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모류 광물 유래 불소오염토양의 정화를 위한 포말부유선별 공정 개발

        조정환 세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운모류 광물로부터 유래한 불소오염토양의 정화를 위해 광물 선별방법인 부유선별법을 활용하여 정화공정을 개발하였다. 기존에 불소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는 방법으로는 주로 화학적 세척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도 대상 오염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화학적 세척법이 적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염산(HCl)을 세척액으로 사용하여 세척액 농도를 변화(1, 2, 2.5 M)시켜가며 수행한 실험에서 1% 미만의 세척효율을 나타내 기존의 화학적 세척법으로는 대상 토양을 정화하기 어려움을 확인하였다. 대상 토양에 대한 연속추출 결과 잔류형태의 토양이 전체의 약 99% 이상을 나타내 선별을 통해 정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저농도 오염 토양을 대상으로 한 부유선별 결과 슬러리 농도 최대 30%, pH 3.5 ± 0.2, 교반 속도 1,200 rpm, Armac T 사용량 300 mg/kg, AF65 사용량 50 mg/kg, 조건부여시간 각 2분, 압축공기주입량 2 L/min, 포말회수시간 2분에서 정화토양 불소 농도 380 mg/kg을 달성해 토양환경보전법상 정화 기준인 400 mg/kg(2지역 우려기준)을 넘지 않는 정화토를 얻을 수 있었다. 고농도 오염토양은 불소를 함유한 입자인 운모류 광물이 저농도 오염토양보다 많이 포함되어 있어 2차에 걸쳐 부유선별을 진행하였다. 1차 부유선별 결과 슬러리 농도 10%, pH 3.5 ± 0.2, 교반 속도 1,200 rpm, Armac T 사용량 400 mg/kg, AF65 사용량 50 mg/kg, 조건부여시간 각 2분, 압축공기주입량 2 L/min, 포말회수시간 2분에서 정화토양 불소농도 715 mg/kg을 달성하였고, 이어서 진행한 부유선별에서 Armac T 사용량을 1차 부유선별의 1/2를 사용하여 진행한 결과 정화토양 불소농도 355 mg/kg으로 2지역 우려기준인 400 mg/kg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 remediation process was developed using the flotation method, which is a mineral selection method, for the remediation of fluorine-contaminated soil derived from mica minerals. In the past, chemical cleaning was mainly used as a method of purifying soil contaminated with fluorine.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 chemical washing method was applied as a method to purify the target contaminated soil. Using hydrochloric acid (HCl) as a washing solution and changing the washing solution concentration (1, 2, 2.5 M), it showed a washing efficiency of less than 1%, confirming that it is difficult to purify the target soil with the existing chemical washing method did. As a result of continuous extraction of the target soil, it was found that the residual soil represented more than about 99% of the total, indicating that it could be purified through selection. As a result of flotation for low-contaminated soil, slurry concentration up to 30%, pH 3.5 ± 0.2, stirring speed 1,200 rpm, Armac T usage 300 mg/kg, AF65 usage 50 mg/kg, conditioning time 2 minutes each, compressed air At an injection amount of 2 L/min and a foam recovery time of 2 minutes, the cleaned soil fluoride concentration of 380 mg/kg was achieved, resulting in cleaned soil that did not exceed 400 mg/kg (worrisome level for two areas), which is the purification standard under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High-concentration contaminated soil contained more mica minerals, fluorine-containing particles, than low-concentrated soil, so flotation was performed twice. 1st flotation result slurry concentration 10%, pH 3.5 ± 0.2, stirring speed 1,200 rpm, Armac T usage 400 mg/kg, AF65 usage 50 mg/kg, conditioning time 2 minutes each, compressed air injection 2 L/min, The cleaned soil fluoride concentration of 715 mg/kg was achieved in 2 minutes of foam recovery time, and in the subsequent flotation, the amount of Armac T used was 1/2 of the primary flotation. As a result, the cleaned soil fluoride concentration was 355 mg/kg.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tain a result that satisfies the 400 mg/kg standard of worrisome level for the two regions.

