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즈니스 아키텍처 기반의 기업진화 모형에 있어서 고객화의 위치와 효과 : 미국 자동차 시장을 중심으로

        차현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71

        최초의 자동차의 핵심역량은 대량생산으로써 ‘얼마나 많이 만들어내는가’로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켜주었다면, 그 이후 ‘자동차는 품질’이라는 생각이 중요한 구매요인이었다. 최초의 자동차는 유럽에서 시작되어 산업진화의 시작을 열었으며 미국의 대량생산, 일본의 품질경영의 진화를 거쳐 이제는 자동차가 단지 품질로써 승부하던 시대는 끝났다. 즉 유럽 자동차는 대량생산과 품질생산을 거쳐 고객의 욕구에 좀 더 부응하는 마케팅 컨셉을 지니면서 진화하고 있는데 이는 자동차의 구매요인이 단지 초기품질, 내구성 등만이 아닌 디자인의 만족, 고객 자신의 신분과 모습을 대변하며, 유연성을 통한 ‘나만의 차’라는 느낌과 맞춤 서비스가 되고 있다는 생각으로 차에 대한 만족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객화는 이렇게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기업생존의 필수조건인 진화에 따라 현재의 자동차 산업은 고객화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자동차산업에서의 고객화의 가능성과 기업진화 모형에 있어서 고객화 위치를 추적하고 그 고객화의 효과를 입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증명을 위해 비즈니스 아키텍처 상의 고객화 위치를 역사적으로 증명했다. 또한 비즈니스 아키텍처 각각에 해당하는 국가와 업체를 찾고, 이러한 업체의 자동차 세그멘트가 적시, 적품, 적가로 표현되는 r-TQC 고객화 유효성 모델에서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고자 했다. 논문의 목적에 따라 자동차 산업의 진화가 고객화로 이동하고 있음을 비즈니스 아키텍처 상의 진화흐름 위치로 살펴보고 그 위치에서 고객화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가를 연구했다. 논문의 목적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우선 자동차산업에서의 고객화의 가능성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역사적 증거와 실제 데이터를 통해 증명했다. 또한 고객화 수준을 새로이 정립하고 현재 고객화가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진화하고 있는 현대의 기업 속에서 고객화가 하나의 중요한 핵심역량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기업진화와 비즈니스 아키텍처로써 고객화 위치를 연구했다. 연구 결과 우선 자동차 산업의 고객화의 수준을 고객화 계층모델 5단계로 분류했는데 제 1단계는 기업의 관여가 거의 없이 완제품으로 고객에게 인도된 후 개조하는 단계로 튜닝단계에 해당하고, 제 2단계는 기업의 관여가 조금씩 늘어나며 특히 옵션의 증가를 나타내는 단계이다. 제 3단계는 모듈화를 통한 선공정의 표준화와 후공정의 다양화를 말하는 대량 고객화 단계로써 조립 단계의 고객화라 하며 특히 유럽 자동차이면서 고급차가 미국, 일본, 한국 자동차에 비해 이 단계의 고객화가 가장 앞서 있음을 역사적 증거와 실제 데이터로 증명하였다. 제 4단계는 주문후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제 3단계보다 좀 더 성숙한 대량 고객화 단계에 접어든다고 할 수 있으나 유럽 몇 몇 업체에서 미비하게 시행할 뿐 아직까지는 자동차의 고객화 4단계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제 5단계 고객화는 일대일 대응 고객화가 됨으로써 대량 생산이 아닌 맞춤형 고객화가 되는 단계로 고객의 요구 중 차별화와 다양성 효과는 있으나 대량 고객화의 특징인 적시, 적품, 적가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워 효율성이 다시 떨어지는 단계이다. 결과적으로 볼 때, 대량 고객화는 자동차 고객화 단계 중 제 3단계에서 이루어지며 현재 자동차 산업은 특히 유럽 자동차 중에서도 고급차가 제 3단계에 위치해 있다. 기업진화론에 근거하여 비즈니스 아키텍처를 4사분면으로 분류하면 제 1사분면은 기술·모듈형 비즈니스 아키텍처로써 고객화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위치이다. 제 2사분면은 기술·통합형 비즈니스 아키텍처로써 품질과 위계를 통한 조직역량이 강하게 나타나는 위치이다. 제 3사분면은 원가·통합형 비즈니스 아키텍처로 완성업체가 조직통합을 이루며 저가정책을 시도하면서 사업의 다각화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제 4사분면은 원가·모듈형 비즈니스 아키텍처로 완성업체와 부품업체의 위계가 거의 없는 해체형이며 부품업체의 수익성이 높아지며 제품의 저가 경쟁력이 뚜렷이 나타나는 위치이다. 기업은 이러한 4사분면을 이중나선구조를 통해 순환하며 특히 자동차 산업은 이러한 현상을 뚜렷이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의 핵심 단계인 고객화 계층모델의 제 3단계를 기업진화 측면에서 살펴 본 비즈니스 아키텍처에 위치시키면, 제 1사분면 즉, 기술·모듈형 비즈니스 아키텍처에 해당하게 된다. 