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약재를 첨가한 청국장추출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흰쥐의 당뇨 증상 개선에 미치는 영향

        조창숙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 Streptozotocin (STZ)으로 유도된 당뇨병 쥐에서 한약재 첨가 청국장 추출물(CJ)의 항당뇨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 먼저, SD rat 에 단일 용량의 STZ (65 mg/kg 의 BW)을 복강 투여하여 당뇨병을 유도하였다. 그 후 NG(정상군+0.9% 식염수), COB (STZ+삶은콩 (100mg/kg, BW)), CJ 100/200(STZ+CJ(100 및 200 mg/kg, BW)), CJ 300/600(STZ + CJ(300 및 600 mg/kg, BW))의 4 군으로 분리하였다. 당뇨가 유발된 실험군에 4 주 동안 한약재 첨가 청국장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면서, 식이섭취량, 음수량, 체중변화를 관찰하였다. 투여 4 주 후 채혈하여 혈청 포도당, BUN, creatinine, TC, TG, ATS 및 ALT 를 측정하였고, 간, 신장 및 췌장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희생 전에 경구포도당부하검사(OGTT)를 수행하였다. 결과 : 음식과 물의 섭취량은 당뇨유발군이 정상군보다 높았다. 당뇨유발군에서 체중 증가와 식이효율(FER)은 정상군에 비해 더 낮았다. 또한 체중 변화, FER 은 COB 군보다 CJ 300/600 군에서 감소했다. 그러나 음수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혈청포도당 수치는 CJ 300/600 군이 COB 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혈청 AST, ALT, BUN 수치는 COB 군에 비해 CJ 300/600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G, TC, creatinine 은 CJ 100/200 및 300/600 군이 COB 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OGTT 결과, CJ 300/600 군은 COB 군에 비해 120 분에서 혈당 수치가 감소하였다. 또한, CJ 투여는 신장 및 간의 조직형태학적 모니터링에서 병리학적으로 손상된 조직의 회복을 보였다. 결론 : 따라서 본 실험 결과는 한약재 첨가 청국장 추출물이 STZ 유발 당뇨병 쥐에서 항당뇨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upplemented chunggugjang (CJ), fermented bean complex, on antidiabetic effects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Methods : Diabetes was induced in SD rat by the administration of a single dose of STZ (65 mg/kg of BW), IP injection.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NG (normal group + 0.9% saline), COB (STZ + fermented bean (100mg/kg, BW)), CJ 100/200 (STZ + CJ (100 and 200mg/kg, BW)), CJ 300/600 (STZ + CJ (300 and 600mg/kg, BW)). Treatments were performed per for 4 weeks. After 4 weeks of administration, blood and organs were collected and the corresponding serum glucose, BUN, creatinine, TC, TG, ATS and ALT were measured, and histomorphological changes of liver, kidney and pancreas were observed. In additio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performed before sacrifice. Results : Food and water intakes were higher in STZ groups than normal group.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lower in STZ groups. Body weight change for 4 weeks, food efficiency ratio (FER) were decreased in the CJ 300/600 group than in the COB group. But, there was not changed in water intake. The serum gluc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J 300/600 group than COB group. In serum, AST, ALT, BUN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J 300/600 group compared to COB group. TG, TC and creatinine were decreased the CJ 100/200 and 300/600 group than in the COB group. In OGTT, the CJ 300/600 group reduced the 120-minute blood glucose level compared to the COB group. Also, in histomorphological monitoring of kidney and liver, CJ administration supported recovery of pathological damage. conclusions : Our results suggest that CJ water extracts would have antidiabetic effects in STZ induced diabetic rats.

