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otopine, an Alkaloid Isolated from Corydalis bungeana Turcz., Attenuates Neuro-Inflammation in LPS-Induced BV-2 Microglia Cells : BV-2 microglia cells에서 Protopine의 신경성 염증 억제 효과

        주미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lipopolysaccharide로 BV-2 microglia cells을 자극하여 신경 염증에 대한 protopi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소교세포는 신경 선천성 면역에서 만성 신경 퇴행성 질환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먼저, 신경 염증성 질환에 protopine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BV-2 세포의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확인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생성을 유의하게 완화시켰다. RT-PCR 분석 결과 TNF-α, IL-6, IL-1β, iNOS, COX-2의 염증관련 사이토 카인의 생성을 완화한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또한 protopine의 처리는 유의적으로 IκB-α의 인산화를 완화시켰고, LPS로 자극된 발현과 비교하여 NF-κB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그리고 ERK, JNK, p-38인 MAP-Kinase 단백질 인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NF-κB 신호억제를 통한 신경 염증에 대한 잠재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MAP-Kinase 단백질 인산화 완화를 통해 BV-2 세포로부터 다양한 사이토카인의 생산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protopine은 잠재적으로 신경 염증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유용한 약물로 이용가능 할 것이라 제안한다.

      • 국,공립 고등학교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주미경 조선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통합교육이 우선 실시되고 있는 국,공립 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다음 내용들을 설문조사하였다. 첫째, 통합교육의 운영에 대한 국,공립 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 둘째, 통합교육의 조건에 대한 국,공립 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 셋째,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국,공립 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

      • 관광자원 가치인식과 만족간의 관계 : 전주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주미경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관광이 이뤄지는 형태에 따라 관광대상의 범위도 다르게 연구되어야 한다. 특히 문화관광에서는 관광자원이 중요한 대상이므로 관광자원에 접근하여 관광자원 가치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근간에 관광자원 가치 연구는 계량적인 접근으로 금액을 추정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이 연구는 관광자 관점에서 관광자원에 부여하는 가치를 파악하였다. 여기에 관여도 개념을 도입해 관여도와 가치인식 그리고 만족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관광자원 가치의 개념과 관여도와 가치인식 간의 관계, 가치인식과 만족 간의 관계, 관여도와 만족 간의 관계의 논리적 근거를 명확히 하였다. 관광자원 가치평가 항목에 대해 관광현장에 적용을 보다 객관화 하기 위한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문화관광지 가운데 하나인 전주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수집된 자료로 분석을 실행하였다. 만족을 이끌기 위해서 관여보다는 자원에 내재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더 중요하며 관광자원에 대한 관여를 유발하여 가치를 인식하게 될 때 가장 높은 만족을 이끌 수 있다. 그러므로 한옥관여자와 전통문화관여관여자 모두에게 관광자원 가치인식은 만족의 중요한 선행변수라고 할 수 있다.

      •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부모진로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주미경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s' Career Suppor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ing effect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s' career support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analysed effect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s' career support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articipants were 247 undergraduate students including 83 male students and 164 female students. Questionnaires’ consist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parents' career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method in this study was correlation analysis thorough coefficient of correlation ‘r’. And then performe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study effect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s' career support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cerning were as followed. Firs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parents' career support showed th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Parents' career support had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lower factor like academic background of father and mother, father’s vocation and family income. I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ademic background of father and family income which was the lower factor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showed the correlation but academic background of mother, father’s vocation and mother’s vocation showed the negative relation. Academic background of father and mother, vocation of father and mother and family income which was the lower factor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showed the positive corelation but in mother’s vocation and family income, did not show the positive corelation. Second, the influence sum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SES) and parents' career support are as followed. When inputting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in first step, it predicted positivel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variation which describ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2%. In second step, the result of inputting parents' career support, the parents' career support predicte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eaningfully after controlling variation which describ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ut parent's socioeconomic status(SES) did not show meaningful result. it only described 11%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Effect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s' career support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try to analysis factor which effect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rom this study, it was the purpose that serving the basic resource for counseling to university student client who had low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ased of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assist program and also discussed limitation of this study with followed-up study.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부모진로지지가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ocioeconomic Status;SES)과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생 247명이며, 설문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진로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분석 방법은 부모의 사회경제적배경(SES)과 부모진로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 계수 r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주요 연구결과와 논의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부모진로지지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모진로지지는 부모의 사회경제적배경의 하위변인인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아버지 직업, 가정수입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ocioeconomic Status;SES)의 하위요인인 아버지학력, 가정수입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나 나머지 변인의 어머니 학력, 아버지 직업, 어머니 직업은 유의하지 않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의 하위변인인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아버지 직업, 어머니 직업, 가정수입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어머니 직업과 아버지 직업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ocioeconomic Status;SES)의 총합과 부모 진로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음과 같다. 1단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ES) 변인을 투입하였을 때,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ES)이 유의미하고 정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ES)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설명하는 변량은 2% 인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는 부모진로지지를 투입한 결과 부모진로지지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설명하는 변량을 통제 한 이후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ES)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진로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1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SES), 부모진로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려는 노력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자신의 사회경제적 배경(SES)으로 인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낮은 대학생 내담자를 효과적으로 상담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하여 논의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상담 및 교육지원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필요한 점을 논의 하였다.

