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비롯한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고성능 컴퓨터와 비슷한 성능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컴퓨터에서 수행하던 작업을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행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시뮬레이션은 고성능의 컴퓨팅 자원을 충족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행해왔다. 이는 공간적인 제약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유선 환경에 비해 공간적인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 기반의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도심의 이동 노드의 시뮬레이션을 단일의 고성능 컴퓨터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경우와 다수의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단말기에서 분산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경우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수행 시간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분산 시뮬레이션 객체로서의 효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공간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분산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 안에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re are many applications that would be aid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physical position and orientation of users. Some of the applications include service robots, video conference, intelligent living environments, security systems and speech separation for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s. Without information on the spatial location of users in a given environment, it would not be possible to react naturally to the needs of the users in these applications. To localize a user, sound source localization techniques are widely used. Sound localization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patial location of a sound source based on multiple observations of the received sound signals. Current sound localization techniques are generally based upon the idea of computing the time delay of arrival (TDOA) information with microphone arrays. An efficient method to obtain TDOA information between two signals is to compute the cross-correlation of the two signals. The computed correlation values give the point at which the two signals from separate microphones are at their maximum correlation. When only two isotropic (i.e., not directional as in the mammalian ear) microphones are used, the system experiences front-back confusion effect: the system has difficulty in determining whether the sound is originating from in front of or behind the system. To overcome this problem, more microphones can be incorporated. Various weighting functions or prefilters such as Roth, SCOT, PHAT, Eckart filter and HT can be use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time delay estimation. Howeve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s achieved with the penalty of large hardware overhead if the system is implemented in VLSI system.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efficient sound source localization technique using angle divis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three isotropic microphones are used to avoid the front-back confusion effect. By the proposed approach, the region from 0°to 180°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and only one of the three regions is considered to estimate the sound direction. Using Verilog simulations, it is shown that considerable amount of computation time and hardware complexity can be reduced by the proposed approach. In addition, it is also shown that the accuracy of the estimation is improved due to the proper choice of the selected region.
라벨의「Gaspard de la nuit 중 Scarbo」의 분석과 시와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The 20th century music witnessed a great many activities for pursuing new and non-traditional musical styles by breaking away from the traditional musical system. Especially, the French musical circles tried to find their own musical subjectivity, further giving a birth to a new musical trend called ‘Impressionism Music’ which was affected by French Symbolism in literature and Impressionism in painting. Claude Debussy(1862-1918) and Maurice Ravel (1875-1937) were musicians representing impressionism, and especially Ravel established his own music by fusing the impressionistic technique in the classical form. Out of his piano works, <Gaspard de la Nuit> shows the impressionism musical technique most prominently, which was composed under the influence of Aloysius Bertrand(1807-1841)’s collection of prose poems, <Gaspard de la Nuit>. This thesis studied and analyzed the third piece of music, <Scarbo>, from <Gaspard de la Nuit>. The composition of <Scarbo> complies with a free sonata form. The motives and three themes are developed through modulation, sequence and variation all over the entire music. And the consecutive and chromatic sequences in the interval of major 2nd appear quite often in this piece, which is Ravel's characteristic musical techniques for giving impressionism colors in his works. Besides, according to a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work and the poem the free fantasy standing out in Bertrand's poem is expressed well by musical tones. Ravel maximized the image of Scarbo recreating the poem into a musical work full of characters by converting the visual images of the poem into auditory images through the musical atmosphere, mysterious themes, dissonant, and sudden dynamic changes. Variety of techniques, the combination of a wide range of dynamics, orchestra-like sound and colorful tone are integrated in this work displaying all the possibilities a piano has and the modern techniques of keyboard music. Since <Scarbo> requires a highly-advanced artistry both technically and musically requiring delicate finger techniques and infinite nuance control, it seems to have achieved Ravel's exact intention to compose a piano work difficult to play, and it is still evaluated as a superior musical work by today's pianists.
