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금융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가정교과 금융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 :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하여

        차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 금융환경에 대비하여 학습자들이 적절한 수준의 금융리터러시를 형성하도록 돕기 위한 가정교과 금융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및 분석 단계에서는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학습자 요구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후 수집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 및 실용경제 교육과정, 금융감독원의 실용금융 교재를 분석하여 금융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의 학습 내용요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초안 개발 단계에서는 학습 내용요소를 7개의 주제(소비 트렌드와 소비심리 분석, 수입과 지출관리, 경제지표의 이해, 금융투자의 기초,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소비자 보호, 신용과 위험관리, 초고령 사회의 생애주기별 재무설계)로 유목화하고, 백워드 디자인 2.0 버전을 적용하여 구체화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 학습경험 계획하기’의 3단계를 거쳐 이루어졌으며, 총 21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워크북을 구안하였다. 셋째, 내적 타당성 검증 단계에서는 고등학교 근무 경험이 있는 9명의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를 의뢰하였다. 그 결과 전체 문항 평균 점수는 3.81점(4점 만점)이었으며, CVR은 0.99로 내적 타당성을 확보(CVR 0.78 이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적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캠퍼스형 공동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1~2학년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사전·사후 금융리터러시 검사 및 수업만족도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검사 결과 연구참여자의 금융리터러시 평균 점수는 사전보다 사후에 7.24점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t=9.291, p<.001).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금융지식’ 향상에 가장 크게 기여하였으며 ‘금융행동’의 향상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금융태도’ 영역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수업만족도 조사 결과 학습 내용 수준, 학습활동, 교수·학습 방법, 과제 등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평균 3.75점(4점 만점) 이었으며, 주제별 유용성 평가의 평균은 3.69점(4점 만점)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내적, 외적 타당성 검증 과정을 거쳐 본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 교수·학습 방법 등이 적절하며 학습자의 금융리터러시 향상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미비점에 대한 전문가와 학습자의 견해를 반영하여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고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와 전문가의 요구를 반영하여 가정교과에서 시행할 금융소비자교육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수업 실행을 통해 효과를 검증한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교현장에서 금융소비자 교육의 실행을 희망하는 가정과 교사들에게 활용되어 학생들의 금융리터러시를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 가정교과 내 금융소비자교육을 활성화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EO/LLZO 하이브리드 전해질에서 PEGDME함량에 따른 전고체 전지의 특성

        차지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전자기기와 전기자동차 등 배터리의 폭발로 인해 기존의 가연성 유기 액체전해질을 대체하기 위한 고체전해질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 전지는 열적, 전기화학적 안정성과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키고 전극과 전해질의 계면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고분자와 무기계 이온전도체를 복합한 후 올리고머를 첨가함에 따라 전지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유기계 고분자로는 리튬이온을 수송하며 유리전이온도가 낮아 유연성이 높고 제조가 용이한 Poly(ethylene) oxide (PEO)를 사용했고, 무기계 이온전도체로는 산화물계에서 높은 이온전도도와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가진 Al-doped Li7La3Zr2O12(Al-LLZO)를 사용하였다. PEO/LLZO 의 비율은 전기화학적 안정성과 기계적 강도를 고려하여 30/70(wt%)으로 선택하였다. 이 때 PEO의 평균 분자량은 1,000,000 이다. PEO / LLZO 전해질의 계면 특성 및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PEGDME)를 첨가하여 PEGDME 함량에 따라 PEO-LLZO-PEGDME 하이브리드 고체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하이브리드 고체전해질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온전도도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PEO-LLZO-7.5%PEGDME 전해질의 경우 60℃에서 4.0×10-4 S/cm이며 5.0V(vs. Li / Li+)의 높은 전압 안정성을 나타냈다. 하이브리드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 전지의 성능 평가를 위해 양극은 LiNi0.6Co0.2Mn0.2O2 (NCM622),음극은 Li-matal을 사용하여 Coin cell을 제작하였다. 