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사의 존재와 권위의 관계

        陳炫京 春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존재와 권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교사 의 존재와 권위의 관계에 관한 논의는 인격적 주체로서의 교사의 존재와 존재 의 전달과정으로서의 교육의 성격을 보다 구체적으로 해명하는 데 도움이 된 다. 권위는 모종의 가치있는 삶의 형식을 전제하고 있다. 삶의 형식은 인간이라 면 누구나가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될 삶의 공적 기반에 해당한다. 그러나 삶 의 형식을 인식하고 그것을 보호하면서 살아가는 것은 개인 혼자서 처음부터 가능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삶의 형식을 의식하고 살아가는 존재와 함께 삶 을 영위하면서 그것을 포착하고 보호하는 태도를 배우지 않고서는 불가능하 다. 이것이 바로 권위와 권위를 갖춘 권위자의 존재가 심각한 의미를 지니는 이유이다. 개인이 응당 그 세계를 받아들이고 그것에 입문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혼자 서 그것을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한 전형적인 사태가 바로 교과교육 사태이다 교과의 의미는 그것의 가치를 실존으로 구현하는 교사의 권위가 뒷받침될 때 학생에게 올바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점에서 교과의 세계에 학생을 입문시키 는 일을 핵심으로 삼고 있는 교사에게 권위는 교사의 존재와 분리시켜 논의될 수 없다. 권위에 관한 피터즈와 반톡의 논의는 권위의 문제를 새로운 시각에서 검토 할 가능성을 열어준다. 피터즈는 교사의 권위를 사회적 권위와의 관련 속에서 해명한다. 피터즈가 보기에, 교과교육은 사회적 권위가 무너짐에 따라 가장 큰 손상을 입는 대상에 속한다. 그와 동시에 교과교육은 무너진 사회적 권위를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에 해당한다. 사회적 권위와 교과교육의 파라독스 적 순환관계는 사회적 권위가 교과교육의 선행조건이며, 교과교육은 사회적 권위의 지향처임을 시사한다. 교사의 존재는 사회적 권위와 교과교육에서 발 휘되는 지적 권위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피터즈에 의하면, 교사의 권위는 응당 그가 ‘지적 존재’라는 점에 의하여 정 당화되어야 한다. 학생이 교과에 대한 교사의 지적 탁월성을 목격함으로써 교 사와의 지적 격차를 수긍할 때 교사의 권위는 물론 무너진 사회적 권위를 회 복시킬 수 있다. 피터즈가 교사의 권위를 지적인 측면에서 강조한 것은 지적 인 것과는 무관하게 아동에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여타의 권위의 요소에 대하여 그가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를 반증한다. 피터즈는 교사와 학생 간의 애정적 관계를 비합리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그 것을 교육에서 응당 배제해야 할 것으로 취급한다. 그러나 반톡이 보기에 교 사의 권위를 오직 이성적인 것으로 한정하고 인격적 영향력을 부정하는 피터 즈의 태도에는 아동의 삶에 대한 총체적인 무관심과 방임이 전제되어 있다. 반톡은 피터즈의 지적 권위에 대한 강조 이면에 서구 합리주의와 개인주의적 태도가 깃들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반톡에 의하면, 교사와 학생의 애정적 삶은 인간의 근원적 갈망을 조명한다. 이 경우 애정적 삶이야말로 교육에서 지향해야 할 핵심적 요소이며, 모든 인간관계에서 소망해야 할 사태에 해당한 다. 반톡은 바로 그러한 애정적 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교사의 카리스마적 권 위를 교사의 권위의 핵심으로 규정한다. 이성적으로 따져보기 이전에, 동시에 이성적 이해를 요청하는, 학생을 압도하는 카리스마적 권위야말로 교사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권위이다. 카리스마적 권위는 지적 권위와 양립 불가능 하거나 상반된 개념이 아니다. 카리스마적 권위는 지적 권위의 핵심적 의미이 면서 동시에 지적 권위가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안내한다. 카리스마 적 권위의 근원은 교사의 인격에서 비롯된다. 이때 카리스마적 교사의 인격은 그가 실재와 비분리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과 관련되어 있다. 마리땡과 피이퍼의 논의는 각각 카리스마적 권위자의 인격의 원천과 그것이 타인에게 구체적으로 힘을 발휘하는 메카니즘을 밝히는 데 기여한다. 마리땡 의 인격(personality)의 개념은 실재와의 관계 속에서 규정되는 인간의 존재방 식을 의미한다. 한 사람을 인격자로 만드는 것은 인격의 근원에 신적인 것이 개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피이퍼가 주목한 기독교의 전통에서 선지자의 존재 방식은 인격의 신적인 힘이 어떻게 타인의 인격에 구체적인 영향력을 행사하 는지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 선지자는 신적인 근원으로부터 메시지를 받고 그것을 자신의 실존으로 가시화하는 존재이다. 선지자의 존재방식은 신적인 힘이 인간의 실존을 통하여 실현될 때 타인에게 모종의 힘을 발휘할 수 있음 을 보여준다. 기독교의 중보자(The Mediator)는 인격의 원천과 그것의 전달이 인간의 실 존을 통하여 한꺼번에 구현되는 독특한 방식을 보여준다. 중보자는 신이 사람 으로 육화된 존재로서 그의 존재 자체가 계시의 메시지요, 전달 방식이다. 인 간의 존재 자체가 교과의 내용이자 방법이 되는 중보자의 실존은 모든 교사가 소망하는 교사의 기준적 모습을 보여준다. 교사는 교과를 가르치는 동안 신적인 힘과 교감하면서 그것의 운동을 자신 의 전 존재로 가시화한다. 그와 같은 교사의 존재는 권위가 신앙과 이성의 문 제와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교과가 그려내는 창조된 세계의 의 미가 교사의 존재 안에서 드러나고 교사의 실존이 교육내용과 분리되지 않을 때 교사의 몸은 비로소 신앙과 이성이 살아 숨 쉬는 성소가 된다. 교사의 존 재가 교과와 분리되지 않고 신앙과 이성이 그 안에서 조화를 이루는 것은 곧 모든 교사가 꿈꾸어야 할 궁극적 소망에 해당한다.

