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클로드 모네(Claude Monet)의 회화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최나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is being rapidly transformed to the times of regarding personality and diversity as important. As such, preference of contemporary consumers also becomes diversified. Modern fashion requires experimental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expressing unique and differentiated beauty by breaking away from impersonality oriented design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in 21c, importance of sensibility was emerged and as this was reflected in fashion market also, consumers wish to express artistic value and sensibility through their fashion. In order to satisfy needs of the consumers based on this current trend, graft with various fields such as fashion, painting, architecture and sculptor has been performed actively. Among graft with diversified fields, that with painting takes up its most part. Painting is utilized and analyzed as inspiration source of design. This is to keep pace with the current of the times by increasing creativity of fashion design and presenting possibility of design creativity having artistic value and creative sense by grafting with new field in order to express differentiated beauty and personality. Claude Monet is a painter who has high awareness and prominent preference among general public and his painting delivers sensible, unique sensibility. Therefore, as paintings of Monet are furnished with artistic value and popular appeal, such paintings are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applying to fashion design.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xpression possibility of more broad sense by deducing fashion design features from trait and expression technique of Monet and combining it with art and to create a creative modern fashion design that may express sensibility of consumers by using artistic value and popular appeal inspired by paintings of Monet. Combination of fashion with Monet painting is a work of containing sense and sensibility of Monet painting in fashion to be matched with demand of the consumers having high sense under the times of sensibility. Method of this study was progressed based on domestic, overseas literature relevant to impressionism and Monet painting, preceding study data, separate volume, fashion magazine, painting work, internet data. In order to analyze modern fashion design empirically, art works presented in domestic and overseas collections from 2000 F/W collection to 2015 F/W collection were utilized. As its result, 6 pieces of creative fashion design work applying Monet painting were manufactured. This study was developed based on the following contents. In chapter 1, objective, significance, method and conten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chapter 2, first, through literature survey of impressionism, its definition, concept, formation background were surveyed and its contents,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Second, life and art work world of C. Monet were surveyed and observed by classifying it into 3 times including Argenteuil, Vetheuil and Giverny depending on a place where Monet progressed his work. In addition, formativeness of Monet painting was explored by classifying it into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In chapter 3,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being represented by modern fashion design expression were deduced by expression of instantaneousness, color expression by impression, expression of atmosphere, juxtapositional mixture effect. And in order to perform empirical case study of modern fashion design applying Monet painting, a value of combining fashion with Monet painting was evaluated by classifying, analyzing Monet painting depending on fashion design features being deduced for the works of fashion designers applying Monet painting. For this objective, through the works represented in domestic, overseas collection during 2000-2015, it was analyzed as follows. In chapter 4, 6 pieces of modern fashion design work were manufactured by using Monet painting as motif and utilizing fashion design features deduced from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In chapter 5, conclusion, development possibility of modern fashion was presented by summarizing fashion design features deduced from Monet painting being analyzed as above and extending creative design R&D matching with rapidly changing current of the times and artistic value of Monet painting.