      • 색채디자인 콘텐츠화를 위한 한국 전통 색채 활용 변천사 연구

        주미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 생활 속에는 무수한 색과 이미지가 존재하고 있다. 인간은 색상에 대한 다양한 선호도를 갖고 있으나, 주변에 산재해 있는 색채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편이다. 생활 속의 색채이미지들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 미의식과 감성이 깃든 전통 색채로 자리매김하며 지금까지 계속 전승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은 생활 속에 깃든 색채이미지를 간과하면 안 된다. 서구 문명이 유입된 이래 우리나라 현대사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색채이미지는 매우 다양하며 광범위하다. 그러한 색채이미지의 다양성과 광범위성은 개개인의 색채 선호나 감성에 대한 의식을 모호하게 하며 주체적인 의식을 상실하게 만든다. 역사적으로 한국인의 색채 호상의 맥락이 면면히 유지되어 오는 것은 단순히 한국인이라는 명제 때문이 아니라 내면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미의식의 발로 때문이라고 보인다. 따라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이 깃든 전통 색채를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과 독자성을 유지, 발전시키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그동안 전통 색채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온 편이다. 그러나 전통 색채를 활용한 디자인이 경제 산업 분야의 영향력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 색채가 1945년부터 2000년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경제 산업 분야에 어떻게 활용되어왔는지를 분석하여, 한국 전통 색채의 색채디자인 콘텐츠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로는, 첫째, 한국 전통 색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한국 전통 색채의 개념과 사상적 배경, 한국인의 색채 감상과 미의식 경향, 그리고 일상생활에 꾸준히 사용되어 온 전통 색채 유형을 알아보는 것이다. 둘째, 한국 전통 색채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확실하게 증명하기 위해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색채를 비교․분석하여 세 국가 간의 전통 색채에 대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셋째, 색채디자인 콘텐츠화의 시대적 배경을 고찰하고, 한국 전통 색채디자인의 콘텐츠화를 위한 중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1945년부터 2000년대 이후의 시기를 세 시기(1945년부터 1960년대, 1970년대부터 1980년대,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이후)로 구분하여 한국 전통 색채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고, 시기별 전통 색채디자인 콘텐츠화의 변천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문헌조사, 사진 자료 수집 및 분석 등의 연구 방법을 통해 한국 전통 색채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우선 한국 전통 색채의 개념부터 전통 색채를 형성하게 된 사상적 배경으로 유교, 불교, 도가사상과 음양오행 사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이러한 전통 색채를 형성하게 된 한국인의 미의식과 정서적인 측면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한국 전통 색채란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 민족이 즐겨 사용하고 애호하던 색채와 색채이미지로 정의하는 것이 타당하며, 한국 전통 색채는 유교, 불교, 도교, 음양오행 사상을 배경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인이 선호하는 색채 호상은 고유한 자연환경과 역사적 배경을 비롯하여 선천적 미의식, 백색 호상과 오방정색 선호 등을 들 수 있다. Ⅲ장에서는 선행연구와 인터뷰, 사진 자료 등을 통해 한국의 전통 색채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규명하였다. 서구인들에게 자칫 동아시아 국가의 색채는 모두 오방색이라는 오해의 소지를 불식시키도록 한국과 역사적 교류를 이어온 중국과 일본의 전통 색채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한국, 중국, 일본의 국가별 전통 색채의 차이점과 선호 의식을 파악한 결과, 한․중․일 삼국이 음양오행 사상에 기반한 오방색을 전통색으로 간주하는 점은 비슷하나, 한국의 경우는 역사적으로도 전통 색채에 대한 인식이 오래되었을 뿐 아니라 음양오행 사상을 근거로 한 오방색도 전통색으로 인정하면서 중국이나 일본과 근본적으로 미의식이 달랐다. 한국은 은근한 담조미를 중요시하는 색채 호상과 오방정색을 선호하는 미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색채들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점이다. Ⅳ장에서는 전통 색채디자인 활용사례 등을 분석하여 한국 전통 색채디자인을 하는 데 필요한 중요 요인을 발견하였다. 중요 요인으로는, 첫째, 한국만의 전통 표준색을 적용해야 하는 것, 둘째, 국가 이미지 및 정체성 상승효과를 위한 것, 셋째, 산업 경제력 및 전통 색채로서 산업 콘텐츠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어떤 색채디자인이 한국적인지에 대한 당위성을 위해서는 전통 표준색에 근거해서 색채디자인을 해야 할 것이며, 이 색채디자인이 콘텐츠화되어 국가 이미지와 정체성을 상승시키고, 산업적, 상업적 경제력 향상을 위한 색채디자인이 필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인 색채디자인 콘텐츠화를 위해서 한국 전통 색채가 1945년부터 2000년대 이후까지 시대별로 구분하여 어떻게 활용되어왔는지 시기별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시대별로 색채디자인의 활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선 전통 색채가 산업 기능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소비 성향과 소비 행동의 변화를 먼저 알아보고, 그러한 역할에 근거하여 시대별로 색채디자인이 잘 이루어졌는지 분석하였다. 