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치적 풍경에서 일상적 정원으로 : 유곡리 통일촌 정원 고찰

        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87

        정원은 인간의 문화적 결과물이다. 그렇기에 문화·사회적 공간으로서, 조영자 또는 가드너(관리자)의 삶이나 이상을 드러내는 표현의 장이 되기도 한다. 정원은 역사적으로 조영자의 생각이 투영되는 좋은 매개체로 국가의 지배계급의 정치적인 메시지 등을 전달하는 도구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반면 현대사회로 올수록 특수계급이 만드는 특별한 공간이 아니라, 평범한 민중들이 살아가는 삶의 공간으로서의 정원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주거 공간 속 정원은 일상적 삶의 공간으로 그곳을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가치를 담는 공간이기도 하다. 버나큘러 정원이라는 한 분야는 이런 미시적인 정원의 형태들을 다양하고 창조적인 삶의 결과물로 본다. 한편 본 연구의 대상지인 철원군 유곡리는 우리나라에 2개 밖에 없는 ‘통일촌’ 중 하나이다. 통일촌은 1972년 박정희 대통령 때 대북 선전을 위해 민통선 안에 조성된 마을이다. 이 마을은 정부에서 각 세대들마다 논과 밭, 주택, 농기구 등을 제공하였는데, 주택이 들어오고 남은 빈 공간에 잔디를 심게 하고, 이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마을이 형성되고 40여년이 지난 현재, 입주할 당시의 통제는 사라지고, 잔디가 심겨졌던 공간은 개인적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 공간을 1970년대, 대북경쟁체제 하에서 특수한 목적으로 조성된 마을에 최초로 집단적으로 제공된 ‘정원’으로 보고, 현재 다양하게 활용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제공된 정원’에서 다양한 삶의 현장으로 바뀌어 간 유곡리 정원은 정원사적 의의가 분명히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간 조경-정원 분야에서 주목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정치적 선전도구로써 만들어진 유곡리 정원을 회고하고, 정치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현재 주민들의 일상적인 삶의 공간으로 변화한 정원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 정원이 지난 40여 년간 주민들의 삶에서 어떻게 작용하였는지 기록하고 정원과 주민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고찰, 현장 연구, 분석 및 해석으로 나뉜다. 유곡리 정원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정치적으로 작용했던 정원에 대해 살펴보고 현대로 오며 더 이상 풍경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민중들이 직접 만들어가는 일상적 정원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문헌연구 및 현장 조사를 통해 유곡리 통일촌의 조성 이래로 사회적, 물리적 변화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정원-주민간의 관계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주민들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사람이 살지 않는 11채를 제외하고 49개의 정원을 각각 미시적으로 맵핑하여 분석하였다. 정원의 형태와 기능 분석 결과 정원은 형태에 따라 전면형, 내부형, 후정형에 속하는 7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고,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는 좁고 긴 형태의 정원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정원의 형태가 식물의 종류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그리고 주민들은 정원을 완상을 위한 공간, 생산의 공간, 소통의 장, 자기표현의 매개체로 활용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유곡리 정원이 갖는 의미는 두 가지 쟁점으로 정리 할 수 있었다. 첫째, 정치적 풍경으로서 정원이다. 70년대 녹화미화운동의 일환이자 대북체제 전시라는 정치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잔디 정원은 정원이 아닌 풍경에 불과했다. 결국 주민들의 실용적 논리로 변해갔지만, 일상적 정원으로 변한 현재에도 정원의 제약적 상황들은 여전히 정원의 형태 및 풍경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두 번째, 일상정원으로서의 의미이다. 유곡리의 일상정원은 텃밭 정원, 취미를 위한 정원, 전입가구들의 정원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사회적-개인적 사건들을 계기로 정원의 형태가 분화되고 표출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유곡리에서 일상 정원은 주민들의 변화를 드러내는 매개체로서 작용해왔고, 안전한 공간이자 자급자족을 위한 최후의 공간이라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상위계급이 소유한 고급 정원이 아닌 민중들의 일상 정원에 관심을 갖고 의미를 찾는 것은 민중들의 삶에 대한 관심이자 일상적 가치 추구에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정원이라는 공간이 일상 속에서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고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은 ‘아파트’라는 규격화된 거주 환경으로 귀결되어 가는 현실 속에서 우리의 거주 환경의 질을 높이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 공공예술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방안 연구 : 부산지역 꽃마을을 중심으로