각 위치 상에서 r-TQC 고객화 유효성 모델 즉 적시, 적가, 적품을 이용하여 각각 실증했다. 실증 결과 기술·모듈형 비즈니스 아키텍처에 해당하는 업체는 유럽 자동차 업체이며, 자동차 분류에서는 고급차가 위치했다. 본 논문은 결론적으로 기술·모듈형 비즈니스 아키텍처에 고객화가 위치하며, 이에 가장 높은 고객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유럽 자동차 업체이면서 고급차임을 증명했다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While the core confidence of cars consisted primarily of how many were produced, later, customers came to value the quality more. However now, quality is no longer the only factor. In these day, cars, and especially European cars are satisfied with a good design and a semblance of luxury. Also currently, the car industry is using customization in order to better compete with their competitors. This study is about the reasonability of customization in the car industry. Also this study has found the position of customization in the Business Architecture as well as the effect it has on the industry. This study has divided customization into a five-step customization hierarchy model. The first level consists of a finished product that the customer can tune as they wish. In the second level, the customer and the manufacturer work together that allows selection between pre-chosen options. The third level begins mass customization through modules that are chosen and assembled. In the next level, through a build to order product, mass customization is more highly developed. Lastly, in the fifth level, mass customization is no longer feasible because the product is a unique one-to-one product completely chosen by the customer. The effect of customization is called the r-TQC customization effectiveness model in this study. This model is the right time, the right quality, and the right cost. The third and fourth steps of the five-step customization hierarchy model especially show these effects of r-TQC. Using the Business evolution theory as a basis, the Business Architecture was divided into four quadrants. The first is the tech-module BA, and this is the quadrant that most shows the effects of r-TQC. The second is the tech-integral BA, and quality and the hierarchy is the most important. The third is the cost-integral BA, and consists of companies that are highly diversified. Lastly, the fourth quadrantis called the cost-module BA, and uses its low cost to give and edge to the competition. Industry travels through the BA in a double-helix path that goes through all four quadrants. In the car industry, the European luxury cars especially fall under the first quadrant. As a result, of the levels in the five-step customization hierarchy model, the third step is the most likely to fall under the tech-module BA. This tech-module BA is the quadrant that most show the effects of the r-TQC. Lastly, in the car industry, it has been proved that the European Luxury cars are especially in the tech-module BA.