      • 대학행정서비스의 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한양대학교 학부생을 중심으로

        조정환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we can see that information flows and changes considerably rapidly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In the face of this rapid change the colleges of the domestic also have to be adapted to the environment in order to catch up with the changes to secure a competitive power. The concept of ‘One-Stop Service’ which starts to spread on the colleges in Korea from 1997 as well as the massive advertising strategy of many colleges are advance notices of the changes in college education environments. The students are newly perceived not just as favor-getters of the education but as customers who pay the money and get the ‘education’ as a repayment. Various new methods and strategies have to be developed for the promotion of customer(student)-oriented college services. The main essential element can be grasping the unsatifaction elements of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customers and solving them. Thus, the colleges should try to grasp the matter of concern and interest and the dissatisfaction elements of the students. Those causes of unrevealed un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students) must be reflected in the college administration policy. Then the college can secure the administrative competitiveness as well as trust and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 (students). In this paper the author would like to analyze the un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the customer(student) and the main cause of the un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Through this analysis the college administration authority can promote the quality of the college administrative services and thus secure more strong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arch for the ways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college by satisfying students with respect to the administrative services. with respect to research object, each 300 students of Hanyang University at both Seoul and Ansan campuses was investigated. As statistical techniques to analyze the data gathered T-test and One-Way ANOVA was used. SPSS 7.5 Windows version was used as a statistical package. In order to grasp the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 administrative services the following seven factors were investigated as well as sex(man/woman), campus (Seoul/Ansan), and grade (freshman, sophomore, junior, senior): ① students appeal and documents issuing service ② academic affairs consultation service ③ Internet homepage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④ students' problem solving service ⑤ library use comfortableness service ⑥ facilities use service ⑦ welfare. The major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While students show more satisfaction with appeal service, documents issuing service, academic affairs consult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and library use service in comparison with other services, they show less satisfaction with problem solving service, welfare, college facilities use, and autonomous activity. Whereas students in Seoul campus show satisfaction more with autonomous activity, problem solving, college facility, Internet homepage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services, students in Ansan campus show satisfaction more with students appeal service, facilities use, documents issuing service, welfare, information provision, library use comfortableness, and academic affairs consultation.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s to promot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First, various Internet homepages within the college must be managed more effectively. Secondly, up-to-date data including books must be kept in library. Thirdly, the positive attitude of staffs in charge in solving students' problems is needed. Fourth, computerization of college administration and professionalization of college staffs are inevitable. 오늘날 정보의 추세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상당히 빠르게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추세 속에 국내의 대학 또한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새롭게 탈바꿈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1997년부터 대학사회에 퍼지기 시작한 One Stop Service라는 개념과 언론기관을 통한 대학의 대대적인 광고 전략 역시 이러한 대학 교육환경의 변화를 예고하는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이제 학생은 단지 교육의 수혜자가 아니고 비용을 지불하고 교육이라는 대가를 받아야 할 고객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대학사회에 자리잡기 시작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객중심의 대학행정서비스의 체계를 갖추는데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고객(학생)의 만족도의 실태를 파악하고, 대학행정에서 고객만족을 이루는 가장 주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조사 분석하여 대학행정서비스의 질 향상 방안을 찾고자 했다. 또한 대학행정서비스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대안을 마련해 보고자 했다. 우선 연구범위에 있어서는 한양대학교 재학생들을 중심으로, 서울과 안산의 학생 각각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집단별 만족도의 차이분석을 위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7.5 Windows version을 사용하였다. 대학행정서비스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척도구성은 ① 민원 및 발급서비스 ② 학사업무상담서비스 ③ 대학 홈페이지관리 및 정보제공 ④ 문제발생해결서비스 ⑤ 도서관 이용서비스 ⑥ 교내시설이용서비스 ⑦ 후생복지 등 모두 7개 요인으로 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민원 및 발급서비스, 학사업무상담서비스, 정보제공서비스, 도서관이용서비스의 경우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문제발생해결서비스 및 후생복지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도가 낮았다. 따라서 대학의 고객인 학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대학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안한다. 첫째, 대학내의 각 홈페이지 관리가 실효성이 있어야 한다. 둘째, 최신 도서자료의 공급이 신속해야 한다. 셋째, 문제해결에 있어서 담당직원의 적극적 자세가 필요하다. 넷째, 행정전산화 개발 및 담당직원의 전문화가 되어야 한다. 이제 대학의 행정은 고객 즉 학생을 위한 행정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기업에서 고객의 불만이나 요구사항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처럼 대학에서도 학생들의 요구를 수렴하여 대학 행정개선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행정 현장에서 전문성을 가진 교직원이 고객 중심의 행정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때 학생들은 학교에 대하여 만족할 것이며, 대학도 신뢰성이 확보되어 이미지 쇄신과 경쟁력 제고에 커다란 힘이 될 것이다.

