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特技.適性敎育의 運營實態와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조영민 전주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author tried to analyze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s of the practices on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conditions have been run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s' personality and creativity and to improve the quality and capacity of their unique abil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the author has created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in Jeonrabug-do province. There are two groups of teachers used in the analysis. One group is the chiefs of school affairs and the other is teachers in charge of the practices on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at school. The author made researches into the actual management conditions of the training of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These included the training of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s aim and purpose, the aspect of management as a whole, the administration of a part-time teachers, public information, and the evaluation to analyze the actual working state of the practices on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according to grade and local grouping.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nd analysis of the accomplishment by its aim and purpose showed that the practices on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was run efficiently and contributed to savings in private tuition fees. The practices was not used the students' local facilities or social environment but was well used for human, resources. It was managed after due deliberation by a parents' association which was not closely connected with the festival of teenagers group. Second, the analysis of the aspect of management showed that the practices on their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was well managed in learning levels and it did not perform deepening and supplementary less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abilities, but did efficiently perform budgeting. Additionally, the practices wasn't efficient in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didn't respond on the administration of various programs which were requested by student and their parents. Third, the analysis of the management of part-time teachers showed that it was well managed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part-time teachers for each courses but there were some negative responses centered around the composition of their domestic teachers. The part-time teachers were well qualified to instruct their student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a part-time teachers' pay is medium level. Fourth, the analysis of public information showed that the training of students' unique abilities improved and kept private lesson fees economical in publicity activities. The public information was available on good ideas gathered from the parents associ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Fifth,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directions of the upper official and an introduction of an excellent illustration were good. Conversely, the classes of students' unique abilities by way of direct mail(DM) were not evaluated by the students or their parents. The schools perform a self-evaluation that was of a medium level. However,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next class through evaluation of each class and the part-time teachers. First of all, the educational establishment itself needs to regain trust in a public school education and connect the school to a local network.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meet the needs to form a curriculum that contain a greater variety of classes and should improve the entrance examination-centered system. It is necessary to make better use of inner teacher-centered system and it is important to take advantage of outer part-time teachers. Schools should plan for a public information campaign and make public the proceedings of the classes on the practices on students' unique ability and aptitude by communication with each students' home. The most things what schools have to do are do make plans for a improve curriculum reasonable for its real state of affairs, develop a method of management. The schools need to make themselves ready for the future by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make an operation system for a systematic way of performing evaluations by use of a computer web base homepage.

      • 장애인행정도우미의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영민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장애인행정도우미에 선정된 참여자들의 직무특성과 직무지속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장애인행정도우미들의 복지행정업무 역량제고로 인한 보조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개발과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약 15일에 걸쳐, 전국의 읍·면·동 주민자치센터를 비롯한 일선 행정기관에 배치 되어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행정도우미 참여자 126명을 대상으로 전자우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장애인행정도우미의 직무특성 및 직무지속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행정도우미의 직무특성은 직무만족도에 ‘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업무분장과 재량권 정도가 높아질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으며, 직무지속성은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장애가 낮은 등급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특별시나 특별자치 시·도와 도 단위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별시나 특별자치 시·도에 근무할수록 도 단위에 근무하는 경우보다 직무특성을 더 잘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행정도우미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장애정도에 따른 업무분장과 업무재량권을 부여함으로써 이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외발자전거 운동이 코어 근육의 두께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조영민 남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외발자전거 운동이 코어 근육의 두께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조영민 지도교수 : 조운수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본 연구는 외발자전거 운동이 정상성인의 코어 근육의 두께와 균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대의 정상성인 총 30명을 대상으로, 외발자전거 운동을 총 10주 동안 주 3회, 1회당 준비운동 5분, 본 운동 40분, 정리운동 및 스트레칭 5분, 총 50분씩 실시하였다. 