      • 유의미적 활동을 통한 초등영어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차현주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의 쓰기 지도의 중요성을 밝히고, 유의미적 활동을 통한 쓰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실제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주요 연구 내용은 초등영어 쓰기 지도와 관련된 문헌과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6학년 영어 교과서를 쓰기 활동 제시 차시와 쓰기 활동 유형에 초점을 맞춰 분석한 후 문제점을 파악하고, 쓰기 활동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또 유의미적 활동을 통한 쓰기 지도 방법을 구안하고 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여 영어 의사소통 능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과 정의적 태도 측면에서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을 위해 실험반에는 유의미적 활동을 통한 쓰기 지도를 적용하였고, 비교반에는 교과서 중심의 일반적인 영어학습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반과 비교반의 듣기· 말하기 평가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반이 비교반 보다 듣기·말하기의 음성언어 능력이 상당히 낮게 나오지 않을까 우려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험반과 비교반의 읽기· 쓰기 평가 결과는 실험반이 더 높은 결과를 얻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험반과 비교반의 집단내 의사소통 능력 차이(사전·사후 검사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반은 말하기·읽기·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비교반의 경우는 읽기·쓰기 능력에 있어서 평균 점수가 저하되었다. 넷째, 실험반과 비교반의 영어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반이 평균 0.81점 높게 나타났다. 실험반과 비교반의 집단내 정의적 태도에 대한 차이(사전·사후 검사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반과 비교반 각각 모두 긍정적인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반의 경우, 실험 처치 기간 중 의사소통 중심의 실질적인 쓰기 활동 즉 편지 쓰기, 시 쓰기, 카드 만들기, 일기 쓰기, 소책자 만들기, 만화 제작하기 등의 활동을 포함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유의미적 쓰기 활동을 했기 때문에 평균 점수의 긍정적인 향상이 있었다고 본다. 또한 비교반의 경우도 실험 처치 기간 중 실험반과의 현저한 차이를 없애기 위해 음성언어 중심의 놀이, 게임, 짝 활동, 소집단 활동 등을 했기 때문에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에 있어 긍정적 향상을 가져왔다고 본다. 다섯째, 실험반의 쓰기 영역과 다른 영역(듣기·말하기·읽기)과의 상관의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쓰기 영역과 듣기·말하기 영역의 상관 정도가 높았다는 것은 문자언어가 음성언어의 기억을 촉진시켜 듣기·말하기 능력을 향상시켰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제 8차 영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 읽기·쓰기 영역의 문자언어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외국어 교육 상황이라는 우리 나라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우리의 상황에 적절한 쓰기 지도 방법이 계속해서 연구·구안되어야 할 것이며, 효과적인 쓰기 지도 방법들이 다른 영역(듣기·말하기·읽기)과 연계하여 계속해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writing guidance and to seek the efficacy in applying that to a real teaching-learning process after searching for writing guidance methods through meaningfu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The principal research points were to examine literatures and earlier studies concerned with teaching elementary English writing, to grasp the problems after analyzing the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of sixth grade focusing on the writing activity time and the writing activity types and to execute a basic survey about writing activities. Also those were to design writing guidance methods through meaningful activities, to accomplish the experimental research with the subjects of two classes of sixth grade an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writing in terms of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listening·speaking·reading·writing) and the affective attitude. Teaching English writing through meaningful activities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class while the common English teaching based on the textbook was applied to the control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ntrol class in measuring listening·speaking. Being anxious about the experimental class' lower achievement of listening·speaking but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ntrol class in measuring reading·writing and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the higher achievement. Third,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of speaking·reading·writing ability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class. But the posttest of the control class resulted in the lower achievement of the reading·writing ability than the pretest. Fourth,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ntrol class in measuring the affective attitude of English teaching. However there was a positive improvement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each class in measuring the affective attitude. Because meaningful writing activities including real writing activities―writing letters, writing poems, making cards, writing a diary, making booklets, cartooning―based on communication effected a positive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class. Also interesting activities-plays, games, pair works, group works- based on phonetic language effected a positive improvement in the control class. Fifth,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writing and listening·speaking·reading. Especially a high correlation between writing and listening·speaking means that graphic language promotes the memorization of phonetic language and listening·speaking abilities.