        조성 부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87

        최근 공공예술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마을만들기’ 사업이 21세기 새마을운동을 방불케 하듯 전국적으로 시행되면서 한국사회를 거대한 공공예술의 실험장으로 만들고 있다. 본 논문은 공공예술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사업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마을만들기 사업의 전망과 과제를 맞추었다. 첫째, 공공예술을 마을만들기에 어떻게 결합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공공예술과 ‘커뮤니티 아트’, 그리고 마을만들기의 개념과 특성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였다. 우선, 공공예술, 커뮤니티 아트와 공공예술의 관련성, 이를 활용한 마을만들기 개념과 특성들을 파악하였다. 둘째, 부산지역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과 감천문화마을 조성사업을 사례로 마을만들기 사업 현황을 고찰하였다.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은 여타 다른 도시재생사업과 다르게 부산시의 주관 하에 10개년 사업으로 계획되어 도시재생 및 마을만들기 사업의 새로운 모델이 되었으며, 낙후된 부산의 원도심 현장에서 다양한 성과들을 내었다. 또 한 감천문화마을 조성사업도 문화관광부에서 시행한 마을미술프로젝트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수많은 관광객들을 불러 모으며 부산을 넘어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마을로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이 두 사례들을 조금만 깊이 살펴본다면 여러 문제들이 있음을 쉽게 알 수 가 있다. 현재 여러 지역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마을만들기 사업은 ① 지역 특색의 상실과 유사 프로그램의 난립, ②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외부자본의 잠식과 원주민들의 이탈 등을 큰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로부터 조금은 자유로운 사례가 있다. 부산 꽃마을의 경우이다.지역의 문화단체가 중심이 되어 문화창작공간ARTinNATURE에서 레지던스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사업들을 진행하며, 여타 마을만들기 사업과는 다르게 마을 내부의 문화단체가 중심이 되어 2005년부터 2018년 현재 14년째 꽃마을을 배경으로 매년 새로운 공공예술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고, 지역 주민들과 긴 시간 다져진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 꽃마을 문화마을 조성사업의 성과들을 분석하고, 마을만들기의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꽃마을에서의 성과들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마을만들기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① 사업 주체의 지역에 대한 이해가 높아야 한다는 점, ② 지역을 기반으로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문화단체를 사업주체로 선정하여 진행해야 한다는 점, ③ 도시재생사업과 달리 마을만들기 사업은 작은 마을을 대상으로 하기때문에 지역 주민들과의 커뮤니티 형성이 중요하다는 점, ④ 지역 거점 문화예술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특히 외부 인사들이 사업을 진행하는 경우, 지속적인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외부의 기획자를 데려다가 사업 수행자로 내세울 것이 아니라 지역 인재 또는 문화단체, 시민단체를 발굴하고 육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이 해결된다면, 향후 공공미술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 6시그마 경영기법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공군 군수분야를 중심으로

