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채용정보 전달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008.02~2012.02까지의 청년실업정책을 중심으로

        조향정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affected on low standard employment information delivery of the moel(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focused on the youth unemployment policy(from 2008.02 to 2012.02).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actors, important factors appear with passive construction of information network, direction of skewed policy information, etc. And subordinate factors appear with passive participation of intermediary groups, right to know consciousness absence of unemployed youths, etc. Bas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issues can be suggested. First, important factors has to do with policy subject. Second, information network construction of important factors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hird, governments after Lee, Myung Bak administration must reflect analyzed factors systematically. Meanwhile, Bas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undamental issues associated policy can be suggested. First, Through the process of policy deciding and enforcement, policies tend to change according to many variables including the trend of the times. As the society gets more complicated and diversified, the speed and frequency of change in terms of policy have been radically increased. Whenever the government changes its understanding regarding a policy or there is an environment change on the policy that has been constantly executed, the priority of policy-related issue is changed, and new issues are being raised, thus, a phenomenon that yields a distinctively different policy compared to that in the previous terms is being generated. Especially, the policy change caused by the environmental demand is radically increased, and such radical policy change has been initiated by the civic and interest groups that demand the policy change in the era of pluralism unlike the insignificant movement made by those groups during the period of authoritarianism in the past. Second, the decided policy always becomes subject to interpretation due to its hypothetical status, complication, and uncertainty possessed in a policy. Especially, a policy that has a larger-scale and more complicated interest like the private school policy dealt with in this study would contain numerous variables, such as the policy target organizations, in the process of its implementation. In this sense,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is likely to become politically oriented. Therefore,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possesses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fundamental content of the policy, and it sometimes includes the potential amendment in the entire process, starting from the policy objective up to the policy implementation. Regarding such nature, Pressman & Wildavsky expressed the challenging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as mudding through. In other words, the expected outcome of a decided policy is flexible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and responses regarding the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Nevertheless, the previous studies that were suggest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classic law enforcement viewed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as a passive concept that was influenced by the intention and control of the policy making process. Such view resulted to underestimating the issues on the policy interpretation and the strategies involved in policy implemen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이명박정부에 있어서 심각한 상황에 빠진 청년실업, 그 수준을 절대적 또는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그 심각성을 조명하고자 하고, 이명박정부의 청년실업에 미치는 요인을 노동부와 청년실업자 간 채용정보전달에서 도출하고자 한다. 즉, 노동부가 채용정보를 청년실업자에게 높은 수준으로 전달했다면 청년실업은 줄어들 것이고, 낮은 수준으로 전달했으면 청년실업은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노동부의 채용정보전달에 미치는 요인을 제 분석을 근거로 중심적 요인과 부수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조명을 통해 이명박 이후 정부에 주는 정책방안 등 제시사점을 조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이명박정부의 청년실업은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었고, 이는 청년실업자에 대한 노동부의 낮은 수준의 채용정보전달로 기인한 것이었다. 이로 인해 청년실업자의 실업률이 좀처럼 나아질 기미 없이 고공비행을 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이명박정부의 청년실업률은 OECD 회원국 전체에서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청년실업자와 노동부사이의 낮은 수준의 채용정보전달은 복지관료제, 즉 노동부의 정보공개의지 부족인 정보망의 소극적 구축과 왜곡된 정책정보 지향이 이명박정부 모든 시기에 있어서 중심적 요인으로 작용했고, 시민단체 등 매개집단의 소극적 참여와 청년실업자의 알권리의식 부재등이 이명박정부 모든 시기에 있어서 부수적 요인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청년실업정책의 낮은 수준의 채용정보전달은 완화되지 않고 있으며, 청년실업자는 실질적으로 늘어만 가고 있는 실정으로, 이는 현 이명박정부 이후의 청년실업정책에도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것이다. 제 시사점으로는 첫째, 정책주체와 관련된 요인이 중심적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정책주체는 관련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며, 이를 통해 정책대상을 관리하고 조율하는 중심축을 담당하는 조직이라는 점에서, 이들에 의한 정책적 행태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경우 역시, 채용정보전달에 미치는 요인, 즉 노동부에 의한 정보망의 소극적 구축과 왜곡된 정책정보 지향이 시민단체 등 정책주변조직의 소극적 참여, 청년실업자 등 정책대상에 의한 알권리의식 부재 등보다 그 요인강도 면에서 높은 수준을 보인 것이다. 둘째, 중심적 요인 중에서도 정보망구축 여부가 제일 중요한 변수라는것이다. 