공공 스포츠 조직 종사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
본 연구는 공공 스포츠조직 종사자의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공공 스포츠 센터 8곳을 토대로 유층집락표집법(stratified sampling)에 의해 총 241명의 근무자를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 해당 분야의 전문가 검토에 의해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 .70~.89로 나타났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Window SPSS 14.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표준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으며 고용형태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다. 그리고 공공스포츠조직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정규직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장래성, 대인관계, 임금이 정서적 몰입에, 임금, 역할모호, 고객관계가 정착적 몰입에, 임금, 승진이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비정규직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대인관계, 장래성, 승진이 정서적 몰입에, 업무 질과 고객관계가 정착적 몰입에, 임금, 복리후생이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public sport organization employees'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job statu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241 subjects were selected from 8 public sport center in Seoul by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The questionnaire's validity was evaluated by a group of experts, and it is reliability was judged based on the Cronbach's alpha values ranging from .70 to .89. On the data,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Window SPSS 14.0 Version,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respect to demographics and job status, and public sport organization employees' job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regular employees' job stress factors, emotional commitment was influenced by future prosp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ay. Likewise long-service commitment was affected by pay, role ambiguity, customer relationship, and regulatory commitment was affected by pay and promotion. In the same manner, Among irregular employees' job stress factors, emotional commitment was influenc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future prospect, and promotion. Likewise long-service commitment was affected by task quality, customer relationship, and regulatory commitment was affected by pay and benefits.
조수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M.A. thesis is to re-interpretate design elements of department stores based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which arouse the emotion of adoration. The emergence of Bon Marche Department Store has its significance that is larger than the fact that it has established a new sales method in capitalistic market. A department store, a high-end retail store that sells a wide variety of goods altogether, is a place where goods themselves become a spectacle as everyday products are granted extraordinary aura. Boucicaut’s management style was successful not necessarily because of its method itself but because of the environment that surrounded and supported the method. While there was one-to-one communication between customers and goods, or customers and salespersons before the emergence of department stores, all goods are show in one place in the department stores, and consumers’ act of consumption has now changed to buy goods at fixed price. To attract consumers to a new sales place and encourage spending, Bon Marche Department Store needed a new, drastic, way of “showing” goods. Focusing on the full-scale change of commercial space as the emergence of department stores, this dissertation argued that the reason why department stores had successful sales methods and are still considered a representative commercial space is because the department stores are a sensory space. As opposed to other commercial spaces, department stores are combined with various architectural elements to function as a comprehensive sensory delivery medium. Existing studies of department stores have focused on the functional, managerial and business aspects, architectural plans such as lighting planning, and social and service aspects. Even studies that considered psychological aspects often limited focus more on the psychology of spending as a ‘driving power for the increase in spending activities’ with the view of marketing than on the