      • 가면(假面)의 표현기법 연구 : 하회탈을 중심으로

        차현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expressive technique that the mask has which are hiding and showing. By researching, analysing, and transhaping our original mask, hahoe expressive technique, it is trying to create it as a new trend of the times and spirituality work. First, the operability of the mask showing and hiding has two surface which makes division of the main agent. The side where is shown and hidden, the front and back, the face that shows and the face that is hidden are contacting each other. The mask showing, exposing division main agent, is ego of false self, and the mask hiding, hiding from the division main agent, can be read as unconscious principal. In the analysis of hahoe mask, we apprehended the aspect by the 3deminsion laser scanning analyzed data to apprehend the overall three-dimensional structure. As a result, in the formative aspect, the face asymmetry and third dimension, and dynamic was the noticeable characteristics. In esthetic aspect, the opposition standardization dialectical three-dimensional keyword such as mismatch of a match, incomplete of a complete, and unreality of a reality were hidden. The research work were designed based on the hahoe mask formative, and esthetic characteristic. What researcher is trying to say in the <eating people> series which were done with myth setting is following. The fishes that are coming out from jesus mouth are the matters that comes out from modern material civilization. The lotus that comes out from buddha’s mouth symbolizes the knowledge that comes out from media. They are all matters and knowledge that we have to absorb compulsively. It is like the desire of Adam and Eve eating the fruit of the tree of knowledge, which they are not supposed to eat. It is social coercion to eat like bear and tiger. Therefore, the researcher’s <eating people> series modeled the mythical character’s appetite and satire the socially coercion situation the researcher is in by using mask as a material. In the <hahoe people>and <smiling people> series, there are cynical false laugh. It is the sneer of each individual looking at the society. It is the laugh of hiding ourselves and sneering the reality. This cynical false laugh is from the contradictory identity of society and individual. If we look at this in the psychological aspect, the cynical false laugh of this series is to hide the insecurity emotion. It is the expression of contemporary men’s suppressed feelings. The ego insecurity of the danger is causing suppression, and by the force, false laugh appears. As a result, when translating the <hahoe people> and <smiling people> series with Lacan’s point of view, what the mask is showing is ego of ‘false self’, and can say that what the mask is hiding is unconscious principal. This research of work based on the tradition is new attempt using the material distinct characteristic. By symbolizing the contemporary human phase of the time satirically and esthetically by illusion, we are trying to develop and inherit our formative arts. 이 연구는 가면이 가지고 있는 숨김과 드러냄의 표현기법을 살펴보고 우리의 전통 가면인 하회탈의 표현기법을 연구, 분석, 변형함으로써 새로운 시대성과 정신성이 깃든 작품으로 창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가면의 감춤과 드러냄의 작동성은 라깡적 주체의 분열이 발생시키는 두 가지 표면, 즉 노출되는 것과 숨겨지는 것, 앞면과 뒷면, 보이는 얼굴과 보이지 않는 얼굴과 맞닿아 있다. 분열 주체가 노출하는 것, 다시 말해서 가면이 드러내는 것은 ‘거짓된 자기’(false self)로서의 에고이며, 분열 주체에게서 숨겨지는 것, 즉 가면이 감추는 것은 무의식적 주체로 해석할 수 있었다. 하회탈의 분석에 있어 전체적인 입체의 파악을 위해서 3차원 레이저 스캐닝을 이용하여 분석한 자료를 통해 그 면모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조형적 측면에서는 얼굴의 비대칭성과 입체성 그리고 역동성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났고, 심미적 측면에서는 부조화의 조화, 미완성의 완성, 비현실의 현실이라는 대립적 통일의 변증법적 조형의 키워드들이 숨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작품들은 앞서 살펴본 화회탈의 조형적, 심미적 특징들을 기반으로 재작되었다. 연구자가 신화를 배경으로 한「먹는 사람들」시리즈를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해석되어진다. 