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강백 희곡에 표현된 '죽음'에 관한 연구

        조은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1970년대의 한국 희곡은 급격한 사회 변화와 국가 검열이라는 억압적인 환경 아래 서구 연극 사조들이 유입되어 새로운 연극 실험이 시도됨으로써 다양성과 함께 일면 혼란한 모습을 주기도 하였다. 이런 배경 아래 이강백은 1971년 <다섯>이라는 희곡을 발표하면서 극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하여 현재 한국의 대표적인 극작가의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그의 희곡은 오랜 기간 우화 기법을 주요 구성법으로 사용함으로써 반사실주의 경향이 강한 작가로 규정되어왔다. 이강백은 형식적인 고집과는 달리 사회 변화에 대해서는 민감하여 그것을 적극 담아내려고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주제와 제재들을 폭넓은 관점에서 다루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강백 작품을 개관하면 형태적인 반복성에 버금갈 만큼 특정한 제재, 즉 포괄적인 차원에서 ‘죽음’에 관한 모티프가 지속적으로 변주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만큼 작가는 ‘죽음 현상’에 대해 관심이 많았고 또 깊이 성찰하고자 했던 것 같다. 그래서 본고는 이강백 희곡을 지탱하는 주요 뼈대로 볼 수 있는 ‘죽음’ 문제를 중심으로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강백 희곡에서 형상화된 죽음의 모티프를 유형화하여 분류하고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존재론적 고뇌에서 표출된 죽음이다. 이것은 다시 자연스러운 죽음의 형태와 부자연스러운 죽음의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삶과 죽음은 일차적으로 서로 대립하는 갈등관계를 이루지만, 궁극적으로는 양 극단의 경계를 허물고 중간점을 찾음으로써 합일된 세계를 지향하는 의미를 지닌다. 특히 이강백은 갈등이 되는 배경의 경계를 허물기 위해 시간이나 공간의 경계도 같이 허물어버리는 새로운 기법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러므로 이 작품들에서 이강백이 강조하고 있는 것은 인간에게 주어진 삶과 죽음의 본질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이다. 둘째는 사회의식에서 표출된 죽음이다. 이것은 다시 정치적·경제적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정치적 측면에서의 죽음에 대해 이강백은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 폭력이 발생시키고 인간을 죽음으로까지 내모는 것으로 보았다. 여기서는 문제적인 사회 체제가 유지되는데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군중 무리를 다룬 점이 큰 특징이다. 1980년대에 이강백은 군중이나 대중들로만 취급했던 사회 구성원들을 미시적으로 접근하여 비윤리적이고 비도덕적인 개개인에게 죄의식을 부가하고 각성을 촉구하는 의미를 주제로 삼았다. 그러므로 이 작품들에서 이강백이 강조하고 있는 죽음의 지점은 물리적인 죽음이 아니라 정신적이고 상징적인 죽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다음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죽음은 천박한 자본주의적 병폐와 관련하여 재화로 환산되는 인간의 죽음을 의미한다. 이 유형의 작품들은 대부분 자본주의적 욕망에 의해 이기적으로 변해가는 인간의 군상을 보여준다. 인물들은 자신의 목적이나 이익을 위해서라면 타인의 죽음까지 이용하거나 직접 살인까지 저지르면서도 아무런 도덕적, 윤리적 제재를 받지 않는다. 죽음이 난무하는 기이하고 과장된 상황을 묘사한 것처럼 보이지만 작가는 그것이 결코 현실과 다르지 않음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고발하려 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고는 이강백 희곡이 발표 시기에 따라 표현되고 있는 죽음의 형태가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는 것을 발견했는데, 크게는 약 세 개의 시기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1970~80년대로 이 시기 작품들에서는 주로 정치 사회의 모순성에 기인된 죽음이 묘사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두 번째 1990년대는 인간의 삶과 죽음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나, 그 갈등의 발생이 인간의 내면적 차원에서 스스로 성찰하고자 하는 각성에서부터 시작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2000년대 이후의 묘사되고 있는 죽음의 양상은 주로 자본주의적 욕망에 의해 인간의 주체가 무시당하거나 타인에게 죽음을 강요하는 현상에 주목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처럼 이강백 작품 속 죽음의 양상은 당대의 사회적 쟁점들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시기에 따라 죽음에 대한 작가 인식도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강백 희곡의 중추 가운데 하나인 ‘죽음’은 이상적인 삶과 세계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의식과 현실에서 만나는 불가피한 요소이다. 삶의 과정에서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는 화해보다는 갈등 관계로 놓이기 쉬운데 이는 서로의 욕망과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 차이가 충돌을 빚어 불행을 초래하지만, 한편으로는 치열한 삶을 구현하려는 과정에서 불거지는 역기능일 수도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강백의 죽음 인식에는 역설적으로 강렬한 삶의 의지가 담겨 있다. 그것은 결국 삶에 대한 긍정이자 삶과 죽음이 필연적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의식한 결과이다. 또 하나 특징적인 것은 이강백의 작품은 우화 기법을 사용하여 동화 같은 느낌을 주는 데도 대부분의 결론이 비극적으로 끝난다는 점이다. ‘현대의 연극은 비극이 희극이고 희극이 비극이다’라는 자신의 말처럼 그의 작품은 비극적이지만 분명 희극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단순히 웃음을 유발하는 희극이라기보다는 비극적인 상황을 희극적으로 볼 수 있는 냉소적인 인물들의 태도이다. 그러나 그들의 냉소에는 미약하게나마 자기 반성적 태도 또한 투영되어 있다. 이것은 비극적인 상황이라도 절망과 좌절의 나락으로만 추락하려는 상황을 제지할 수 있는 일말의 암시이자 희망이다. 이런 점에서 이강백의 희곡은 절망의 어둠 가운데서도 작은 희망의 빛을 발견하려는 역설과 아이러니의 표상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독특한 의미와 의의를 간직한 그의 희곡은 한국 희곡사와 연극사를 막론하고 길이 빛날 만한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 핵심어: 한국 현대 희곡, 이강백, 알레고리, 반사실주의, 현대비극, 죽음 인식, 비극적 현실 비판, 이상향 추구, 자유