측정은 사전측정과, 운동시작 5주 후 중간측정, 10주 후 사후측정을 하였다. 대상자들의 코어 근육의 두께를 알아보기 위해 초음파(V2u Health Care, Singapore)를 사용하여 몸통 근육에서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배가로근, 뭇갈래근, 그리고 하지 근육에서 넙다리곧은근을 측정하였다. 또한 균형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균형측정기(Biorescue)를 사용하여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시기별 군 간 유의성 검정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고, 시기 및 군 간의 측정 변인들이 미치는 주된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근두께의 변화로 배바깥빗근은 군 간, 시기⋅군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하였다(p<.05). 배속빗근은 시기적, 시기⋅군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하였다(p<.05). 배가로근은 시기⋅군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하였다(p<.05). 뭇갈래근은 시기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넙다리곧은근은 군 간, 시기적, 시기⋅군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하였다(p<.05). 둘째, 균형능력의 변화 중 정적균형으로 눈감고 한발서기 검사의 유지시간과 COP 이동거리에서 시기적, 군 간, 시기⋅군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하였고, 목 폄하고 롬버그 검사의 유지시간과 COP 이동거리에서 시기적, 시기⋅군 간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하였다(p<.05). 동적균형을 알아보기 위해 안정성 한계 총면적 변화를 측정하였고, 시기적으로 유의하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외발자전거 운동이 정상성인의 코어 근육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균형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외발자전거 운동으로 실제 임상현장에서 다양한 환자에게 재활 마지막 단계의 운동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구어 말뭉치 분석을 통한 한국어 학습용 외래어 선정 연구

        조영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어 학습자의 국적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그중 영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습자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외래어가 익숙하지 않은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외래어가 학습자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외래어의 원어가 익숙한 화자일지라도 외래어가 한국에 차용되면서 많은 변용이 일어나 학습에 어려움이 발생하기에 이에 대한 교육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외래어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으며, 학습자들이 스스로 외래어를 습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습자들 스스로 외래어를 학습하고, 교원에게는 외래어 수업 설계 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실제성 있는 학습용 외래어를 선정 및 제시하였다. 외래어 목록 선정에 관한 선행연구 조사 결과, 기존 연구에서 말뭉치 데이터의 한계로 시대의 흐름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어 말뭉치 분석의 부재 역시 한국에서 실제 사용되는 외래어를 선정할 때 보완되어야 할 요소로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성 있는 외래어 교육을 위해 한국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외래어 출현 빈도를 분석해 한국 생활에서 유용한 외래어를 파악하고 기존 외래어 목록 연구 자료와 비교를 통해 실제성 있는 학습용 외래어 우선순위를 제시 및 선정했다. 먼저 기존 외래어 목록 선정 연구의 외래어 중복도 분석을 통해 1차 외래어 목록을 구축하고, 구어 말뭉치라고 할 수 있는 일상대화 말뭉치와 온라인 대화 말뭉치의 외래어 빈도 분석을 통해 고빈도 외래어를 추출했다. 이후 학습용 적절성 및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해 전문가 평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한국어 학습용 외래어 목록을 선정할 수 있었다. 사어화가 자주 일어나고 완전한 정착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외래어의 특성상 시대를 반영한 외래어 선정 연구는 지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nationalities of Korean learners are diversifying, and the proportion of learners who do not speak English as their native language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case of Korean learn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loanwords, loanwords can act as a burden. As semantic changes occur, understanding loanwords is challenging even for speakers who are familiar with the origin of each loanword. Thus, it is essential for learners to receive formal education about them. However, loanwords are not intensively dealt with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n most cases, learners acquire the knowledge of loanwords on their own. This study selected and presented practical loanwords to help learners learn loanwords by oneself and for teachers to assist them in designing class materials. As a result of a precedent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loanwords, previous studies did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trend of the times due to the limitations of corpus data. In addition, the absence of colloquial corpus analysis also seemed to act as a factor to be supplemented in selecting practical loanword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requency of loanwords usage in daily life in Korea for practical education. This study identified high-frequency loanwords in Korean life and selected practical words by comparing them with previous studies’ selection of loanwords. This study firstly selected loanwords via analyzing loanword overlapping in the previous studies. Then,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loanwords in daily conversation corpus and online conversation corpus, it extracted high-frequency loanwords. Before listing and categorizing selected loanword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and the validity of learning, expert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evaluated the list of loanwords to eliminate improper words for learning. As a result, a list of loanwords for Korean learning was categorized. Due to the nature of loanwords: frequently created but takes a long time to settle,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loanwords reflecting each period should continu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초등도덕과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 방향 탐색