시기별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1945~1960년대는 주로 의식주 등 생활에 소용되는 색채디자인으로 활용되었고, 둘째, 1970~1980년대는 도시 환경을 개선하거나 기업의 전략화 기능을 위해 활용되었으며, 셋째, 1990~2000년대 이후에는 마케팅 일환의 브랜드 색채디자인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미래 사회에서는 컬러마케팅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될 것이며, 문화산업의 경제적 부가 가치를 가져오는 정체성을 지닌 감각적, 감성적 색채이미지가 새로운 소프트 경제 산업의 역할을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에선 우리 전통 색채에 대한 컬러마케팅의 활용이나 대안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몇몇 기업에서만 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앞으로는 장기적 안목으로 우리나라 기업들도 전통 색채와 색 감성에 관한 전문적 연구와 조사를 통해 상품의 국제화와 질적 향상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re are countless colors and images in our daily life. Human beings have various preference for colors, but they tend to lack of the awareness of color images which are scattered around and about. The daily color images are deeply established as traditional colors which have been pervaded with traditional aesthetic sense with our ethnic uniqueness and sensibility and have been continuously handed down up to now. Accordingly, we should not overlook the color images permeated in our daily lives. Ever since the western civilization was introduced to our country, the color images that have been used in the modern society are very various and wide. Such a variety and wide scope confuse the individual preference of colors and the awareness of sensibility, and cause them to lose their independent spirit. It seems that historically, the reason why the context of Korean color images are kept generation after generation is because of the manifestation of the deeply-rooted aesthetic sense on the insid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important to keep and develop the identity and independence as Korean via the traditional colors that are permeated with the unique, aesthetic sense of this country. It can be said that the research on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has been kind of active so far. It is also thought, however, that there have been almost no researches on how the design utilizing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has influenced the economy- and- industry- related fields. Accordingly, in the present paper, it was aimed at seeking the revitalization plan for the content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design, by analyzing how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have been utilized in the economy- andindustry- related fields from 1945 up to the present since 2000. For this, the specific goal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concept of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appreciating Korean colors and tendency of aesthetic sense, and the traditional color types that have been steadily used in everyday living, to help them understand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Secondly, to compare and analyze the traditional color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order to verify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Korean and then to examine their similarity and difference among the three countries. Thirdly, to investigate the time setting of the color design contentization and to find out the major factors for the content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olor design. Finally, to analyze the cases of the Korean traditional color design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of the content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lor design chronologically, dividing off from 1945 to the 2000s into three periods(1945-1960s, 1970s-1980s, and 1990s-2000s up to the present). For this, in Chap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xamined to aim at understanding Korean traditional colors via the study methods of literature research, photograph data collecting and analyzing, etc. First of all. the concept of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was examined.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Yin and yang, as an ideological foundation to form the traditional colors, were examined specifically. Next, to understand Korean aesthetic sense and mental aspect to form these traditional colors was introduced in the chapter.