      •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미용관리행동, 선호도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조은정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유형(일반/자율 고등학교, 특수목적 고등학교, 특성화 고등학교)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미용관리행동과 미용관리 선호도 및 자아존중감의 차이점과 서로 간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한 일반/자율 고등학교의 G고등학교, 특수목적 고등학교의 G예술 고등학교, 특성화 고등학교 S공업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고등학생(4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 이용된 설문지는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Statistics V.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χ2(Chi-square) 검증,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Two-way ANOVA(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미용관리행동 및 미용관리 선호도, 자아존중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미용관리행동과 일반적 특성의 관계에서 피부관리행동은 성별(p<.001), 학년(p<.01), 가족형태(p<.05), 아버지 학력(p<.05), 어머니 학력(p<.05), 수면시간(p<.05), 체형몸매관리행동은 성별(p<.05), 수면시간(p<.05), 미용성형관리행동은 성별(p<.05), 수면시간(p<.05)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헤어관리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이 없었다. 둘째,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미용관리행동은 특수목적 고등학교가 헤어관리행동을 제외한 모든 미용관리행동에서, 특성화 고등학교는 헤어관리행동에서 유의차를 나타냈으며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피부관리행동은 특수목적 고등학교가 타 학교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1). 셋째,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미용관리 선호도를 살펴보면 특수목적 고등학교는 미용관심도가 높고 체형몸매관리(p<.05), 미용성형관리(p<.05)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미용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피부관리(p<.001), 헤어관리(p<.05), 체형몸매관리(p<.01), 미용성형관리(p<.01)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일반/자율 고등학교와 특수목적 고등학교는 피부관리를, 특성화 고등학교는 체형몸매관리를 중요시하며 학교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미용관리 선호도를 보면 일반/자율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는 피부관리로 특별히 관리하지 않고, 특수목적 고등학교는 홈케어 관리를 선호하며(p<.01) 헤어관리를 보면 일반/자율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는 커트, 특수목적 고등학교는 퍼머를 선호하고(p<.001) 체형몸매관리에서는 과반수 이상이 운동을 선호하고(p<.01), 미용성형관리에서는 미용성형수술을 하고 싶은 부위로 일반/자율 고등학교는 눈,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특성화 고등학교는 코를 선호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넷째,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3.40점으로 전반적으로 높으며 일반/자율 고등학교는 모든 자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외모적 자아에서 특수목적 고등학교가 특성화 고등학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예술 고등학교로서 외모에 사회적 기준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어서 낮은 것으로 보이며 학교유형에 따라 행동적 자아(p<.001), 사회적 자아(p<.01)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에 따라 미용관리행동을 살펴보면 인지적 자아(p<.01), 외모적 자아(p<.05), 행동적 자아(p<.01), 사회적 자아(p<.05)에서는 피부관리행동에 유의한 결과를 보여 그에 따른 행동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미용관리행동에서는 특수목적 고등학교는 헤어관리행동을 제외한 모든 미용관리행동에 적극적이고 관심이 많으나 특성화 고등학교는 헤어관리행동에만 적극적이고 관심도 매우 낮았다.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미용관리는 일반/자율 고등학교와 특수목적 고등학교에서는 피부관리를, 특성화 고등학교는 체형몸매관리를 중요시 하였다.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피부관리행동에서만 인지적 자아, 외모적 자아, 행동적 자아, 사회적 자아에서 유의한 상관을 있으므로 다른 미용관리에서도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긍정적이고 올바른 외모에 대한 자아가치관을 형성하여 정신적, 육체적인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포화상태가 되어 가고 있는 뷰티관련 산업에 활로를 모색하고 미용 산업의 잠재적인 고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검은콩 다시마 선식쿠키 개발

        조은정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검은콩가루와 다시마가루를 이용하여 선식쿠키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및 기호도 조사를 하였으며, 특성 간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검은콩가루와 다시마가루의 함량을 달리한 쿠키 반죽의 pH는 검은콩가루 40% 시료군이 검은콩가루 20% 시료군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다시마 첨가량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크지 않았다. 반죽의 밀도는 모든 시료가 1.43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검은콩 다시마 선식 쿠키의 일반성분 결과 검은콩가루 40% 시료군에서는 20% 시료군보다 탄수화물 함량은 낮았으며, 단백질, 지방, 수분 및 회분의 함량에서는 거의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다시마 함량이 늘어날수록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은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수분과 회분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검은콩 다시마 선식쿠키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B20S3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으로 밝게 평가되었고, B40S6 시료는 검은콩가루의 영향을 받아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검은콩가루 40% 시료군에서는 다시마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시료는 B40S0이었고,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시료는 B40S6이었으며,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검은콩 다시마 선식쿠키의 texture 특성을 조사한 결과 경도(hardness)는 검은콩가루 20% 시료군이 40% 시료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으며, B20S3 시료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검은콩가루를 많이 첨가한 시료군의 경도가 현저하게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시판 제품들의 경도와 비교했을 때 검은콩가루 40% 시료군의 경도 값의 평균은 3313g/㎠이며, 이는 시판 제품들의 평균값(7237g/㎠)보다 2.18배로 현저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씹힘성(chewiness)은 B20S3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검은콩가루 20% 시료군이 40% 