various sensory aspects that human begins feel in a space. As opposed to the approach to the psychology of spending on which these existing studies on architecture of department stores have focused, this dissertation aims at explaining with architectural devices the sensory functions of adoration that preexists the psychology of spending. The planning elements for the architecture of a department store may be different from religious architecture in terms of both functions and symbols, they all seem to be in common in terms of the psychology of adoration. The sensory experiences of human beings in a space are often dependent upon accumulated memories and symbols, and therefore, the same sentiment could result from different architectural types if the identical architectural language was used. Due to this effect, the language of adoration used in architecture before department stores can also cause similar feelings in department stores. The sentiment of adoration that occurs in commercial spaces have been mentioned by Walter Benjamin, Christian Mikunda, or Emile Zola, though these discussions were merely descriptions of emotion. Similarly, there are many existing studies on religious places. However, few studies explain materialism, a keyword that explains consumer capitalism in post-modern society, with a concrete architectural language. It is often said that architecture is a vessel that contains a society. Thus, it is closely related to commercial spaces of which content expressed is the social trends and thought—that is, consumer capitalism— and therefore,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explain this relationship with architectural devices. It is also hoped that with this study, materialism can be understood by architectural devices. Before the analysis, the dissertation conducted a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e of department stores, spatial psychology, the 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y of spending and adoration, and architectural language of adoration. Later, the dissertation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e emergence of department stores, historical circumstances of the architecture of department stor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rchitecture of department stores and that of other commercial spaces, and observed as theoretical bases the relation between the significance of the act of consumption and commercial spaces. Furthermore, the dissertation examine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spaces of adoration and deduced by literature surveys and field studies that such characteristics were also used in commercial spaces, including the architecture of departments. Finally, the dissertation analyzed Bon Marche Department Store, the first department store, major foreign department stores, as well as the main stores of major Korean department stores, such as Lotte, Hyundai, and Shinsegye by eight elements—transcendental scale, exterior and entrance space, compartmentalization of seclusion and alienation, axis and superiority of the center, non-linguistic edification of storytelling, hierarchy based on dramatic direction of light, illusion by mirrors, and curiosity based on vagueness and secrecy. People could feel sanctity and nobleness in the holy place, Bon Marche and this affected the frequency of customers' visits and consumption. New type of architecture, the department store has handed down to current condition of department stores only with changing styles and the design elements of adoration make people visit department stores and buy goods more. 백화점 건축의 실내외 의장요소나 역사적 의미는 다른 건축물에 비해 연구대상으로서의 가치가 축소되어 있는 편이다. 그러나 건축공간과 감성을 결부시켜 분석하기에 가장 좋은 공간이 백화점 건축이다. 주거공간, 오피스공간 등과 달리 백화점 건축 내에서 사용자가 경험하게 되는 감성은 매출과 직결되기 때문에 중요한 건축계획요소로 작용한다. 안타까운 것은 그것이 건축분야에서 연구되기 보다는 마케팅 분야에 의해 연구된다는 것이다. 크리스티안 미쿤다가 얘기하는 쇼핑공간을 포함한 제3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체험마케팅은 결국 공간에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건축과 별개로 생각할 수 없다. 체험마케팅을 통해 형성되는 감성은 레저, 호기심, 즐거움, 환상심 등의 언어를 바탕으로 이해되어 왔지만, 본 논문에서는 종교건축과의 공통점을 통해 숭배의 언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백화점건축을 재분석해보고자 한다. 봉마르셰 백화점의 출현은 자본주의 시장에서 새로운 판매방식을 구축했다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백화점은 다수의 상품을 종합적으로 대면 판매하는 고급소매점으로 일상적인 물건에 비일상적인 아우라를 부여하여 상품자체가 스펙터클이 되는 공간이다. 