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it is reasonable to define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as colors and color images which have been frequently used and favored by the Korean people from the prehistoric ages to Joseon age. And it was revealed that those colors were formed with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Yin and Yang. It can be said that the color preference of Korean people are innate aesthetic sense, white images, and five cardinal colors as well as unique,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and their identity were defined in Chapter III, via the previous researches and interviews, photograph data, etc. The difference in the traditional colors of China and Japan (which have been exchanging historically with Korea so far) has been checked out in order to remove the room of misunderstanding that the Westerners might think the five cardinal colors such as white, red, yellow, blue and black are the colors of East Asian countries. It turned out that it was similar how people in three countries regard the five cardinal colors as traditional colors based on yin and yang, as a result of grasping the differences of Korea, China, and Japan’s traditional colors and color preference by country. As for Korea, however, the awareness of the traditional colors have become long historically, and based on yin and yang, they have recognized the five cardinal colors as traditional colors as well, with their aesthetic sense being basically different from China and Japan. It was revealed that Koreans prefer the color image which puts emphasis on the light, clear and serene beauty, having aesthetic sense in favor of the five cardinal colors, still using those colors up to the present. In Chapter IV, the utilization cases of the traditional colors design were analyzed.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are major factors that are necessary for designing Korean traditional colors. The major factors are divided into the three things for examination as follows: first, to apply the unique Korean standard colors; secondly, to be for the synergy effect of the national image and identity; and thirdly, to make a foundation for the economic power of industry and the industry contentization as traditional colors. It was shown that color design should be done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colors for the rightfulness that which color design is something Korean, and that it should increase the national image and identity with the contentization of color design, and that color design is necessary to increase their industrial, commercial, and economic power. In Chapter V, in order to see how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were utilized, their majo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chronologically after dividing from the year 1945 to the 2000s by time period for the contentization of color design which is the main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To find out the utilization of color design by time period, the change of consumption tendency and consumption behavior which the traditional colors can play a functional role of industry was first examined. Then the color design was analyzed to see if it worked well by time period based on those roles. It was revealed that when the researcher examined the major characteristics chronologically; first, in the 1950s to 1960s, the color design was utilized for everyday thing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etc.; secondly, that in the 1970s~1980s, it was used for developing the city environment or for the strategic function of the corporate; thirdly, that in the 1990s~after 2000 up to the present, brand color design was utilized as a part of marketing. It is thought that after all, the importance of color marketing would be more on the rise in the future society. And it is also thought that sensual, sensitive color image would play a role as a new soft economy industry, with the identity of culture industry that would bring economic added value. It has been shown, however, that there were almost no researches that were conducted on the utilization or alternatives of color marketing with the Korean traditional colors in the Korean businesses, with only a few companies utilizing it.