중심적 요인 중에서도 정보망의 소극적 구축이 왜곡된 정책정보 지향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등의 발전으로 왜곡된 정책정보 지향은 최소화할 수 있지만, 그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고 노동부만이 제공할 수 있는 정보망의 소극적 구축은 대안이 없다는 점에서 더 중요한 중심적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실제로, 중심적 요인에 관한 인터뷰 분석 결과에서 중심적 요인정보망의 소극적 구축은 93.3%로 나타나 80%로 나타난 왜곡된 정책정보 지향보다 가중치를 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명박 이후 정부의 심각한 청년실업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본 연구를 통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동부장관이 청년실업정책에 대해 좀 더 체계적인 정보공개 mind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ON-LINE․OFF-LINE에서 각각 실업 관련 정책정보와 인프라를 포괄하는 정보망을 구축하여야 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책정보의 정확성이다. 정보망이 아무리 잘 갖추어졌다 하더라도 정보자체가 왜곡되어 있다면 낮은 수준의 채용정보전달은 지속적으로 가속화되는 것이다. 현 이명박정부의 청년실업정책도 정책정보와 인프라구축이 외환위기시기와 비슷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이 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시민단체 등 매개집단이 적극적으로 나서 고용노동부의 청년실업정책정보를 청년실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적극적 역할을 하여야 하며, 청년실업자들도 고용노동부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알려는 의식이 필요한 것이다. 일례로, 이명박정부의 청년실업정책을 살펴보면 시민단체에 대한 지원만 있을 뿐 정책지도는 거의 전무하다는 점에서 이러한 부분의 보완이 필요하며, 또한 청년실업자의 알권리의식 등을 제고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및 홍보도 갖추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대처방식의 조절효과 검증

        조향정 협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학생들은 대학교라는 새로운 환경 적응에 있어서 대인관계, 학업부담 그리고 졸업 후 취업과 같은 다양한 요구에 부적응할 경우 자살을 예측하는 대표적 원인 변수인 스트레스가 가중된다. 그 결과, 10대에서 20대 전체사망 원인 중 자살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음을 규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청년층 중 자살률이 가장 심각한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그들의 대처방식이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대처방식을 통해 생활스트레스를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자살생각을 경감시킬 방향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중 총 72개소에 재학 중인 대학생 대상으로 비확률적 표본추출방법 중 하나인 편의표집을 통해 4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불성실한 응답 83명을 제외한 317부 설문지를 대상으로 통계처리를 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검증 결과, 이성친구를 제외한 동성친구, 가족관계, 교수관계가 자살생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생의 당면과제 스트레스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취업문제를 제외한 경제문제, 학업문제, 가치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생 대처방식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대처방식 중 사회적 지지 추구와 문제해결중심 모두 자살생각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회피적 대응은 자살생각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넷째,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생각 관계에서 대처방식은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생활스트레스 중 대인관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 효과는 기각되었고, 생활스트레스 중 당면과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역시 기각되었다. 또한, 대인관계와 자살생각 관계에서 문제해결중심 조절효과도 기각되었고, 당면과제와 자살생각 관계에서 문제해결중심 조절효과는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피적 대응 조절효과는 채택되었고, 당면과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피적 대응 조절효과는 기각되었다. 본 연구는 상기 연구 결과에 따라, 정책적 제언을 하였고,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성친구, 가족관계, 교수관계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자살생각도 증가한다. 따라서 동성친구, 가족관계, 교수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와 양상 파악을 더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각 복지상담기관과 대학 간 유기적 협력과 방향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지지 추구와 문제해결중심이 강할수록 자살생각이 감소하였고, 회피적 대응은 자살생각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문제해결중심의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방편으로 학업, 취업에 있어 노력하는 대학생들 대상 적합한 정부차원의 보상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정책적, 제도적 개선을 대학생은 사회적 지지로 인식하여 자살생각 감소에 효과적 방편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구직활동을 중단, 학업을 소홀히 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회복 프로그램 개발과 정부의 협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대인관계, 당면과제로 인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을 촉진하고, 사회적 지지가 이 과정에서 도움이 되지 않음이 규명되었다. 따라서 대학에서 협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는 활동의 방향과 이에 따른 정부의 지원 방안과 제도, 법제화 방향이 필요하다. 넷째, 당면과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제가 해결되려면 합리적 사고를 전개하여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 촉진이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따라서 정부는 대학생들의 합리적 사고과정을 발달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성과를 보인 대학생 대상 적합한 포상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대학에서도 커리큘럼에 합리적 사고를 증진하는 과목을 배정할 것과 그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대인관계와 자살생각 관계에서 회피적 대응 조절효과는 채택되었고, 당면과제와 자살생각 관계에서 회피적 대응 조절효과는 기각되었다. 이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받을 때 회피하면 자살생각이 다소 감소함과 취업, 학업 등의 당면과제에 있어 회피적 대응은 효용이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가 대인관계가 부족한 대학생을 방치하지 말고 회피적 시간을 고려하되 점진적으로 마음챙김을 할 수 있는 배려적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 대상 맞춤화된 프로그램을 정부가 구축, 복지센터, 대학에서 그것을 활용하도록 권유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연구 결과에 따라, 실천적 제언을 하였고,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성친구를 제외한 동성친구, 가족, 교수관계 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을 촉발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어울리며 상호 친근한 유대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취업문제를 제외한 학업문제, 가치관, 경제적 문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을 촉발하였다. 