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4 types of fashion design features were deduced as follows. First, instantaneousness among the features being represented in Monet painting is to capture a change of natural phenomenon instantaneously and make it as art work and its typical case is series and in this study, it was specialized as expression of instantaneousness. Second, based on painting features of emphasizing impression color by rejecting universal form or color of the target, fashion design features of color expression by impression was deduced. Third,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light change depending on flow of time and its atmospheric state was concluded as fashion design features. Fourth, in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including color, brushing division using fast brushing, numerous brushing touch and visual mixing mode that were represented as painting was required to be drawn by Monet within the shortest time possible, fashion design features called juxtapositional mixture effect expression was deduced. How 4 types of fashion design features deduced from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were represented in modern painting was analyzed as follows through the works presented in domestic, overseas collection during 2000-2015. First, expression of instantaneousness was represented as an image of being changed instantly due to movement of wearer and light reflection by using polishing material as if to remind light that was regarded to be important by Monet and additionally, instantaneousness was expressed through an image of pleats being transformed by movement of wearer while expressing decorative effect by using accordion pleats at the same time. Second, color based on impression was expressed by free-hand painting of impression received from Monet painting by using diversified colors or producing, printing image through computer graphic work. In many cases, work was progressed by receiving inspiration from painting based on topic of 'Water lily' series or flower among paintings of Monet. In one case, unique sensibility of Monet painting was expressed as it is by manufacturing an image almost similar to Monet painting as if to borrow its image and in other case, an image being felt from Monet painting was recomposed as painting and photo by analyzing it based on a sense of designer. In addition, a work designed by extracting a color typically used in a painting being inspired by overall color of painting could be observed. Third, an atmosphere giving an effect of screen was expressed by performing an embroidery on organza based on <Water Lily> series as motif and once more printing same image on thin and transparent material like tulle, organza, chiffon on top of printing material being overlapped on solid material or manufactured under inspiration of Monet painting. Through mutual overlapping and separating among printed materials depending on each movement, subdued and mysterious effect was represented. Fourth, juxtapositional mixture effect was expressed so that unevenness could be felt by developing textile that looks like dotting points by brush using color represented in Monet painting or overlapping narrow pleat decoration as if to express brush touch of Monet. This effect was represented through 3D sense of connecting or separately quilting small fabric, sequin, beads of several colors by closely arranging different colors rather than using mixed color. Based on fashion design features and advantage of Monet, 6 pieces of creative and artistic fashion design work that satisfies aesthetic needs of contemporary consumers were manufactured. As a result of this study, beyond a method of introducing Monet painting to dress as it is, a work of sense differentiated from modern view while maintaining sensibility of Monet was manufactured by adding diversified techniques to fashion design features being deduced from features and expression skill of Monet painting. Through this study, if sustaine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utilization possibility of Monet painting, it would be helpful for future desig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odern fashion. It is expected that in the subsequent study, a new development possibility would be emerged in fashion design field as diversified researches on fashion applying Monet painting would be actively performed in the future. 오늘날은 개성과 다양성을 중시하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만큼 현대 소비자들의 기호도 다양해지고 있다. 현대 패션은 몰개성적인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독특하고 차별화된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발전이 필요하다. 한편, 21세기는 감성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는 패션시장에도 반영되어 소비자들은 패션을 통해 예술적인 가치와 감성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패션과 회화, 건축, 조각 등 여러 가지 분야와의 접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분야와의 접목 가운데에서도 회화와의 접목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회화는 패션디자인의 영감의 원천으로 활용되고 재해석 된다. 이는 차별화 된 아름다움과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분야와의 접목으로 패션디자인의 창의성을 높이고 예술성과 독창적인 감각을 지닌 디자인 창작의 가능성을 제시 하여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도록 한다. 