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듣기 이해 능력

        조정예 대구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Nowadays, children who show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can be frequently encountered. Due to the children with ADHD, parents or teachers face countless difficulties. Children with ADHD do not listen to other people’s words and show traits of hyperactivity and spontaneity like insistent talking, speaking out their inner thoughts, etc. Children with ADHD who show such traits are anticipated to show weakness in listening and difficulty in listening comprehension when learning. In this study, listening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has been compared to propose consideration i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children with ADHD and importance of listening intervention.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 children with ADHD (10 boys) and 10 normal children (10 boys) in age of 6, 7, 8 who live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 and show identical linguistic competenc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grammatically judgment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er listening comprehension capacity than normal children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for average score in different categories of grammatically judgment listening test, children with ADH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rmal children in categories of proposition, connective ending, and tense. The group of normal children showed highest score in order of proposition, connective ending, and tense, while children with ADHD scored in order of tense, proposition, and connective ending. Second, in text listening comprehension,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er listening comprehension than normal children and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rd, when type of error in text listening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ADHD is reviewed, error of question range that ambiguously describes the question was most common, and it is followed by in order of odd answer, failure of deduction, failure to understand question, ignorance and no response. Such result can be inferred that it is the result of high inattention in children with ADHD and it has been learned that inattention generates difficulty in listening and understanding other people’s words in all situations of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implied that mediation on listening of children with ADHD must be conducted. Furthermore, in screening test that examined linguistic ability, it should be reconsidered in that as auditory evidence was simultaneously given with visual evidence, it may have influenced listening. Also, this study stresses necessity of further study in listening characteristic and appropriatemediationonlistening. 최근 교육현장에서 적지 않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을 나타내는 아동들을 만날 수 있다. 이러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을 나타내는 아동들로 인해 부모나 교사들은 많은 어려움을 직면하게 된다. ADHD아동은 다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못하고, 쉬지 않고 이야기 하며 심증에 있는 말을 불쑥 내어버리는 등 과잉행동과 충동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 같은 특성을 보이는 ADHD 아동들은 듣기에서도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학습에서도 듣기이해에 어려움을 보일 것 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듣기이해능력을 비교하여 ADHD아동들의 평가와 중재 시 고려 할 점과 듣기중재에 대한 중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산 및 경남 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만 6, 7, 8세에 해당하며, 언어능력이 일치하는 ADHD아동 10명(남10명)과 일반 아동 10명(남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수준의 듣기이해 과제에서 ADHD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은 듣기 이해 능력을 나타냈으며,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문장 수준의 듣기이해의 각 과제에 따른 평균점수를 살펴보았을 때 조사, 연결어미, 시제 모두 일반 아동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아동 집단은 조사, 연결어미, 시제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ADHD아동 집단은 시제, 조사, 연결어미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텍스트 듣기이해에서 ADHD아동은 일반아동 보다 낮은 듣기이해 능력을 나타냈으며,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ADHD아동 집단의 텍스트 듣기이해 오류유형을 살펴보았을 때 질문에 대해 모호하게 이야기 하는 질문범위오류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엉뚱한 대답, 추론오류, 질문이해오류, 모른다와 무반응 순으로 오류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ADHD아동의 부주의함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부주의함은 대화 및 모든 의사소통 상황에서 상대방의 말을 듣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ADHD아동의 듣기에 대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언어능력을 살펴보았던 선별검사에서는 청각적 단서와 함께 시각적 단서가 되는 자료를 동시에 제공하였다는 부분이 듣기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점을 생각 해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ADHD아동의 듣기특성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과 듣기에 대한 적절한 중재가 제공 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 하는 바이다.

      • 양육시설 영유아를 위한 생태학적 언어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정예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양육시설 영유아들의 의사소통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생태학적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향후 양육시설 및 공동 생활하는 영유아들의 언어발달을 촉진하는 지원 방안, 즉 조기개입에 대한 중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에 36개월 미만의 말 늦은 양육시설 영유아 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대리양육자들인 생활지도원들의 요구도 조사와 문헌고찰를 통해 생태학적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주1회 24회기의 개별언어지도와 양육자 협력지도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행 한 후 효과성을 검증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학적 언어 중재프로그램은 양육시설의 말 늦은 영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언어발달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용언어의 하위영역 의미, 구문, 화용,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점수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마찬가지로 표현언어의 하위영역 의미, 음운, 구문, 화용,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점수의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생태학적 언어 중재프로그램은 양육시설의 말 늦은 영유아의 의사소통기능 발달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요구하기, 반응하기, 기타 영역 모두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이 나타났다. 셋째, 생태학적 언어 중재프로그램 실시 후 양육시설 직무자의 만족도에 대한 조사에서는 응답자 모두 만족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가장 크게 달라진 부분을 언어영역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인지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대한 시간이나 회기 수에 대한 적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만족하였다. 마지막으로 아이들 지도에 있어 양육자로 아쉬운 부분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가장 많은 응답은 현재 근무자의 수가 많았다. 이는 담당아동수에 비하여 적은 근무자의 수가 현재 아이들을 양육하고 지도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에 있는 236개의 양육시설 중 한 기관에서 36개월 미만의 말 늦은 양육시설 영유아 8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 하여 일반화 하는데 제약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다양한 여러 기관의 더 많은 양육시설영유아들을 대상으로 큰 규모의 중재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더욱 신뢰성 있게 확장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언어중재프로그램은 의사소통기능 및 언어발달 향상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는 양육시설 영유아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지연 및 언어장애군, 그리고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위험군 아동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프로그램이 다양한 환경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an ecological language arbitration program to promote communication development in infants and toddlers in childcare facilities and verifying their effectiveness.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importance of early intervention, a support plan to promote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care facilities and infants living together in the future. To this end, eight infants and toddlers in childcare facilities under 36 months old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and an ecological language arbitr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logical language arbitration program positive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expressive language and accommodated infants who were late in childcare facilities, and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s in meaning, syntax, speech, and overall scores. Similar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meaning, phonology, syntax, speech and overall scores of lower regions of the expression language appeared. Second, the ecological language arbitration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functions of infants and toddlers who were late in childcare facilities, and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s in post-examination compared to pre-examination. Thir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ecological language arbitration program,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caregivers found that all respondents were satisfied. In addition, the most significant change was in the language area, followed by recognition. There were also few opinions on the time and number of sessions for the program, but I was generally satisfied. Finally, the arbitration program includes parental cooperation guidance, and the most commo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is disappointing as a caregiver in guiding children was the current number of workers. This is considered difficult to raise and guide children because the number of workers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children in charg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limited in confirming and generali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eight infants and toddlers in under 36 months of age at one institution out of 236 foster home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large-scale arbitration programs for infants and toddlers in childcare facilities at various institutions in a follow-up study to exp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ore reliably. Second, the arbitr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ims to improve communication func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which is expected to help children in various language delay and language impairment groups as well as infants in foster ca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se programs work in various environments.