시료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검은콩 다시마 선식쿠키의 관능적 강도 특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색(color)은 B40S6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고소한 향(savory aroma)은 검은콩가루 40% 시료군이 20% 시료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단맛(sweet flavor)은 B40S3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고소한 맛(savory flavor)은 B40S0 시료와 B40S3 시료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경도(hardness)는 검은콩가루 40% 시료군이 20% 시료군보다 낮은 경도를 보여 기계적 특성 측정치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촉촉한 정도(moistness)는 B40S6과 B40S3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다른 시료들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검은콩 다시마 선식쿠키의 소비자 기호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고소한 향(savory aroma)은 B40S0 시료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B40S6 시료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단맛(sweet flavor)과 고소한 맛(savory flavor)은 다시마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후미(aftertaste)는 다시마 6% 시료군에서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촉촉한 정도(moistness)는 시료 B40S6과 B40S3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여주었다.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desirability)는 다시마 6% 시료군보다 3% 시료군이 기호도가 좋았으며,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여준 시료는 B40S3이었다. 기계적 분석과 관능검사를 통해서 B40S3의 시료가 경도는 낮게 평가되면서 부드럽고 고소하며 촉촉하고 전반적인 기호도도 높아 바람직한 선식쿠키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쿠키의 조직감 검사와 관능적 특성 강도의 상관관계에서 조직감에서의 경도는 관능적 특성 강도의 경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촉촉한 정도와 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쿠키의 관능적 특성 강도와 소비자 기호도의 상관관계에서 관능적 특성 강도의 색은 소비자 기호도의 색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 강도의 단맛은 기호도의 단맛, 고소한 맛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 강도의 촉촉한 정도는 기호도의 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기호도의 촉촉한 정도와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Sunsik cookie was developed using powders of black soybean and sea tangle and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ttributes were investigated. Consumer preference for those cookies was studied in this study. The pH of cookie dough was found higher in the samples with 40%(B40 sample group) of black soybean powder than that of the samples with 20%(B20 sample group). Depending on the amount of sea tangle powder, the pH of the dough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Dough density was found 1.43 in every sampl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shown. In terms of general components of sunsik cookies, the 40% sample group of black soybean powder showed less carbohydrate and more protein, fat, water and ash content than that of 20% sample group. Also, with more sea tangle content, less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as found, but more water and ash content was found. As a result of colorimetry of sunsik cookies, the L value representing light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20S3 and significantly lower in B40S6 than the others. The a value, representing rednes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40% sample group of black soybean powder as the sea tangle content increased. The b value representing yellow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mple B40S0 and significantly lower in the sample B40S6,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the other samples. When it comes to texture of sunsik cookies, hardness was found significantly higher in B20S3 sample than the others, while, B20S0 and B20S6 sampl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20% sample group of black soybean powder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e 40% sample group. The 20% sample group of black soybean powd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ea tangle content. In the 40% sample group of black soybean powder, the hardness became lower significantly with more sea tangle content. Compared with the hardness of commercial products, the 40% sample group of black soybean powder showed an average hardness of 3313g/㎠, which was 2.18 times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products(7237g/㎠). Chewiness was found highest in B20S3 sample with the samples containing 20% of black soybean powder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chewiness than those containing 40%.