클로드 모네는 대중들에게 높은 인지도가 있으며, 선호도가 두드러지는 화가로서 그의 회화는 감각적이고 특유의 감성을 전달한다. 따라서 모네 회화는 예술성과 대중성을 두루 갖추고 있어 패션디자인에 응용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는 클로드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에서 패션디자인 특성을 도출하고 동시에 이를 응용하여 패션과 예술의 결합으로 보다 넓은 의미의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 클로드 모네 회화가 주는 예술성과 대중성을 이용해 소비자들의 감성을 표현할 수 있는 있는 현대적인 시각의 독창적인 패션디자인을 창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패션과 클로드 모네 회화의 결합은 감성 시대에 고감각을 지닌 소비자의 수요에 맞게 클로드 모네 회화가 주는 감각과 감성을 패션에 담아내는 작업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인상주의와 클로드 모네 회화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 선행 연구 자료, 단행본, 패션 잡지, 회화 작품,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현대 패션디자인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2000년 F/W 컬렉션부터 2015년 F/W 컬렉션까지 국·내외 컬렉션에 발표된 작품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클로드 모네 회화를 응용한 독창적인 패션디자인 작품 6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전개 되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연구 방법과 내용에 대해 논하였다. 2장에서는 첫째, 인상주의의 문헌 조사를 통해 인상주의의 정의와 개념, 형성배경을 조사하고, 인상주의 회화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클로드 모네의 생애와 작품세계를 조사하고, 모네가 머무르며 작품을 진행했던 장소에 따라 아르장퇴유(Argenteuil), 베퇴유(Vétheuil), 지베르니(Giverny)의 세 시기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클로드 모네 회화가 가지고 있는 특성 및 표현기법을 특성과 표현기법으로 분류하여 클로드 모네 회화의 조형성을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클로드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이 현대 패션디자인으로 표현됨에 있어 나타나는 특성을 순간성의 표현, 인상에 따른 색채 표현, 대기의 표현, 병치혼합의 효과 표현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클로드 모네 회화를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실증 사례분석을 위하여 클로드 모네 회화를 응용한 패션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위에서 도출한 패션디자인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함으로써 패션과 클로드 모네 회화의 결합에 대한 가치를 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2015년 국·내외 컬렉션에 나타난 작품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클로드 모네의 회화를 모티프로 사용하고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에서 도출한 패션디자인 특성을 활용하여 현대 패션디자인 작품 6점을 제작하였다. 5장 결론에서는 위와 같이 분석한 클로드 모네 회화에서 도출한 패션디자인 특성을 정리하고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맞는 독창적인 디자인 연구 및 개발과 클로드 모네 회화의 예술성을 확장하여 이를 응용한 현대 패션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클로드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네 가지 패션디자인 특성이 도출되었다. 첫째, 클로드 모네 회화에서 나타나는 특성 중 순간성은 자연현상의 변화를 순간적으로 포착하여 작품화 한 것으로 연작 시리즈가 대표적인 예이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순간성의 표현으로 특성화 하였다. 둘째, 대상의 상식적 형태나 색채를 거부하고 인상에 따른 색채를 중요시 한 회화의 특성에 기초하여 인상에 따른 색채 표현이라는 패션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셋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변화와 그에 따른 대기의 상태를 표현한 특징은 대기의 표현이라는 패션디자인 특성으로 귀결했다. 넷째, 클로드 모네 회화의 표현기법에서는 모네가 최대한 짧은 시간 내에 그림을 그려야 했기 때문에 나타난 모네의 빠른 붓놀림과 무수한 붓 터치, 시각적 혼합 방식을 이용한 색채분할 또는 필촉분할이라고 하는 회화적 기법에서 병치혼합의 효과 표현이라는 패션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클로드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에서 도출한 네 가지 패션디자인 특성이 현대 패션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2000년~2015년 국·내외 컬렉션에 발표된 패션 디자이너들 작품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순간성의 표현은 모네가 중요시 했던 빛을 상기시키듯 광택이 나는 소재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움직임과 빛에 따른 반사로 인해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으로 나타냈고 또한, 아코디언 플리츠를 사용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내는 동시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플리츠가 변형하는 모습을 통하여 순간성을 표현했다. 둘째, 인상에 따른 색채 표현은 모네 회화에서 받은 인상을 다양한 색상을 사용해 프리 핸드 페인팅 하거나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통해 이미지를 제작하고 프린팅하여 표현하였다. 모네의 회화 중 <수련>연작이나 꽃을 주제로 한 회화에서 영감을 받아 진행한 사례가 다수였다. 모네 회화의 이미지를 차용한 듯 모네 회화와 거의 유사한 이미지를 제작하여 모네 회화가 가진 독특한 감성을 그대로 표현한 사례와 모네 회화에서 느낀 인상을 디자이너의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그림 및 사진으로 재구성한 사례가 있었다. 또한 회화의 전체적인 색채에서 영감을 받아 회화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한 색상을 추출하여 디자인한 작품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대기의 표현은 오간자 위에 <수련>연작을 모티프로 삼아 자수를 놓고 솔리드 소재 위에 겹치거나 모네 회화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프린팅 소재 위에 한 번 더 동일한 이미지를 튤, 오간자, 시폰 등의 얇고 투명한 소재에 프린팅하여 중첩시켜 스크린과 같은 효과를 주어 표현하였다. 움직임에 따라 프린팅 된 소재끼리 서로 겹쳐지고 분리되며 은은하고 신비로운 효과를 냈다. 넷째, 병치혼합의 효과 표현은 모네 회화에서 나타난 색채를 사용하여 붓으로 점을 찍은 것처럼 보이는 텍스타일을 개발하거나 모네의 붓 터치를 표현 한듯 좁은 폭의 주름 장식을 겹쳐 요철이 느껴지도록 표현하였다. 색을 혼합해서 사용하기보다 각기 다른 색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여 여러 가지 색상의 작은 원단이나, 시퀸, 비즈 등을 이어 붙이거나, 따로 모양을 내서 누비는 등 입체감을 통한 병치 혼합의 효과를 나타냈다. 클로드 모네 회화에서 도출한 패션디자인 특성과 모네 회화의 장점을 바탕으로 오늘날 소비자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독창적이고 예술적인 패션디자인 작품 6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 클로드 모네의 회화를 그대로 의상에 도입하는 방법에서 더 나아가 모네 회화의 특성 및 표현기법에서 도출한 패션디자인 특성에 다양한 기법을 가미하여 클로드 모네가 주는 감성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시각과 차별화된 감각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클로드 모네 회화의 활용 가능성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인다면 향후 디자인연구 및 현대 패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후속 연구에서 클로드 모네 회화를 응용한 패션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앞으로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새로운 발전 가능성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추상미술의 구조적 특성을 응용한 금속 조형 연구 : 결합 구조를 중심으로