하이브리드 고체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 전지의 성능평가 결과, PEGDME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계면 저항이 작아지고 초기 용량이 향상되었다. PEO-LLZO-7.5%PEGDME 전해질을 적용한 전고체 전지는 0.1C에서 160mAh/g, 0.5C에서 136mAh/g의 용량이 구현되었고 0.5C, 60℃에서 우수한 사이클 안정성을 확인했다. Recently, solid electrolyt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place existing flammable organic liquid electrolytes due to explosion of batteries such as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ic vehicles. All-solid-state batteries using solid electrolytes are required to improve ionic conductivity and to control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electrolyte.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s of the battery were evalu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polymer and the inorganic ion conductor and the addition of the oligomer. Poly (ethylene oxide) (PEO), which transports lithium ions and has a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is highly flexible, was used. As the inorganic ion conductor, garnet-type Al-doped Li7La3Zr2O12(LLZO) with high ionic conductivity and electrochemical stability was used. PEO/LLZO contents were selected as 30/70 (wt%) for increasing electrochemical st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EO was 1,000,000. A hybrid solid electroly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PEGDME) in order to improve interfacial properties and ionic conductivity of PEO / LLZO electrolytes. The ionic conductivity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hybrid solid electrolyte were evaluated. The ionic conductivity of PEO-LLZO-7.5%PEGDME electrolyte is 4.0 × 10-4S/cm at 60℃ and shows high voltage stability of 5.0V compared to Li / Li+. All-solid-state batteries were fabricated by using LiNi0.6Co0.2Mn0.2O2 (NCM622) as the cathode and Li-metal as the anode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hybrid solid electrolyte.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all-solid-state batteries using the hybrid solid electrolyte, the interfacial resistance was smaller and the initial capacity was better as the PEGDME content increased. For the electrolyte with 7.5% PEGDME added, We have confirmed that a specific capacity of 160 mAh/g at 0.1C and 136 mAh/g at 0.5C was realized and exhibited excellent cycle stability at 60℃.

      • 중풍 환자의 호전도와 연관성이 있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 : 제천 세명대 부속 한방병원 입원 환자를 중심으로

        차지혜 世明大學交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actors that have correlation with improvement of Cerebrovascular accidents(C.V.A) and to decide ranking of influence about improvement of C.V.A. This observation was made on 153 subjects of C.V.A. that were diagnosed through brain MRI or brain CT. They were hospitalized in the Semyung University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the January 1st 2006 to December 31th 2007.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group has slight motor disturbance, and the other group has severer motor disturbance. Based on medical treatment chart, we analyze differences of many factors like past history, family history, drinking, smoking, several symptoms with C.V.A., etc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 were as follows: -Out of total subjects of this study, 120 persons belonging to the one group have slight motor disturbance, and 33 persons are belonging to the other group have severer motor disturbance. The factors which are age, past history of hypertension, past history of cerebrovascular disease, drinking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improvement of C.V.A. and factors which are headache, dizziness, dryness of mouth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improvement of C.V.A. In the ranking of correlation with improvement of C.V.A., the side of pathological change is located on first, and the family history of cancer is located on second in ranking of influence of improvement of C.V.A. But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are excepted from this ranking because they are not correlated to improvement of C.V.A. as individual factor. Consequently past history of cerebrovascular disease and past history of hypertension are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in improvement of C.V.A.

