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행 중심 단일로 횡단보도 교통신호 운영방안 연구 : 감응신호운영방식을 중심으로

        조용빈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통공학 측면에서 기존 시행되고 있는 야간점멸신호 운영방안 대체 및 교통량이 낮은 주간 교통상황에도 적용 가능한 보행자 중심 신호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검증을 모의실험과 현장실험을 통해 수행하고자 한다. 이때 보행자 중심 신호운영 방안으로 점등 방안을 보행자 신호는 상시 녹색을 부여하고 차량 신호는 상시 적색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차량이 검지기에 검지되면 차량 신호가 녹색으로 점등되는 방식을 채택했다. 이를 위해 감응 신호운영 변수를 보행자 중심 신호운영에 적용하여 2010년형 교통신호 제어기에 PC-MMI를 활용하여 적용하여 교통신호제어기가 작동을 확인하였다. 보행자 중심 신호운영의 검증을 위해 초기 신호 운영 변수들을 적용한 VISSIM 모의실험과 현장 시험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VISSIM 모의실험 결과, 차량 교통량이 300 대/시 미만일 경우 보행자 지체도 관점에서 정주기식 신호운영보다 보행자 중심 신호운영 방안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차량 교통량이 50 대/시, 보행 교통량이 150 인/시 일 때 최적 운영 환경임을 확인했으며, 한계비점유시간이 2.0 초일 때 보행자 지체도가 최소로 확인되었다. 차량 지체는 한계비점유시간의 증가함에 따라 차량 지체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차량 교통량이 400 대/시 이상이 되면서 정주기식 신호 운영보다 보행자 중심 교통신호운영이 차량 지체도가 낮게 나타났다. 현장 시험 결과, 기존 정주기식 신호운영 대비하여 주기 회수가 34.3% 증가했으며 주기 길이는 39.5 % 감소하였다. 보행자 지체도는 오전 등교시간 –2.47 초/인(28.8 %) 감소했으며, 오후 등교시간 –4.06 초/인(68.4 %)의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보행자 중심 신호운영이 2010년형 교통신호제어기에 적용 가능하였으며, VISSIM 모의실험과 현장 시험을 통해 보행자 중심 신호운영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 단기 현시분배 기법을 고려한 AI 기반 스마트 교통신호전이 운영관리 모형 개발

        조용빈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신호교차로에서 교통신호 운영의 관심이 차량 정체가 발생하는 첨두시간에 전통적으로 집중되고 있다. 도시부 교차로 회전교통량 자료 수집에 투입되는 인력들로 발생하는 비용을 첨두시간이 아닌 비첨두시간에 지출하지 못하는 실무적 한계가 존재한다. 해당 자료를 현장 장비로 수집하고, 이에 따라 신호시간을 자동 갱신하려는 노력도 있었으나, 이 역시 장비의 기능 유지관리 비용 때문에 실패하는 등 근본적 한계를 넘지 못하였다. 최근 교통흐름을 실시간 감시(surveillance)하는 용도로 개발되는 신규 검지기들은 낮은 유지관리 비가 소요되는 등 첨두시간 뿐만 아니라 하루 모든 시간을 대상으로 가동된다. 과거 100년 동안 머물러 왔던 첨두시간의 한계를 벗어난 하루 24시간 대상 교통신호운영 패러다임을 출발하게 한다. 미래 교통신호운영에서는 가변하는 교통조건에 따라 교통신호가 수시로 대응하기에 ‘교통신호 전이’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빈번하게 ‘교통신호 전이’가 발생할수록 하루동안 발생하는 전체 ‘교통신호 전이’ 누적시간이 증가하여 ‘교통신호 전이’의 최적화 필요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관심범위가 첨두시간으로 한정된 기존 연구들은 이미 ‘교통신호 전이’ 시간을 관심 범위에 두지 않기 때문에 참조할 수 있는 기존 기술이 부족하다. 본 논문은 (1) 네트워크 교통신호 전이시간을 센터에서 통합 관리하는 상황을 가정하며 수행한 스마트 ‘교통신호 전이’ 기법 및 (2)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적용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스마트 교통신호 전이기법은 신호연동 운영 간선도로 네크워크에서 발생 한 ‘전이 시간’ 동안 신호연동 상황을 무시하는 현재 방식(현장 교통신호제어기 독립적 신호 전이)의 제약을 극복한다. 이들은 총 2 종으로 ‘전이’ 후 남는 잔여 시간을 ‘전이 전’ 현시길이를 참조하여 ‘전이 후’ 현시길이’를 조정하는 방식이다. 제안된 두 가지 기법은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1 또는 2 주기 현시길이 조정 요령을 각각 채택한다. 이들 두 가지 기법과 기존 다섯 가지 기법(Add, Subtract, Immediate, Two-cycle, Three-cycle) 총 7개 기법을 대상으로 전이기법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교통상황별 최적 교통신호 전이 기법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통조건, 다양한 기하구조조건, 교통신호 전이를 포함한 다양한 제어조건을 기반으로 총 14,742개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SUMO 모의실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신호 전이’ 최적기법 특성 패턴은 ‘교통조건 수준 변화방향’과 ‘주기길이의 변화 방향’과 통계적 유의성이 없나 ‘주기길이와 옵셋 조합’을 동시에 고려하는 경우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옵셋 변화량이 주기길이 시작점 대비 음의 방향으로 0~50% 이동하는 경우 Subtract 기법이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옵셋 변화량이 양의 방향(~15%)으로 전환되는 경우 제안기법1(Proposed-1)이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당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교통상황별 최적 교통신호 전이기법 학습 자료를 생성하였고, 이를 토대로 정확도 92.86% 수준의 인공지능 강화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현재 하루 동안 발생하는 교통수준 전환 상황에 발생하는 ‘교통신호 전이’ 고려 시 평균 지체도 수준을 약 9.35% 수준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가 모의실험 검증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통조건 변화에 따라 최적의 ‘교통신호 전이 방식’을 교차로 마다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안된 방식이 미래 교통신호운영기술에 활용될 시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 AASHTO 지침의 시멘트콘크리트포장 설계법에서 배수계수 산정에 대한 연구