이에, 대학생에게 상담을 제공하는 기관들은 이러한 문제로 힘들어 하는 대학생을 예의 주시하여 이들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대학생이 전개하는 사회적 지지 추구와 문제해결중심이 자살생각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단지 권고나 조언이 아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회적 지지 창출을 위한 방향성, 문제해결중심에서 필요한 합리적 사고 과정을 촉진하는 가이드북이 절실히 요구된다. 넷째, 대인관계, 당면과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는 없었다. 따라서 각 기관 상담원들은 이들 대학생이 자기 의지를 가지고 이겨내고자 하는 동기와 계기를 제공할 것과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가 제공될 수 있는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제해결중심은 기각되었으나, 당면과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제해결중심은 채택되었다. 이에, 대학생이 관심 있어 하는 분야와 인간관계 문제를 접목하여 합리적 사고에 기초한 인간관계 조망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피적 대응의 조절효과가 규명되었다. 따라서 상담기관은 대인관계로 힘들어하는 대학생 대상 프로그램 구성 시 지나치게 타이트하거나 문제를 정면으로 직시하는 방식을 지양해야 한다. 더 나아가, 각 프로그램을 융통성 있게 구성할 방안도 요구된다. 현재 청소년 복지센터는 2015년에 이미 200개 이상으로 증가하여 각 지역에 따른 차별화된 기능과 역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적용하기에 앞서, 각 상담기관과 대학 그리고 정부는 해당 지역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여 본 연구결과를 적절히 변형, 수정하여 활용한다면 더 큰 효용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university students are unable to adapt to various demand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 academic burdens, employment after graduation, etc., in the new environment of universities, stress, a representative causal variable in predicting their suicide, increases.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suicide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all causes of death in teens to twenties. So,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if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the most serious suicide rate among young people, on their suicidal idea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ir coping styles, thereby establishing a direction to significantly reduce their stress through the coping styles. Therefore, it selected 400 of students being enrolled in 72 universities among four-year on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nd verified its hypothesis with 317 questionnaires as statistical data, excluding 83 ones that had been answered unfaithfully through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rpersonal relation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will affect their suicidal ideation.’, showed that relationships with same-sex friends, families, and profess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ir suicidal ideation. Second, ‘The stress caused by the problems facing university students will affect their suicidal ideation.’, showed that stress from economic problems, excluding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cademic problems, and the sense of valu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ir suicidal ideation. Third, ‘The coping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will affect their suicidal ideation.’, showed that among the coping styles, both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 and the problem-solving-oriented thinking significantly reduced their suicidal ideation, while the evasive response increased their suicidal ideation. Fourth, ‘The coping styles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rejected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problems facing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the factors of life stress, on their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oblem-solving-oriented thinking was rej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uicidal ideation, while it was adop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lems facing university students and suicidal ideation.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vasive response was adopted in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suicidal ideation, while it was rejected in that of the problems facing university students on suicidal ideation. The summary of the policy suggestions made by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as relationships with same-sex friends, families, and professors increases, suicidal ideation also increases, it expressed the necessities of organic cooperation between each welfare counseling center and the university and of policy support to establish the direction in order to more accurately grasp the degree and pattern of stress caused by relationships with same-sex friends, families, and professors. Second,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ore enthusiastic university students seek social support and respond to problem-solving, the less suicidal ideation becomes, while their evasive responses increase their suicidal ideation, it suggested a direction for compensations at the government-level suitable for university students striving for study and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s a way to promote their problem-solving-oriented thinking, and, moreover, it presented it as an effective way to reduce their suicidal ideation because they perceive such policy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as social support. In