예수의 입에서 나오는 물고기들은 현대 물질문명 속에서 쏟아져 나오는 물질들이다. 부처의 입에서 나오는 연꽃은 매체를 통해 무수히 흘러나오는 지식 정보들의 상징이다. 강박적으로 흡수해야만 되는 물질과 정보이다. 아담과 이브처럼 먹지 말아야 할 선악과를 먹고자 하는 욕망이고, 곰과 호랑이처럼 먹어야만 되는 사회적 강압이다. 따라서 연구자의 「먹는 사람들」시리즈는 신화적 인물들의 식욕을 상징적 구조로 조형하여 현재 연구자가 처해있는 사회적 강압의 상황을 가면이라는 도구를 통해서 풍자하고 있다. 「하회 사람들」, 「웃는 사람들」시리즈에는 냉소적 거짓 웃음이 있다. 각 개인이 각자의 시각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아주 미약한 웃음이자 비웃음이다. 자기를 숨기고 현실을 비웃는 웃음으로 이 냉소적 거짓 웃음에는 개인과 사회의 모순적 정체성에서 발생한다. 심리학적 측면에서 볼 때, 시리즈의 냉소적 거짓 웃음은 불안에 대한 자기의 감정을 억지로 숨기려하는 현대인의 억압된 감정을 표현하고 있다. 위험에 대한 자아의 불안이 억압을 일으키고, 그 억압력에 의해 거짓 웃음이 생긴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가면적 얼굴인 「하회 사람들」과 「웃는 사람들」시리즈들에 대해 라깡의 견해를 빌려 다시 해석하자면, 가면이 드러내는 것은 ‘거짓된 자기’(false self)로서의 에고이며, 분열 주체에게서 숨겨지는 것, 즉 가면이 감추는 것은 무의식적 주체라 할 수 있다. 전통에 기반한 본 작품연구는 재료의 특수성을 활용한 새로운 시도로, 일루전을 통해 현대인이 처한 시대상을 풍자적이고 심미적으로 표상함으로써 우리의 유리조형예술을 계승 발전시키는데 일조하고자한다.

      •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에서의 뷰 스키마 생성에 관한 연구 및 프로토타이핑

        차현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는 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며 각 응용 프로그램의 다양한 요구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뷰 개념을 지원함으로써 각 응용 프로그램에 적합하도록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효율적으로 재구성 할 수 있고, 시간에 따른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며,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들의 접근을 통제·관리할 수 있다. 뷰는 각 응용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재구성된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라 할 수 있다. 가상의 릴레이션으로 뷰를 정의하는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뷰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는 아직 뷰에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뷰 생성 방법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이핑에 대해 기술한다. 클래스 유도 연산으로 유도된 가상 클래스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통합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의 매핑(mapping)을 자연스럽게 지원하게 된다. 클래스들의 part_of 관계가 고려된 클래스의 통합을 살펴보고, 새로운 클래스 유도 연산인 refer를 제안한다. 하나의 스키마로서 뷰가 생성되며, 뷰 생성 과정에서 클래스들간의 is_a와 part_of 관계가 고려되므로 모델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Many database applications are defined over a database and a database system therefore should be able to support various kinds of the need of those application domains. Since an application needs a part of a database, if not an entire database, it is not efficient to execute each application on the entire database. To solve this inefficiency, views of a database begin to be considered. Research related to views in relational database is continued to satisfy the purpose of deriving only necessary information from a database in some degree. With applying an object-oriented paradigm to the database techniques, object-oriented database concepts and views on them have been tremendously developed for a decade. This paper will describe how views are derived in an object-oriented database. How to derive a virtual class and how to relate the virtual class with the existing database classes are discussed. Views are manipulated at schema level and various relationships including generalization between classes are taken into account. The derived virtual classes are integrated to constitute a view which can then be appropriate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domain. operators for modeling views are contrived. The view generation language is designed based on those operators. A view derivation tool has also been prototyped. Using the tool, users can generate one or more views for various different application purposes from database retrieval to CAD/CAM applications. Considering object-oriented concepts like classes and inheritance, it is likely that the concept of views included data reorganization is more suitable for object-oriented databases than relational databases.