      • 지식 추구의 추진력: 원천과 그 작용

        진현경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riving force in pursuit of knowledge’ at a metaphysical level. The discussion on the metaphysical aspect of the ‘driving force in pursuit of knowledge’ helps to clarify the meaning of activities in pursuit of knowledge and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devoted to the pursuit of knowledge, respectively. Concerns about the ‘driving force in pursuit of knowledge’ have tended to b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learning motivation’. However, such an approach based upon empir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learning entirely disregards the meaning of the activities in pursuit of knowledge. This is the whole-personal change which is the meaning of the activities in pursuit of knowledge. It should be seen that there is a ‘force’ or ‘movement’ that leads to the development of a person’s whole personality in the activities in pursuit of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transcendental aspect of activities in pursuit of knowledge by identifying the metaphysical source that connects ‘knowledge’ to the ‘mind’ and explaining its work. This was suggested by Plato’s ‘eros’ and Chu Hsi’s doctrine of ‘Li-Yi-Fen-Shu’(理一分殊: The Principle is one and is distributed in different things). Plato’s eros shows that the pursuit of knowledge is driven by a ‘passion for knowledge’, which is derived from the metaphysical source inherent in knowledge. According to 「Symposium」, Plato defines eros as a ‘desire for beauty’. In this argument, the pursuit of knowledge is thus the pursuit of the beauty of the knowledge and, therefore, eros as a desire for beauty works essential inner driving force of the pursuit of knowledge. Plato’s another Dialogue 「Phaedrus」 suggests that the ‘desire for beauty’ is related to the ‘divine madness’. The divine madness emphasizes that ero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exercised by human’s will or effort but is possessed by a ‘transcendental’ force that humans cannot deny or disobey. The concept of eros as a divine madness indicates that knowledge has an absolute force or movement that induces emotional passion. The doctrine of ‘Li-Yi-Fen-Shu’(理一分殊) in Neo-Confucianism, taken as an educational theory, presents a significant illumination to the interpretation of metaphysical source of pursuit of knowledge and its work. Early Neo-Confucianist introduced the concept of ‘the principle of things’(分殊理)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ultimate principle’(理一) conceptually, not separated factually. The concept of ‘the principle of things’(分殊理) implied in the doctrine of ‘Li-Yi-Fen-Shu’(理一分殊) is viewed as a ‘not-yet-manifest’(未發) within the ‘experiential dimension’. The ‘immanental’ and ‘transcendental’ aspects of ‘Principle’(理) can be understood as giving the inner coherence in explain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mind in the pursuit of knowledge by illuminating ‘real possibility’ and ‘ideal orientation’ of the pursuit of knowledge, respectively. Furthermore, when the development of the