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the Korean businesses should make efforts to globalize the products and improve the quality thereof with a long-term perspective via the professional research and examination on the traditional colors and the sensibility of colors in the future

      • 기독교 국민학교 미술교육의 표준과 성취도에 관한 연구

        주미경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학교 학생의 미술교육에 있어서 표준과 성취도를 조사하여 올바른 국민학교 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히며 미비점을 보충하기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다음의 본 질문을 제기하였다. 기독교 재단에서 운영하는 국민학교 간의 미술교육 현장에서 교육의 성취도간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하위 질문은: 1. 기독교 국민학교간의 미술교육 이행과정중 조형놀이에 있어서 표준과 성취도간의 차이가 있는가? 2. 기독교 국민학교간의 미술교육 이행 과정 중 회화에 있어서 표준과 성취도간의 차이가 있는가? 3. 기독교 국민학교간의 미술교육 이행과정 중 조소에 있어서 표준과 성취도간의 차이가 있는가? 4. 기독교 국민학교간의 미술교육 이행 과정 중 만들기와 꾸미기에 있어서 표준과 성취도간의 차이가 있는가? 5. 기독교 국민학교간의 미술교육 이행 과정 중 서예에 있어서 표준과 성취도간의 차이가 있는가? 6. 기독교 국민학교간의 미술교육 이행 과정 중 감상에 있어서 표준과 성취도간의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태강삼육국민학교와 화랑국민학교, 대구삼육국민학교에 재학중인 4,5,6학년중 436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컴퓨터 프로그램 spss/pc+를 이용하여 분산분석과 t검증,f검증,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한 주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문 대상 국민학교의 학생들은 미술교욱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좋은 편이었다. 그리고 미술교과 과정 중 조형놀이 항목에서는 화랑국민학교가 미술교육의 표준에 대한 조형놀이의 성취도가 가장 높았으며 태강삼육국교, 대구삼육국교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형놀이의 차이는 두 항목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설문지13,15항 참고). 2. 기독교 국민학교간의 미술교육에 교과이행과정 중 회화 항목에는 화랑국민학교(27.05),대구삼육국교(26.24), 태강삼육국교(25.95) 순으로 나타났고 학교간의 차이가 0.1%의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회화에서는 창의성, 표현훈련, 재료에 대한 훈련적응등이 차이가 많이 있었다. 3. 기독교 국민학교 간의 미술교육에 교과이행과정 중 조소, 창작 의욕, 표현 차이 항목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기독교 국민학교 간의 미술교육에 교과 이행과정 중 만들기와 꾸미기 항목 중 성취도의 차이가 실생활 적응 능력, 형태감에서 나타났다. 특히 색채에 대한 감각은 지방에 위치하고 있는 대구삼육국민학교가 가장 높았다. 5. 기독교 국민학교간의 미술교과 이행과정 중 서예 항목 중에서 서예 지도에 대한 경험 조사에서가장 큰 차이를 보였는데 대구 삼육국민학교 학생이 경험 기회가 가장 많았다. 6. 기독교 국민학교 간의 미술교과 이행과정중 감상에 있어서 전체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감상 기회와 우리나라 화가에 대한 인식도 차이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7. 기독교 국민학교간의 미술교과 성취도는 차이가 있었으며 삼육국민학교의 미술교과 성취도가 낮게 나타났다.

      •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와 손창섭 문학 비교연구 : 「인간실격(人間失格)」「미해결의 장(章)」에 나타난 사회부적응 양상을 중심으로

        주미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다자이 오사무와 손창섭의 문학을 비교하였다.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과 손창섭의 「미해결의 장」은 한국과 일본이라는 국적과 언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작가로부터 탄생된 작품이라는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작품에서 다음의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었다. ①두 작품의 주인공이 자신이 속한 사회를 ‘문제 사회’ 혹은 ‘병든 사회’로 보고 있어 그 사회에 자신의 뿌리를 두지 못하고 있다는 점, ②‘병든 사회’를 인식하지 못하고 사회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속물적인 인간들에 대한 불신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 ③적극적인 반항도, 순응하지도 못하며 동요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회 부적응자의 모습이 나타나 있는 두 작품 속 공통점에 주목하여 한일 양국 작가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국가와 언어를 초월한 공통적인 메시지를 찾아보고자 했다. 「인간실격」과 「미해결의 장」이 두 작품의 주인공에게 사회라는 건 너무나 획일적인 하나의 삶을 강요하는 곳이었다. 따라서 주인공이 사회와 유리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또한 그 획일적인 사회는 다수의 무리와 거대한 힘으로 하나의 폭력처럼 두 주인공을 압박하고 결국 사회 속에 매몰시킨다. 두 작가는 이러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두 인물을 질책하기보다 오히려 그 사회 관념에 지배될 수밖에 없는 두 주인공을 통해 사회에 대한 인식을 뚜렷이 하고, 그 문제를 더 크게 부각시킨다. 이 두 작품에서 드러나는 메시지는 두 가지로 축약해볼 수 있다. 먼저 사회라는 것이 인간에게 너무도 잔인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작품 속에서 그려지는 사회는 획일적이고 물질적인 사회인데, 이것이 하나의 개인, 개성을 억압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그러한 사회가 하나의 거대한 조직이 되어서 자기 본연의 인간성을 잃게 만든다는 것이다. 