      • <아름다운 마음 가꾸기>프로젝트를 통한 유아의 바른 인성 형성과정

        차현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아름다운 마음 가꾸기>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의 바른 인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다. D광역시 소재 S유치원 만 5세 1개의 반 10명(남 5명, 여 5명)을 대상으로 <아름다운 마음 가꾸기>프로젝트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유아의 바른 인성형성에 관련된 연구를 2017년 3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진행하였다. 프로젝트활동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접, 활동결과물, 소감문, 학부모 면담, 일화기록 등을 통하여 유아들의 바른 인성형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및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름다운 마음 가꾸기>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공감능력이 형성되었다. 유아들은 다양한 상황에서의 소통을 통하여 상대방을 경청하는 태도가 형성되었으며 친구들과 공동의 문제를 함께 해결함으로써 서로를 배려하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둘째, <아름다운 마음 가꾸기>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분별능력이 형성되었다. ‘피노키오’ 동극활동을 통하여 정직한 태도가 형성되었고, 상징화주기를 진행하면서 자신이 시작한 활동을 끝까지 수행하는 책임감이 형성되었다. 결론적으로 <아름다운 마음 가꾸기>프로젝트 활동은 유아의 바른 인성형성과정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이다.

      • 캔아트 문화산업화 성공요인 도출 및 블루오션 전략

        차현주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세계 각국에서 문화산업은 국가적인 지원과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새로운 문화산업 패러다임 형성과 IT기반 콘텐츠 산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로써의 캔아트의 특성을 파악하고 산업화에 성공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여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산업으로써의 캔아트의 산업화 유형별 성공요인을 정의한 후 블루오션 전략을 통한 산업화전략 및 마케팅 전략 요인도 분석할 것이다. 우선 첫 번째로 문화예술산업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화산업은 21세기 주력산업이며 그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과 투자가 확대될 것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또한 산업화와 문화예술의 접목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창조할 것이란 전망 역시도 할 수 있었다. 이어 두 번째로 문화예술산업별 문화기술(CT) 동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문화예술 국내 기술 동향을 공연, 전시, 공예, 국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시장은 다소 소극적이었으나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발전을 모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문화예술 국외 기술 동향을 국내와 마찬가지로 공연, 전시․이벤트, 공예, 국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문화예술 기술의 부족한 점과 세계의 트렌드를 파악하였다. 또한 현재 세계에서는 문화예술을 바탕으로 기술을 더해 나가는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캔아트의 개념 및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공예산업의 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캔아트가 속하는 공예산업이 문화적 의미와 상징적 의미를 선점하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며 고부가가치를 지니는 문화산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문화산업으로서의 캔아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캔아트가 미술과 산업, 문화와 기술이라는 트랜드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지닌 문화산업이며 향유자중심이라는 가치를 더한 공예산업이며, 시대에 맞는 창의콘텐츠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캔아트가 속한 공예문화산업과 비슷한 맥락을 가진 향토산업을 중심으로 캔아트의 성공요인을 도출․분석해보았다. 평가항목은 각각 문화적 가치, 체험학습, eco상품화, 지역브랜드, Global상품화, 유통(Viral마케팅, 웹 홍보, 전시․축제)이며 각자 다양한 가능성과 효용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성공요인의 도출・분석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위의 6가지 평가항목들을 기준으로 예술적 가지, 교육적 가치, 환경적 가치, 단순일일체험, 정기 강좌, 방학・휴가 등을 이용한 프로그램 참가, 영어로 진행하는 Can Art체험, 재활용 인식 개선, Eco디자인, 지역문화자원 활용 창작 콘텐츠화, 지역문화산업 기관과의 연계사업, Global상품화, Viral마케팅, Web홍보, 전시 축제의 15가지 세부 항목을 정하고 각 속성의 중요도를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함으로써 최적의 대안을 선정하는 AHP 즉, 계층분석(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를 통해 eco상품화, 문화적 가치, 체험학습이 특히 높은 수치로 캔아트의 사업화 성공 요인이라 도출 할 수 있었다. 문화 예술 산업에 대한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캔아트 문화 산업화는 현재 산업 전반의 중심 맥락이라 할 수 있는 Eco산업과 친환경성을 내포한 공예산업으로 사업의 이윤을 추구하는 단계를 넘어 문화 산업의 블루오션을 개척해 나가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버려지는 자원인 캔을 상품화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환경문제와 교육적인 측면을 널리 알리는 문화적 가치를 동시에 지닌 캔아트는 앞으로의 문화산업 속에서 새로운 화두로 떠오름과 동시에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 자녀 수학지도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차현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에게 가정에서의 수학지도방법을 교육함으로써, 부모가 올바른 자녀교육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자녀의 수학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21세기 사회는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첨단과학시대이며 인터넷, 생명공학, 4차산업시대로 접어들면서 수학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김은형, 백석윤, 2008). 그러나 수학 성취도 국제비교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다수의 학생들은 수학 성적은 좋은 반면 수학에 대한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이러한 수학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원인을 부모의 과도한 교육열과 그로 인한 사교육 때문이라고 보는 학자들이 많다(권정민, 2006; 이미림, 2007). 그러나 초등학생 시기는 상황적 요인에 의해 태도변화가 가능한 시기이므로, 기존의 부정적인 수학 학습태도를 유발하는 상황을 변화시킴으로써 긍정적인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는 시기이다. 수학 학습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는 카드놀이학습, 활동과 게임을 활용한 수학수업, 소집단활동이나 또래친구들과의 수업 등이 있다(박미자, 2004; 신경민, 2001). 