      • 경제지의 로봇 저널리즘 도입과 기사 품질의 관계 : 1면 기사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차지혜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AI-related technology, AI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traditional journalism process, leading to innovation in overall communication and journalism. While robot journalism, in which robot reporters collect and analyze data directly and write news, is being actively used in the field, this study aims to validate empirically the previous research that predicted that the introduction of robot journalism would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change of journalism in the press.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bot journalism and the quality of articl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and quality of articles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robot journalism, the media using robot journalist and not using robot journalist, and the total amount of the circulation of the press. As results of this study, qualitativ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ome items such as the type and structure of articles on the front page of the economic daily newspaper in 2020, after the introduction of robot journalism. And it was confirmed that one high-quality articl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of the PEJ revision index was written in 2020, after the introduction of robot journalism. But it was not clear whether this qualitative difference was due to the introduction of robot journalism. Accordingly, it was checked in detail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content and quality of the articles between the media using robot journalist and not using robot journalist. In terms of the type and structure of articles, the media not using robot journalist had a relatively high quality of the articles compared to the media using robot journalist. But in other specific items such as the type of the news source, the media using robot journalist had a relatively high quality of the articles compared to the media not using robot journalist. And it was confirmed that one high-quality articl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of the PEJ revision index was written by the media using robot journalist. But in overall, no clear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edia using robot journalist and not using robot journalist. All of analysis items according to total amount of the circulation of economic daily newspapers did not show a certain pattern depending on the number of total circulations, but it showed sporadic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ontent and quality of articl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 of an individual media.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otal circulations and quality of articles. To summarize, some qualitative changes have been observed in the content and quality of the front page articles of economic daily newspapers in 2020, after introduction of robot journalism, but this change appeared to be due to other variable, not robot journalis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 and quality of articles between the media using robot journalist and not using robot journalis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otal circulations of the economic daily newspaper also was not a factor influencing the quality of articles. In conclusion,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introduction of robot journalism and a quality of artic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of robot journalism did not lead to a positive resul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journalism of economic daily newspapers. 인공지능 관련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전통 저널리즘 과정에도 AI가 도입되어 커뮤니케이션 전반과 저널리즘 과정에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로봇 기자가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 기사를 작성하는 로봇 저널리즘이 현업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는 로봇 저널리즘의 도입에 의한 언론사 저널리즘의 품질 변화를 전망한 선행연구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로봇 저널리즘 도입 이전과 도입 이후 시점, 로봇 저널리즘 도입 매체와 비도입 매체, 언론사의 총 발행 부수량에 따른 기사의 내용과 품질을 비교 분석하여 로봇 저널리즘과 기사 품질 간에 관계성이 있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분석 결과, 로봇 저널리즘 도입 이후 시점인 2020년도 경제일간지 1면 기사의 유형, 구조 등 일부 항목에서 질적인 차이가 관찰됐고 PEJ 수정지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고급 기사 1건이 로봇 저널리즘 도입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확인됐지만, 이 같은 질적 차이가 로봇 저널리즘 도입에 의해서인지는 명확히 알 수 없었다. 