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test on sensory intensity tests of sunsik cookies, color was found significantly higher in B40S6 sample than the others. Savory aroma was foun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40% sample group of black soybean powder than in the 20% sample group. Sweet flavor was found highest in B40S3 sample. savory flavor was significantly high in B40S0 and B40S3 samples. Hardness was found significantly high in B20S6,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seen between 20% and B40S0 sample. By contrast, B40S3 and B40S6 showed lower values (of hardness) as the sea tangle content increased. Moistness was found significantly high in B40S6 and B40S3 with no difference significant in the other samples. Consumer preference for sunsik cookies was tested. In terms of savory aroma, B40S0 was most preferred, while B40S6 was found least preferred. Sweet flavor and savory flavor lessened with more sea tangle powder added and with less pre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ftertaste depending on black soybean powder content with the sample containing 6% of sea tangle powder, which showed low preference. B40S6 and B40S3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in moistness. As for overall desirability, preference was higher in the samples containing 3% of sea tangle than in 6%, and B40S3 was most preferre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intensity tests of cookies, the hardness of textu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at of sensory intensity,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oistness and color.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nsory intensity tests of cookies and consumer preference, the color of sensory intensity tests showe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lor of consumer preference. The sweet flavor of sensory intensity tes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weet flavor and flavor of nut of consumer preference. The moistness of sensory intensity tes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lor of preference, and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oistness of preference. The present study used the black soybeans as the source of quality protein and the sea tangle rich in fiber to make sunsik cookies, whos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tests were determined and consumer preferences were tested. This study can become basic data to contribute to public health in the sense that it presents sunsik cookies made of natural agricultural products to help solve such problems as obesity and other adult diseases resulting from westernized eating habits. In addition, the hardness of texture in the sunsik cookies presented her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commercial or existing sunsik cookies, so they feel better in the mouth. Consumer preference test resulted in high preference for the cookies made here though they tried those for the first time. To conclude, the sunsik cookies will possibly get rid of inconvenience of Korean food especially for busy people in this modern society by providing for an alternative for breakfast or snacks and will develop into healthier and simpler Korean food.

      • 누에콩 가루 및 녹말의 물리화학적 특성

        조은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록 누에콩(Vicia faba L.)은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인 두류 작물이다. 누에콩은 분쇄하여 누에콩 가루(FBF)로 사용하였다. FBF로부터 녹말을 추출하여 누에콩 녹말(FBS)로 사용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상업용 누에콩 가루(CFBF)가 사용되었다. FBS의 녹말 입자는 타원형에 표면이 갈라짐이 있다. DSC에 의해 측정된 FBS의 호화 온도는 65.2±0.3 oC에서 72.1±0.2 oC 범위였다. RVA 분석에서 FBS는 94.8 oC에서 최고점도 1349.3 cP를 보였고, 42.7 cP의 낮은 breakdown값을 나타내었다. FBS의 X-ray회절은 FBF, CFBF에서 동일한 2 Θ 의 5.9˚, 15.2˚, 17.3˚, 23.1˚의 C-type pattern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로 콩의 전분은 식품 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본 재료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Abstract Faba bean (Vicia faba L.) is a pulse crop originating from North Africa. Faba bean was ground and used as faba bean flour (FBF). Starch was extracted from FBF, used as faba bean starch (FBS). AS a control group, Commercial faba bean flour (CFBF) was used. The granules of FBS were elliptical and cracked on the surface.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the FBS measured by DSC ranged from 65.2±0.3 to 72.1±0.2oC. In the RVA analysis, FBS shows a peak viscosity 1349.3 cP at 94.8 oC and a breakdown of 42.7 cP.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of FBS showed a C-type pattern with peaks at 5.9˚, 15.2˚, 17.3˚ and 23.1˚ of 2 Θ, which were same in FBF and CFBF. As a result of this study, pulse starch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utilization as a food material.