또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문제해결, 의사소통, 추론하기 등 수학의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부모와 함께 하는 수학활동이 아동에게 수학의 즐거움을 느끼게 하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키울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 문헌조사를 거쳐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추출하였고 전문가의 타당도검증 과정을 거쳐 완성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육과정 및 2015개정 수학교육과정, 창의수학활동의 내용으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부모들에게 총 4회기 분량의 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매 회기마다 프로그램에서 배운 내용으로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활동하도록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30명과 그들의 자녀 36명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부모 30명과 그들의 자녀 30명을 모집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한 측정도구로는 부모효능감검사와 학습관여행동검사, 수학흥미검사를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프로그램 운영 전과 후 시점에 검사를 실시하였고, 공변량분석으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에 속한 부모의 부모효능감 및 학습관여행동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본 프로그램에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녀의 수학흥미는 본 프로그램에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수학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더 어렵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처음 수학 학습을 시작하는 초등학교시기에 수학에 대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하고, 어렵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수행함으로써 느끼는 성취감과 자신감을 길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부모는 초등학생 자녀의 수학 학습을 지도할 때, 평가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수학 체험활동과 탐구활동을 통해 수학을 즐길 수 있도록 돕고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켜주는 것이 보다 적절한 수학지도방법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coaches parents for teaching maths at home and then that leads to prompt children’s interests in math. Because 21st century society is the age of the cutting-edge science in which requires high-technology, and the era of internet, bioengineering,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ubject of math is critical. According to TIMMS(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most of students in Korea have high achievement scores but they do have low interests and lack of confidence in math. Many scholars think that these negative attitudes toward math is caused by high educational zeal of paren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f math. However, children can change their behaviors around math easily during elementary school time. It will be possible for children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maths through changing the environment that creates negative views toward maths. Educational ways t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maths are lessons with cards playing, math lessons around activities and games, small group activities, or peer group activities. Additionally, at home, parents can allow children to experience mathematical processing with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inference, so that through math activities with parents, children may enjoy maths and grow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math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es and extracted components, and a validity was examined. Thus, a new parents educational program was created including a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2015 reformed math curriculum, and creative math activities. This program brings four sessions to parents and when parents learn in every session, they practice their learning with their children at home. For test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30 parents and 36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chosen for the program, and for the control group, 30 parents and 30 children were recruited. A parent’s efficacy inventory, a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inventory and a child math interest inventory were admitted to check the efficacy of the program. Tests were giv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both the treatment and the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by an analysis of covariance. As a result, for the treatment group, parents were improved in self-efficacy and learning involvement behaviors toward their childr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ed that the program worked well among parents. However, it was found that for the treatment group, the pre-interviews affected the post ones, and for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While students feel difficult in maths as they advance through school, it is so critical that during elementary school time, they must feel enjoyable with maths, and even though maths is very difficult to do, they never give up and have to develop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in maths. To do these, when parents teach maths to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home, parents need to focus on producing interests and curiosity of their children and helping them enjoy maths through math experiencing and exploring activities rather than on assessing their ability of maths.

