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gF2 표면 코팅된 LiNi0.8Co0.15Al0.05O2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열적 안정성 평가

        진수진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lithium ion batteries have been focused on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large scale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s, fully electric vehicles. The safe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stability of Li intercalation compounds is heavily affected by phase transition during intercalation and deintercalation of Li ion. LiNiO2 has been studied due to higher specific capacity, lower cost, and less toxic than LiCoO2. However, it is difficult to synthesize LiNiO2 because Li deficient LidNiO2-d(0<d<1) is synthesized due to difficult oxidation of Ni2+ to Ni3+ when LiNiO2 is synthesized at high temperature. LiNiO2 also has some drawbacks such as poor cycle life and low thermal stability at charged state. Co and Al substitutions for Ni, LiNi0.8Co0.15Al0.05O2, are promising material because of excellent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and good thermal stability. Al ion is electrochemically inactive during cycling and strong Al-O bond can stabilize the layered structure of LiNi0.8Co0.15Al0.05O2. Thus Al substitution is attributed to suppression of phase transition and lattice change during cycling and it also restrains decomposition reaction between electrode and electrolyte.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low thermal stability, unstable cycle performance and insufficient rate capability. LiNi0.8Co0.15Al0.05O2 including high Ni content reacts with moisture and ambient CO2 rapidly,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LiOH and Li2CO3 on the surface of cathode materials. Thus severe capacity loss is occurred by these impurities. One way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improv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is to coat surface of cathode with metal oxide or metal fluoride. The coated layer can significantly decrease direct contact between the cathode materials and electrolyte and it can reduce the surface reaction. In this study,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thermal stability were investigated for MgF2 coated LiNi0.8Co0.15Al0.05O2 cathode. The ratio of MgF2 was controlled by 0.5, 1, 3wt%. Cyclic voltammetry, charge-discharge profiles, rate capability, cycle life were measured for electrochemical properties. DSC analysis was measured for thermal stability. The first discharge capacities of MgF2 coated LiNi0.8Co0.15Al0.05O2 were decreased at 0.1C-rate than pristine LiNi0.8Co0.15Al0.05O2. But the rate capability and cycle life of MgF2 coated LiNi0.8Co0.15Al0.05O2 were improved at 2C-rate. In DSC analysis result, the exothermic temperature of MgF2 coated LiNi0.8Co0.15Al0.05O2 was increased and exothermic peak was decreased.

      • 발반사 마사지가 여성노인의 수면과 피로에 미치는 영향

        진수진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ot reflexologic massage on sleep and fatigue of elderly women. The research design applied for this study is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The subjects chosen for the study were 50 elderly women who use the three senior citizen's houses located in C city and they are split into 2 groups. One is the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25 elderly woman who took the foot reflexologic massage and the other is the control group composed of remaining 25 elderly women who did not take any massage. The foot reflexologic massage was performed for 45 minutes every three days. Th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over a four month period from April 6, 2004 thru July 30, 2004.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are Sleep Check List designed by Oh et al. and Fatigue Check List designed by the Labor and Health Institute of Japan. The data analysis methods consist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ronbach's ?, Chi-Square test, 1-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using SPSS Win 10.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The sleep score of the experiment group who took the foot reflexologic massag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 -5.944,p= .000) . 2.For the experiment group who took the foot reflexologic massage, it is seen that the sleep score increases as the frequency of the foot reflexologic massage increases (F=96.362, p= .000). 3.The fatigue score of the experiment group who took the foot reflexologic massag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t=4.356,p=.000) . 4.For the experiment group who took the foot reflexologic massage, the fatigue is relieved gradually as the frequency of the foot reflexologicmassage Increases (F=118.444, p=.000). In conclusion, the foot reflexologic massage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for elderly women in promoting a good sleep and relieving the fatigue.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the foot reflexologic massage should be applied to elderly women asa method for treating the troubles with sleep or fatigue.