      • 홍국균(Monascus purpureus)을 이용한 홍국쌀 제조와 이를 첨가한 두부 셰이크의 품질특성 연구

        조은정 江陵原州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directly produces red rice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the improvement of blood cholesterol and examines its qualities, including monacolin K and cholesterol reduction effect. Also, the study produces tofu shakes using the produced red rice and alternative sweetener to examine the best manufacturing conditions and qualities of each shake for the quality improvement and commercialization prospect of the shake products. The cholesterol reduction effects of the three types of red rice, black rice and white rice on the market were examined through the animal test. The effect was strongest in red rice-A with blood cholesterol of 196.38 ㎎/㎗ which was 11.54% lower than 222.00 ㎎/㎗ of the control group fed with conventional feed. Thereafter, Monascus was separated and identified as Monascus purpureus KCCM 60570. Monascus purpureus KCCM 60570 was injected to steamed rice by 1.0% (w/w) and cultured at 30℃ for 12 days to establish the production conditions for red rice. As a result of checking monacolin K and fungi quantity, the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ime for red rice production was 30℃ and 10 days, respectively. The monacolin K of the manufactured red rice was 3.75, which is 7 times higher than 0.51~0.59 of the red rice on the market. The sensory test on the red rice tofu shake manufactured by adding the red rice made of Monascus purpureus KCCM 60570 in different concentrations showed the highest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of the tofu shake containing 0.5% red rice, thus confirming the best addition ratio. The sensory test on the tofu shake containing 0.5% red rice and the black sesame tofu shake showed the better taste and structure of the former, confirming the positive commercial prospect of the tofu shake containing red rice. The sensory test on the tofu shake using alternative sweetener, manufactured with stevioside and fructooligosaccharide in different concentrations, instead of sugar syrup that may cause obesity and dental caries, showed the highest taste, color, and overall preference of the tofu shake containing 0.11% stevioside and 3.69% fructooligosaccharide, thus confirming the best addition ratio of alternative sweetener. The free sugar analysis detected 2.92% of sucrose in the black sesame tofu shake, and 0.63% (78% lower) in the tofu shake containing alternative sweetener, demonstrating the reduction effect on sugar that causes obesity and dental caries and confirming the quality improvement and commercial prospect of the tofu shake using alternative sweetener. The antibacterial test on the red rice and black sesame tofu shake and red rice tofu shake made of Monascus purpureus KCCM 60570 showed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three types of gram positive strain and two types of gram negative strains in red rice. Particularly, the antibacterial effect was highest in Samonella typhimurium KCTC 1925, a gram negative strain, with 26.15 mm clear zone in size. The antibacterial test showed the highest scores of red rice in the total flavonoid content, polyphenol compound content, and DPPH free-radical scavenging capacity. The red rice tofu shake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black sesame seed tofu shake. The change in blood sugar was observed through the animal test, in which the tofu shake containing red rice was made into tablet. The mice fed with conventional feed had their blood sugar reduced by 1.6%, whereas the mice who had the tablet of the tofu shake containing red rice had their blood sugar reduced by 5.6%, confirming the positive effect of red rice on reducing blood sugar. To set the shelf life of the tofu shake, the storage test was conducted for 7 weeks at 5℃. As a result, the shelf lives of the black sesame seed tofu shake, red rice tofu shake and alternative sweetener tofu shake were 18 weeks, 5 weeks, and 5.3 weeks, respectively, based on their acid value. The sensory test predicted their shelf lives as 10.3 weeks, 7.4 weeks, and 7.1 weeks, respectively.

      • 플루트 협주곡의 변천과정 및 20세기 플루트 협주곡의 특징연구