      • Government Size and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조정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정부 규모가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외국인 직접투자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는 두 가지 관점에서 수행되었는데 첫 번째 접근 방법은 거시경제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거시경제적인 변수를 강조하는 관점이고 두 번째 접근 방법은 제도적인 접근방법으로서 제도적인 발전과 안정성을 강조하는 관점이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접근 방법이 주목하지 못한 외국인 직접투자 결정요소가 있는데 바로 본 논문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정부규모이다. 다시 말해서 각 국의 정부규모가 외국인 직접투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본 논문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부규모를 양적인 변수인 정부지출로 측정하여 1960 년부터 2007 년까지의 panel data방법으로서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적 분석이 나타내는 바는 각 국의 소득이 고소득 국가와 저소득 국가로 분류되지 않았을 때, 정부규모의 증가는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정부규모의 증가가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이러한 긍정적인 정부규모의 증가효과는 각국의 소득이 증가할 때 감소한다. 또한 정부규모 증가의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입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는 유치 국가가 부국으로 분류되면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정부규모의 효과가 각 국의 소득이 증가될 수록, 그리고 부국으로 분류될수록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입에 부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바, 처음의 정부규모의 긍정적인 효과를 압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큰 정부의 역할이 각 국의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에서는 외국인 직접투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그 효과가 지속될 수 없음을 본 논문에서 실증적 결과로 나타낸 것이다. 정부 규모의 증가가 경제 일반에 대한 정부 개입의 양적인 정도를 나타낸다면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국가의 일정 소득 수준 이하에서는 정부규모의 양적인 증가가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치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국가의 소득수준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부국으로 인식될수록 정부규모의 양적인 팽창은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정부규모가 외국인 직접투자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국가의 소득 수준에 따라서 외국인 직접투자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다른 외국인 직접투자 결정요인으로서 일인당 국민소득, GDP 증가율, 인플레이션율, 환율, 각 국 GDP 대비 총고정자본형성은 외국인 직접투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국 환율 절하가 외국인 직접투자의 유입을 촉진할 수 있음이 판명되었는데 이는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에 대한 설명변수로서의 환율의 영향이 기대와 부합함을 실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government size, which can be quantitatively measured using the government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on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Thus far, there have been two approaches to the determinants of FDI. The first is the macro approach, which highlights the macro aggregate factors that affect inward FDI. The second is the institutional approach, which underlines the institutional variables that influence inward FDI. However, these two approaches have failed to address one of the determinants of FDI in each host economy. Government size, quantitatively measured using government expenditure, can be considered a determinant of FDI by foreign investors in host countries, because they must make a decision about where to invest. International investors give serious consideration to where they will invest and since government size shows the magnitude of government intervention, it can be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decisions regarding investments.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expanded government size can attract inward FDI. We graph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size and inward FDI, and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 of government size on inward FDI. Using the panel data method for a sample of 209 countries from 1960 to 2007, we found that when we did not classify entire economies by income level, the increased government role had a positive impact on inward FDI in all host countries. However, when we divided the whole sample into rich and poor countries according to their income levels, we could identify different influences of increased government size on inward FDI. The coefficient of log of government expenditure as a percentage of GDP proxying the size of government in this paper was positive and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an increased government role can help to attract inward FDI. The coefficient of interaction term between log of GNI per capita and log of government expenditure as a percentage of GDP was negative and significant, which implie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increased government size begins to diminish as the host country’s income level increases. The coefficient of interaction term between the RICH dummy set and log of government expenditure as a percentage of GDP was also negative and significant, implying that the positive role of expanded government starts to shrink when host economies are recognized as rich countries. As expected, other determinant factors like per capita GNI, growth rate of GDP, inflation rate, exchange rate, and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 as a percentage of GD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ward FDI.

