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唐代 안관음보살 도상 연구

        정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is an Esoteric Buddhism Bodhisattva known for saving humankind with its unique form, as depicted in iconography. Existing research on this bodhisattva has often focused on regional or period-specific aspects. In Japan, for example, many have been studied as instances of Transformed Avalokitesvara, and recent research has delved into individual artifacts. In this context, Chinese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research requires a new perspective study through specific classification of artifacts.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iconography of the Tang Dynasty in China, categorizing artifacts into distinct types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he analysis extends to characteristic expressions observed in the Tang Dynasty and later periods.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s the iconography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artifacts produced in Korea. The many faces and arms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were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Esoteric Buddhism, drawing from Hinduism. Initially,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was created, paving the way for the complete form of a Bodhisattva with numerous faces and arms in the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This Chinese Bodhisattva was venerated around Changan in the mid-to-late 7th century. However, owing to the influence of the Buddhist Persecutions in China, active creation centers shifted to Esoteric Buddhism areas such as Sichuan and Tunhuang. This paper conducts an analysis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artifacts, classifying them into three types: A, B, and C. Type A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features several large hands and numerous small hands. Type B is characterized by an icon with 40 large hands, while Type C includes 40 large hands, a halo made up of small hands, and several families, including 28 families. Each type reflects the influence of specific scriptures and incorporates characteristics from previous iconography. Type A is found in the Changan and Sichuan regions, while Type B was produced in Sichuan and Tunhuang. Types A and B seem to represent early expression methods when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first flowed into China and began to be created. Type C appears to have been formalized as the most prevalent style during the Tang Dynasty, influencing subsequent generations. Even after the Tang Dynasty, it also follows Type C. However, there are changes that emphasize a thousand hands or 11 faces, as well as the relics become huge. In Korea, despite the popularity of the '千手經' there are fewer artifacts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Rather than creating a new heterogeneous shape, it appears that the character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was added to existing icons. In China, a common form of voyeurism was also made into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The Korean paintings of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hav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Moon Avalokiteshvara, supporting the opinion.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with its Esoteric Buddhism character, gained prominence during the Tang Dynasty and continued to be created steadily after the Song Dynasty. Beyond the character of Avalokitesvara, its many faces and arms facilitate visual expression of believers' aspirations. The C-type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evolved after the Tang Dynasty, becoming popular and spreading to East Asia, where it became an object of faith in various countries. Building upon prior studies,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ang Dynasty's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iconography, presenting new possibilities for East Asian research on Thousand-armed and Thousand-eyed Avalokitesvara. 千手千眼觀音菩薩은 천 개의 손과 천 개의 눈으로 중생을 구제하는 밀교계 보살로 도상에서 그 성격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천수관음 연구는 지역별 혹은 시기별 양상에 집중하여 중국의 천수관음을 포괄적으로 살폈다. 일본에서는 변화관음의 한 작례로 다룬 예가 다수이며, 최근에는 개별 유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천수관음 연구는 유물에 대한 구체적인 분류를 통한 보다 새로운 시각의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국 당대 천수관음 도상에 집중하여 현전 유물을 유형 분류하고 각 유형의 성격과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각 유형을 바탕으로 당대와 그 이후에 보이는 특징적인 표현을 살피고 아울러 한국에 유입된 천수관음 도상에 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천수관음의 다면다비 도상은 밀교가 전개되면서 힌두교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먼저 십일면관음이 조성되었으며 다면과 다비를 갖춘 보살의 완성형이라고 할 수 있는 천수관음이 등장하였다. 중국의 천수관음은 7세기 중후반 장안을 중심으로 신앙되었으나 폐불의 영향으로 사천이나 돈황과 같은 밀교 유행지를 중심으로 활발히 조성되었다. 본 고에서는 천수관음 유물을 분석하여 A, B, C의 세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A 유형 천수관음은 大手와 간략한 小手를 갖추었으며 B 유형은 40대수를 지닌 도상이다. C 유형은 40대수와 소수로 이루어진 광배, 그리고 28부중과 같은 다수의 권속을 둔다. 각 유형은 특정 경전의 영향이 드러나기도 하며 기존에 조성된 도상으로부터 유입된 특징이 표현되기도 한다. A 유형은 장안 등지와 사천 지역에서 등장하며 B 유형은 사천과 돈황에서 조성되었는데 이들은 천수관음이 중국에 유입되어 조성되기 시작한 초기적인 표현법으로 확인된다. C 유형은 당대에 가장 많이 제작된 양식으로 정형화되어 이후 후대에까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당대 이후에는 C 유형 도상을 따르고 있긴 하지만 조상이 거대해지고 천 개의 손이나 11면이 강조되는 등의 변용도 나타난다. 한국의 천수관음은 『천수경』이 유행한 것에 비해 전해지는 유물이 적은데 이질적인 형상인 천수관음을 새롭게 조성하기보다는 기존에 신앙되었던 도상에 천수관음의 성격을 더해 봉안하였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중국에서는 1면2비의 관음을 천수관음으로 조성하기도 하였으며, 한국에 남아있는 천수관음도에 수월관음의 도상적 특징이 표현되어 있어 의견을 뒷받침한다. 천수관음은 밀교적 성격을 지닌 존상으로 당대 밀교의 유입과 함께 신앙되었으나 송대 이후에도 꾸준히 조성되었다. 천수관음은 일반적인 관음의 성격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면다비를 갖추어 신도들의 염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에 수월하였을 것이다. 당대 이후에도 C 유형 천수관음이 변용되어 성행하였으며 동아시아에 전파되어 각 나라에서 신앙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당대 천수관음 도상의 유형별 특징과 전개 상황을 밝히고 동아시아 천수관음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알팔파와 무환자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된 연유화제를 이용한 O/W 유화액의 제조: CCD-RSM을 이용한 유화안정성 최적화