      • 항공산업 위기에 대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직무역량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진수진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 19로 인한 항공산업의 위기는 항공업계의 경제적 위기와 항공사에 취업하고자 하는 구직자들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은 항공사 취업이라는 명확한 취업목표를 가지고 진로를 준비해 왔으나 항공사 취업 가능성이 줄어들면서 진로 선택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한 항공산업 위기에 대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공산업의 위기에 대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인식과 취업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전공직무역량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취업 방향성에 도움을 주고, 취업 전문 교육기관과 항공서비스 전공 관련 대학에서도 학생들의 취업 지도에 전공직무역량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임으로써 취업준비행동에 긍정적인 결과의 향상을 기대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는 항공사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응답결과는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빈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요인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항공산업 위기인식과 취업준비행동에서의 재학 상태에 따른 유형별 차이가 있을 것을 예상하여 재학생 그룹과 졸업대상자그룹으로 구분하여 재학 상태 그룹별 차이 검정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전공 재학생의 항공산업에 대한 위기인식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은 낮게 나타났다. 반면, 항공서비스전공 졸업대상자의 경우 항공산업 위기인식과 취업준비행동은 유의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항공서비스전공 재학생과 졸업대상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전공직무역량이 높을수록 취업준비행동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항공서비스전공 재학생의 항공산업 위기인식과 취업준비행동 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전공직무역량은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공서비스전공 졸업대상자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전공직무역량 모두 항공산업 위기인식과 취업준비행동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졸업을 앞두고 급하게 취업을 준비해야 하는 졸업대상자들의 경우와 달리 졸업에 비교적 시간적 여유가 있는 재학생 그룹이 미래의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받아들여 항공산업 위기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이어서 항공산업 분야 취업준비행동을 줄이는 대신 다른 방향으로 진로를 생각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그리고 이런 재학생 중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항공산업 위기가 오더라도 본인은 항공사에 취업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믿음이 있어서 항공산업 위기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하게 된다. 따라서 항공서비스전공 재학생의 경우 항공산업 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더라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같은 긍정심리자본을 높여주면 활발한 취업준비행동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초래된 항공산업의 위기를 인식하고 있는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취업준비행동을 하는 데 있어 심리변인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들의 항공산업 위기인식을 낮추고 적극적인 취업준비행동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대한 한계점과 추후 연구과제도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how the perception of the aviation industry crisis affects the job-preparation behavior of pre-service flight attendant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 aviation industry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is affecting not only the restructuring of the industry but also job seekers seeking employment in the industry. This study, in particular, focus on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compet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he crisis in the aviation industry and the job-preparation behavior. The data for empirical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to work for airlines and 177 responses were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by frequency, correlation, factor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risis in the aviation industry, the lower the level of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 Secondly, the higher the career-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 and the higher the professional competency,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job-preparation behavior. Thirdly, whil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college student is confirmed to ha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aviation industry crisis and the job-preparation behavior, the professional competency has no moderating effect. Finally, both the professional competency and the career-decision self-efficacy of of the candidates for graduation show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aviation industry crisis and job-preparation behavior.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while the perception of the aviation industry crisis on the part of the candidates for graduation has not affected their job-preparation behavior, college students who have some time to graduate seem to show low level of job-preparation behavior in aviation industry. The result of analysis also draws an implication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strengthen the training for enhanc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ir students in order for them to focus on job preparation behavior.