      • 生活工藝政策의 振興方案에 관한 實證硏究 : 文化的·制度的·敎育的·産業的 側面을 中心으로

        조정환 大田大學校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세계는 지금 바야흐로 산업개발의 시대를 지나, 정보화 시대를 거쳐, 문화산업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며, 공예는 예술이자 문화이며, 동시에 단순한 장식품이 아닌 실용적인 상품인 동시에 그 나라의 문화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품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문화 자산이다. 아울러 경제적 측면으로도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산업이기도 하다. 문화의 세기에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은 단순한 기술의 발전이나 제품의 기능향상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니므로 세계 각국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 공예문화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으며, 공예문화의 진흥을 위한 정책수립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 정부의 공예정책은 대부분 전통공예의 보존 및 육성, 공예문화상품 및 관광상품 개발 등 공예의 산업화 방안에만 역점을 두고 있을 뿐, 공예문화의 대중화에는 그다지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것이 분명한 현실이다. 다시 말해 우리 실생활의 일부가 된 현대 생활공예 분야에 대해선 관심과 이해부족으로 정부정책 및 제도권으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생활공예의 범주를 문화적·제도적·교육적·산업적 측면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그 실태를 설문지를 통해 계량적으로 측정해 봄으로써 생활공예 진흥방안을 제시 하였다. 첫째, 생활공예의 문화적 측면에 있어 생활공예에 대한 인식 제고와 생활공예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또는 정부 차원의 정책마련이 선행되어야 하며,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공예 관련 전시회나 체험학습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생활공예 체험학습에 대한 일반인들의 욕구를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고, 학교교육과는 별도로 대중들을 위한 생활공예 관련 전시회나 기획프로그램들이 많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생활공예의 제도적 측면과 관련하여 보다 엄격한 기준에 의해 공예단체의 인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자격증 남발의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해서도 자격증 발행기관을 권위 있는 기관으로 일원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정부의 공예지원정책에 대한 방향 전환이 모색되어야 한다. 현행 정부의 공예관련 정책이 지나치게 전통공예를 보존하고 전승(傳承)하는 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이러한 전통공예 위주의 정책이 생활공예의 진흥(振興)에는 전혀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으로, 향후 공예정책의 방향이 전통공예 뿐만 아니라 생활공예 종사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현실적인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생활공예의 교육적 측면과 관련하여 초·중등학교 특별활동에 생활공예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생활공예 체험학습은 청소년의 정서적 안정과 일상생활에서의 미의식 개발을 경험할 수 있는 훌륭한 문화와 교육의 장임에도 불구하고 학교교육에 있어서는 공예교육의 비중이 매우 낮게 인식되고 있는데, 이러한 인식이 하루 빨리 전환되어 학교교육에 공예교육이 정규교육으로 포함되는 방안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평생교육원, 복지시설, 문화센터 등에서의 생활공예교육 저변 확대를 통한 공예의 생활화가 정립되어야 한다. 또한 생활공예 체험학습강사의 자격기준을 엄격화하고, 강의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강사선발 제도를 체계화하는 일이 필요하다. 넷째, 생활공예의 산업적 측면과 관련하여 생활공예가 단순히 취미활동이 아닌 일자리 창출 및 직업활동 분야로 확대되어야 한다. 현행 청년층 실업극복을 위한 정부 차원의 일자리 창출 노력의 일환으로도 공예교육의 활성화는 매우 필요한 부분이라 여겨진다. 현행 정부정책 중 생활공예와 관련한 정책이 매우 미흡하고, 생활공예에 대한 정부의 인식 또한 매우 낮음을 볼 때 생활공예가 직업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생활공예인들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구체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주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매우 절실하다. 생활공예의 산업화를 위하여 필요한 정책으로는 관계부처의 생활공예에 대한 인식 변화이다. 현행 우리나라의 공예정책은 지나치게 전통공예 위주로 치우쳐 있는데,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없이는 생활공예의 발전을 거두기 어렵다. 아울러 생활공예의 산업화를 위하여 요청되는 또 한 가지는 시장개발의 다양성이다.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지속적으로 자극하기 위해서는 상시적인 소비시장이 다양하게 존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온·오프라인 판매망이 확충되어야 하며, 신문·방송 등의 다양한 홍보마케팅과 각종 국내외 전시회 및 박람회 등의 공예 관련 행사와 다양한 공예품 전시판매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공예활동은 이제 단순한 취미·여가활동만이 아닌 우리의 생활이며, 문화적· 교육적· 산업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따라서 생활공예의 진흥을 위해 올바른 정책방향의 제시와 제도화가 하루빨리 마련되어야 한다. 핵심어 : 현대생활공예, 생활공예, 공예문화산업, 공예정책, 생활공예 진흥방안, 공예의 종류.

