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부정책과 대학교육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식에 미치는 영향 : 공예분야를 중심으로

        차화숙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예부문 창작자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서 현재 정부정책 중 공예부문 정책과 대학교육의 영향력의 확인과 개선방향의 모색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오랜 기간 동안 중요시되어 오고 있는 예술의 사회적 가치인 삶의 질의 향상과 교육을 통한 창의성의 획득이라는 고전적 가치는 오늘날에도 변함없이 강조되는 중요한 예술의 사회적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예술을 통한 경제적 가치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사회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예술성의 확보는 오랜 연구와 실증적 사례를 통해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그 중요성을 널리 확인하고 있다. 그에 반해 예술의 신 사회적 가치인 경제성 확보는 최근 들어 그 필요성이 급속도로 부각된 것으로서 무엇보다 그곳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 스스로 찾아내고 획득해야 할 가치인 것이다. 21세기 들어 문화의 산업성이 확장되면서 상대적으로 예술의 경제성은 더욱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한 포괄적 문화예술분야의 성장은 예술 분야의 상대적 왜소함을 더욱 강하게 자극하고 있다. 공예부문만 하더라도 매년 배출되고 있는 약 2만 명의 졸업생들은 대학 졸업 후 공예분야로의 진출은 엄두를 내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대학에 재학 중인 약 10만 명 재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방황은 물론 새롭게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유입 또한 갈수록 어려운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예술의 사회적 가치가 중요한 이유는 단지 예술이 사회에 기여해야할 역할만이 아니라 예술가들이 예술에 종사할 수 있는 동기가 되기 때문이다. 예술의 사회적 가치가 고전적 가치에 머물러 있지 않고 경제성 확보라는 새로운 가치에 큰 비중이 있다는 것은 예술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동기 또한 그 부분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경제성은 가치일 뿐 아니라 동기이며, 궁극적으로는 획득 목표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창업은 이러한 경제적 가치를 확보하는데 새롭게 부각된 방법으로서 가장 유용한 수단으로 인정되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현재의 공예정책과 대학교육이 창업에 얼마나 유용한가에 대한 검증과 이의 개선 방안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 및 연구 방법으로는 예비공예인들을 대상으로 한 양적 연구와 공예기업가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등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현재의 시점에서 정부 정책과 대학 교육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대상으로서 대학 졸업을 앞둔 예비 공예인이 가장 적합한 조사 대상이지만 반면 창업을 경험하지 않음에 따른 한계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창업을 한 창업 공예가들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창업과의 연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우선 이론적 연구를 통해 창업의 개념을 최근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1인창조기업과 연관하여 정의하였다.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창업지식, 창작자의 개별적 특성이 창업에 핵심적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공예 관련 정책을 유형화하였으며, 공예 관련 대학교육의 현황 및 구성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공예정책이 예술관점, 문화산업관점, 창업관점의 정책들로 혼재되어 있고, 각 분야에서 공예는 정책의 주요 대상이 아니라 포함되어 있는 일부로서의 의미만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공예만의 특화된 정책부서는 물론 정책마저 없는 상황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교육의 문제점으로는 교육의 목표가 예술가, 예술작품의 창작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있었다. 또한 새로운 가치인 경제성 분야, 특히 창업과 관련한 교육이 취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하여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 정량조사와 정성조사를 시행하고 사례연구를 활용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정량조사는 4개 대학의 공예관련학과 졸업예정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례분석은 6명의 공예정책 수혜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우선 정량적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현재 공예정책은 새로운 과제인 창업에 낮은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공예정책은 예술적 관점, 문화산업적 관점, 창업적 관점에서 모두 다루고 있지만 공예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의 설정이 미진한 상태에서는 공예의 정책적 효과 또한 미진할 수밖에 없다. 일부 문화산업 관점 정책에 대한 예비 공예인들의 관심이 있기는 하지만 이 또한 일회성 효과에 지나지 않고 있으며 공예인들의 경제적 가치 확보를 위한 중장기적 대응 면에서는 역시 미진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공예정책의 비효과성에 더해 대학에서의 공예교육은 더욱 더 창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의 대학교육은 예비공예인들의 관심이 그나마 높은 문화산업적 관점 마져도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이며 나아가 창업과의 연관성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현재의 공예정책과 대학교육은 공예를 통해 예비공예인들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가는데 취약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overnment policies on the area of crafts and university education as a core element for revitalizing the new business creation by creators in the area of crafts, as well as search for a direction of improvement. At the expansion of industrial nature of culture at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economic feasibility of art is relatively garnering greater attention. Particularly, the growth in the area of comprehensive culture & art centering on cultural contents is further provoking the relative diminutive-ness in the area of art. In the area of crafts, in particular, about 20,000 graduates each year do not dare entering the area of crafts upon graduation among which about 10,000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t universities are agonizing over their future career path. Furthermore, inflow of students wanting new major is worsening the situation. The fac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mportance placed on the new value of ensuring economic feasibility rather than social value of art simply remaining as a classical value indicates that the motive of people engaged in art is also becoming an important element. In other words, economic feasibility is a value as well as a motive and ultimately becomes the goal of acquisition. As a newly surfacing method of ensuring such economic value, new business creation is being recognized as the most useful means.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level of usefulness of current policies on crafts and university education in new business creation, as well as search for ways to improve. As for the object and method of this study, it combines quantitative researches on future craftsmen and qualitative researches on new business creation craftsmen. The reason for combining them is because future craftsmen that are about to graduate are the most suitable research subjects through which the effects of government policies and university education can be examined at current time. However, there could be a limitation since they have yet to experience new business cre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was to increase the correlation with new business creation through case analysis on crafts entrepreneurs that have created their busines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duce analysis result and case studies were used to search for improvement plan.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upcoming graduates with crafts related majors at 4 universities, and case analysis was conducted for 6 crafts entrepreneurs. First off,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 current policies on crafts and university education are vulnerable for future craftsmen to create new value through crafts. It was revealed that the biggest variable in new crafts business creation in current circumstance is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that the effects of policies on crafts and university education are drastically low. The result of case analysis revealed that certain policies are helpful for new business creation but not helpful in cultivating business after its creation. Namely, it means that the opportunity of new business cre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certain policy support, but the effect of the support ends ther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erms of policy is to identify the unique special nature of crafts and develop & administer according support policies. However, the biggest current problem is the absence of policies specializing in crafts. Such absence of policies on crafts steams from the absence of team or department specializing in crafts, as well as the absence of plan to cultivate crafts, and ultimately the absence of future vision. The promotion of new crafts business creation will be revitalized only upon ensuring specific elements specialized for crafts such as creation, spread and education of crafts information, implementation of certification, provision of space, product development, distribution, promotion and fund support through the micro level efforts of promotion act enactment, expansion of policy connection activities and activities for new business creation and business activity, along with the macro level efforts of ensuring vision specifically for crafts and the creation of department specializing in crafts poli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