        조영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도덕과 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의 타당성에 대하여 논하고 도덕교과를 통한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도덕과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은 소수자와 다수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국민기본공통과정에 있는 학습자들을 모두 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다문화교육과 도덕과교육의 목적과 내용이 일치하는 부분이 많아 두 분야가 조화되어 도덕과의 특성을 살린 다문화교육 방법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가정이나 외국인노동자,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한국적 다문화사회가 형성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변화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사회적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해 다문화사회에서 발생되는 다수자들의 차별이나 편견 속에 사회적 갈등이 생겨나면서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다. 다문화사회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와 가치를 통합할 수 있는 큰 질서와 원리를 교육을 통하여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는 그동안 이루어진 다문화교육을 살펴보면 개념에 대한 혼란부터 내용이 동화주의에 바탕을 두고 시행되는 것이 대부분이라는 등의 문제가 나타나 다문화교육의 기반이 제대로 형성되어있지 않은 채 시행되고 있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의 기반인 교육과정상에 제시되어 있는 다문화교육도 교과의 성격에 맞는 다문화적 목표, 내용 및 방법 등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초등도덕과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이 적용되어야 하는 이유와 목적, 내용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초등학교 도덕과에서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도덕규범과 기본 생활 예절을 습득하고 기본적인 도덕적 판단력과 실천 능력을 함양하여, 공동체 속에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는 도덕적 능력과 태도를 지니도록 하는 것을 기본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사회 속에서의 한국적 인간상 역시 도덕교과에서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학교 교육을 통하여 길러내야 하는 인간상을 전인교육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와, 민족주의의 이념, 전통의 계승과 미래사회에 대한 대비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는 다수자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유사한 점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다문화교육과 도덕과교육은 목표적 측면에서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자아정체성 형성이나 비판적 사고, 타인 이해와 존중, 배려, 평등하고 정의로운 사회 건설이라는 최종 목표까지 공통적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도덕과 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 존중이나 공동체 의식, 관용 등은 다문화사회에 꼭 필요한 가치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목표에 따라 반편견 교육과 긍정적 자아개념 등 다문화교육과 유사한 면을 많이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도덕과 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 효율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된다면 학교에서의 다문화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문화교육은 학습자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에서의 다양성, 평등, 정의를 익히는 교육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초등도덕과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정체성교육과 그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사회정의를 배우는 공동체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체성교육은 자신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을 통하여 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으로 사회적 역사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사회의 배경을 바탕으로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유성과 독립성을 바탕으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초등도덕교육에서 다양한 자료를 제시해 주어야 한다. 3학년에서 학습하는 ‘소중한 나’로부터 출발하여 자기계발과 타인 존중으로까지 이어지는 정체성에 대한 확립은 다문화사회의 중요한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제시되는 공동체 교육은 차별과 배타성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사회 구성원들이 상호의존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배려와 이타적 관심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다문화사회에서 중요시되는 배려와 관용이라는 덕목과 접목시켜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도 밝히고 있는 관계 중심의 도덕교육을 펼칠 수 있다. 자신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여러 공동체에 참여하여 자신이 속한 작은 사회를 넘어 국가, 지구촌으로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다양한 방향의 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초등도덕과 교육에서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활동 프로그램 및 교사의 다문화적 태도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학습이 이루어지는 변인으로 학생변인과 교육과정 변인, 환경 변인을 들 수 있는데 학생의 인종적, 민족적 변인 등에 맞추어 교육과정이 체계적인 목표를 제시해주지 못한다면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할 수가 없다. 다문화교육에서는 일반학생들이 갖고 있는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목표가 교육과정에서 제시되어야 한다. 하지만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다문화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8개의 교과의 성격과 목표를 진술한 부분에서는 다문화적 접근을 명시한 경우가 거의 없고 내용적 측면과 교수·학습 방법에만 등장하여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도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사회에 중시되는 도덕적 가치들을 주된 내용으로 포함시켜야 하며 이를 성격과 목표 진술 부분에서도 명확히 표기한다면 학교현장에서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도덕과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프로그램은 다문화에 대한 단순한 내용을 제시하는 기여적 접근법에 치중되어 있다. 하지만 점차 교육과정의 구조에 변화를 주지 않지만 내용이나 개념, 주제, 관점을 부가적으로 설명하여 교육하는 부가적 접근법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직접 사회적 이슈에 대하여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사회적 행동 접근법에 기반을 둔 교수ㆍ학습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활동으로 한쪽으로 치우친 시각을 가진 책들을 다른 관점에서 다시 서술하는 활동이나 역할극을 통하여 소수자들의 입장을 직접 행동으로 대변해 보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통합적 프로그램으로 직접 다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다문화축제를 학교를 중심으로 개최하는 것도 학습자의 능동적인 사회변화를 도울 수 있다. 