이에 로봇 저널리즘 도입 매체와 비도입 매체 간에 기사 내용과 품질의 차이가 있는지를 세부적으로 확인했고, 기사의 유형과 구조 면에서는 로봇 저널리즘 비도입 매체가 로봇 저널리즘 도입 매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적 수준이 높은 반면, 취재원의 유형 등 다른 특정 항목에서는 로봇 저널리즘 도입 매체가 비도입 매체에 비해 질적 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EJ 수정지수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고급 기사 1건도 로봇 저널리즘 도입 매체의 기사로 확인됐지만, 전반적으로 로봇 저널리즘 도입 매체와 비도입 매체 사이에 뚜렷한 차이점은 발견하지 못했다. 경제일간지의 발행 부수량 또한 모든 분석 항목을 종합적으로 볼 때 총 발행 부수량이 많고 적음에 따라 일정한 양상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특정 매체의 환경과 상황에 따라 기사 내용과 품질에 산발적인 차이를 보여 총 발행 부수량과 기사의 품질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리하자면 로봇 저널리즘 도입 이후 경제일간지 1면 기사의 내용과 품질에 일부 질적 변화는 관찰됐지만 이러한 변화는 로봇 저널리즘 때문이 아닌 제3의 변인 때문으로 보이며 로봇 저널리즘 도입 매체와 로봇 저널리즘 비도입 매체의 기사 내용과 품질은 뚜렷한 차이점이 없었다. 발행 부수량 역시 기사의 품질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아니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결론적으로 로봇 저널리즘 도입과 기사 품질 간에 관계성은 없으며, 로봇 저널리즘의 도입이 경제일간지의 기사 품질 개선이라는 긍정적 결과를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과학교사의 학습자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실천 분석

        차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과학교사들은 탈북학습자의 특성을 어떻게 이해하며,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어떻게 과학수업에 접근하는가를 탐색하는 연구이다. 이에 따라, 국내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의 4명의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과학교사가 된 동기 및 역할, 학생에 대한 이해, 수업 목적, 수업 전략 및 방식, 교육과정, 평가, 교사의 노력 6개 항목에 해당하는 질문에 따라 반 구조화된 면담과 수업 관찰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과학교사들은 상황적 지식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과거와 현재, 남북한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학습자를 이해하고 있다. 교사들은 학습자의 언어적 배경에 대한 이해,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 학습자의 교육경험에 대한 이해, 학습자의 현재 남한사회에서의 상황에 대한 이해 네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탈북학생을 이해하고 있다. 둘째,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과학 교사들은 각 교사마다 다양한 과학수업의 목적을 가지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수업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을 수업에 참여시키고 있다. 교사들은 학습자의 언어적 특성과 교육경험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원활한 개념 이해를 위해 교사의 안내된 전략 활용, 학습자의 남한과 북한의 실생활 경험을 과학학습과 연결하는 접근 방식, 학습자의 교육경험을 고려하여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 등의 교수전략이 함께 어우러져 모든 학생이 참여하는 수업을 실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탈북 청소년 과학교사들은 탈북학생의 사회·문화·상황적 배경 등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탈북학생을 이해하고 이를 고려한 수업 접근방식을 활용하여 모든 학생이 참여하는 과학수업을 실천한다. 이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상황적 지식이 과학수업을 구성하는데 필수적이며 근본적인 요소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how science teachers of alternative schools for the youth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perceiv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defector students and how teachers approach to science clas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argeting four science teachers of alternative schools for the youth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based on questions about six items including motivation to be a science teacher and role, understanding for students, class goal, strategy and method, curriculum, evaluation, and teacher's effort, as well as class observation and analyzed in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study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ience teachers of alternative schools for the youth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understand the students considering their past and present, an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South and North Korea based on situational knowledge. Teachers understand the North Korea defector student considering four aspects of understanding on linguistic background, understanding on learner'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understanding on learner's education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n the situ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Second, teachers of alternative schools for the youth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have various goals of their own for science class and to accomplish the goals, hav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utilizing various class approach methods considering learner's characteristics. Teaching strategies such as class approach method using teacher’s guided strategy considering education experience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o have learners understand concept easily, approach method using learner's life experience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approach method using learner-centered learning activities are mingled together to compose a class that all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science teachers for the youth from North Korea compose a science class where all students participate by understanding students from North Korea considering their social, cultural, and situational backgrounds and by using a class approach method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It implies that teacher's situational knowledge on learners with variou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is required for composing a science class and should be an essential element.