      • 유비쿼터스 기술과 현대 사회구조 변화의 관계고찰

        조정환 아주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를 넘어 유비쿼터스 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이는 지금의 정보통신 기술이 단순하게 정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커뮤니케이션의 용이성이 확보되는 차원을 넘어서서 보다 인간에게 직접적이고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서비스가 가능해졌음을 알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기술의 발달은 사회구조의 발달을 견인하고 있으며 기술의 혁신이 일어날 때마다 이에 부응하여 사회구조 및 시스템이 재편성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기술의 혁신에 따라 나타나는 각 사회요소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예상되는 사회구조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유비쿼터스 기술은 정보화 사회로부터 연속선상에서 각종 하드웨어적, 소프트웨어적 기술의 혁신을 통해 진화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이 받아들이기 쉬운 형태의 인터페이스 혁명이 중심에 있다. 또한 유비쿼터스 기반기술로서 임베디드 유닛의 발달과 각종 스몰 O/S의 확충을 기치로한 인프라의 혁명을 통해 사회 또한 전산화과정으로부터 유비쿼터스 사회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이런 유비쿼터스 기술과 사회구조의 발전은 톱니바퀴처럼 서로 맞물려 진행되고 있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혁명과 산업혁명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각 개별 기술의 혁신은 사회구조의 혁명으로 연결되고 이는 연쇄적인 반응을 통해 다시 기술의 혁신으로 연결되는 방식을 말하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살펴볼 때 사회 구조의 변화는 공간과 사물의 관계에서 유비쿼터스 공간이 정보화사회의 사이버 공간과 반대로 가상 공간을 현실의 사물로 편입시킨다는 점이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산업분야와 인간과의 관계에서도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는 현재의 사회 구조가 가지고 있는 물질 생산위주의 산업에서부터 지식기반으로의 변화를 수반하여 기존 산업에서 가지는 인간과 산업과의 관계가 크게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살펴본 유비쿼터스 사회의 미래는 기술환경과 경제환경 그리고 문화환경으로 분야 이렇게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기술 환경은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 공동체 활동지원, 정보 서비스 수준의 고도화, 정보 접근의 자율성, 서비스 및 인프라에 대한 신뢰 증진이라는 5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변화하게 될 것이다. 또한 경제환경의 경우 사이버 경제의 발전과 소비자의 소비 패턴 및 양상이 다변화되며 단순한 지식과 재화의 소비에 그치는 것이 아닌 생산하며 소비하는 소비자 문화가 정착하여 이에 따라 경제 환경의 근본적인 지각에 개편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문화환경도 기존의 사이버 문화에서 한층 심화된 형태로 각종 발달하는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통한 현실공간과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 질 것이다. 이를 통해 유비쿼터스 기술과 사회구조는 서로 순환론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순환관계를 통해 또 다른 진보로의 초석이 마련되는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반면에 이런 긍정적인 미래 모습이외에도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생성된 가상공간의 중독과 이와는 반대되는 형태로 신기술에 대한 무조건적인 거부도 나타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보격차의 해소와 미디어 및 유비쿼터스 환경에 대한 중독현상을 치료할 수 있는 제도적 안전장치 및 사회기반시설의 확충도 시급히 요구된다. 결론적으로 유비쿼터스 기술은 기술발전에 의해 촉발되어 사회구성요소의 변화에 영향을 끼치며 다시 사회구성요소의 발전은 유비쿼터스 기술의 진보에 영향을 미치는 순환론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이는 기술 혹은 사회 각 구성요소가 일방적인 관계가 아닌 상호 관계로 형성됨을 이야기한다.