        조은정 대진대학교 문화예술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 플루트음악에서는 뵘에 의한 본격적인 플루트의 개량으로 그 이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기법의 연주가 가능하게 되었고, 플루트는 독특한 음색, 반음계주의, 다조성, 고도의 테크닉 등 모든 역할을 다해내며 새로운 주법들의 개발로 독주 악기로서의 면모를 충실히 표현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는 작곡가들의 작품 활동에 독특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여러 가지 새로운 연주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시대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플루트의 작품 중 본 논문에서 다뤄진 이베르의 플루트 콘체르토는 그가 활동하던 1920년대의 특징적 어법들 중에서 신고전주의, 인상주의, 낭만주의적 경향이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베르는 신고전주의, 인상주의, 낭만주의를 포함한 여러 형태들에 대해서 포용적이었지만 결코 그는 독자적인 개성을 잃지 않으며 신고전주의와 인상주의 사이에 있으면서 프랑스적 개성과 자신만의 특징을 가지는 독립적인 음악세계를 형성하였다. 그의 작품은 근대적 고전주의에 속하며 건실하면서도 자유로운 작곡기법을 추구하였으며, 교묘한 악구구성과 관현악법 그리고 독창적인 수법에 풍부한 색채와 변화 있는 리듬을 사용하였다. 그의 음악에서는 선율이 순차 진행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고, 형식과 악구구조등이 명확하며, 묘사적 성격 그리고 선율의 반복과 기능적이지 않은 화성의 진행 등으로 인한 특징적 음색을 만들어 낸다. 또한 이베르는 자신의 독특한 형식의 변화와 음향을 중요시하는 몇 가지의 주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움직임은 전통적 사용방법을 벗어나 새로운 기법을 창출해 내는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러한 새로운 시도는 작곡가들의 작품 활동에 독특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나타나 여러 가지 새로운 연주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이처럼 본 논문은 이베르의 콘체르토를 통해서 20세기 플루트음악에 대한 올바른 곡 해석과 나아가 현대작품을 연주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고자 그 목적을 두었다. For the flute music in the 20th century, the full-scale improvement of flute as initiated by Theobald Boehm has made it possible to implement original performance of brand new techniques. Flute has played all of its roles including its original tone color, chromaticism, polytonality and high techniques, and has fully represented solo instruments owing to development of new embouchures. These new attempts have been implemented creatively and diversely in artistic activities of composers, and there are a variety of new expression marks developed. Out of flute pieces composed variously by historical period, J. Ibert's Flute Concerto discussed in this study shows tendencies of neoclassical music, impressionism and romanticism which were parts of characteristic expression modes in his contemporary era of 1920's. Ibert tended to embrace various modes including neoclassical music, impressionism and romanticism, but tried to keep pursuing his own characteristics and create an original music world that is characterized by sharing French style and his own traits between neoclassical music and impressionism. His works belong to modern classicism but in pursuit of steadfast and unbounded composition techniques. Moreover, he enjoyed using artful phrase structure and instrumentation, his original techniques, abundant tone color and variable rhythms. Many of his music works show the conjunct motions of melody, clear-cut form and phrase structure, depictive nature, and original tone colors based on iterative melodies, functionless harmony in progress and more. In addition, Ibert also adopted several embouchures to highlight his own original form variations and sounds. These attempts helped him create brand new techniques beyond traditional rules, and have been also implemented originally and diversely in artistic activities of contemporary composers, so that there have been new expression marks developed up to date. Summing u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discuss J. Ibert's Flute Concerto so that it could help to get correct musical interpretations about flute music composed in the 20th century and perform contemporary music works.

      • 韓半島 南西部 地域 土築窯 硏究 : 海南 新德里를 中心으로

        조은정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 磁器제작이 시작된 시기는 9∼10世紀이며 이 시기에 제작된 자기에는 靑磁, 白磁, 黑釉 등이 있으나 그 중에서 청자의 제작량이 가장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初期靑磁라고 한다. 초기청자 가마터는 築窯材와 가마구조, 출토품의 성격이 다른 塼築窯와 土築窯로 구분되며 전축요는 한반도의 中部지역에, 토축요는 南西部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본 논문은 海南 新德里, 康津 龍雲里, 長興 豊吉里, 高興 雲垈里의 토축요 出土品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특징을 알아보고, 기존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토축요의 초기청자 製作時期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각 지역의 출토품을 상세하게 형식분류하여 토축요內에서의 상대적인 先後관계를 살펴보았고, 기존의 해무리굽완 형식분류 및 編年에 대한 연구성과를 재검토하였다. 9∼10세기의 한반도와 중국은 왕권의 약화와 정치적인 혼란기를 거처 각각 高麗와 宋의 통일로 이어지는 정치적인 변화를 겪었기 때문에 당시 중국과 의 교류는 정치·사회적인 측면보다 경제·문화적인 측면에서의 교류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초기청자 제작기술 역시 한반도의 남서부 해안과 남중국을 잇는 海路를 통해 유입되었으며 이를 주도한 세력은 당시 중국과의 해상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한 지방호족들이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당시 窯業史적인 배경을 살펴보면 남서부 지역에서는 초기청자 제작 이전에 이미 존재했었던 도기가마가 靈岩 鳩林里와 같은 地下式 登窯 구조에서 초기청자 제작시기에는 康津 三興里에서와 같이 半地下式 登窯 구조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자가마는 강진 용운리 10-1호, 삼흥리 D지구 1·2호와 같이 길이 10m내외, 가마바닥 폭 1.2∼l.4m정도의 半地下式 小形 토축요 구조이며, 이러한 가마구조는 토축요중에서 비교적 제작시기가 빠른 해남 신덕리와 강진 용운리 63호를 비롯한 다른 토축요 역시 이와 같은 구조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출토품의 형식분류을 통해서는 해남 신덕리와 강진 용운리 가마터 출토품이 해무리굽완·대접·접시·종지의 형식변화에 근거하여 각각 신덕리1·2·3分期와 강진 I Ⅱ類型으로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대접·접시·종지·잔 등의 기종은 內底曲面式에서 內底線刻式으로, 다시 內低圓刻式으로의 변화과정을 거친다. 