부시코의 경영방식은 그 자체로 성공적이라기보다는 그것을 지지해주는 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백화점 이전에는 고객과 상품, 고객과 점원간의 일대일 의사소통이 이루어졌다면, 백화점에서는 모든 상품을 한 곳에서 보여주고 소비자가 정해진 가격에 원하는 상품을 사는 행위로 바뀌게 되었다. 새로운 판매 공간으로 사람을 끌어들이고 소비를 도모하기 위해서 봉마르셰 백화점은 획기적인 ‘보여주기’ 방법이 필요했다. 본 논문은 백화점의 등장으로 상업공간의 전면적인 변화가 도래한 것에 주목하고, 백화점이 새로운 판매방식을 성공시키고, 현재까지도 대표적인 상업공간의 형태로 남아있는 이유를 감성적 공간 조성으로 보았다. 다른 상업공간과 달리 백화점은 건축요소들이 결합하여 종합적인 감성전달매개체로 작용한 것이다. 기존의 백화점 연구는 백화점의 기능적 측면, 운영 및 경영 관리 측면, 동선계획․조명계획 등의 건축계획 측면, 사회적 기능 및 서비스 측면 등에서 이루어졌으며, 심리와 연결시키더라도 인간이 공간에서 느끼는 다양한 감성보다는 마케팅 측면에서 ‘소비행위 증진의 원동력’으로서의 소비 심리에만 국한되어 이루어졌다. 본 논문은 이전까지 백화점 건축에 대한 소비 심리적 접근과 달리 그 이면에 내재하는 숭배의 감성적 작용을 건축적 장치로 설명하려고 한다. 백화점 건축의 계획요소는 기능과 상징에 있어서는 차이가 존재하지만, 심리면에 있어서는 숭배심리라는 하나의 영향력으로 귀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람이 공간에서 경험하는 감성은 누적된 기억과 상징에 의존하기 때문에 동일한 건축언어가 다른 건축형태에 사용되어도 같은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백화점 이전의 건축에 사용된 숭배의 언어가 백화점에서도 비슷한 감정을 일으키는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다. 상업공간에서 일어나는 숭배의 감성은 벤야민, 크리스티안 미쿤다, 에밀 졸라 등이 언급한 바 있으나 감정의 서술에 그쳤다. 또한, 신을 숭배하는 종교공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의 소비자본주의를 설명하는 키워드인 물신주의를 구체적인 건축언어로 설명한 선례연구는 많지 않다. 건축은 사회를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따라서 소비자본주의라는 사회적 조류와 그 사상이 표현의 내용이 되는 상업공간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를 건축적 장치를 통해 설명하려 한다. 이 연구로 인해 물신주의를 건축적 장치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2차적 의의이다. 분석을 하기에 앞서 백화점 건축의 특징, 공간심리, 소비심리와 숭배심의 관계, 숭배의 건축언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었다. 백화점 출현이 지니는 의의, 백화점 건축의 역사적 상황, 백화점 건축과 기타 상업공간과의 차이점 등 백화점 건축을 이해하고, 건축공간과 심리의 관계, 숭배심리와 소비심리의 공통점, 소비행위가 현대사회에서 지니는 의미와 상업공간과의 관계를 고찰하여 이론적 근거로 삼는다. 숭배의 공간에서 건축적 특징을 도출하고, 이것이 종교건축이나 권력의 건축뿐만 아니라 백화점 건축을 비롯한 상업공간에도 사용되었다는 것을 문헌과 답사를 통해 추론했다. 초월적 스케일과 진입공간 강조, 축과 중앙우위성, 빛의 사용, 모호성, 스토리텔링 등의 8항목으로 최초의 모습이었던 봉 마르셰 백화점과 해외 주요 백화점, 국내 사례로서, 롯데, 현대, 신세계 각 백화점의 주요지점인 본점을 분석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and perception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 researcher is developed for investigating the practice and percep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ninety-nine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the seventy-eight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are used to get the difference of each teacher group for the practice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M(Mean), SD(Standard Deviation) and T-test are used to get the difference of each teacher group for the percep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s, First, on the realities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re wa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document constituent, consideration on devising plan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 number of community-based visit, interesting and attention of students. Bu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other parts. Second, on the perception on community-based instruction, there is not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 to instruct students on variable and natural community-based environment - and for all constituent of community-based instruction development and action. But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pecial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the realizable possibility. 이 연구는 초등특수교사의 지역사회중심교수에 대한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설문지는 지역사회 중심교수 실태 및 인식에 대해서 서울·경기·인천 지역에 있는 초등특수학교교사 99명, 초등특수학급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지역사회중심교수 실태에 대한 교사 집단별 차이는 빈도 분석 및 x² 하였으며, 교사 집단별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인식의 차이는 평균, 표준편차, t검정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실태를 보면 지역사회중심교수 실시 계획 시 문서의 구성요소, 고려사항, 지역사회 방문 횟수, 학생들의 흥미와 주의력의 정도에서는 초등특수학급교사와 초등특수학교교사의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지역사회중시교수 계획 시 참여하는 인적자원, 문서작성, 시간배당방법, 교수자료, 지역사회중심교수 수업에 참여하는 인적자원에 관한 부분에서는 실태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중심교수 인식에서 지역사회중심교수 개념-다양하고 자연스러운 지역사회환경에서 지도하는 것-의 이해와 지역사회중심교수 개발 및 실행의 모든 요소들이 ‘중요하다‘ 하다라고 인식하는 점에서는 초등특수학급교사와 초등특수학교교사의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현재 실현 가능하가’에 대해서는 초등특수학급교사와 초등특수학교교사의 인식차이가 나타났다.