mind in the pursuit of knowledge is described from a dynamic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clarify a specific movement of the metaphysical source working on the activities in pursuit of knowledge. According to the conceptual connection between ‘the principle of things’(分殊理) and ‘the physical nature’(氣質之性), an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means the mutual transaction between ‘the principle of things’(分殊理) revealed by ‘the physical nature’(氣質之性) and ‘the physical nature’(氣質之性) cultivated by ‘the principle of things’(分殊理). This circular movement of ‘the principle of things’(分殊理) and ‘the physical nature’(氣質之性) rises endlessly upwards to the invisible standard that we must abide by, which means, the mind recovers its original quality in the setting of education. The discussion of ‘driving force in the pursuit of knowledge’ in the light of the metaphysical aspect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explicate that subject matter education is a particular human activity that uplifts a person belonging to the experiential world toward the absolute ideal worl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 추구의 추진력을 형이상학적 수준에서 설명하는 데에 있다. 인간이 지식을 추구하는 힘을 무엇으로 이해하는가는 지식 추구 활동의 의미와 지식 추구에 헌신하는 인간의 존재를 설명하는 방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교육학의 근본적인 관심사가 된다. 지식 추구의 추진력은 주로 학습 동기와 관련하여 논의되어 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인간이 지식을 추구하는 힘은 경험적 또는 심리적 수준에서 파악되는 동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지식 추구 활동의 의의는 지식을 추구하면서 모종의 전인격적 변화가 일어난다는 데에 있다. 그 점에 주목하면 지식 추구 활동에는 인간의 전인격적 발달을 이끄는 힘 또는 운동이 내재해 있다고 보아야 한다. 본 연구의 관심은 지식 추구 활동 이면에서 지식의 획득을 마음의 발달로 연결시키는 형이상학적 원천을 확인하고 그것의 작용을 설명함으로써 지식 추구 활동의 초월적 측면을 드러내는 데에 있다. 그것은 플라톤의 ‘에로스’(eros)와 성리학의 ‘이일분수’(理一分殊) 개념에서 시사받은 것이다. 플라톤의 에로스는 지식의 추구가 지식에 대한 열정을 통하여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대화편 「향연」에 의하면, 에로스는 ‘미를 향한 열망’이다. 인간이 지식을 추구하는 것은 지식 안에 아름다움이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지식의 추구는 미에 대한 갈망을 내적 동력으로 삼는다. 대화편 「파이드로스」는 미를 향한 열망으로서의 에로스가 ‘신적 광기’라는 점을 새롭게 환기시킨다. 신적 광기로서의 에로스는 개인의 의지나 노력으로 구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거부하거나 거역할 수 없는 모종의 ‘초월적’ 힘에 사로잡힌 상태를 뜻한다. 신적 광기로서의 에로스의 개념은 지식 안에 인간의 정서적 열정을 이끌어내는 절대 수준의 힘 또는 운동이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성리학에서 理의 존재 문제와 관련하여 확립한 ‘이일분수’(理一分殊)는 플라톤이 주목한 지식 추구의 형이상학적 원천과 그것의 작용을 성리학 특유의 세밀한 이론적 체계로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 일찍이 성리학자들은 理를 형이상자(形而上者)로 말하면서 그와 동일한 개념적 지위를 가지는 ‘분수리’(分殊理)를 별도로 상정한다. 분수리는 ‘경험적 차원’에 내재한 ‘형이상자’이다. 理의 ‘내재’와 ‘초월’적 측면은 지식 추구의 ‘현실적 가능성’과 ‘이념적 지향성’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지식 추구를 통한 마음의 발달 과정을 보다 정합성 있게 설명해준다. 이일분수론 자체는 지식 추구를 통한 마음의 발달을 정태적 수준에서 설명한 것이지만, 理一과 분수리의 관계를 동태적 측면에서 규명하면 지식 추구 과정 이면에 가정된 형이상학적 원천의 구체적인 작용 방식과 그것의 역동성이 드러난다. 지식 추구 과정에서 작용하는 형이상학적 원천의 운동은 ‘교과’와 ‘마음’의 교섭으로부터 확인된다. 교과와 마음에 속한 형이상자인 ‘분수리’와 ‘기질지성’(氣質之性)의 관련에 의하면, 지식의 내면화는 기질지성에 의하여 분수리가 드러나고 분수리에 의하여 기질지성이 점차 완전한 형태로 되어가는 순환 운동으로 구체화된다. 인간의 심성함양은 분수리와 기질지성의 교섭이 끝없이 위층을 향하여 나아감으로써 마음이 본연의 모습을 회복하는 과정이다. 지식의 내면화를 지식 추구의 추진력의 측면에서 검토하는 것은, 교과 공부가 인간을 경험적 세계에서 절대적 이념의 세계로 도약시키는 특별한 인간 영위라는 점을 보여준다.