초기청자의 제작시기를 추정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되는 해무리굽완은 기존 연구에 의하면 굽지름과 接地面 幅의 크기에 따라 先해무리굽, 中國式 해무리굽(ⅠA유형·ⅠB유형), 韓國式 해무리굽(ⅡA·ⅡB·ⅡC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9세기 전반부터 청자제작이 시작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실제로 신덕리와 용운리의 해무리굽완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가마터에서 중국식 해무리굽과 한국식 해우리굽이 같이 출토되고 있기 때문에 위의 형식분류 및 편년은 타당성이 없으며 내저면 형태에 따라 內底曲面式이 內低圓刻式에 先行하는 관계만 성립된다. 또한 이를 통해 해남 신덕리內에서도 가마터들간에 선후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기청자 제작시기와 관련해서는 기존의 해무리굽완 형식분류에 따르더라도 토축요의 해무리굽완 제작시기의 上限은 10세기 이후가 되며, 花形접시의 형태에서 중국 五代 黃堡窯址의 영향이 짐작되기 때문에 토축요 초기 청자의 제작시기는 10세기 이후가 된다고 보았다. 토축요의 초기청자는 器種別 형식변화와 함께 窯道具의 형식변화, 초벌구이 제작 여부 등을 기준으로 크게 Ⅰ期와 Ⅱ期로 구분된다. Ⅰ기의 특징은 대접·접시·종지·잔 등의 기종은 내저곡면식(A형식)과 내저선각(B형식)식이, 해무리굽완은 내저곡면식이 제작되고, 화형접시는 외측면을 세로로 길게 누른 형태만이 확인된다. 요도구는 원통형갑발과 갑발받침외에 鉢形 갑발·覆鉢形 갑발, 갑발뚜껑 등 전축요에서 주로 사용된 형태의 요도구가 섞여 있고 초벌구이 편이 확인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강진 용운리 63호, 장흥 풍길리, 해남 신덕리1·2분기 가마터가 여기에 해당한다. Ⅱ기의 특징은 대접·접시·종지에서 내저곡면식(A형식)은 사라지고 주로 내저원각식(C형식)이 제작되며, 해무리굽완 역시 내저원각식만 확인된다. 요도구는 원통형 갑발과 갑발받침외에 다양한 형태의 도지미와 규석받침을 사용하고 초벌구이를 하는 것이 특징이며, 용운리 9호를 비롯한 강진Ⅱ유형의 가마터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고흥 운대리와 해남 신덕리 3분기, 강진 용운리 9호는 Ⅰ기와 Ⅱ기의 특징이 혼재되어 있어 과도기적인 시기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Ⅱ기에 신덕리와 운대리의 출토품은 초벌제작 기술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釉胎가 精選되지 않은 粗質청자를 생산함으로써 良質청자를 생산한 강진 용운리와는 생산품의 質的 分化가 있었다고 보았다. 토축요 출토품의 성격은 해무리굽완과 화형접시에서 볼 수 있는 중국적인 요소, 大盤·廣口扁甁·油甁 등에서 볼 수 있는 전통적인 陶器의 기형 및 제작방식, 요도구에서 짐작되는 전축요의 영향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것은 전축요가 가마구조나 출토품에서 중국으로부터의 직접적인 영향이 看取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토축요는 중국으로부터의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전통적인 기술이 융합되어 토착화된 시기에 나타날 수 있는 특징을 보이므로 10세기 전반인 전축요의 활동시기보다 약간 늦은 10세기 중엽 이후부터 청자제작을 시작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In this country, the production of celadon is assumed to begin from about 9th∼10th century. Among celadons produced at the time were a celadon ware, a white ware, and a black-glazed pottery(黑釉) made by red clay containing oxidized steel. A celadon was one of the most manufactured potteries in this era so that this earthenware is called as "earlier celadon". Sites for a earlier celadon kiln can be divided into two sorts: a kiln built by bricks(塼築窯) and a kiln made by clay(土築窯) which show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such as materials for building kiln, structures of the kiln and features of an excavated article; the former had been mainly distributed in the middle area of Korean Peninsular and the latter had been largely dispersed in southem-west area in this country. This thesis is aimed to investigate the attributes of unearthed articles, focusing on findings from clay kilns which had been spreaded in Sindeok-ri(新德里), Haenam(海南), Youngwoon-ri(龍雲里), Gangjin(康津), Poongil-ri(豊吉里), Jangheung(長興), Woondae-ri(雲垈里), Goheung(高興) and then illustrate a production period of earlier celadon from clay-made kilns,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With detailed classification of findings from distinctive areas, this paper explores a relative order of prior and posterior, reexamining the established researches on its classifying methods and its chronological order of the bowls with halo-shaped bases. As the Korean Peninsular and China in 9th∼10th centuries had been transforming themselves into each Goryeo and Song dynasty in the aftermath of the weakness of royal authority and political chaos, inter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had been largely performed in economic and cultural way rather than in the political and social aspects. The producing technology of earlier celadon had been flowed into this country primarily through the southern west coast of Korea and a sea route which connected between the Peninsular and southern China; this inflow seemed to be predominantly made by the local powerful clan families who, at the time, was able to accumulate their wealth owing to marine trades with China. Additionally, in terms of the history of the ceramic industry, pottery kilns in the southern west areas, which had existed ahead of the production of earlier celadon, had begun to change their structure from underground structure found in Goorim-ri, Yeongam to half-underground structure found in Samheung-ri, Gangjin during the production period of earlier celadon. Celadon kiln has half-underground structure, and is small-sized and clay-made one, which is about 10 meters long and about 1.2∼1.4 meters wide such as in Youngwoon-ri 10-1, Ganjin and Samheung-ri D district 1.2; the same is assumed to be the structures of other clay kilns including kilns of Sindeok-ri, Haenam and Youngwoon-ri 63, Gangjin. By way of the classification of an excavated article type, findings were able to be divided into each Sindeok-ri 1,2,3 term and Gangjin Ⅰ, Ⅱ type, based on the type transformation of bowls