      • Klavier Sonata의 발달사와 F. J. Haydn의 Klavier Sonata에 대한 小考

        조창숙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Franz Joseph Haydn(1732∼1809)은 살아있는 동안 자신의 재능을 인정받은 작곡가 중의 한 사람이였으며, Esterhazy 家의 전속음악가로 그들을 위한 교향곡과 현악 4중주곡, 그리고 다양한 성악곡 등을 작곡하였다. 또한 그는 작품이 쓰여지기 시작하던 때부터 음악 생활을 끝내는 시기까지 건반 소나타(Klavier Sonata)를 작곡하였다. 그의 초기 건반 소나타는 2개의 악장과 minuet의 형태를 갖는 divertimento이고, 중기에는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에게서 소나타 형식의 제 2주제를 발전시키는 방법을 배움으로써 제 1주제와 제 2주제를 갖는 소나타 형식을 확립하게 되었다. 이러한 형식은 후에 Ludwig van Beethoven(1770∼1827)과 W. A. Mozart에 의해 완성된다. 또한 말기에는 그가 사용하였던 모든 형식-소나타 형식, 변주곡 형식, 가곡 형식, 론도 형식 등-과 낭만적인 양식의 흐름을 종합하여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구축하였다. Haydn 소나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52개의 소나타 중에서 42곡이 3악장 구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3악장 구성은 빠름-느림-빠름으로 Alessandro Scarlatti(1660∼1725)의 Italian Oveture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이것은 Carl Philipp Emanuel Bach(1714∼1788)의 소나타로 이어져 Haydn에게 전수되었다. 둘째, 동일한 조성의 사용인데, 이것은 suite의 양식을 따른다. 셋째, 주제를 발전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두개의 주제를 사용한 점이다. Haydn 이전의 작품에서는 제 1악장에 대개 한 개의 주제만을 사용하였다. 이 두 주제들은 서로 억누르려 하는 듯하면서 대조를 이루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들이 현재의 소나타 양식에 크게 기여를 하였으며, Haydn 이후의 작곡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이 Mozart와 Beethoven에 이르러서 완성이 된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그러한 양식이 생겨난 배경이 Haydn의 건반 소나타임을 재인식하여야 한다. F. J. Haydn(1732-1809) was composer who was a recognized for his talent during his lifetime. He displayed this prodigious talent during his performing years, a span of over seven decades. After the flowering of the Renaissance, many musicians conducted their pursuits of a musical life not in their father lands but in foreign countries. Even though Haydn was not born into a musical family perse, his father and relatives were lovers of music, great aficionados and cognoscenti. This fact greatly aided Haydn's ability, progress, and achievement as a composer of the first class. Haydn began his life as a composer (which was based on his learning the Kapellhouse) when he was young, and then he became a musician under exclusive contract in Esterhazy's quite by chance. He spent almost all of his musical life in the Esterhazy family. Moreover, it was a fortuitous happening that he consentrated on his musical ability, for he led an unhappy married life. So, his resultant patience from this background of less than domestic bliss enabled him indulge in the joys of his musical life. Haydn composed symphonies, string quartets, and various oratorios for the Esterhazy and general public. The Klavier sonata cannot be omitted from his compositions. The Klavier sonata was a labor of love, being composed continually from the time of his early works to the closing days of his musical life. In addition, the fact is that Haydn was not a pianist, so it is natural that we are curious and interested in his Klavier sonatas. In his early works, he composed divertimento sonatas rather than sonatas, and in his middle period, he established the sonata form more of an experimental form on account of relationship with W. A. Mozart. Later on, the sonata form was brought to its exalted state by Ludwig van Beethoven and W. A. Mozart. In Haydn's period, he accepted wave of Classicism style and Romanticism style along with his musical talent, so that crowned his own musical style with elements from both Classicism and Romanticism. Haydn developed the sonata form from a beginning theme into the central theme. He composed the sonata form in this manner and the sonata form with the third movement organization. In Haydn's 42 works for piano, sonata forms are composed of the three movements of his 52 works for piano sonata forms. These three movements are the Fast - Slow - Fast style, and this originated from A. Scartatti's Italian Overture. In addition, thes three movements are connected to C. P. E. Bach's sonata and led Haydn into the three movements. Also, Haydn used the style of thematic development. The Hob. XVI49 sonata, which will be analized in this thesis, is a developed work which progresses from one theme to a variation. One of Haydn's Characteristics is his use of the same tonality. We can acknowledge this same tonality as a model made after the suite form. Haydn's achievement in sonata form contributed to the present sonata form, and its effect on posterity has been great. This thesis praises Haydn for his achievement, and analizes his effects on later composers, so we can realize and appreicate the necessity of the Haydn sonata for what it is and what it enabled other composers to do and become.

      • 유분증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조창숙 선문대학교 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유분증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조 창 숙 선문대학교 글로컬통합대학원 교육상담학전공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유분증 아동의 유분증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유분증과 동반한 문제행동의 변화를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유분증에 대한 정의와 특성, 가정환경과 가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모래놀이치료가 유분증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행동기록 및 측정방법으로 행동의 발생빈도를 기록하는 방법인 사건기록법을 사용하여 관찰기록지를 작성하였다. 이 관찰기록지를 작성함에 있어서 가정에서만 이루어지는 배변행동의 특성상 부모가 관찰자로서 배변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기록 하였는데 기초선 7일, 중재 15주, 추후 2주 동안의 배변행동에 대한 관찰기록지를 부모로부터 받아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유분증과 동반한 문제행동의 변화와 배변에 대한 의사표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모래놀이치료의 회기별 일지를 일화기록법으로 기록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한국판 그림지능검사, 주의집중력과 과잉행동장애 평정척도,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모래놀이치료 중재과정은 주1회 40분씩 15회기와 추후 1회기로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D센터의 모래놀이치료실에서 실시하였고, 부모상담 및 교육은 아동의 유분증이 나타나게 된 배변훈련, 가정환경과 가족의 변화 등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고, 전체 4회를 하였다. 연구가설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유분증상을 감소시키며,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초선 기간에 유분증상의 평균빈도는 5회였는데 중재를 하는 동안의 평균빈도는 2.33회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기간의 평균빈도는 0회로 기초선의 유분증상이 소거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래놀이치료가 유분증을 동반한 문제행동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모래놀이치료가 실시된 16회기 동안을 상담의 축어록과 자료들을 수집하여 사례분석을 한 결과와 사전, 사후 검사를 종합하여 보면, 대상 아동은 자신의 내면세계를 탐색하고 스스로 양육되었으며,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통제하면서 성장해 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배변에 대한 아동의 의사표현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아동이 중재가 실시되기 전에는 배변에 대한 어떠한 표현도 하지 않았고, 배변행동도 주변에 사람이 없을 때 바지에 하고, 가족들은 냄새로 아동의 배변에 대해 알 수 있었다고 하였다. 8회기에서는 아동 스스로 “화장실 가고 싶어요.”라고 분명한 목소리로 자기표현을 하였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가 제시하는 것은 모래놀이치료의 중재가 대상아동 유분증상의 빈도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유분증과 동반한 문제행동의 감소와 배변행동에 대한 의사표현도 향상되었다.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배변행동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해소하여 자신을 양육하고 배변행동을 연습하며 바람직한 배변행동으로 연결되면서 아동 스스로 자신의 발달과 내적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자기실현경향성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 유분증, 모래놀이치료, 문제행동, 사례분석, 관찰기록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