        조성인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71

        글로벌 경쟁시대를 맞이한 기업들은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고의 품질경영기법을 도입해서 생존과 발전의 기반을 준비해야 한다. 공군 또한 기업과는 존재목적이 다르지만 최고의 품질경영 기법을 도입하여 최상의 품질 수준으로 경영해야할 시기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국내・외 기업들의 6시그마 도입 및 적용 사례를 연구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공군(이하 연구기관)에서 그동안 추진해온 사례를 비교해서 최고의 품질 수준 달성을 위해 공군 군수분야에 적용할 6시그마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설명하고, 경영혁신 과 6시그마 경영기법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품질과 6시그마의 정의, 도입 필요성, 수행 방법론 등을 알아보았다. 6시그마 경영의 적용 사례를 국내・외 기업과 공군의 일부 부대에 대해 추진성과와 세부 진행 내용을 확인하였고, 선행 연구와 공군의 사례를 비교하고 공군 군수분야의 6시그마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요약과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를 설명하였다. 이를 위한 문헌연구로 6시그마의 대표격인 GE사를 비롯한 다양한 기업의 사례를 살펴보고 다수(7명)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강조하는 성공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6시그마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핵심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성공요인과 공군의 최초 도입 전략을 비교하여 연구기관의 추진 계획의 오류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기관은 기업의 세 가지 핵심 성공요인-공감대(문화조성), 리더십, 자사에 맞는 시스템-을 간과하는 우를 범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기관에서 6시그마 운동은 성공적으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정체되고 있는 공군의 6시그마 운동을 군수분야에서 재 점화시킬 활성화 방안을 연구해서 성공적으로 정착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공군 군수분야 6시그마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군 군수분야 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6시그마 경영기법을 개발해야한다. 둘째, 최고 경영자의 확고한 의지와 열정, 중단 없는 지속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충분한 사전 준비와 모든 구성원들의 공감대를 확보해야 한다. 넷째, 전문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및 성과평가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군수요원들의 지속적인 교육・훈련을 위해 공군교육사령부 기술학교에 6시그마 전문교육과정을 개설하고, 공군본부 주관으로 매년1회 '군수 6시그마 경영대상'을 심의하고 평가해서 성과에 따라 공로자를 포상(보직 및 진급시 반영)하여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야 한다. 대한민국의 영공방위를 위한 항공 무기체계를 관리하는 군수분야에서 품질보증은 매우 중요하다. 최고 수준의 품질보장을 위해 6시그마 운동의 확산은 반드시 필요하며, 6시그마 활성화 방안이 전 구성원의 일하는 방식을 바꾸어 세계 초일류 조직이 되어야 한다.