        최나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형태는 우리들 주변에 늘 있고, 우리는 어려서부터 그 형태를 보아오면서 자란다. 그리고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유아시절부터 조형활동을 한다. 조형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형태를 어떻게 지각하고 표현하느냐에 따라 표현 수단이 달라지게 되며, 형태는 예술가의 심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현대 미술에서는 장르의 와해와 함께 추상적인 형태를 취하는 경향이 강하며, 추상미술은 기하학적인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발전되어 왔다. 추상미술은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현실의 사물을 묘사의 대상으로 하지 않는 주관적 순수 구성을 표시하는 미술이며, 추상이라는 관념은 큐비즘에서 체계화되어 절대주의, 데 스틸을 거쳐 미니멀리즘에 이르기까지 미술뿐만 아니라 전 예술분야에 영향을 주었다. 기하학적 추상미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하학적 형태를 구성하는 조형요소의 본질과 내재적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조형요소를 선·면·입체의 경우로 나누어 형태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해 봄으로써 한 걸음 더 기하학적 추상으로의 접근을 시도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작품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형요소의 구성 방법을 통해 그 결합 구조를 응용하여 금속으로 형상화하였으며, 조형의 기본 요소인 선·면·입체를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구조로 작업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기 위해 퍼즐이나 블록 쌓기와 같이 조립이 가능한 장난감을 모티브로 하여 작업을 하였으며, 작업 방법으로는 수직·수평 구조를 이용한 공간구성, 단위형태를 이용한 결합·끼우기 구조, 그리고 육면체의 분할을 통한 조합의 방법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단위형태간의 접합 부분은 요철과 자석을 이용하여 합체와 분리가 가능하게 하여 가변성이 있는 조형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람자가 직접 조립해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주로 사용한 재료는 92.5%5 은(92.5% Silver)과 동(Copper), 황동(Brass), 우레탄 튜브(Urethane Tube), 아크릴수지(Acrylic Resin)이며, 주된 표현기법으로는 각(角)접기(Scoring)와 땜(Soldering), 콜드 조인트(Cold Joint)를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절제된 형태를 얻을 수 있었다. 이렇듯 조형요소의 본질을 파악하여 그 요소들의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조립이 가능한 형태를 만들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관람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작품이 될 수 있었으며, 본인의 앞으로의 작업 방향에도 밑바탕이 되어 금속공예의 조형적인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 Shapes are everywhere around us. Growing up surrounded by shapes, we naturally become engaged in shaping activities from our young years - with or without consciousness. In the shaping activities, how you recognize and express certain shapes determines the method of expression, and shape is an important element for an artist to express his/her mental image in sophisticated detail. Modern art shows strong tendencies for abstractness and blurring of genres. Abstract art, which has developed on geometric shapes, is about expressing subjective and pure structures rather than describing visible and realistic objects. The concept of abstractness itself originated from cubism and influenced all sectors of art ranging from absolutism to de Stijl and to minimalism. Understanding essence and intrinsic values of shape factors that form geometric shapes is the most essential for understanding geometric abstract art. In the same sense, studying formation of shapes with elements of line, face, and body will bring us a step closer to better understanding geometric abstractness. This paper, in this regard, materialized the application of joint structures of the aforementioned formation of shapes using metal. It further focused on geometric structures, using the basic elements of shape line, face, and body. In search of such structures, assemblage toys, i.e. puzzles and block building, were used as motif, while horizontal & vertical structuring, unit combination & fixing structuring, and hexahedral division structuring were mainly used. In addition, concavo-convex blocks and magnet were used at joints of unit shapes for alterability of shape structures (enabling separation and combination), which offers visitors a chance to actually assemble the shape and better appreciate the work. Major materials used are silver (92.5%), copper, brass, urethane tube, and acrylic resin. As for expression methods, scoring, soldering, and cold joints were mainly used to express a sense of moderation of geometric shapes. This study introduce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shape elements and using their combination styles to assemble shapes, which invites visitors to directly participate in appreciation of the work. I sincerely wish that this study provides a firm basis for my future career of work, seeking possibilities for formative art in metal craft.

