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언택트 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어려움 극복에 관한 질적 연구

        천인순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언택트 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어려움 극복에 관한 질적 연구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천인순 지도교수 박기영 본 연구의 목적은 언택트 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탐색해보고, 자기주도학습을 하면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지, 이를 어떻게 극복하고자 하였는지를 질적 연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언택트 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은 자기주도학습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언택트 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은 자기주도학습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언택트 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은 자기주도학습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고자 하였는가?이다. 연구대상자는 학생참여자 11명을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참여자 11명을 선정하여 2021년 1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사전 동의를 얻는 절차를 거쳐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Creswell의 다중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학생참여자의 심층면담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사례 내 주제로 총 84의 의미 있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84개의 주제를 19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고 이를 다시 7개의 상위범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교사참여자의 심층면담한 내용 중에 의미있는 자료는 논의 부분에 학생참여자의 면담 자료를 뒷받침하기 위한 보충자료로 활용하였다. 학생참여자를 중심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택트 교육환경에서 학생참여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인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 도출된 상위범주는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으로 분류되었다. ‘긍정적 인식’의 하위범주는 ‘스스로 하는 학습’, ‘부족한 것을 노력하여 채우는 반복학습’, ‘성취감을 통한 자기효능감 발견학습’ 등으로 분류되었고, ‘부정적 인식’의 하위범주는 ‘부담되는 학습’, ‘자신없는 자기주도학습’ 등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언택트 교육환경에서 학생참여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어려움의 내용에 대해 분석한 결과, 도출된 상위범주는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환경적 요인’의 하위범주는 ‘가정학습 분위기 조성의 어려움’, ‘혼자있는 시간의 증가로 인한 어려움’, ‘비대면 환경의 한계’, ‘도움이 필요한 학습’ 등으로 분류되었고, ‘심리적 요인’의 하위범주는 ‘놀고 싶다는 유혹’, ‘비대면 환경에의 학습 흥미 및 집중력 저하’ 등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언택트 교육환경에서 학생참여자들의 자기주도학습 어려움 극복에 대해 분석한 결과, 도출된 상위범주는 ‘적극적 대처’, ‘내부적 요인’, ‘외부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적극적 대처’의 하위범주는 ‘마인드컨트롤’, ‘학습방식과 태도의 변화’, ‘환경적 조절 및 변화모색’, ‘정서변화 노력’ 등으로 분류되었고, ‘내부적 요인’의 하위범주는 ‘생각의 전환’, ‘성취감과 성장 체험’ 등으로 분류되었고, ‘외부적 요인’의 하위범주는 ‘타인의 도움으로 극복’, ‘학습 후 보상기대’ 등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연구의 결론을 내렸다. 첫째, 언택트 교육환경에서 초등학생들은 자기주도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학생들은 기본적으로 학습 능력과 학습 습관이 형성되어 있었고, 자기효능감이 높고 스스로 학습에 만족해 하는 특징이 있었다. 반면에 부정적 인식을 가진 학생들은 꾸준한 수행이 어렵고 심리적으로 부담을 느끼고 원격 수업에서 긴장을 하였으며,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기초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학습 방법에 대해 미숙함을 보였다. 둘째, 언택트 교육환경으로 전환되면서 학생들은 환경적, 심리적으로 다양한 어려움을 겪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교사의 적절한 피드백이 요구되며, 학습 의욕이 낮은 학생들에게는 내적 동기유발 요소가 투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온라인 학습의 재미 요소와 즐거움의 요소 등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컨텐츠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셋째, 학생들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을 이미 가지고 있거나 새롭게 찾는 등의 적극적이면서도 유연한 사고의 전환으로 자기효능감이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인터넷 게임 동호인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어려움을 대처한 것은 요즘 세대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를 더 강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성공완수를 통한 성취감과 어려움이 있을 때 언제든지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겠다. 하지만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해 힘들어하는 학생들이 있었다. 이러한 학생들이 교육과정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자기주도학습 모형을 제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 결과가 자기주도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과 추후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 시대 예견에 따른 미래사회에서 핵심역량인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중독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천인순 남서울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중독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고령사회에 접어든 우리나라의 미래 생활체육의 활발한 활성화를 통해 건강증진도모 및 여가활동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5년 현재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소재 배드민턴 클럽에 소속된 동호인 중 주1회 이상 지속적으로 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대상을 모집단으로 실시하였고, 청․장년층 20~70대까지 비확률 표본추출로 398명을 추출하였고, 클럽회장을 통하여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한 후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설문내용이 누락되어 표본으로써 의미가 없는 설문을 제외 한 후 분석하였다. 조사자료는 SPSS for Win Versio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를 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값을 산출하였고,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였다. 집단 간의 평균차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차이가 있을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운동중독에 따른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연구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나타난 성별, 연령, 참여기간, 운동빈도, 운동급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운동강도에 따른 운동중독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배드민턴 동호인들의 여가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 연령, 참여기간, 운동빈도, 운동급수, 운동강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운동중독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운동중독과 여가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는 독립변수인 운동중독의 하위변위인 금단증세, 내성, 애착, 갈등과 여가만족도의 하위변위인 사회적 만족, 정서적 만족,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 교육적 만족과의 변수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중독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운동중독의 하위변인이 여가만족도 하위변인인 사회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금단증세, 내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애착, 갈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서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금단증세, 내성, 애착, 갈등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금단증세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내성, 애착, 갈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환경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내성, 갈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금단증세, 애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금단증세, 내성, 갈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애착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o test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nd was used to Duncan with post hoc tests. (e)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to test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and (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test the effect of exercise addiction on leisure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level was p = .05 for all the statistical analyses in this study. In accordance with these methods and procedure, the conclusion of data analy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ercise addition is significantly related to exercise intensity but non-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age, participation period, exercise frequency, and exercise grade. Second, leisure satisfaction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gender, age, participation period, exercise frequency, exercise grade, and exercise intensity. Third, the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dimensions of exercise addiction(e.g. abstinence symptom, tolerance, attachment, conflict) and the dimensions of leisure satisfaction(e.g., social satisfaction, emotion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a) that the effects of  abstinence symptom and tolerance on social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whereas those of attachment and conflict were significant, (b) that the effects of  abstinence symptom, tolerance, attachment, and conflict on emotional satisfaction were all not significant, (c) that the effect of abstinence symptom on physical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 whereas those of tolerance, attachment, and conflict were significant, (d) that the effects of tolerance and conflict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whereas those of abstinence symptom and attachment were significant, and (e) the effects of  abstinence symptom, tolerance, and confli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whereas that of attachment was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