addition, it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recovery program and methods for government cooperation to prevent university students from stopping their job-seeking activities and neglecting their studies in advance. Third,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tress from the problems facing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 promotes their suicidal ideation, and that social support is not helpful in the process,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activities that make them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in universities, and the government’s support plan, system, and legal direction accordingly. Fourth, as the need for promoting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by developing rational thinking has been suggested for university students to solve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ir suicidal ideation, it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their rational thinking process and provide appropriate compensations to those who have achieved results in the process. In addition, it expressed the need for universities to open subjects that can promote students’ rational thinking in their curriculum and specifically suggested their educational plan. Fifth,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vasive response was adop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uicidal ideation, while it was rejec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lems facing university students and suicidal ideation, suggesting that if they avoid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 their suicidal ideation can be somewhat reduced, but the evasive response is not useful in the problems facing them, such as employment after graduation, study, etc.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needs not to neglect university students lack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 but to consider their time for avoidance and have a caring attitude that allows them to gradually take care of their hearts, and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ke customized programs for them and encourage welfare centers and universities to use them. Also, the summary of the practical suggestions made by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tress from relationships with same-sex friends, families, and professors promotes suicidal ideation, it suggested a direction for the support of welfare programs that enable university students to have friendly links with each other. Second,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tress from academic problems, excluding employment after graduation, economic problems, and the sense of values promotes suicidal ideation, it suggested the plan along with the need for institutions that consult university students to develop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them who are struggling with the problems. Third,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both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 and the problem-solving-oriented thinking reduce the suicidal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t expressed the necessity of a guidebook that promotes the rational thinking process required in the problem-solving-oriented thinking and established a direction for the creation of social support that provides them with not just recommendations or advices but practical assistance. Fourth, as it has been found that social support has no moder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the problems facing university students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ir suicidal ideation, it suggested ways to provide social support for them while expressing the need for counselors to provide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for them to overcome such challenges with their own will. Fifth, a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oblem-solving-oriented thinking was rejected in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suicidal ideation, while it was adopted in that of the problems facing university students on suicidal ideation, it suggested ways to enable them to observe human relations based on rational thinking by incorporating the fields they are interested in into a problem with human relations. Lastly,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vasive response in the effect of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 on suicidal ideation, it expressed that counseling institutions should avoid using methods that are too tight or squarely face problems when building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 difficult dealing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uggested ways for them to flexibly organize the programs. It has been discovered that 200 or more youth welfare centers were already established in 2015, so there is a need for them to perform differentiated functions and roles in each region. Therefore, if the counseling institution, university, and government appropriately modify and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each region prior to the direct application of those results, they are expected to obtain greater u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