      • 긍정심리기반 치료적 노래중심 활동이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최나리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긍정심리기반 치료적 노래중심 활동이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K구와 Y구의 사회복귀시설의 정신장애인 60명이었다. 이 중 30명은 실험집단이고, 나머지 30명은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치되었다. 긍정심리기반 치료적 노래중심 활동은 회기 당 80분씩 총 10회기 동안 시행되었으며 참여자들은 사전-사후 검사를 위해 프로그램 시행 전에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척도지를 작성하였고 10회기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같은 방법으로 척도지를 작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for windows 21 프로그램의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 .05).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행복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 .05). 따라서 긍정심리기반 치료적 노래중심 활동이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ng-focused therapeutic activit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self-esteem and feeling of happines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An object of this study is sixty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sided i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of K-gu and Y-gu, Seoul. Thirty people of them wer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were control group who were random assignment. The song-focused therapeutic activity which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was implemented ten times that was eighty minutes in each sess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pretest and posttest,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s to the self-esteem and feeling of happiness before implementing the program and to complete the same questionnaire again. For analysis of data, independent T-test of SPSS for windows 21 program was used. The result showed that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therapeutic song-oriented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increased meaningfully than control group (p< .05). Furthermore feeling of happi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took part in the program grew meaningfully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p< .05). As a result, the song-focused therapeutic activit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has a positive effect to self-esteem and feeling of happiness of mentally disabled people.

      •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 일치성이 기업 브랜드 충성도와 제품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최나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대부분의 기업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기업 브랜드와 제품 브랜드를 소비자에게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속에서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이 일치할수록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위해 2회의 사전조사 후, 10~50대 남녀 476명으로부터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의 일치성이 기업 브랜드 충성도와 제품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따른 실증분석 결과 첫째,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이 일치할수록 기업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브랜드 개성의 일치성은 기업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의 일치성은 제품 브랜드 충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 브랜드 충성도는 제품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기업 브랜드 충성도와 제품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함에 있어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이 꼭 일치할 필요는 없음을 시사한다. 이는 기업 브랜드 개성과 제품 브랜드 개성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나 요구가 상이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기업 브랜드 충성도는 제품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므로 기업 브랜드와 제품 브랜드를 별도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보다는 기업 브랜드와 제품 브랜드의 보증관계를 적절하게 강화한 커뮤니케이션이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을 위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effect of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between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on corporate brand loyalty and product brand loyalty Choi, Nari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communication are widely used marketing tools for almost every company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research that the congruence between corporate brand personality and product brand personality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customers’ brand loyalty. To verify the hypothesis, it was conducted that the survey about relationship between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and loyalty to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after two pre-studies. Total participants of the survey are 476 men and women, from the teens to the fiftie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test a series of hypothesis.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not supported that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between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corporate brand loyalty. Second, it is not supported that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between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duct brand loyalty. Lastly, it is supported that corporate brand loyalty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duct brand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between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strengthen corporate brand loyalty and product brand loyalty. It means that customers’ expectation and needs on corporate brand personality would be different from product brand persona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ider brand endorsement of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in customer communication than separate communication of corporate brand and product brand since it is identified that corporate brand loyal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duct brand loyalty. Keyword :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Corporate Brand Loyalty, Product Brand Loyalty

      • 창업자 특성에 따른 사업기회 발견에 관한 연구

        최나리 慶南科學技術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ounder having knowledge on detecting firn opportunity and analyzed how the founder detects such opportunity using what process. I used people who have found and established a company on own as a surver sample. SPSS V.18.0 program was used for the computerized analysis. The result is like the following. First, It's found that most founders had business motivation before the establishment and used skills and knowhow from related area of business for their business establishment that led to the comparably safe business. Second, founders were highly motivated in advance of business establishment and it is found that their chance of establishment was not from the coincidence. Third, it is also found that people who had pre-education on business establishment was very on purpose and those who had not had any education had a high chance of coincidence in the establishment. Fourth, it is found that higher the desire for the business achievement, more likely that the founder's business establishment was on plan. Fifth, it is found that higher the awareness of business opportunity and vision, more likely that the founder's business establishment was on plan.