      • 전제유발자 연구 : 강한 전제유발자와 약한 전제유발자의 담화 효과를 중심으로

        진현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전제유발자(déclencheur de la présupposition)유형 분류를 바탕으로 전제유발자의 강도에 따라 강한 전제유발자(déclencheur fort de la présupposition)와 약한 전제유발자(déclencheur faible de la présupposition)로 분류하고 각각의 차별화된 담화 효과를 광고 문구 분석을 통해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제와 전제유발자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전제유발자의 강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리고전제유발자의 유발 요소에 따라 의미 속성 전제유발자와 통사 구문 전제유발자로 분류하고, 이 분류를 바탕으로 전제유발자의 강도에 따른 분류를 시행한다. ‘전제 미지 문맥(Explicit Ignorant Context)’을 분류 기준으로 각각의 전제유발자를 분석한 후, 강한 전제유발자와 약한 전제유발자로 분류한다. 그리고 통사 기제에 의해 유발된 전제는 주로 강한 전제유발자로부터 유발됨을 보이고 전제유발자의 유형과 강도의 상관관계를 밝힌다. 마지막으로 광고 문구에 사용된 전제유발자를 분석함으로써 전제유발자의 강도 차이로부터의 차별화된 담화 효과 가정한 후, 이들이 어떻게 상호 보완적으로 하나의 광고 메시지를 구성하는지 살펴본다. 강한 전제유발자는 확정적 전제를 유발하여 광고주의 책임 하에 객관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주는 반면, 약한 전제유발자는 선택적 전제를 유발하여 소비자의 선택을 존중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담화 효과를 나타냄을 보인다. La présente étude a pour but de classifier les déclencheurs de la présupposition en déclencheur fort et en déclencheur faible, en fonction de ses forces, et de décrire les effets du discours distincts, en analysant les textes publicitaires. Pour ce faire, tout d’abord, nous examinons les études existantes sur la présupposition et ses déclencheurs et justifions la nécessité d’une étude sur la force des déclencheurs. Selon les éléments qui déclenchent les présuppositions, les déclencheurs sont classifiés en déclencheur d’attributs sémantiques ou en déclencheur syntaxiques. En fonction de cette distinction, nous classifions ces déclencheurs suivant leur force déclenchante, donc en déclencheur fort et déclencheur faible, en prenant en compte le Contexte d’Ignorance Explicite comme critère de classification. Ensuite, nous montrons la corrélation entre le type et la force des déclencheurs en notant que les déclencheurs syntaxiques sont principalement déclenchés par les déclencheurs forts de la présupposition. Enfin, après avoir élaboré une certaine hypothèse sur les différents effets du discours apportés suivant la différence de force déclenchante de la présupposition dans les messages publicitaires, nous montrons comment ces déclencheurs constituent, de manière complémentaire, ces messages. L’usage des déclencheurs forts de la présupposition déclenche une présupposition décisive qui donne confiance aux consommateurs en transmettant le message objectivement sous l’engagement de l’annonceur. En revanche, les déclencheurs faibles donne lieu à une présupposition sélective, supposant le respect du choix des consommateurs et les incitant leur participation volontaire à la consommation.