      • 키질石窟 <捨身飼虎本生圖> 硏究

        조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71

        쿠차지역에 위치한 키질석굴은 동투르키스탄 지역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벽화들이 많이 남아있다. 20세기 초 서구열강 제국주의 국가들의 서역탐험대에 의해서 널리 알려진 키질석굴은 독일 탐험대에 의해 최초로 키질석굴의 조성연대 및 벽화의 양식분류가 행해졌다. 그 후 1981년 북경대학의 宿白교수에 의해서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이 이루어 졌으나 오차의 간격이 너무나 크고, 또한 중국내 학자들 간의 의견이 서로 일치되고 있지 않다. 키질석굴의 조성에 관한 정확한 문헌기록이 남아있지 않아서 조성연대를 알 수 없는 것이 연구의 어려운 점이다. 본 논문은 키질석굴에 남아있는 벽화들 가운데 인도에서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佛敎說話畵인 本生圖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실크로드를 통한 동서 문화의 교류 속에서 창조된 쿠차지역 미술의 지역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키질석굴에 현존하는 70여 종의 본생도들 중에는 특히 이 지역에서 많이 표현된 '자기희생'의 주제를 가진 본생도들이 다수 있다. 그 가운데 '자기희생'의 주제가 가장 극적으로 묘사된 <捨身飼虎本生圖>는 키질석굴에 여러 장면이 남아있고 河西回廊의 석굴사원에도 벽화나 부조의 형태로 다수가 남아있어 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키질석굴 본생도의 특징은 대다수가 중심주굴의 천정 능형문 안에 본생고사의 가장 중요한 한 장면만을 축약하여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형식은 인도 스투파의 기단이나 난간의 장식을 위한 원형이나 방형의 틀 안에 묘사되던 본생고사 부조와 비슷하다. 그러나 중원에 전해져 묘사된 본생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묘사하는 서술적인 방식을 취하고 있다. 회화의 표현방식이나 안료의 사용 등이 중국보다는 인도나 이란·바미얀에 가까운 키질석굴은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불교미술의 특징 위에 쿠차지역만의 독특한 특성이 융합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쿠차불교의 성격과 키질석굴의 조성관계에 대해서 논급하였으며, Ⅲ장에서는 인도에서 기원한 본생도가 간다라지방, 서역 그리고 중원지방에 이르기까지 전래되는 과정과 지역적 변용의 여러 모습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키질석굴 본생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 경전인 『賢愚經』과의 관계를 통해서 쿠차 불교미술의 성격을 밝히고자 했다. 이와 함께 현재까지도 키질석굴 양식분류와 편년연구의 기본이 되는 발트슈미트(E. Waldschmidt)의 양식론에 근거하여 키질석굴 <사신사호본생도>의 양식 분류를 시도하였고, 이를 통한 지역적 특색을 밝히고자 하였다. 大譯經僧 鳩摩羅什이 활동했던 쿠차는 서역북도에서 가장 불교가 번성했던 국가로, 왕실과 관료 그리고 오아시스 중계무역으로 부를 축적한 상인의 후원으로 자연지형을 이용한 많은 불교석굴이 조성되었다. 이 석굴사원 내부에 장엄된 소승계의 벽화들은 인도·이란적 요소들이 쿠차의 지역전통과 합쳐져 새로운 변용을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쿠차지역의 불교미술이 하서회랑의 석굴사원군과 중국의 불교미술에 영향을 미쳐, 전통적인 중국화의 기법과는 또 다른 서역적인 표현법이 정착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t of Kucha created in east-west cultural exchange along the Silk Road, with special regard to the illustrations of Jatakas, the Buddhist birth-stories, introduced from India along the road among other Kizil mural paintings. Situated at the crossroads where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meet, the Kucha region could accumulate great wealth with transit trade and contact the Buddhist art from India earlier than Chinese inland. The extreme hot and cold climate of a desert and stony, grassless mountains provided an appropriate natural condition for constructing stone caves. The geographic background had been combined with the support of Kucha royal families and oasis traders to build up many cave temples of the Kucha region, among which Kizil cave is the greatest in East Turkistan. With the absence of literary documents of the period when Buddhism had been introduce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aves had started, it has been difficult to divide the styles and record the chronicles of mural paintings in Kucha, located in the middle of Northern Silk Road. In approaching mural painting style, this study depended mainly on E. Waldschmidt's theory of style, referring to the researches of chinese authors. The illustrations of Jatakas presented on the tunnel-shaped ceiling of a center piller cave and a great statue cave among the Kizil caves are very singular first in the composition and descriptive way of rhomboid. Representing the most essential part of the tales within a rhomboid pattern after condensing them into one or two scenes, the illustrations of Jatakas in Kizil are drawn in a single picture like the Jataka relives of Sanci, Bharhut, Amaravati Stupa in India. But Indian sculptors preferred square and round composition, while Kucha painters adopted square and rhomboid one, led to more dramatic presentations of Buddha's good deeds in his previous life. Similarly, though two regions have in common with how to portray figures, that is, nakeness above the waist and a skirt below it, with Iranian ornaments, the typical shape of Kucha figure with a flat forehead and features closing together demonstrates that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is a result of a mixture of the ethnic property of the Kucha people and the traditional style of India and Iran. Following Waldschmidt's theory of style,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in the Kizil caves belongs to the second style, Indian-Iranian period. Nevertheless, it shows the features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style period and the illustrations of Jatakas in the Kilzil caves are all concise and implicit descriptions, thu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llustration and other murals. But in that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of a warm color system(cave 47, 58, 114) highlights the image of the victim rather than that of the tiger, while that of a cold color system(cave 8, 17, 38) portrays two figures equally, making their actions come to the fore, the latter emphasizes on the whole the sense of sacrifice more than the former which antedates it. Generally,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in the Kizil caves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clear stylistic difference distinguished periodically. Occupying major part of the Jataka pictures in the Kizil caves,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is about the story with the most strongest sacrificial motif among all the elements of self-sacrifice, as well as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India or eastern/southern Asia in the light of the content and nature of offering one's blood and flesh. The preferred theme is thought to reflect the Kucha people's way of thinking who have valued life in a desolate desert environment. In the Mogao Grotto in Tun huang(敦煌 莫高窟), the kind of Jataka and Karma tales reaches 53 types, covering 124 pictures, among which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is shown in more than 25 pictures in 21 caves. The one built up in the North Wei Dynasty(北魏) found in 254 cave, expressing unsynchronous time and space in a same picture plane, clearly manifests the sense of abandonment of the body and exhibits the figure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Kizil caves. This fact establishes the assumption that they are considerably affected by those of Kizil. Holding an important place in the Silk Road, the Kizil caves can be considered to be a treasurehouse of painterly materials and contain various influences from foreign cultures. To conclude,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of the Kizil caves is a recreation by harmonizing diverse influences from the West and the regional trait peculiar to Kucha, and its greatest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spread toward the east, to the stretch of land to the west from Lanzhou to Dunhuang, Gansu province, and China, forming the best known theme in the Illustrations of Jatakas even so far.

