인과 pull요인이 만족과의 인과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결과, 부분적인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오토캠핑장의 동기인 push동기요인과 pull동기요인이 만족의 인과관계에서 체류기간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결과, 체류기간에 따라 부분적인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론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오토캠핑장의 체류기간을 1박2일과 2박3일간의 조절변수를 사용함으로서 지자체나 민간사업자들에게 오토캠핑장들이 발전적인 방안 모색과 마케팅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와 향후 진행될 연구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와, 둘째, 선행연구에서 push요인과 pull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있어 왔지만 오토캠핑에 적용시킨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오토캠핑의 관점에서 push요인과 pull요인을 접목하여 상호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첫째, 오토캠핑활동은 주로 가족단위로 참가하는 오토캠핑 참여자들에게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심리적인 즐거움뿐만 아니라 실용적 가치에 해당하는 어린이 편의시설과 참여자를 위한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특별한 이벤트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마케팅 방안을 수립해야 만족을 향상시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오토캠핑장 운영사업자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새로운 형태 시설의 오토캠핑장을 개발함에 있어서 실용적인 가치를 보다 더 느낄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시사점을 제안함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연구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선정이 부산 근교의 캠핑장 6곳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모집단의 대표성을 지적할 수 있다. 둘째, 오토캠핑의 이용객들은 크게 봄, 여름, 가을에 가족단위로 많은 캠핑활동을 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캠핑용품의 발달로 겨울에도 캠핑활동을 많이 하고 있으나 본 연구의 조사시점이 가을과 여름에 한정되었고, 봄(3월∼5월)과 겨울 계절에 조사를 하지 못한 점.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오토캠핑 이용객의 의사결정과정을 이해하고, 산업적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사업자가 운영하고 있는 오토캠핑장의 향후 마케팅 방안 및 개발방안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