      • 학습자 감성 신장을 위한 시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진현경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at the learner could realize and express how one feels, sympathize with others, and furthermore, feels the change in oneself through the poetry education. The way to do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dition and the problem of school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 related to emotional intelligence’s improvement, through the text book and the teaching method. After the first process, study finds the better and specific ways to do the poetry education, in order to fulfill the emotional intelligence’s improvement of learners who are about seventh grade. This study had been phased by restructuring the textbook for the effective poetry education to emotional intelligence’s improvement. The first is the motivating phase which is to give the important information in advance to motivate and interest the learners who might think the poetry class would be dull. The second is the emotional experiences phase which is to arrange the scene and the situation of the poetry by close reading. The third is the discussion phase which is to find the agreeable factor among the instructor and learner, and learner themselves. The last is the emotional intelligence’s improvement phase which is to adapt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poetry in everyday life, and this phase had been exemplified in various ways. In selecting the poetry, the poetry had been selected majorly on the family, friend, and the subject which influence the learner’s form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mprovement the most. Moreover, every poetry reveals the aim of the lesson, the reason why it had been chosen, and the expected behavioral change of the learners after the poetry lesson. The writer oneself proposes other instructors to adapt the result of this study, which is to follow the learner’s level and situation, in real class. In addition, in poetry education purpos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s improvement, learner’s self evaluation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instructor only should be an observer who observes the learner’s portfolio and behaviors.

      • 지적장애 자매가 있는 초임 특수교사의 교육신념의 변화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진현경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지적장애인 자매가 있는 초임 특수교사가 특수학교 교육현장에서 경험한 교육신념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방법 중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였고, 연구질문은 ‘지적장애인 자매가 있는 초임 특수교사인 나는 특수학교 현장에서의 교육 경험을 통해 어떠한 교육신념을 형성하였는가?’로 설정하였다. 자료는 블로그 교직 일기, 개인 일기, 기억자료, SNS 자료, 문헌자료 등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감정코딩과 가치코딩 방법을 중심으로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는 특수교사가 되기 전 가정, 학창 시절,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특수교사는 아이들에게 무작정 최선을 다하는 교사’라는 신념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나는 교사로 임용되고 특수학교에 근무하면서 학생, 동료 교사, 학교 문화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특수교사가 되기 전에 나에게 있던 교육신념에 혼란을 겪게 되었다. 셋째, 나는 나의 경험과 학교에서의 경험을 통해 ‘교과, 교수법, 학생 이해 및 지도, 교사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 교육신념이 변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삶의 맥락에 있는 특수교사의 교육신념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re often strongly related to education where teachers implement teaching practices in the classroom and interact with students. Every teacher has their own belief, which is the basis for their behaviors, but those are different from the others. Although several studies aimed at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beliefs or teacher identities of teachers, none sought to explore this issue from the view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has a sist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beliefs of a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influenced by a sist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 and to discuss its meanings. To explore this issue by offering an autoethnography, a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in which the researcher asked ‘what kinds of educational beliefs did I form through my own special school experiences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influenced by a sist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data from her teacher’s dairy blog, personal journal, memories,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references.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ison method, based on methods of emotion coding and values cod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periences from home, school days, an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before becoming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researcher formed beliefs that a special education teacher should be a diligent teacher who does one's best for her students. Second, after becoming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having work experiences with students, colleagues, and school culture, the researcher got perplexed with the educational beliefs she had before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through her life and teaching experiences, the researcher's educational beliefs have changed from being a diligent teacher to a competent teacher in subjects, teaching methods, guidance, and school tasks. Based on the main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on the educational belief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various life contexts.