      • High spontaneous resolution rate of high grade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and minimal development of new renal scar

        차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소아의 일차성 방광 요관 역류가 자연 소실률이 낮고, 역류에 의한 심각한 신손상의 위험이 있어 그동안 수술적 치료가 빈번히 시행되어 왔다. 따라서 소아의 일차성 방광 요관 역류의 자연 소실률을 재평가하고, 되도록이면 수술적 치료를 하지 않고 내과적 예방 요법을 유지한 역류 환아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신반흔의 발생률을 평가해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1998년부터 2012년까지 이대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한 환아들 중 일차성 방광 요관 역류를 진단받은 총 356명의 환자 (남아 239명, 여아 117명)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진단 당시 바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내과적 예방 요법을 시행하였는데 항생제 예방 요법을 시행받은 환아가 38.6%, 유산균제제로 예방 요법을 시행받은 환아가 61.4% 였다. 총 1년에서 9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간에 걸쳐 환아들을 추적 관찰하였으며, 1년에서 3년마다 방사선 동위원소 배뇨 방광 촬영술을 시행하여 방광 요관 역류의 소실 여부를 확인하였다. 새롭게 발생되는 신반흔은 역류의 소실 이후 99mTc DMSA 신장 스캔 검사를 시행하여 평가하였다. Kaplan-Meier 생존 분석으로 일차성 방광 요관 역류의 누적 자연 소실률을 평가하였고, 역류의 등급, 성별, 진단 당시의 나이, 역류의 편측성 및 신반흔 여부에 따른 누적 자연 소실률을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환아들의 추적 관찰 기간 도중 발생한 요로 감염의 재발 빈도수와 새로운 신반흔 발생률을 조사하였다. 총 356명의 일차성 방광 요관 역류 환아 중 22명인 6.4%가 수술을 시행 받았고, 334명인 93.6%는 내과적 예방 요법을 시행 받았다. 334명의 환아 중 73.4%인 245명이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자연적으로 역류가 소실되었고, 26.6% 인 89명은 추적 관찰을 지속 중이다. 역류의 등급별 자연 소실률을 계산한 결과 I등급에서 V등급에 이르기까지 각각 91.4% (32/35), 78.5% (73/93), 81.9% (86/105), 58.4% (45/77), 그리고 37.5% (9/24) 였다. 내과적 예방 요법을 시행받은 환아들이 추적 관찰 기간동안 요로 감염에 재발되는 발생률은 28.1% 였고, 높은 등급의 역류 (IV-V)를 가진 환아에서 역류의 자연 소실 이후 새로운 신반흔이 발생되는 발생률은 12.7% 였다. 본 연구 결과, 소아에서의 일차성 방광 요관 역류의 자연 소실률은 이전에 발표된 것보다 높았다. 높은 등급의 역류를 가진 환아에서도 심각한 신반흔 발생 없이 높은 자연 소실율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일차성 방광 요관 역류가 신반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재평가와 역류를 가진 환아의 치료 및 예방 방법에 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 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low spontaneous resolution rate and progressive renal scar of high grade (IV-V)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VUR) have been the main causes of frequent surgical interventions.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true spontaneous resolution rate and the incidence of newly developed renal scar in children with high grade primary VUR, who were followed up on medical prophylaxis without surgery as possible. The medical records of 356 patients (239 boys and 117 girls) who were diagnosed with primary VUR between 1998 and 2012 at Ewha Womans University Medical Cente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were initially on medical prophylaxis [antibiotics (38.6%) or probiotics (61.4%)] and were followed up for 1-9 years without surgery as possible. Radioisotope voiding cystourethrography was performed every 1-3 years until reflux resolved. Newly developed renal scars were evaluated with follow-up 99mTc DMSA renal scan after reflux resolution. Kaplan-Meier survival curv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cumulative spontaneous resolution rate of reflux by reflux grades, gender, age, laterality and renal scar. The incidences of breakthrough urinary tract infection (UTI) and newly developed renal scars during follow-up were investigated. Among 356 patients with primary VUR, 6.4% (n=22) went on surgery and 93.6% (n=334) were on medical prophylaxis. Reflux resolved spontaneously in 73.4% (n=245) and 26.6% (n=89) is still on follow-up. The spontaneous resolution rates in each VUR grades were 91.4% (32/35), 78.5% (73/93), 81.9% (86/105), 58.4% (45/77), and 37.5% (9/24) in grade I to V respectively. The overall incidence of breakthrough UTI was 28.1% during the follow-up and the frequency was very low (mean 0.38/patient). New renal scars developed in 12.7% (10/79) of high grade (IV-V) VUR. The spontaneous resolution rate of primary VUR was higher than reported. Even high grade reflux spontaneously resolved without serious newly developed renal scar. The role of primary VUR for significant renal damage needs to be further clarified.