      •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의 계량서지학적 접근

        최나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erm of Knowledge Management which was first used by a European management conference with a theme of management of knowledge( perspectives of a new opportunity) in 1986 appeared to obtain the maximum effect of knowledge accumulated for business management. Then, it has become a main key word which is diversly applied for practical studies as well as business. However, a library is a field of producing and using knowledge contents based on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has established its academic area and theoretical base as a science closely related to social atmosphere.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quantitatively analyse the current status of studies on knowledge management as a main key word of the 21st century in academic atmosphere, and based on the result, to develop a knowledge management road map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r the purposes, this research analysed research papers on knowledge management using KnowledgeMatrix, a software of Scientometrics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targeting five journals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Society, Korea Library·Journal of Information Society, Journal of KLISS, and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research on knowledge management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using KnowledgeMatrix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appeared first in the five jour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1990, which was a 'knowledge expression in a knowledge-based system' presented by Jeong, Yong-Mi, a researcher of Yonsei University in the journal of KLISS. Research on knowledge management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since 1998 and 20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2002. It is annually consistent until June 30, 2012, but is gradually decreasing. Second, the number of authors of research papers to be analysed were 121 regardless of main authors or co-authors, and 41 papers were published in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Society followed by 22 in Korea Library·Journal of Information Society and Journal of KLISS, 17 in Information Management Research and 14 in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rd, the networks of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er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line-type, round-type, mesh-type and complex-type. Fourth, central researchers in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were Chang, Woo-Kwon, Kim Hyon-Hee, No, Jeong-Ran, Kim Seong-Hee, Lee, Hong-Jae and Choi, Hee-Yun who corresponded to 5% of top researchers, and their research networks were complex-type and line-type. Fifth, the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ers belonged to 62 institutes, 18 had no networks and 14 had line-type network research conducted. 30 institutes remaine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had complex-type network research conducted. Sixth, central institutes of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were Jungang University, Myongji University and KISTI which were ranked 5% of top institutes in our country based on the number of institutes whose authors were confirmed. Seventh, the number of key words to be analysed in this study were a total of 407. 23 appeared more than three times and 22 were connected in a network. Eighth, central key words of the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were ‘knowledge management,’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high concentration and density and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eveloped a knowledge management road map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86년 유럽경영컨퍼런스가 ‘지식경영: 새로운 기회의 전망(management of knowledge: perspectives of a new opportunity)’을 주제로 채택하면서 처음 사용되기 시작한 ‘지식경영’이라는 용어는 축적된 지식을 기업의 경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고자 등장하였다. 그리고 반세기도 지나지 않아 기업에서부터 실용학문까지 다양하게 응용되는 주요 키워드로 자리하였다. 한편 도서관은 지식경영을 기반으로 한 지식콘텐츠의 생산과 활용의 장이며 이를 연구하는 사회현장과 밀접한 학문인 문헌정보학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지속하며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연구영역과 이론을 형성해 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의 학문과 현장에서 21세기의 주요 키워드인 지식경영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헌정보학 지식경영로드맵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 5개 학술지(정보관리연구,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개발한 계량정보분석 소프트웨어인 KnowledgeMatrix 를 이용하여 지식경영 관련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KnowledgeMatrix를 이용하여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를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학 분야 5개 학술지에 처음 지식경영 관련 연구가 등장한 것은 1990년으로 한국 정보관리학회지에 발표한 연세대학교 정영미 연구자의 ‘문헌정보학 영역 지식기반시스템에서의 지식표현’이다. 이후 1998년부터 다시 지식경영 연구가 나타나 꾸준한 연구가 지속되면서 2002년에는 20건의 가장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2012년 6월 30일까지의 연도별 연구 추이는 지속적이나 점차 줄어들고 있다. 둘째, 분석 대상 논문의 저자는 주저자와 공동저자를 구분하지 않고 카운트하였을 때 121명으로 집계되었으며 학회지 논문 발표는 정보관리학회지가 41편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와 한국문헌정보학회지가 22편으로 뒤를 이었으며 정보관리연구 17편,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4편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자 네트워크는 라인형, 원형, 메시형 그리고 위 세 유형이 복합적으로 연결된 복합형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넷째,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의 핵심 연구자는 논문 발표 수를 기준으로 상위 5%에 해당하는 장우권, 김현희, 노정란, 김성희, 이홍재, 최희윤으로 이들의 연구 네트워크는 복합형과 라인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의 연구자 소속기관은 62곳이었으며 네트워크가 없이 단독 소속기관으로 나타난 곳이 18곳, 라인형 네트워크 연구가 진행된 소속기관이 14곳 이었다. 나머지 30곳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져 복합형 네트워크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의 핵심 소속기관은 저자가 확인된 기관의 수를 기준으로 상위 5%에 해당하는 중앙대학교, 명지대학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다. 일곱째, 이 연구에 나타난 분석 대상 키워드는 총 407개이다. 3회 이상 출현한 키워드는 23개였으며 그 중 22개의 키워드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있었다. 여덟째, 문헌정보학 분야 지식경영 연구의 핵심키워드는 중심도와 밀도가 높은 4개의 키워드로 ‘지식경영’, ‘지식경영시스템’, ‘지식공유’, ‘지식관리시스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지식경영 로드맵을 구축하였다.