      • 국내거주 외국국적동포의 직업능력개발에 관한 연구

        진현경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raining programs for foreign nationality compatriots residing in Korea are effectively opera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vocational competency so as to explore ways to help improve their vocational competency. To this end, the current training programs provided for foreign nationality compatriots living in Korea by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were investigated for their relevance and effects. In addition, the specificity of advance information on training contents, benefits(the continuance of training) from an extension of stay or a change of visa status, and the effect of the teaching ability of teachers(instructors) on the improvement of job ability were examined. This study also provides policy suggestions by exploring whether trainees’ motives for participation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vocational competency.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training contents, the foreign nationality compatriots recognized that items related to communic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were highly relevant to work, while those about information utilization were less relevant. In addition, they considered that the teaching ability of teachers(instructo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educational effect. After receiving training, they thought that their communic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skills had improved, while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had not. When it comes to the improvement of job expertise, the research subjects considered that their job attitude had improved, while job performance based on job knowledge and skills had no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foreign nationality compatriots in the training programs and vocational competen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od of training and the type of training programs rather tha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Third, an analysis of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raining programs and vocational competency revealed that the relevance of training contents to work and the teach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competency, while the specificity of advance information and the continuity of training did not. Fourth, their motives for particip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the relevance of training contents to work, the continuity of training, and the teaching ability on basic vocational competenc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Firs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foreign nationality compatriots living in Korea,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be directly related to work, the sub-area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y and job expertise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and tools to measure them should be developed properly. Second, to help foreign nationality compatriots develop vocational competenc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ir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as foreigners and to hire professional teachers(instructors) who can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their situ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asons for the relatively short training hours for Koryoin compatriots and to design education and training by understanding their demands. For Joseonjok(Korean-Chinese),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can work together to let them stay in Korea for a long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education and training that enables them to grow into skilled workers in occupations where foreign workers are in demand. Fourth,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foreign compatriots living in Korea should be design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reward system and the individual value system provided by the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achieve career development for a long term. Lastl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foreign nationality compatriots living in Korea to help them development vocational competency.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국적동포에 대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직업능력개발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점검하여 그들의 직업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서 현재 국내거주 외국국적동포에 대해 실시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업무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내용에 대한 사전정보의 구체성, 체류기간 연장이나 체류자격 변경에 따른 혜택(훈련의 지속성)과 교육훈련 교수자(강사)의 교수능력이 직업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훈련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직업능력 향상에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정책적인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거주 외국국적동포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가운데 의사소통과 문화적응 관련 내용은 업무관련성이 높고 정보활용 관련 내용은 업무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교수자(강사)의 교수능력은 교육 효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교육을 받고 난 후 의사소통능력과 문화적응능력은 스스로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반면, 정보활용능력의 향상은 다소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직무전문성 향상과 관련해서는 직무태도는 스스로 향상되었다고 인식하는 반면, 직무지식·기술을 바탕으로 한 직무성과에 대한 향상은 다소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직업능력에 대한 외국국적동포의 집단 간 차이는 성별, 연령, 학력, 소득 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보다는 교육훈련을 받은 시간과 교육훈련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직업능력과의 영향관계 검증 결과 교육내용의 업무관련성과 교수능력은 직업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전정보의 구체성과 훈련의 지속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여동기는 교육내용의 업무관련성, 훈련의 지속성, 교수능력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인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거주 외국국적동포에 대한 직업능력개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교육목표를 업무와 직접적으로 관련성이 있도록 명확하게 설정해야 하며 외국국적동포에게 필요한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전문성의 하위영역과 측정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외국국적동포에 대한 직업능력개발을 위해서는 그들의 직업환경과 외국인으로서의 특성을 이해하고 현재 수준과 상황을 고려하여 교육할 수 있는 교수자(강사)의 전문성 확보가 중요하다. 셋째, 고려인 동포에 대해서는 교육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이유를 점검하고 그들의 수요를 파악하여 교육훈련을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조선족의 경우는 법무부와 고용노동부가 연계하여 장기체류가 가능하며 외국인 인력이 필요한 직종에서 숙련공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내거주 외국국적동포에 대한 직업관련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장기적으로 경력개발이 가능하도록 환경이 개인에게 제공하는 보상체계와 개인의 가치체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거주 외국국적동포를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바라본다면 이들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 장류에서 분리된 Bacillus safensis의 xylanase 특성 분석