      • A Study of Women’s Empowerment for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in Nepal : Focused on Recent Vocational Training by Korean NGOs

        조정예 한동대학교 국제개발협력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research reveals the necessity of earthquake providing vocational training to women after the earthquake in order to prevent the exploitation of women’s vulnerability as well as to empower women to live sustainable lives, Vocational training will encourag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and gender equality can be achieved. In gender equal communities, women are not vulnerable under any disasters, and the community is sustainable due to gender equality.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satisfied female trainees were with vocational training and how effective training was to achieve women’s participation and gender equality. Finally it is to investigate whether recovery program has been conducted with gender perspective or not. A quantitative method utilizing both primary data (i.e., survey results) and secondary data (i.e., research papers,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relevant Internet sites, and books) was chosen for this research. To collect primary data, three different surveys have been done: First, it was conducted with female trainees to examine satisfaction level about vocational training for women. Second, survey was carried out with expert group consisting of educators, government officers working in the relevant ministry, NGO workers, workers from social enterprise to look into the effectiveness of the recent vocational training. Third, it was done with above two groups concerning status of disaster recovery. Researcher also checked into the plan for women’s empowerment and earthquake recovery plan based on gender mainstreaming perspective with the relevant secondary data. As a result of survey, respondents mostly answered “ positive” to most of the questions based on Gender mainstreaming guidelines. They answered that the program helpe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as well as its necessity for sustainable life of both families and communities after the earthquake. Recovery and rebuilding activities by the government and NGOs were not implemented based on a gender perspective, but on a gender-neutral perspective. This turned out to fall short in the area of safety and crime prevention. Moreover, many women were neglected when relief supplies were distributed. This study will provide suggestions on what is necessary for women to have sustainable lives in the level of government & NGOs and communities. 본 연구자는 해당 연구를 통해 지진 이후 여성의 취약점 보완 및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여성 직업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여성들은 직업훈련을 통해 일자리를 가지게 되었을 때 사회 참여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더불어 그들이 속한 사회에서의 성평등도 이루어 질 수 있다. 성평등한 공동체에서 여성은 어떤 재해 가운데도 취약하지 않으며, 궁극적으로 성평등은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가져온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를 통해 최근 이루어진 여성직업훈련에 대한 여성 훈련생들의 만족도와 훈련이 얼마나 여성참여와 성평등을 이루는데 효과적이었는지 그리고 지진 복구 활동이 젠더 관점을 가지고 진행되 었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1,2차 자료를 기반으로 한 양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1차 자료의 수집을 위해 세 종류의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는데, 첫째로 여성훈련생들을 대상으로 직업훈련의 만족도를 조사했으며, 둘째로 전문가 그룹- 교육자, 관련기관 공무원, NGO 근무자-를 대상으로 최근 여성직업훈련에 대한 실효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세번째로 두 그룹을 대상으로 지진 복구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2차 자료를 위해서는 논문, 기관의 보고서, 신문, 잡지기사, 인터넷자료, 책 등을 참조하여 관련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성주류화 관점에서의 여성역량강화 방안과 재난 복구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성주류화 가이드라인에 기초한 질문에 대부분 긍정적으로 답했다. 구체적으로 여성직업훈련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의 경제 개발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고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지진 이후의 가정과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여성직업훈련은 꼭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정부와 NGO의 복구와 재건활동에 대한 질문에서는 대부분의 활동들에 대해 젠더 관점이 적용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특히 여성들의 안전과 범죄예방차원은 고려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상당수의 피해 여성들이 구호품을 받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성주류화 관점을 가진 재해 복구방안이 절실하다 하겠고, 정부와 NGO 차원에서 여성들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