        추이웨이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95

        사회의 발전과 삶의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현대인들은 일과 삶에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늦잠, 과로와 같은 문제는 끝이 없다. 따라서 사람들이 화장품에 대한 요구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피부의 항산화 분야에 대해 늘 관심이 이어진다. 자유 라디칼 은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화학 물질로 만든 화장품에 비해 순수한 천연 물질로 만든 녹색 항산화 화장품은 시장 전망이 더 넓다. 본 연구에서는 용매추출법에 통해 추출 얻은 무환자 사포닌과 알팔파 사포닌을 천연계면활성제로 사용하고 그중에서 아보카도 오일을 첨가하여 O/W 유화액을 제조한다. 위에서 만든 천연계면활성제는 뛰어난 항산화 능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화 공정의 실험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해 CCD-RSM을 사용했다. 최적화 반응치, ESI, MDS, DPPH 자유라디칼소거 활성이며 유화시간, 유화제 첨가량, 총 천연계면활성제 중 무환자 추출물의 비율은 독립변수이다. 유화 공정을 최적화시켜 결과는 유화시간(25.76min), 유화제 첨가량(13.22wt.%), 총 천연계면활성제 중 무환자 추출물의 비율(44.22%)이었다. 위에 조건에서 ESI(88.65%),MDS(821.09nm), DPPH 자유라디칼소거활성(38.72%)의 예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최적화 조건을 이용했고 실제 실험 결과의 오차율은 2.3%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환자 및 알팔파를 섞어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천연물질을 함유한 화장품 분야의 미래 발전과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 이즈미 교카(泉鏡花)의 『데리하교겐(照葉狂言)』과 『우타안동(歌行燈)』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 심상과 기교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이현승 동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95

        이즈미 교카(泉鏡花, 1873-1939)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까지 활약했던 낭만주의 소설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상문학적 측면에서 교카의작품을 논하고자 하였으며, 환상성의 원천으로써 작가의 내적 심상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작가의 내적 심상이 기교를 통해 환상으로 승화된다는 관점 하에 교카의 작품에 환상성이 성립되는 원리 및 의의를 밝히고 교카문학의 환상문학적 가치를 논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전까지의 연구에서는 교카문학의 환상의 본질을 이루는 작가의 심상에 대해 에로티시즘을 가장 핵심적으로 제시해온 바, 본 연구에서는 심상을 중심으로 한 교카문학의 환상성에 대한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데리하교겐(照葉狂言)』(1896)과 『우타안동(歌行燈)』(1910)을 선정하여 작가의 중심 심상과 문예적 기교가 이루는 일련의 결합과 연결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데리하교겐』에서는 현실서술로 비극성을 강조하는 기교와 마이너리티를 향한 작가의 연민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작품을 통한 작가와 독자의 감정적 합일이 환상으로써 추구되고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우타안동』에서는 아름다움을 극도로 강조하는 기교와 고전미의 아름다움을 예찬한 작가의 미적 철학이 연결되어, 전통 예능이 갖는 구극의 아름다움이 작품의 환상으로써 추구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교카문학의 환상이 이상주의적 환상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상의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교카문학에 대한 입체적 분석과 논의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Izumi Kyouka(1873~1939) Izumi Kyoka is a Japanese romantic novelist. He worked in modern Japan from the Meiji era to the Showa era. This study aimed to discuss Kyoka’s literature in terms of fantasy literature and notes the author’s inner image as a source of fantasy. A further aim wa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fantasy of Kyoka’s literature according to the above perspective, and, finally, to discuss the literary value of Kyoka’s novels with regard to fantasy literature. Previous studies have presented eroticism a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Kyoka’s image, which constitutes the essence of the literary fantasy in Kyoka’s literature.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y on the fantasy of Kyoka’s literature, with a focus on image. Two novels, Terihakyogen(1895) and Utaandon(1910),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We also consider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age and literary finesse. As a result, the emotional unity between the author and the reader through Terihakyogen and the expression of classical beauty through extreme finesse in Utaandon were confirmed as pursuits of each work. In addition, Fantasy stood out in a certain part intended to move the reader. In conclusion, the fantasy of Kyoka’s literature can be defined as the author’s dream. Accordingly, the necessity to reconsider the existing discourse on fantasy literature is clarified. 泉鏡花は、明治時代から昭和時代にかけて活躍した浪漫主義の小説家である。本研究では幻想文学としての鏡花文学を論じ、幻想の源泉とは作家の心象を指摘している。また作家の心象が文芸的な技巧を通して幻想になるという観点で、鏡花文学に幻想が成り立つ原理と疑義を明かし、鏡花文学の幻想文学的な価値を論じることを目標としている。 今までの研究では、鏡花文学の幻想の源泉としてエロティシズムを核心的に指摘してきたが、本研究では心想を中心とした鏡花文学の幻想の追加的な研究の必要性を主張した。研究対象は『照葉狂言』(明治29)と『歌行燈』(明治43)を選択し、作家の心象と文芸的な技巧の一連の結合と繋がりを考察した。 その結果、『照葉狂言』では、現実の叙述で悲劇性を強調する技巧とマイノリティーへの憐憫が緊密に繋がっていて、『照葉狂言』を通した作家と読者の間の感情的な合一が幻想として求められていた。『歌行燈』では美しさを極めて強調する技巧と古典美の美しさを賛美した作家の美的哲学が繋がっていて、伝統芸能が持つ究極の美しさが『歌行燈』の幻想として求められていた。このような分析から鏡花文学の幻想は理想主義的理想として考えられる。 以上の研究を通して最終的には鏡花文学への立体的な分析と論議を始め、鏡花文学の幻想について論じ、今までの幻想文学の談論の再考の必要を指摘していることを究明した。