      • 現代生活工藝 文化産業의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조정환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생활공예의 발전방안을 연구하기 위해선 먼저 현대생활공예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정립과 함께 기존의 인식과 가치판단이 적절한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예문화산업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정책이 과연 적절한 것인가에 대해서 올바른 해답을 찾아보고, 이를 토대로 미래 한국 공예가 지향해야 할 목표와 가치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그러기 위해선 먼저 각 공예 분야별 특성과 그것을 실현하고 있는 정책들에 대한 개별적인 평가가 따라야 한다. 이는 각각의 공예가치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고 또 그것이 정책적으로 잘 구현되어 있는가에 대한 판단일 것이다.그런데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기존에 제시된 공예인식과 정책들이 과연 현대 한국공예가 추구하고 실현시켜야 할 가치들을 충분히 수렴하고 있으며, 또 정책적으로 적절하게 배분되어 있는가 하는 것이다. 또한 향후 공예정책은 개별정책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기존의 정책이 누락시켰거나 수렴하지 못하는 가치들을 조명하고, 기존 정책의 틈을 메워가면서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현대생활공예의 실태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고, 생활공예가 지니는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영역이 사회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또한 그 바람직한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와 정책 및 제도적 장치는 무엇인지 모색해 보기로 한다.아울러 한국공예문화산업의 현황과 특성을 통하여 현대생활공예가 공예문화산업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으며, 그 방법은 무엇이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과 그 대책들은 어떻게 수립해야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전국 각 공방(체험교실)위주로 공예현장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바람직한 발전 방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공예문화산업의 일반적 가치와 중요성도 인식하고, 올바른 공예문화산업의 진흥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In order to study for developments of the contemporary life-craft culture, new concepts of contemporary life-craft must be standardized, at the same time we also need to know if the former concepts and evaluations are appropriate. To serve the purpose above, this study will reveal if the concepts and current policies are appropriate, and this will also study objectives and values that Korean craft art should pursue for the future. In order to do so, the policies for the characteristics for each craft art must be evaluated individually. The evaluation will reveal if the value of craft art is relevantly appreciated and if the policies are relevantly supportive. However, it is doubtful that the previously proposed policies are containing values that Korean craft art should pursue and that they are distributed appropriately. Also, the new policies should be based on the individual evaluations and should high-light the values which have been ignored and it should also be re-designed by strengthening the existing weakness of the current policies.Thus, this study will scrutinize for reality of contemporary life-craft, impact that the craft art has on the society, culture, education, and policies to solve to develop.Also, in order to study for influences that contemporary life-craft can make on development of craft culture industry through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craft culture industry in which ways, and for ways to solve the problems that we are facing, surveys were asked for each individual life -craft academies to realize conditions for craft edu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lso focused on appreciating the importance and value of craft culture industry and to propose ways to develop craft culture industry.