      • 자살관련 요인 연구에서의 시계열 분석 적용

        최나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어 심각한 사회현상으로 대두된 지 오래이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자살의 위험인자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해결방안 모색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수많은 연구의 진행에 있어 적절한 통계분석의 활용이 중요하다 생각된다. 본 연구는 자살관련요인 연구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분석방법을 소개하고 실제 자료에 적용하고자한다. 방법 : 본 연구는 자살관련요인 중 고도, 베르테르효과, 계절성에 대하여 분석할 경우, 적절한 통계적 분석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고도와 자살률의 관련성에 대하여 분석할 때, 일반적으로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구정보를 이용하여 직접표준화한 자살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명인의 자살효과에 대하여 분석할 경우, SARIMA모형을 이용하여 모형을 식별한 후 개입모형을 구축하여 최종모형을 얻는다. 최종모형에서 개입효과의 추정치로부터 유명인 자살의 영향을 판단한다. 자살의 계절성에 대하여 분석할 경우, AUTOREG procedure를 이용한 Yule-Walker 추정법으로 가변수로 정의된 각 달을 독립변수로 고려한 시계열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 고도와 보정된 자살률의 상관분석 결과, 우리나라 전체의 자살률과 고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광역시에서 고도와 자살률의 상관관계가 없었다. 유명인 3명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베르테르 효과의 유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두 계절효과와 추세가 존재하였으나 각각 선택된 모형이 달랐으며 각 유명인 자살이 미치는 효과 또한 달랐다. 우리나라의 지난 19년 동안의 월별 자살률은 매년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겨울의 자살률은 낮으며 자살률이 5월까지 점차 증가하여 그 이후 다시 감소하였다. 결론 :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고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유명인의 자살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개인별로 달랐으며, 그 효과의 강도 뿐 아니라 영향의 패턴도 다양했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5월에 가장 높았다. 또한 자살률이 겨울에 낮고, 늦봄과 초여름에 높았으며 이는 이전 외국의 여러 연구와 다르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나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역할을 확인하고,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정서조절곤란 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통해 자기개념 명확성의 수준에 따라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사회적 위축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중학교 1~3학년 남, 여 학생 424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정서조절곤란, 자기개념 명확성, 사회적 위축을 측정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과 The Process Macro for SPSS 3.5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초기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 사회적 위축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정서조절곤란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개념 명확성이 높은 집단 보다는 낮은 집단에서만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정서조절곤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개념 명확성의 수준이 높은 집단 보다는 낮은 집단에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초기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을 통하여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을 중재하기 위해서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 뿐만 아니라 청소년의 자기개념 명확성, 정서조절곤란을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을 초기에 중재하기 위한 부모교육 및 사회적 위축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 상담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조선후기 향발무 연행의 변천 양상 연구