      • 시각적 문해력(Visual Literacy) 신장을 위한 교사 발문 중심 미술 감상·비평교육 프로그램 개발

        조성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미술 감상과 비평교육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의 신장은 시각적 정보의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 이 시대에 필연적으로 나타난 사회적 요구이다. 따라서 시각 문화를 학습의 중심 제재로 삼는 미술 교과에서는 이 같은 요구를 적극 수용하여 학습자의 시각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술 감상과 비평은 시각 이미지 또는 미술작품에 대한 학습자들의 시각적 인지능력과 비판적 수용능력을 계발하기에 적합한 영역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발문을 중심으로 시각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미술 감상․비평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이 수동적인 정보의 수용자가 아니라 능동적이고 비판적인 시각 정보의 주체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습 내용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구성하였다. <중략> 종합하자면, 연구 결과 시각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교사 발문중심 미술 감상‧비평교육이 학습자들이 미술 감상에 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사의 발문이 학습자의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하여 작품을 더욱 창의적이고 다양하게 해석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적절한 발문을 활용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시각 이미지에 대한 문해력이 신장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교사의 발문이 미술 감상‧비평교육에서 있어 매우 중요한 학습자 사고의 확장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미술교육을 위해 다양한 발문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visual information is consistently increasing in this era. The extension of visual literacy through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is inevitable social demand. To fill up this social demand, it is necessary to put efforts into improvement learner’s visual literacy in art education, which takes visual culture as the main material of learning. Particularly,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are suitable section of art education to develop learner’s visual cognitive ability and critical accept ability on visual images or art work. The goal of this study is grown learners, who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up not as passive accepters of information but active and critical supervisor of visual information. It should be achieved by applying a develope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which focused on teacher's questioning for extend the visual literacy. The education program is composed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屋外 環境條件을 通한 絶緣物의 汚損度 推定에 關한 硏究

        趙誠仁 忠南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on the inference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insulators with outdoor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raining, wind, and etc. Three side of Korea peninsula is surrounded by sea, so electrical equipments, such as tra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substations, and generating stations, suffer from various contamination. Especially, in winter, contaminant could be accumulated on the surface of outdoor insulator in easy, and in summer, serious damage could be happen with typhoon. Many studies have noted significant reductions in electrical insulation strength of outdoor insulators in the presence of contamination. The nature of the deposits on the insulator surface is widely different and depending on the source of the pollution, level of contamination, shape of insulator, and weather condition. During the dry weather, pollutants are deposited on insulator surfaces. The dry pollution does not by itself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insulator, but if the surface becomes moist owing to mist, fog, condensation, and rainfall, the pollution becomes conducting and the electric field distorted along the surface of insulator. Then, if the stress locally exceed the electric strength of air, causing discharges along small portions of the insulator surface. In Korea, many outages, which were mainly related with salt and industrial contamination, have been reported. For the efficient maintenance such as washing and replacing the insulator, preventing damages such as outages, the accurate measurement of contamination degree on insulators should be carried. Through the salt fog test, we make a understand in the flashover characteristics of insulator with the change of salinity and time. With interpolation method, we assume the value of ESDD for not measured site. But the 95Yo ESDD value is not the representative one, as the term is too short, just a year. So it is not possible to make a reliable statistical treatment to get to the value.