      • 독해력 향상을 위한 독해전략에 관한 연구

        조정환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독해와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여러 이론들을 고찰하여 독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의사소통기능 신장과 관련하여 독해력 향상을 위한 독해전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독해전략들이 2000학년도와 2001학년도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독해문항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살펴 학교 현장에서의 독해전략 활용지도와 이와 관련된 학습자료 및 교수방법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독해전략 목록을 Krashen & Terrell(1983)의 4가지 독해기술을 중심으로 하고 그와 관련된 세부적인 독해전략을 Mikulecky(1984)의 19가지 독해기술을 참고로 하고, 또한 Mikulecky(1984)의 독해과정과 Oxford(1990)의 의사소통능력 구성요소 중 전략적 능력을 기본 개념으로 하여 작성하였다. 분석결과는 대강 훑어읽기 독해기술과 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독해전략들을 활용하는 문제가 2000학년도에 39%, 2001학년도에 36%이였다. 포괄적읽기 독해기술과 이 기술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독해전략들을 활용하는 문제는 2000학년도에 47%, 2001학년도에7%를 차지하였다. 빨리훑어읽기 독해기술과 이와 관련이 깊은 독해전략을 활용하는 문제들은 2000, 2001학년도 각 각 13%, 18% 이였다. 집중적읽기 독해기술과 이 기술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독해전략을 활용하는 문제는 2000, 2001학년도 각각 2.6%, 9%에 불과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기술과 독해전략에 관한 인식이 낮아 학생들이 평소 독해훈련을 할 때 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독해 기술과 전략이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통해 어떤 도움을 주는지를 가르쳐서 학생들이 평소에 활용하는 연습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대부분 학생들의 독해가 집중적읽기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독해기술과 독해전략을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독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가 필요하다. 셋째, 독해기술과 독해전략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독해문항을 개발하여 수학능력시험에 출제하여야 한다. 문항의 길이는 내용 스키마를 형성하여 다양한 독해기술과 전략을 활용할 수 있게 하므로 독해능력을 향상시키고 독해의 흥미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장문과 제목을 제시하는 문장 등을 독해문항에 포함시켜야 한다. 넷째, 독해능력이 다소 떨어지는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독해전략을 연구, 개발하는 일이 필요하다. 다섯째, 독해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배경지식 축적이 가능하도록 평소에 다양한 분야에 걸쳐 꾸준히 영어독해를 하게 하는 지도가 요망된다. 과학,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의학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자신들의 수준보다 다소 높은 텍스트를 학생들이 접하도록 교사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ding test items of foreign language section in CS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r the Academic Year, 2000 and 2001 by the reading strategies, and to suggest effective reading strategies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reviewed some previous studies on read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learning strategies and made the analysis chart of reading test items. The chart is based on four reading skills of Krashen & Terrell(1983), nineteen reading skills of Mikulecky(1984), the reading pricess of Mikulecky(1984), and strategic competence of Oxford's(1990) communicative language competenc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reading test items using the reading skill of skimming and the reading strategies closely related to it were over 35%, and that those using the skill of extensive reading and the strategies close related to it were 43%. It also shows that the items using scanning and the reading strategies closely related to it were 15%, and that the items using intensive reading skill and the strategies closely related to it were only 5.8%.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 First,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ading,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is required. What reading is and how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help the readers should be taught. Second, students should break from the conventional intensive-reading-skill-centered reading, and apply various effective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Third, the longer and titled reading test items which can make the most of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students can form the content schema and take interest of reading. Fourth, developing the reading strategies for the students who show weak English reading competence is necessary. Fifth, students are required to practice English reading steadily and persistently in various fields in order that they can store up the knowledge of the world and apply read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