        최나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악학궤범』에 나와 있는 향발무를 기준으로 『악학궤범홀기』,『통명전진찬시의주창사회무도』,『정재무도홀기』와진연, 진찬『의궤』의 자료들을 시기별로 정리하고, 후기의 향발무 변천 양상 및 특징을 춤 절차, 반주음악, 복식으로 나누어 파악한 연구이다. 향발무의 첫 기록은 『악학궤범』에 권5와 「시용향악정재도의」에 나타나 처음 출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악학궤범』권2에는 각종 연향이 행해진 공간과 시기를 짐작해 볼 수 있다. 향발무는 일반적인 향악정재의 정의와는 다르게, 반주음악은 당악인 <보허자령>을 연주하고, 당악정재인 오양선(五羊仙)의 한문으로된 창사 <벽연농효사>를 부르는 등, 기존의 향악정재와는 다른 틀의 연행적 특징을 보였다. 조선후기에 나타난 향발무의 춤 무보를『악학궤범홀기』,『통명전진찬시의주창사회무도』,『정재무도홀기』를 차례대로 나열하여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면, 『악학궤범』과 『악학궤범홀기』의 변화는 거의 일치하였다. 무보의 형식으로 보아 『악학궤범』의 무보는 춤의 진행 과정이 상세하게 나와 있는 반면 『악학궤범홀기』는 간략하게 정리되어 나타나 있다. 반주음악은 『통명전진찬시 회무도』의 무보에서 향발무 반주음악이 <향당교주>로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정조조부터 고종조까지 진연, 진찬 『의궤』를 통해서 <보허자령>, <여민랑령>, <향당교주>가 사용되어 왔다. 향발무 복식은 여령복식, 무동복식으로 나누어 변화된 특징을 살펴보았다. 초기의 향발무의 복식은 『악학궤범』 권2에 설명되어 있다. 이때 향발무는 어린 여기가 춤추었으며, 동기 의상을 착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후기에서는 여령과 무동이 내연과 외연에서 춤추어졌다. 향발무 복식은 진연, 진찬 『의궤』에 의주와 공령조에 기록되어있으며, 복식 복원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후기에 연행된 향발무의 기록들을 조선전기와 비교해 변천 양상을 이해하고, 정립함으로써 후학의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통춤으로서의 향발무의 전형 파악 및 현대적 활용과 재창조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by period the data shown on ‘Akhakgyuebeom Holgi’, ‘Tongmyeongjeonjinchansiui- juchngsahoimudo’, ‘Jeongjaemudoholgi’, Jinyeon and Jinchan ‘Euigyeu’ centering around those of Hangbalmu shown on ‘Akhakgyuebeom’, and thereupon, examine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Hyangbalmu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y dividing them into dance procedures, accompaniment music and costume. The first record about Hyangbalmu was shown in Vol. 5 of ‘Akhakgyuebeom’ and ‘Siyonghyangakjeongjaedoui’. Vol. 2 of ‘Akhakgyuebeom’ suggests the space and time of various court banquets. Unlike the general definitions of Hyangakjeongjae, Hyangbalmu’s accompaniment music was the Tang music ‘Boheojaryeong’, while the singer sang ‘Byeokyeonnonghyosa’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f the Tangakjeongjae ‘Oyangseon’, featuring a performance characterisitc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Hyangakjeongjae.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dance scores of Hyangbalmu by referring to ‘Akhakgyuebeomholgi’, ‘Tongmyeongjeonjinchansiui- juchangsamudo’ and ‘Jeongjaemudoholgi’ in their order, it was found that the changes on ‘Akhakgyuebeom’ almost corresponded to those of ‘Akhakgyuebeomholgi’. In terms of the forms of the dance score, however, those of ‘Akhakgyuebeom’ shows the process of dance in detail, while those of ‘Akhakgyuebeomholgi’ arrange them briefly. In terms of the accompaniment music, that of Hyangbalmu in the score of ‘Tongmyeongjeonjinchansi hoimudo’ was changed into ‘Hyangdanggyoju’. For the period from King Jeongjo to King Gojong, ‘Boheojaryeong’, ‘Yeominjaryeong’ and ‘Hyangdanggyoju’ were used according to court banquet and service ‘Euigue’. The researcher reviewed the changes of the Hyangbalmu costume, focusing on girl and child dancer costumes. The earlier Hyangbalmu costume is described in Vol. 2 of ‘Akhakgyuebeom’. At that time, Hyangbalmu was performed by the young girl dancers dressed in children dancer’s costume. During the late period, girl dancers and child dancers performed for inside and outside banquets. The Hyangbalmu costume is recorded in court banquet and service ‘Euigyue’, particularly in its Euiju and Gongryeongjo, which are important sources of data for restoration of the court dance costume. This study was aimed at helping understand the changes of Hyangbalmu perform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comparison with that performed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o provide for some basic data for the follow-up studie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conduce to understanding of the forms of Hyanbalmu as a traditional dance as well as its contemporary applications and re-cre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