      • 建設産業의 效率性에 관한

        조성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1855

        건설산업은 사회의 기반이 되는 생산물을 공급하면서 국민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도로, 댐, 등 공공시설을 공급해 물류비용 및 기반서비스에 영향을 주고, 플랜트 등 생산시설을 공급해 제철, 유화 등 타 산업의 생산물에 영향을 주며, 아파트 등 주거시설을 공급하여 국민의 주거생활의 전반과 입주 시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시공기간 중에도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07년도 우리나라 건설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과 동일한 7.9%를 기록하였으며, 경제성장기여율은 0.1%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건설산업의 실질성장률도 GDP성장률 5.0%에 크게 못미치는 1.8%에 머물렀다. 건설투자는 1/4분기 정부의 재정조기집행으로 3.7% 증가했으나 이후 다시 침체를 거듭하여 연간 1.2% 증가하는데 그쳐 설비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진한 양상을 보였다. 한편, 2007년 국내건설 계약액은 2006년대비 44.9% 대폭 증가한 157조 7,273억원으로 집계되어 2005년 100조원 돌파에 이어 2년만에 150조원을 돌파하였다. 이 같은 건설계약액의 가파른 증가는 분양가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이를 회피하기 위한 밀어내기식 주택건설 물량이 폭증했던데 따른 제도적 요인과 공모형 PF(project financing)사업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분양가상한제는 2007년 7월 시행이 결정되어 9월부터 시행하였는데 2007년 9월부터 11월까지 민간부문의 사전 분양승인 주택이 21만 1,233호로 2006년 같은 기간(8만 1,864호)에 비해 158%나 증가했으며, 공모형PF사업도 2005년 3.5조원, 2006년 39.3원조, 2007년 48.7조원으로 해마다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설산업은 국민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그 변화의 기복이 매우 심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나라 20대 건설업을 선정하고 2002년부터 자료의 수집이 가능한 2007년까지의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DEA(자료포락분석; data envelopment analysis)와 Malmquist(요소생산성) 분석으로 IMF 외환위기 이후의 경영효율성의 변화를 비교평가하여 건설업의 효율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 어떠한 노력이 어느 정도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Al5052 판재의 복합성형 공정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조성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paper employed finite element method to study combined forming process of Al5052 sheets at 500. Due to aluminium alloys of plates are hard to be formed to a complicated shape in the usual forming processes, it was devised a new forming process using advantages of deep drawing and blow forming. This combined forming process consists of the first deep-drawing process and the second blow forming proces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thickness distribution of the plate according to the effects of process parameters in the combined forming process. Various parameter studies, such as the effect of drawing depths, punch speeds and gas pressures of the combined process, were done by numerical analyses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s from KIMS. Consequentl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1) It made no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thickness distribution of plates pursuant to punch speeds. However, it showed that the higher punch speeds obtained a higher processing efficiency. 2) The results of the deep-drawing with 30 mm and 35 mm drawing depths, it confirmed that the drawing depth with 30 mm was more uniform thickness distribution. If performing deep-drawing with 40mm is possible, but the second step of the blowing forming, the minimum thickness is not appropriate for very small values. 3) The blow forming was performed by various gas pressure. The higher gas pressure could be obtained faster process time. But when it carried out the blow forming of more than 25 bar of gas pressure, the maximum strain of the plated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as a result, it was not pertinent process conditions. Finally, it showed when the plate be formed with drawing depth 35 mm, the process time was shorter than when plate be formed with drawing depth 30 mm after blow for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