      •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진수진 고신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사기 저하, 높은 이직률의 원인이 되며 환자의 생명을 살리는 간호조직 목표달성을 위한 간호사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는데 장애가 되고, 간호사 자신의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되므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문제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한 직무스트레스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연구이다. 이를 위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문헌고찰과 Ivancevich와 Matteson(1980)의 스트레스 통합모델을 바탕으로 간호업무환경, 역할갈등, 변혁적 리더십의 외생변수와 중환자실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전문직 자아개념 그리고 직무스트레스를 내생변수로 구성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8월 5일부터 8월 30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B시에 소재한 D 원자력 의학원, K대학교 병원, S 병원, C시에 소재한 S 대학교 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 220명이었다. 직무스트레스는 장세진 등(2004)에 의해 개발된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단축형(KOSS-SF) 직무스트레스 도구를, 간호업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한 PES-NWI를 박은경(2010)이 번역한 것을 수정·보완한 간호업무환경 도구를, 역할갈등은 김문실과 박상연(1994)이 개발한 것을 수정 보완한 역할갈등 도구를,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MLQ 도구를 이상동(2008)이 번역한 것을 박해경(2013)이 수정 보완한 변혁적 리더십 도구를,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측정도구를 전병제(1974)가 번안한 것을 수정 보완한 도구를, 전문직 자아개념은 Arthur(1990)가 개발한 간호 전문직 자아개념 도구를 송경애와 노춘희(1996)가 번역한 것을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 및 연구변수에 대한 서술적 통계, 연구도구의 신뢰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18.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설정된 가설적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χ²= 304.868(df=153, p<0.001), χ²/df=1.99, GFI=0.88, AGFI=0.83, RMR=0.03, NFI=0.86, NNFI=0.91, CFI=0.92, IFI=0.93, RMSEA=0.07로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적 모형에서 총 12개의 가설 중 8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모형 검증 결과, 간호업무환경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역할갈등, 변혁적 리더십과 자아존중감은 전문직 자아개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호업무환경, 역할갈등, 변혁적 리더십과 자아존중감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업무환경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간호업무환경과 역할갈등, 변혁적 리더십이 직접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간호업무환경개선, 역할갈등 감소 및 자아존중감과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강화 및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 학교도서관 이용자 교육에 따른 정보 활용능력의 차이 분석 : 서울 경기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수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 활용 능력과 이를 이용한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은 21세기 인재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2015년부터 자유학기제가 도입되면서 학생들의 학습의 결과를 시험으로 평가하기보다 학습하는 학생들의 정보 활용 능력과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을 중요하게 평가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러한 능력들을 신장시켜야 할 학교 도서관에서 도서관을 중심으로 하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정보 활용 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임시 방편으로 활용중인 도서관 이용자 교육 조차 받을 수 없는 학교들도 많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들이 정보 활용 교육(도서관 이용자 교육)을 받았을 때와 받지 않았을 때 중학생들의 정보 활용 능력 차이를 확인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을 자주 이용하는 학생들과 독서량이 높은 학생일수록 정보 활용 능력이 뛰어났으며, 이용자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정보 활용 능력이 교육을 받은 지 오래 된 3학년 학생들과의 차이를 보임으로서 이용자 교육도 정보 활용 능력 신장을 위해 꼭 필요한 교육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생들의 정보 활용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각 학교에 학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 인력(사서 교사)을 필수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둘째, 교과 교사와 사서 교사의 교육 활동 연계가 필요하다. 정보 활용 교육을 위해 사서 교사가 각 학교에 배치되어 교과와 연계한 정보 활 교육이 진행된다면, 학생들의 정보 활용 능력과 자기 주도 학습 능력은 향상될 것 이다. 또한, 학교 도서관이 정보를 관리하고 교육을 지원하는 센터로서의 그 역할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utilizing this are considered to be the essential skills for 21st century talents, and accordingly, as the free-semester system has been introduced since 2015,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learning students have become significantly evaluated, rather than assessing the results of students' learning through tests. Nevertheless, the school libraries which should cultivate these abilities could not provide th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centered on libraries yet, and there are many schools where the students could not receive even the library user education which is being operated temporarily. Thus, this study confirm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litera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between when students receive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library user education) and when they don’t.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use frequently the library or read a lot were more excellent at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information literacy of students who received the library user educa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3rd graders who had been educated for that a long time before, which suggested that the library user education would be positively necessary to improve the information literacy.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s as a way to enhance the information literacy of students in the future. First, each school must have a professional staff (librarian teacher) who can provide information for the students and support their learn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link the educational activities between subject teachers and librarian teachers. If librarian teachers are placed in each school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urriculum is conducted, the information liter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would improve. In addition, the school library will be able to fulfill its role as a center to manage information and suppor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