        조용빈 漢陽大學校 産業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설계법은 1955년부터 1960년까지 구조 해석적인 콘크리트포장 요강과 PCA법이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나 1972년 AASHTO에서 주행성에 따른 서비스개념이 도입된 이후 1986년 공용성에 미치는 제반 영향을 고려하도록 보완되어 현재의 포장설계 기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주로 사용 되어온 몇몇 시멘트콘크리트 포장설계법의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86 AASHTO 포장설계법은 이전의 설계법에 비하여 매우 중요한 차이점이 있으며 이는 새로운 포장의 설계 및 보수(Rehabilitation)시에 포장체를 구성하는 각 층에서의 함수량을 나타내는 배수계수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면 시멘트콘크리트포장은 조기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널리 알려져 있으며, ‘86 AASHTO 포장 설계법에서는 배수계수를 연중 포장의 함수상태가 포화에 이르고 있는 시간의 비율과 포장내 입상 재료 층의 배수시간만을 고려하여 구하고 있으나 이는 포장을 구성하는 노상과 단면 및 재료가 수분함유시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수분이 포장에 미치는 전체적인 영향을 나타내지 못한다. 따라서, ’86 AASHTO 포장설계법이 우리 나라에 채택 적용되어지기 위해서는 실제 사용된 재료의 특성과 시공지역의 기후를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이미 개발된 MAD(Moisture Acceleration Distress) 지수법을 사용하여 AASHTO 포장설계시 사용되어지는 배수계수의 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 이종금속소재 적층제조를 이용한 기어의 재제조 공정 연구

        조용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재제조 공정은 비용절감 및 환경개선을 촉진할 수 있는 기술로 세계적인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종소재를 사용하여 축대칭 형상 중 하나인 기어의 재제조를 위한 공정을 제안한다. 이 공정은 SUS316L 소재에 SUS316L 파우더와 H13 파우더를 사용하여 축대칭 형상의 재제조를 위한 공정조건을 최적화 하고, SEM 촬영을 통해 접합성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선정된 소재를 사용하여 파손된 기어 이를 재제조 하였다. 경도 측정 결과 H13 적용 이종소재로 재제조된 기어의 표면부에서 가장 높은 경도가 나타났다. 측정된 경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나노인덴터를 이용하여 각 파트별 탄성계수를 획득하였고, 각 파트별 국부적인 탄성계수를 적용하여 구조해석 기반의 기어굽힘해석을 진행하여 강도와 강성을 평가하였다. 굽힘시험 해석 결과 H13의 최적 두께는 0.5 mm로 도출하였으며 SUS316L 단일 재제조된 기어보다 H13 적용 이종소재 재제조된 기어가 더 높은 경도를 나타내어 최대응력은 48.8% 개선, 최대 변형률은 51.6%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기어 굽힘 시험을 통해 H13 적용 이종소재로 재제조된 기어의 강도가 개선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금속 적층제조를 이용한 기어부품의 재제조 공정 가능성을 확보하였고, 이는 비용절감 및 환경개선을 야기할 수 있다.

      • (A) role of kinesin family member KIF18A in host defense against influenza virus infection 