      •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 유입의 결정요인 분석

        차현주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에 들어 세계적인 자유화 움직임으로 인해 국가 간 장벽이 낮아짐에 따라 외국인직접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전에는 많은 국가들이 자국의 기업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국인직접투자를 규제하는 정책을 폈으나 점차 장려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변경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고 있으며 해외기업이 정착할 수 있도록 세금감면, 세액공제 등의 많은 혜택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적으로 외국인직접투자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우리나라의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1962년부터 2007년까지 우리나라에 유입되는 외국인직접투자액을 이용하여 유입액이 많은 상위 15개국을 대상으로 어떤 변수들이 외국인 직접투자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 우리나라의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상위 15개국의 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과 횡단면 분석이 합쳐진 패널분석의 고정효과 모형(fixed effect model)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자면 첫 번째, 우리나라에 대한 상위 15국 전체의 외국인직접투자는 투자국의 국내총생산, 일인당 국내총생산, 인플레이션, 실업률이 우리나라에 유입되는 외국인직접투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국내총생산은 양의 계수를 가지며 1% 수준에서 유의하다. 이는 국내총생산의 증가율이 큰 국가일수록 우리나라에 더 많은 투자를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인당 국내총생산, 인플레이션, 실업률이 작을수록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가 증가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독립변수 중 수출과 원화 대비 환율은 우리나라의 외국인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는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의 40%를 차지하는 미국과 일본을 제외한 국가별 외국인직접투자의 추정결과로 상위 13개 국가 모두 일인당 국내총생산과 인플레이션의 증가가 클수록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국의 외국인직접투자가 증가한다. 실업률의 증가율이 적을수록 즉, 경제가 안정됨에 따라 국내 외국인직접투자가 증가하며 원화 대비 환율의 증가는 원화의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투자유치국의 생산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가 증가하게 된다. 세 번째,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의 50%를 차지하는 미국과 일본의 국내 외국인투자 요인에 대한 추정결과이다. 미국과 일본은 세계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국가들이므로 경제규모가 클수록, 즉 투자국의 국내총생산이 증가할수록 우리나라에 더 많은 외국인직접투자를 하게 되며 국내에 공장 설립 등 최종재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를 투자국 내에서 공수함에 따라 투자국의 수출은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투자국의 수출이 늘어남에 따라 우리나라에 유입되는 투자는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일인당 국내총생산은 음의 계수를 가지며 10% 수준에서 유의하다. 일인당 국내총생산의 증가비율이 적을수록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는 증가하게 된다. 네 번째,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국, 일본, 네덜란드, 독일의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 추정결과이다. 국내총생산, 실업률, 수출, 원화 대비 환율의 증가율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4개국 모두 경제규모가 큰 선진국일수록 우리나라에 대한 투자금액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업률이 낮을수록 국내에 투자하여 이익을 남기며 국내에 투자함에 따라 수출이 증가하므로 우리나라에 더 많은 투자를 하게 된다. 원화 대비 환율이 증가됨에 따라 국내 생산비용의 감소로 우리나라의 투자 유치를 촉진시키게 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전체국가를 표본으로 하지 못하고 상위 15국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설명변수 중 각 나라의 국내총생산, 일인당 국내총생산, 인플레이션, 실업률, 수출, 원화 대비 환율에 있어 누락된 부분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또한 산업별로 연구하지 못하고 국가 전체의 분석만을 하였다. 또한 각 변수 외의 요인이 있기 때문에 외국인직접투자가 고려해야할 요인을 전부 설명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이용한 각 변수들이 우리나라의 외국인직접투자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았으며 국내 외국인직접투자 유치하려는 기업들은 투자국이 외국인직접투자를 결정할 때 고려하여할 부분을 알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