      • 영어 팀티칭 유형이 학습자 동기에 미치는 영향 : 원어민 협력수업을 중심으로

        차지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Currently, joint cooperation class between Korean instructors and native speaking assistant instructors has been expanding widely over the country. The following research was done in order to produce better effectual methods in the cooperation clas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examining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In a sixth grade level native assistant instructor’s cooperation class, 1) the difference in the learning motives in a class led by a Korean instructor versus a class led by a native assistant instructor; 2) the main item that shows the most drastic difference in the learner’s motive response ratio from the questionnaires for each class and 3) the correlation that the learners' background has with the students' English learning motive for each class. For the research, 8 weeks of experimental classes surveyed with 153 students in total comprised of 6 classes of 6th graders. During the 8 weeks of the experiment, the first 4 weeks were led by a Korean instructor formatted cooperation class, and the latter 4 weeks were led by a native assistant instructor cooperation class. While inspecting the lessons, I also observed the students' reactions and after the experimental lessons were completed I took a survey on the cooperation class led by the Korean instructor in comparison to the cooperation class led by the native speaker instructor. After analyzing the data, I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discusses the difference in the learners’ motives between a Korean instructor led cooperation class versus a native speaker assistant instructor cooperation class, to begin with, the mass motives showed up higher in a Korean instructor led class than the native speaker led class. Second, the inner motive showed slightly higher in the Korean instructor led class than the native speaker led cla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the outer motive showed higher in the Korean instructor led class than the native speaker led class. When examin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here the learners’ response ratio towards the motive questionnaire item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t shows that: First, in a Korean instructor led cooperation class there was - Improvement Help (p=.023),Knowledge Accumulation(p=.000), Just Content(p=.003), Helps Grade(p=.000), Helps Future(p=.001), Likes Compliments/Praise(p=.000), Fear of Criticism(p=.000) so in these items i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arners' motives. After looking at the third research question which looked over the difference in the English learning motive depending on the learners' background, it showed that: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motives based on gender. Second, the English education starting motive was the highest for students who began learning English prior to elementary school. Third, it appear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ving a better understanding towards native speaking instructors among the students. Other than this, there was an attempt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learning motives based on the students’ living experiences in an English speaking country and their English private education background. However the number of students who applied to this category was too limited so a significant analysis could not take plac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motive showed that the learning motive is the highest when learning English takes place prior to elementary school. Lastly, this is the proposition for a better cooperation class to take place with a native speaker instructor. First, in a cooperation class it is most important for the two instructors to collaborate with each other and to share a close relationship. They should have a discussion prior to class and share feedbacks after class to lead a stable class. Second, both the Korean instructor and the Native speaking instructor should accept that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bring out their strengths and cover each others' flaws. The Korean instructor should share his or her abundant local experiences and class tactics and the Native-speaking instructor should share his or her fluent English skills and knowledge of the English speaking culture so that they can put in joint efforts to create ideas that will heighten the learners' learning motives. Third, during a cooperation class,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role for the native speaker or the Korean speaker is not fixed but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can be flexibly operated so there should be much effort put into enhance both the students' inner and outer learning motives. Fourth, the surrounding perception towards cooperation class must change as well. The school principal should not forcefully direct the native speaking instructors' classes or the Korean instructors' classes, but rather take in the instructors' opinions into high consideration and provide them plenty of time to discuss and deliberate prior to class. As much as native speaking cooperation classes are expanding all over the country, much manpower and expenses are being invested so there is a high rate of expectations and interests. Therefore, various ways to accomplish a successful cooperation class must be obtained so that problems that occur from cooperation classes with native speaking instructors can be improved and an effective cooperation class can be achieved.

      • 국내 폐기물 청정처리에 대한 장기간 인식도 및 선호도 조사에 관한 연구

        차지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폐기물 처리에 관한 인식도 조사를 위하여, 환경 분야에 대해 종사하고 있거나 어느 정도 지식을 갖춘 대상자를 선별하여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의 방법을 통하여 단계적으로 이를 해석하고 통계적인 방법을 통하여 평가함으로서 폐기물 관리 정책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Fill-In-The-Blank의 방법으로 코딩작업을 하였으며, 각각 연령대별, 지역분포별, 주거형태별(현소유여부), 거주기간별로 구분하여 ANOVA(일원배치분산분석)을 분석하였으며, 성별의 경우 t-test(t-검정)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유의성이 검증되는 경우에는 사후검정의 방법인 scheffe test를 이용하였다. 각 결과를 요약하며 설명하면, 74%가 교육을 하면 폐기물의 감축이 가능할 것이라 답변하였다. 88%가 각 가정의 화단 등에 퇴비화를 실질적으로 버리는 것에 대해서는 거절 또는 실행하지 않고 있다고 답변하였다. 72%가 재활용 센터에 대해 모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9%만이 각 가정의 음식물처리에 대한 자가 처리 퇴비화 정책에 참여할 것이라고 기입했다. 72%가 재활용 수거장소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변하였다. 78% 쓰레기 종량제에 만족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12%만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수거 하지 않고 그대로 버리고 있었다. 8%만이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수거 하지 않고 그대로 버리고 있었다. 82%가 재활용 센터를 이용하지 않고 있었다. 