가장 중요한 학습변인인 교사의 인식조차 다문화교육이 동화주의를 바탕에 두고 소수자들의 적응을 위한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들은 소수자란 외국인으로 인식하며 경제적으로 빈곤하고 교육적으로 소외된 집단으로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고 동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문화교육의 대상자는 전체 학생이며 다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의 변화가 교사집단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학습자에 대한 충분한 자료 확보나 교육환경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덕교과에서의 교사는 긍정적인 모델로써 자신의 행동을 끊임없이 노출하고 다문화수용성을 보여줌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다문화적 공동체를 형성하는 기반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그 밖에도 협동학습이나 역할극, 주제 학습 등을 통한 타 교과와의 통합적 다문화교육이나 재량활동의 영역인 인성교육, 한국 문화 정체성 교육, 인권 교육이나 특별활동에 포함된 민주시민 활동 행사활동의 교류 활동 등을 통하여 보다 포괄적인 다문화교육을 학교교육과정에서 시행할 수 있다. 도덕과 교육에서의 다문화교육은 변화하는 사회적 상황에 접합한 인격을 형성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갈등의 상황 속에서 보다 긍정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판단의 바탕이 되는 가치를 습득할 수 있으며 그것을 직접적인 체험을 통하여 습관화시켜 같음 속에서 다름을 인정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접근으로부터 시작하여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일어날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덕과 교육의 다문화교육을 통하여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조영민 원광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identify an effect of art therapy for the multicultural mothers at the multicultural local center in J-Gun, Jeonbuk on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inter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20 times, a time a week for 90 minutes every Saturday from 29, Oct to 30, Apr, 2012 at the multicultural home support center in J-Gu. This study was processed in the order of the subject design, the subject selection, research on group art therapy program, pre-test,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group art therapy, pro-test, and data process. A survey was implemented for the multicultural mothers at the multicultural local support center in J-Gun. Selected four mothers who have a high participation willingness and answered that the parenting is a difficult problem in Korean life. The art therapy was provided to only one child of each mother 20 times, 90 minutes a time.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composed of Kinetic-House Tree Person picture test, Parenting Stress Indes/Short Form(PSI/SF) that Abidin(1983) developed and modified, and Lee, Gui Weon(1996) adopted and modified to be suitable for Korean circumstance, and Parent-Child Interaction(PCI) that Hethering and Clingempeel(1992) developed, and Mon, Keyong Joo and Oh, Kyeong Ja(1995) adopted. With the collected data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using SPSS 18.0 program, the data was statistical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by t-test for matched pair sample. The results reveal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investigation on an effect of art therapy on multicultural mothers' parenting stres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rotest of multicultural mothers' parenting stress after art therapy program, thus, the art therapy is likely to reduce the entire parenting stress. Looking more specifically, there was no effect at all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test and pro-test of the parents' stress scope that is a sub-domain,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ysfunctional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children's fastidious scope, thus, the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Second, the investigation on an effect of art therapy on mother-child interaction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ro-test with average difference among discipline behavior, cognitive domain, effort domain, influence domain, and affection expression, thus, it was found that the art therapy tends to improve the mother-child interaction. It is a very significant meaning that the art therapy is ,on the whole, likely to improve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t multicultural home. These results signified that the art therapy tends to reduce multicutural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ositively have an effect on improving mother-child interaction. 본 연구는 전북 J군에 위치한 다문화지역센터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미술치료가 양육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기간은 2011년 4월 30일부터 2011년 10월 29일까지였으며 총 20회기로 주 1회, 90분씩 매주 토요일에 J군의 다문화가정지원센터에서 실시하였으며 대상자 구상, 대상자 선정, 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사전검사,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J군에 위치한 다문화지역지원센터의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이들 중 한국 생활에서의 어려운 문제점으로 양육이라 체크하고 참여 의지가 높은 어머니 4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자녀 1인과 함께 주 1회 90분씩 총 20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동적-집․나무․사람(Kinetic-House Tree Person) 그림검사와 Abidin(1983)이 개발, 축소, 개정하고 이귀원(1996)이 도입하여 국내의 실정에 맞게 수정한 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s/Short Form: PSI/SF)를 사용하고, Hethering과 Clingempeel(1992)가 개발하고, 문경주․오경자(1995)가 번안한 모-자 상호작용 척도(Parent-Child Interaction : PCI)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대응표본 t-검정 분석하여 통계 및 질적 분석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미술치료 프로그램 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전체 양육스트레스는 사전․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미술치료가 전체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위영역인 부모의 고통영역에서 사전․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효과가 없었으나 부모-자녀간의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자녀의 까다로운 특성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자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훈육행동, 인지영역, 노력영역, 영향영역, 애정표현 평균 간 차이의 사전․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미술치료가 모-자 상호작용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모-자 상호작용을 전반적으로 향상시켰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의미가 깊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모-자 상호작용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 고등학생의 평가인식 유형 분석 : 성취목표지향성, 시험불안 및 학업참여와의 관계