서비스 실패에서 지각된 공정성이 회복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감성적, 이성적 구매동기 비교를 중심으로
기업은 고객에게 최대의 서비스를 제공하려 노력하지만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특성으로 인하여 서비스 실패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서비스 실패는 고객의 불만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구전이나 다른 기업으로 전환 등을 발생시킨다. 적절한 복구방안으로 회복되지 않은 실패는 기업에게 손실을 가져오기 때문에 적절한 회복방안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서비스 실패 상황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회복 노력을 통하여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노력해야함에도 불구하고 기업은 서비스 실패가 발생하였을 때 동일한 방법으로 회복을 시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에서 서비스 실패가 발생했을 때 기업이 실패를 회복하기 위하여 기업의 회복 전략이 적절한지에 대해 평가하는 공정성 차원에 대해 살펴보고, 각 공정성 차원이 회복 후 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서비스 내에서 구매동기(감성적 구매동기, 실용적 구매동기)에 따라 각 공정성이 회복 후 만족의 크기가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알아보기 위함의 목적을 두고 구매동기에 따라 다른 공정성 차원이 회복 후 만족에 미치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의료서비스 실패 상황으로 8가지 가상의 시나리오 각 공정성(절차, 상호작용, 분배, 정보)*구매동기2(감성적, 실용적)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각 집단별로 배포하였다. 369명의 유효 표본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SPSS22.0을 사용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공정성의 차원을 크게 네 가지(분배 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정보 공정성)으로 구분하였다. 네 가지 공정성 중 절차공정성이 가장 크게 회복 후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정성이 회복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구매동기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해 보았다. 서비스 실패 시 각 공정성이 회복 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구매동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적 구매동기에서 정보공정성은 다른 공정성보다 회복 후 만족이 가장 낮았다. 실용적 구매동기에서는 상호작용 공정성이 다른 공정성보다 회복 후 만족이 가장 낮았다. 즉, 감성적 구매동기를 가진 고객에게는 서비스 실패에 대한 정확한 설명 제공보다는 빠른 대처, 친절, 쿠폰 등을 통하여 회복 노력을 하는 것이 필요하고 실용적 구매동기를 가진 고객에게는 친절한 대응보다는 빠른 대처와 경제적 보상 그리고 문제 상황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제공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에 다루던 서비스 실패 연구에서 주로 다루는 절차 공정성, 분배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 외에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정보공정성을 추가하여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측면에 대한 의미가 있다. 특히 구매동기에 따라 다르게 적절한 회복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company tries to provide the maximum service to the customer, but the service failure always occurs due to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Service failures not only lead to negative effect so appropriate recovery measures are very important. That because unrecovered failures which an appropriate recovery approach will bring losses to the enterprise.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perceived fairness dimensions that indicate whether service recovery strategies were provided properly or not.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each fairness on post-recovery satisfaction according to purchase motive (hedonic purchase motive, functional motive).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8 scenarios with each fairness (procedure, interaction, distribution, information) * Purchase motive 2 (hedonic and fun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369 valid samples and For the hypothesis test, SPSS 22.0 was used. This study addresses thre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s of perceived fairness were divided into four dimension (procedural fairness, interactional fairness, distribution fairness, information fairness). procedural fairness has the greatest impact on post- recover satisfaction than interaction fairness, distribution fairness, information fairness. Procedural fairness and distribution fairnes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procedural fairness has the greatest effect through mean value. Second, we examined whether the effect of fairness on satisfaction after recovery is controlled by purchase motivation. The effect of each fairness on post- recover satisfaction depends on purchase motivation. The information fairness was the lowest on post- recover satisfaction than the other fairness. In functional purchase motivation, interaction fairness was the lowest on post-recover satisfaction than other fairnes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for customers with emotional purchase motive to make a recovery effort through quick response, kindness, coupons rather than to provide an accurate explanation of service failure. For customers with functional purchase motivation,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