이 자료를 토대로 추후 연구 및 정책 반영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목표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차지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지속되는 고용시장의 불안정과 청년들의 취업난이 날로 증가되면서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은 높은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취업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및 우울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각 변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리고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목표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24일부터 5월 8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400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되거나 응답이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총 387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계수를 통해 내적일관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Pearson의 상관분석을 통해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에 앞서 각 변수간의 다중공산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목표의식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매개효과의 성립조건을 확인하고, Hayes(2013)의 Process Macro Bootstrapping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우울, 목표의식의 전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결과, 취업스트레스는(범위:1~5) 3.31점으로 중간보다 높은 편으로 나타났고, 삶의 만족도는(1~10) 6.96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우울은(1~4점) 1.94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낮은 편이었고, 목표의식은(1-4점) 2.79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편이었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목표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목표의식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지만, 목표의식을 매개한 경우 간접적인 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관계에서 목표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목표의식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취업스트레스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도 미치지만, 목표의식을 매개한 경우 간접적인 효과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더라도 목표의식이 높은 대학생의 경우 삶의 만족도가 높고, 우울의 수준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우울을 낮추기 위해 미래에 대한 명확한 목표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스트레스가 높은 대학생의 목표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그리고 취업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목표의식의 긍정적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과 특히, 목표의식을 측정하기 위해 새로운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과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전체 대학생의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우울에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다룬 변인 이외에 다른 요인의 영향을 고려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일반적인 상황일 때와 비교하여 또 다른 영향을 받거나 더 높은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향후 이를 고려하여 대학생의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우울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졸업유예 대학생 그룹이 50명으로 조사되어 그룹별로 비교하기에 무리가 있었으며, 졸업유예 기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 정도가 다를 것으로 예측되므로 추후 졸업유예기간을 세부적으로 구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e ongoing instability of the labor market and the growing unemployment crisis of youths in recent years have exposed college students preparing themselves for jobs to a high level of job-seeking stress. As job-seeking stress is clos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negative effects of each variable. This study set out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a sense of defined goa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from April 24~May 8, 2020.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fter the ones containing insincere or missing answers were excluded, a total of 387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1 program. Scales were tested for reliability with Cronbach’s α coefficients to check their internal consistenc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followed to figure out correlations among the major variables. Before regression analysis, multicollinearity was reviewed among each variable. Lastly, the investigator checked the conditions of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tested mediating effects based on Process Macro Bootstrapping in Hayes (2013)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via a sense of defined goal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job-seeking stress,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nd sense of defined goals and found they had a higher level of job-seeking stress above the median at 3.31 points (range of 1~5), a little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e median at 6.96 points (range of 1~10), a little lower depression than the median at 1.94 points (range of 1~4), and a little higher sense of defined goals than the median at 2.79 points (range of 1~4). Secondly, the study tested the mediating effects of a sense of defined goa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and found that a sense of defined goals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That is, job-seeking stress had indirec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via a sense of defined goals as well as direct effects on it. Finally, the study also tested the mediating effects of a sense of defined goa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depression and found that a sense of defined goals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That is, job-seeking stress had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via a sense of defined goals as well as direct effects on i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llege students with a high sense of defined goals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lower depression even though they experienced job-seeking stress. The findings back up a need to support college students to develop a clear sense of defined goals for the future so that they will have greater life satisfaction and suffer less depres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serve as ground data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to help college students with high job-seeking stress enhance their sense of defined goals. The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demonstrated the positive effects of a sense of defined goa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also made use of new tools to measure a sense of defined goal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study has its share of limitations. Since it surveyed college students onl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Gyeonggi, and Incheon,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its findings to all college students. Various factors can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which raises a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factors other than the ones addressed in the study. Under the influence of the COVID-19 pandemic, in particular, students in preparation of employment these days are likely to be subjected to different influences than general circumstances and suffer a higher level of job-seeking stress. Future studies will need to take this into account to examine college students'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There were 50 college students that postponed their graduation, which made it difficult to compare the students by groups. It is predicted that college students will have different degrees of job-seeking stres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graduation postponement, so a future study will need to distinguish the duration of graduation postponement in deta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