        조영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conceptions of assessment. Also the effects of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n them and students’test anxiety and academic engagement by their types were explored. The subjects were 662 Korean high school students(10 to 11th graders) sampled from six high-schools located in D-city and K-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groups of students with unique conceptions of assessment were identified by K-means cluster analyses: Group(1) Learning-Accountability(39.7%), Group(2) Irrelevance-Accountability(39.3%), and Group(3) Irrelevance(21.0%). Secondly, the variables predicting these types have been found to be school types,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learning-accountability group tha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higher previous academic achievement,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y belonged to the learning-accountability group. Also, the learning-accountability group showed the highest approac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irrelevance-accountability group had higher approac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an the irrelevance group. In addition, the irrelevance-accountability group showed relatively high performance avoida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dditionally, test anxiety of the learning-accountability group was as almost high as that of the irrelevance-accountability group,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irrelevance group. Academic engagement was the highest in the learning-accountability group, and the irrelevance-accountability group showed higher academic engagement than the irrelevance group, which was ranked the low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students’ balanced conceptions on both AFL and AOL can have positive impact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s toward learning. This study also emphasized teachers’ efforts to help establish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which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 e.g., the provision of specific feedback for students’academic improvement, which is based on regular formative assessment. Lastly, it proposed the inclusion of subjects from a variety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t suggested the necessity for extended studies on factors which either affect or are affected by students’ conceptions on assessment.

      • 직접공격행동 및 전위공격행동 척도개발

        조영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직접 공격행동과 전위 공격행동을 구분하고 탐지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연구 1에서는 직접 공격행동 및 전위 공격행동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공격성에 관한 연구와 공격성 척도 개발 논문들의 개관을 통해 총 6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60개의 예비문항을 만들어 만 18세부터 만 60세까지의 일반인 313명에게 실시하였다. 각 요인의 총점과 문항간의 상관, 문항 삭제 시 Cronbach 알파 값,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의 요인부하량을 기준으로 30문항으로 구성되는 6요인구조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연구 2에서는 만 18세부터 만 60세까지의 일반인 300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AQ-K), 한국판 전위 공격성 질문지(K-DAQ),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 관계적 공격성 척도, 직접 공격행동 및 전위 공격행동 척도를 실시하였다. 직접 공격행동 및 전위 공격행동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각 척도의 요인구조가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Q-K, K-DAQ, STAXI-K와 관계적 공격성의 상관분석 결과, 그리고 각 상관계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적절한 수준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후속 연구방향 등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nd validating a scale to distinguish and detect direct aggressive behavior and displaced aggressive behavior. Study 1 created 60 preliminary items consisting of a total of six sub-factors and tested 313 ordinary people who are 18 to 60 years old, taking a general view of existing studies on aggression and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scales, to develop direct aggressive behavior and displaced aggressive behavior scales. Based on total score for each factor, correlation between items, Cronbach's alpha value when an item is deleted, and factor loading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scale of 6 factors consisting of 30 items was developed. Study 2 applied Korean version of Aggression Questionnaire (AQ-K), Korean version of Displaced Aggression Questionnaire (K-DAQ), Korean version of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K), Relational Aggression Scale, Direct Aggressive Behavior and Displaced Aggressive Behavior Scale to 300 ordinary people who are 18 to 60 years ol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direct aggressive behavior and displaced aggressive behavior scales showed that each scale's factor structure was reliable. A correlation analysis of AQ-K, K-DAQ , STAXI-K and relational aggression scale, and an examination of differences between correlation coefficients showed an adequate level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