      • 화재에 노출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간략화된 P-M 상관곡선

        나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Load-bearing capacities of structural columns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slenderness ratios, and, in particular, the reinforced concrete (RC) columns exposed to fire show the slenderness effect in their behavior more apparently, compared to that at an ambient temperature, due to the part of sections damaged by fire. In other words, the secondary moment effect ( effect) caused by large displacement due to fire load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capacities of columns; therefore, the increasing slenderness ratio as well as strength degradation of materials due to fire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s of RC column members.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P-M interaction curves for RC column members exposed to fire, in which material strength degradations and effects due to fire damage are appropriately considered. The P-M interaction curv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simulat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s of RC columns decreasing as the fire-exposure time increases. For the columns subjected to a non-uniform bending moment, the equivalent uniform moment factor () was also adopted in the P-M interaction model, which was verified by comparing its analysis results to those estimated by the nonlinear analysis program, SAFIR. In addition, the P-M interaction curve model was simplified for the practical purpose, which can provide an easy and fast way to estimate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s of RC columns under fire. The proposed simplified model was also verified by comparing to the fire test results collected from literature, from which it is considered that the simplified model can accurately estimate the load-bearing capacities or fire resisting time of RC columns exposed to fire. 일반적으로 기둥의 강도는 부재의 세장비에 크게 좌우되며, 특히, 화재에 노출된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이하 RC) 기둥의 경우에 콘크리트 단면의 화재손상 때문에 상온상태의 기둥에 비하여 세장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즉, 화재로 인한 큰 변위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2차 모멘트( 효과)는 기둥의 강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RC 기둥의 내화성능평가에는 재료의 화재 손상뿐만 아니라 화재에 의하여 증가되는 세장비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화재 손상과 2차 모멘트 효과가 적절히 반영된 RC 기둥의 축력-휨모멘트(이하 P-M) 상관곡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P-M 상관모델은 RC 기둥의 화재저항성능이 화재노출시간에 따라 감소되는 것을 모사할 수 있다. 또한, 기둥 양단에 작용하는 휨모멘트의 크기(비대칭 휨모멘트)와 방향(단곡률 또는 복곡률)의 영향을 등가 휨모멘트 보정계수를 도입하여 해석에 반영하였으며,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SAFIR를 이용하여 제안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한편으로는, 제안된 화재 손상이 반영된 P-M 상관모델은 실무에서 간단하게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화재손상이 고려된 P-M 상관곡선을 간략화하는 방법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화재노출시간과 세장비에 따라 화재손상이 반영된 P-M 상관곡선을 쉽게 도출할 수 있다. 간략화된 P-M 상관모델은 기존 연구들로부터 수집된 69개의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검증되었으며, 그 결과, 화재에 의해 손상된 RC 기둥실험체들의 강도 또는 화재성능시간을 매우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