with halo-shaped bases, wide-bowls, dishes and small bowls. In other words, the types of wide-bowls, dishes, small bowls and cups had been changed from a concave inner-bottom surface style(內底曲面式) to a circle-carved inner-bottom surface style(內底線刻式), into a circle-pressed inner-bottom surface style(內低圓刻式). The bowls with halo-shaped bases, which became one of important grounds in clarifying the production period of earlier celadon,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base, the width of adjoining side: prior halo-shaped bases, Chinese style halo-shaped bases (Ⅰ A type, Ⅰ B type) and Korean style halo-shaped bases (Ⅱ A type, Ⅱ B type, Ⅱ C type); thus, the production of celadons is presumed to begin from the earlier ninth century. Yet, as a consequence of examining bowls with halo-shaped bases practically, since Chinese style halo-shaped bases and Korean style halo-shaped bases have been excavated together in most celadon sites, the classification of types and chronological order above mentioned appear to be groundless; the relationship alone that a concave inner-bottom surface style(內底曲面式) is ahead of a circle-pressed inner-bottom surface style(內低圓刻式) can be concluded according to the forms of a inner-bottom surface. In addition to this, the possibility of relationship between prior and posterior among pottery sites in Sindeok-ri, Haenam has also been proven. Accordingly, even though, concerning the production period of earlier celadon, it is possible to follow the established classifying methods about the types of bowls with halo-shaped bases, the earliest production period of the bowls from clay kiln can be assumed to be no earlier than 10th century; the production period of earlier celadon from clay kiln can be inferred to be no earlier than 10th century as the forms of flower-shaped dishes show an influence of Hwang-bo celadon sites in Five Dynasties, China. Earlier celadons from clay kiln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first term and the second term, based on changes of forms by celadon types, modification of kilns instruments and whether the celadon was first baked or not. The features of the first term can be considered as follows: the celadon of wide-bowls, dishes, small bowls and cups are proven to be made by a concave inner-bottom surface style(A type) and a line-carved inner-bottom surface style(B type); bowls with halo-shaped bases by a concave inner-bottom surface style; in the cases of flower-shaped dishes, their outer facets seem to be pressed vertically and long; kilns instruments such as circle bowl boxes(圓筒形 匣鉢), pads of bowl boxes, rice-bowl-shaped bowl boxes(鉢形 匣鉢), reversed-bowl boxes shaped like dome(覆鉢形 匣鉢) and covers of bowl boxes, which were primarily used in brick kilns, are unearthed; the first baked ones have not been found; the sites of Youngwoon-ri 63, Gangjin, Poongil-ri, Jangheung, Sindeok-ri 1st and 2nd term, Haenam would fall into this category. The features of the second term can be said as these: wide-bowls, dishes and small bowls show the fact that they were mainly made by a circle-pressed inner-bottom surface style(C type), with a concave inner-bottom surface style(A type) disappearing; regarding kiln tools, instruments including circle bowl boxes, pads of bowl boxes and various pottery mats and silica pads had been used; first baked ones have been found; sites of Ganjin Ⅱ types including Younwoon-ri 9 would fall into this category. Woondae-ri, Goheung, Sindeok-ri 1st term, Haenam, and Youngwoon-ri 9, Gangjin are presumed to be a transition period as they show mixed attributes of 1st term and 2nd term. On the other hand, although findings of Sindeok-ri and Woondae-ri, Goheung in the 1st term show evidences of the technology of first-baked production, they produced coarse celadon without careful selection of embryonic oil; they clearly exhibit differences, in terms of its qualities, from finding out of Youngwoon-ri, Gangjin where pure celadon were produced. The features of clay-kilns findings can be epitomized as the following: Chinese elements; the traditional producing method of earthenware and pottery shapes found in wide-tray, a flask with wide-mouth and oil-bottles; the effects of brick kilns which can be inferred from kiln tools; and all exist together. A difference from brick kilns is that their excavated articles and their structure show a direct impact from China. Thus, since clay kilns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when new technologies began to be introduced from China, but on the other hand the traditional methods became gradually established, it is assumed that celadon production started from no earlier than the mid-10th century, which followed the activities of brick kilns occurred during the earlier 10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