        진현경 우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bacterial strain capable of hydrolyzing xylan was isolated from fermented soybean paste in domestic Buddhist temple by enrichment culture using rice straw as a carbon source.

      • 수학사를 활용한 로그함수 지도에 관한 연구

        진현경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Mathematics has a long history for more than five thousand years. It means that the history of mathematics begins with a history of mankind. We can see how and when mathematic concept grew and the background during that time by mathematic history. However, today's curriculum consists of formal deduction methods hiding how and when of mathematic growth, so it keeps students from understanding mathematics in depth. To overcome the defects of deductive teaching method the histo-genetic principle has continually been argued as a teaching principle of mathematics. Histo-genetic principle intends to investigate the original thought and its developing process and to accomplish the mathematical thought again through learning proces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observe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n teaching mathematic history, to examine the history of logarithmic function,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logarithm in 7th curriculum textbooks and to present the teaching material of logarithmic function by apply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We expect the followings through teaching logarithmic function by applying its history: 1. We can show the real necessity that logarithm could not but occur. 2. We can know the basic usability of a logarithm in calculation. 3. We can recognize mathematics to be a developing and changing learning. I hope this study can be a good supplement material to the curriculum in teaching the students and be useful to help the mathematics teachers who try to teach mathematics by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in a systematical and suitable way and to improve the current mathematic education.