어쨌든 인간은 삶을 살아가기 위해 그 사회에 적응하며 살아야 한다. 이와 같은 사회에 융합되려는 노력은 인간이 사회적 동물인 이상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이 때 문제가 되는 것은 거대한 사회라는 것이 하나의 개인을 조종하고 종용한다는 데 있다. 정신을 압박하는 폭력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획일적이고 물질적인 삶을 살아가고, 그 사회 속의 질서나 규칙이 한 인간에게 관념화되고, 그것에 매몰되어 인간이 자신의 개성을 주장할 수 없는 것, 이것은 현대에 와서 끊임없이 대두된 문제였고, 20세기를 살아간 현대 작가로서 가질 수밖에 없었던 공통적인 고민이었다고 본다. 이러한 두 작가가 작품 속에서 주는 메시지는 사회의 질서나 규칙을 전면 거부하고 반항하라는 것이 아니다. 진정한 행복을 정신에서 찾으려 하기보다 안정된 기반과 물질적 행복에서 찾는 것, 혹은 개개인의 개성이 무시되는 삶을 한 번도 의심하지 못하고 그것에 매몰되어 살아가는 것에 대한 자각을 촉구하는 것이라 본다. 이는 인간마저 기계화·부품화 되어버리고, 물질적 가치가 정신적 가치를 압도해버린 현대의 삶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분명 시사하는 바가 있다. This article compared literature of Dazai Osamu and Sohn Chang-Seop. 「No Longer Human」 of Dazai Osamu and 「Unsolved Chapter」 of Sohn Chang-Seop had following common features in spite of differences that the works were born by writers who had different nationalities of Korea and Japan, different languages and characteristics. ① Main characters of those two works deemed the respective societies to which they belonged as "problematic society" or "seek society" and therefore, they could not take their roots in the societies. ② They were talking about distrust in snobbish people who did not realize "seek society" but lived their lives with adaptation to the society. ③ They were describing people who neither positively defied to nor complied with the society but who were in disturbance. Paying attention to common grounds in the two works showing appearance of social misfits, this article intended to find out common messages beyond nations and languages in the works of Korean and Japanese authors. To the main characters of those two works, i.e. 「No Longer Human」 and 「Unsolved Chapter」, a society was a place which enforced them to live a significantly uniform living. Therefore, it was unavoidable for them to be alienated from the society. Also, the uniform society oppressed them by a host of people with violent huge power and they were buried in the society. Instead of scolding the characters who could not adjust themselves to the society, the two writers emphasized recognition of society through the two main characters who had to be controlled by the social ideology and highlighted the problem more significantly. Messages indicated in the two works can be summarized into two things. First, it implies a society is too cruel to people. The society illustrated in the works is a uniform, materialistic society which suppresses an individual and personality. Next, the society becomes an enormous organization and then, it makes a person lose his own humanity. Anyway, a person has to adapt himself to the society in order to live a life. Such efforts to integrate into the society might be a natural result of a person who is a social animal. The problem at this moment is that a huge society manipulates and urges an individual. It acts as violence to suppress one's mind. That a person lives a uniform and materialistic life; that an order or a rule in a society becomes an ideology to a person; that a person who has been buried in such an order or a rule cannot assert his own personality, these must be the questions which have incessantly been raised in modern time and became common worries to modern authors who lived in the 20th centuries. Messages in the works of those two writers do not suggest full denial and defiance to social order or rules. It seems that they make us self-aware reality that people seek healthy happiness not from mind but from solid foundation and materialistic happiness, or that people live their lives without doubting that their personalities are being ignored being buried therein. This surely gives an implication to us who live modern lives under which people are mechanized as a part of machine and a materialistic value overwhelms a spiritual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