        조용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influenza virus is one of the major public health threats. Howeve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vaccines and therapeutic drugs to combat this virus is greatly limited by its frequent genetic mutations. Because of this, targeting the host factors required for influenza virus replication may be a more effective strategy for inhibiting a broader spectrum of variants. Here, I demonstrated that a motor protein kinesin family member 18A (KIF18A) is a critical pro-viral host factor for the influenza A virus (IAV). The expression of KIF18A in host cells was increased following IAV infection. Intriguingly, the pharmacological or small interfering RNA-mediated inhibition of KIF18A substantially decreased the expression of viral RNAs and proteins, and the production of infectious viral particles, while overexpression of KIF18A enhanced the replication of IAV. Similar antiviral effect of BTB-1 was also observed when cells were infected with another IAV strain. Importantly, the inhibition of KIF18A attenuated the activation of AKT, p38 MAPK, SAPK, and Ran-binding protein 3 (RanBP3), which led to prevention of the nuclear export of viral ribonucleoprotein complexes. Finally, BTB-1 treatment protected mice from morbidity and mortality caused by IAV infection. Collectively, my data results unveiled a beneficial role of KIF18A in IAV replication and thus, KIF18A could be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the control of IAV infectio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주된 위협 요인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인플루엔자의 잦은 돌연변이 때문에 항바이러스 치료제와 효과적인 백신의 개발이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숙주세포 인자를 억제하는 것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모터 단백질이자 키네신 패밀리 멤버인 KIF18A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흥미롭게도,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때 세포에서 KIF18A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KIF18A의 선택적 억제제인 BTB-1을 처리하거나 그 발현을 줄일 수 있는siRNA를 처리하였을 때, 바이러스의 RNA와 단백질의 발현 및 바이러스 생산이 유의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반대로 KIF18A를 과 발현시키면, 바이러스의 증식이 증가하였다. 추가적으로 KIF18A의 활성을 억제하면 바이러스 리보핵산 단백질 (vRNP)이 핵 밖으로 유출되지 않았으며, 이와 관련된 세포 신호 단백질인AKT, p38 MAPK, SAPK와 Ran-binding protein 3 (RanBP3)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마우스에 BTB-1을 처리하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률과 사망률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에서 KIF18A가 필수적인 요소임을 구명하였고, 이 결과는 A형 인플루엔자 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The) study on the stimulatory effect of Kif18a inhibition on dendritic cell-mediated CD8+ T cell responses

        조용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15

        수지상 세포는 항원을 흡수하여 펩타이드로 가공하고, 표면에서 펩타이드-주조직 적합성 복합체의 형태로 면역 세포들에게 항원 제시를 하여, 항원에 특이적인 적응 면역 반응을 시작하게 된다. Kif18a (키네신 패밀리 멤버 18a)는 운동성, 세포 분열, 미세소관 동역학과 같은 여러 세포 과정에 관여한다. 그러나 면역반응에서 Kif18a의 역할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Kif18a가 수지상 세포의 기능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라고 가정했다. 수지상 세포의 기능에서 Kif18a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Kif18a 저해제인 BTB-1을 사용하였다. BTB-1이 수지상 세포로의 분화, 수지상 세포의 활성화, 그리고 수지상 세포의 염증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상당히 감소시켰지만, BTB-1처리에 의해서 CD8+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DC의 능력은 크게 증가하였다. KEGG 경로 분석은 수지상 세포 내의 항원 분해와 연관된 유전자들의 발현 수준이 BTB-1처리에 의해 크게 변화한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와 동일하게 BTB-1 처리에 의해 수지상 세포의 항원 분해 능력은 감소했다. 중요한 것은, 수지상 세포에서의 펩타이드-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재활용 과정이 BTB-1에 의해서 크게 약화되어, 표면의 펩타이드-주조직 적합성 복합체의 발현이 증가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BTB-1이 처리된 수지상 세포는 생체 내 CD8+ T 세포의 활성화를 크게 증가시켰다. 특히, BTB-1의 비강 내 투여는 OVA 면역화 생쥐의 혈청 내 OVA 특이적인 항체 수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더욱이, 생쥐에서 BTB-1을 포함한 열 불활성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비강 내 백신 접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세포성 면역 반응과 체액성 면역 반응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Kif18a의 억제가 세포성 면역 반응과 체액성 면역 반응을 모두 향상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학위논문은 Kif18a의 억제가 항원 특이적인 세포성 면역 및 체액성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망한 치료 전략임을 입증했다. 따라서 Kif18a 억제제는 백신 효과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ndritic cells (DCs) uptake antigens, which are processed into peptides and are presented to immune cells in the form of peptide-MHC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complexes at the surface, initiating an antigen-specific adaptive immune response. Kif18a (Kinesin family member 18a) is involved in several cellular processes such as motility, cell division, and microtubule dynamics. However, the role of Kif18a in immune responses is not clearly defined. In this dissertation, Kif18a was assum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regulating the function of DCs. To investigate the role of Kif18a in the function of DCs, a Kif18a inhibitor, BTB-1 was used. Although BTB-1 significantly decreased differentiation into DCs, activation of DCs, and secre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of DCs, the ability of DCs to activate CD8+ T cells was greatly increased by BTB-1 treatment. KEGG pathway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genes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antigens in DCs was significantly changed by BTB-1 treatment. In agreement with this result, BTB-1 treatment decreased antigen degradation capacity of DCs. Importantly, the recycling process of pMHC-I complexes in DCs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BTB-1, resulting in the increased surface expression of pMHC-I complexes. Furthermore, BTB-1-treated DC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tivation of CD8+ T cells in vivo. Notably, intranasal administration of BTB-1 significantly increased OVA-specific antibody level in serums of OVA-immunized mice. Moreover, intranasal vaccination of heat-inactivated IAVs with BTB-1 in mice increased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against IAV infections.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Kif18a enhances both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demonstrated that the inhibition of Kif18a is a promising therapeutic strategy to increase the antigen-specific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Thus, the Kif18a inhibitor could be used as novel adjuvants to increase vaccine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