      • 元代 雲南통치와 宗王 : 雲南王·梁王을 중심으로

        진현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treats the Yuan’s governance of Yunnan(雲南) focusing on the roles of the royal princes(宗王). Yunnan is a place where the royal princes' role changes due to the readjustment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are well observed, because of the princes' administrative assignments in the region, both before and after Xingsheng(行省), the regional secretarial council, was established. Especially, the royal princes were continuously assigned to Yunnan, after the establishment of Xingsheng as well. The influence expanded even further during the later years of Yuan. Although royal princes were sent to various regions of the Yuan dynasty, Yunnan had the longest period of time when it comes to the coexistence of Xingsheng and the royal princes. After his enthronement, Qubilai enfeoffed his sons and grandsons as royal princes and dispatched them to key military points. Such dispatches of royal princes began in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the empire’s local government system, and their roles and influences underwent several changes depending on military and political situation. in the year of 1267, Qubilai enfeoffed his sixth son, Hügechi, as the prince of Yunnan(雲南王). The region’s local subdivision was never reorganized after the conquest of Dali(大理) in 1253, which resulted in a major revolt by indigenous peoples in 1264. Meanwhile, Qubilai started to put diplomatic pressures on Annam(安南, Vietnam) since 1267, resuming the war with Southern Song(南宋). From this period, Yunnan became more important as a bridgehead area for Southeast Asia, and Hügechi was in charge of military and diplomatic activities in Southeast Asia and the rule of Yunnan. However, such governing style through the appointment of royal Prince was stopped at some point before 1271 as Hügechi was poisoned. The establishment of the Yunnan Xingsheng(雲南行省) in 1274 was a significant event that led to a role change in Yunnan’s regional royal princes. After the establishment, Yunnan was governed by Xingsheng. Previous studies decided that Xingsheng and the royal princes ruled this region in parallel since Xingsheng’s establishment to the year 1356. However, their roles showed differences in the viewpoint focused on the royal prince’s part. Esen-temür was dispatched in 1280 due to the changes of the military situations in northern part of the Yuan empire and served as Yunnan’s commander-in-chief. The role of the royal prince changed once again since 1290 when Gammala became the Prince of Liang(梁王). Though the empire’s expansion and conquest entered a lull, there was a high military demand on Yunnan to govern this area stably. Meanwhile, because of the distance from the capital, it was hard to constantly deploy government officials. Therefore the royal princes sent to yunnan genarally stayed where Xinsheng was established and took charge of tasks such as Military command in cases of emergency and censoring of the officials, while complementing Xingsheng. Meanwhile, the royal princes were affected greatly by replacements of the throne and succession struggles because they were related to Qa’an by blood. The imperial throne’s movements caused changes and halt in family lines of royal princes in Yunnan, which ended up diminishing the royal prince’s roles in this area. Especially, Ongšan who had been enfeoffoed as the prince of Liang and his son Temür-Buqa, who had been enfeoffed as prince of Yunnan participated in the war of the two capitals(兩都內戰) in 1328 and they were executed as a result of the war. After the war of the two capitals and a series of rebellions in Yunnan led to the Yuan Courts’ loss of control of Yunnan Xingsheng. This gave the native officials changes to develop their influences and made a significant political transition in Yunnan. Due to the chaos in the whole empire during later years of Yuan, the Yunnan Xingsheng kept on failing to properly function and the royal prince grasped the whole control over Xingsheng. Henceforth, royal princes took charge of governing the region while coexisting with the Duan clan(段氏). The royal princes kept on supporting the Mongolian government because they ruled the region on behalf of Mongolian Qa’an, despite the Prince of Liang’s power expansions in Yunnan. The royal prince provided an important reason why Yunnan could remain as Northern Yuan’s ruling territory for a long period of time, even after Ming dynasty expanded its power.

      •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 참가자들의 만족도 조사를 통한 자연환경해설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진현경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부는 생태 우수지역을 방문하는 탐방객에게 양질의 환경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시행해 오던 자연환경안내원 제도를 보완ㆍ강화하여 2012년부터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을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자연환경해설사제도의 성공적인 정착과 자연환경해설사의 처우개선에 이바지하고자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 수료생을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고 국내외 환경해설 및 교육 분야 양성과정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과 개선방안을 얻었다. 첫째, 국내 환경해설 및 교육 분야 양성과정의 교육과목이 서로 중복되는 과목이 많았다. 따라서 부처 간 협의를 통해 이수과목을 통합 관리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자연환경해설사 자격취득 후 역량 강화를 위하여 교육방식을 인터넷강의 등 다양한 방식을 채택하고 수업방법도 토론식 수업이나 팀별 프로젝트 수행 등의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의 관련학과와 파트너십을 통해, 대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주니어 해설사 양성과정이나 성인학습자들의 교육 참여를 유도하여 폭넓은 연령층과 다양한 경험을 가진 인재확보 및 저변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자격을 취득한 자연환경해설사가 전문 직업인으로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일자리 확보와 자격취득에 따른 수당 및 보수의 차등지급, 업무의 구분 등 제도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내용 및 프로그램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The Ministry of Environment complemented and enhanced ‘Environment Guider System’ that had been implemented since 2004, and changed into the environmental interpreter system in 2012 in order to provide a high-quality environmental service to visitors of ecological regions. This study surveye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environment interpreter training courses and investigated domestic and overseas environmental interpreter training programs for successfully settlement on the environment interpreter system.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First, environment interpretation an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are similar and curriculums are overlapped. Therefore, integrated management for training courses and curriculums is required through discussion among related parties. Second, new educational methods such as internet lectures, discussion classes, and team projects are needed. Third, more efforts are needed to educate junior interpreters and to utilize various human resources with wide range of age, background and experience. Fourth, more job opportunities and economic benefits should be given to environmental interpreters. Fifth, diverse education contents and programs for local environments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