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낭만시대 피아노 환상곡 연구 : 형식을 중심으로

        조성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낭만시대의 환상곡에 관한 것으로 그 시기 저명한 음악가들의 피아노 환상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류트음악에서 처음 사용된 환상곡이라는 자그마한 악곡 하나가 바로크시대로 넘어가면서 즉흥적인 성격을 지닌 여러 가지 비슷한 성격을 가진 다른 악곡들과 혼용되어 진 후, 전고전시대에 C. P. E. Bach에 의해서 발전되어졌다. 고전시대까지는 환상곡이라는 악곡이 독립된 작품이기 보다는 곡에 포함되어있는 작은 소품 또는 어떤 작품에서 ‘환상곡풍으로’라는 즉흥적인 요소를 가진 악곡들을 표현하기위한 나타냄 말 정도였다. 하지만 낭만시대에서는 소나타처럼 환상곡을 독립된 작품으로 작곡하였다. 이 당시에 환상곡을 작곡하지 않은 작곡가가 없을 정도로 굉장히 많은 작곡가들이 환상곡을 작곡하였다. 작곡가들은 환상적이고 허구적인 상상의 세계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아낌없이 표현하기 위해 환상곡을 선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환상곡이 왜 낭만시대에서 가장 화려하게 발전되었는지, 환상곡이 어떤 특정한 형식을 갖는지, 작곡가들마다 환상곡을 다루는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등을 서술하였다. 핵심어 : 낭만시대, 환상곡, 슈베르트, 멘델스존, 쇼팽, 슈만, 리스트 This study is about the Fantasias in the Romantic era and focuses on the piano fantasias which was written by the renowned composers of the period. As it entered the Baroque era, Fantasia which was first used in a Lute music as a tiny musical piece was mixed with other music which has a extempore and similar character. Since then, in the pre-classic period, it was developed by C. P. E. Bach who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sers of Fantasia. By the Classical period, Fantasia was not a independent work. It was used as the expression marks with the improvisational element which was included or called ‘quasi una fantasia’ in some work. Meanwhile, the Fantasia was composed as a independent pieces like a Sonata in the Romantic era. At that time, there were so many composers who composed Fantasia that it would be difficult not to compose it. Composers selected Fantasias generously to express their thoughts about fantastic and fictional world of imagination.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ng 'A Study on Piano Fantasias in the Romantic era' we can understand three features. 1, Why did fantasias develop most splendidly in the Romantic era? 2, What specific types did fantasias have? 3, Why did composer have differences in dealing with fantasias?

      • 전문계 고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문화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조성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를 처음 접하는 교사들이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직문화에 어떠한 적응방식을 통해 적응해 가는가를 교직활동 영역별로 분석하여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교직문화는 무엇인가?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초임교사는 어떠한 적응방식을 통해 교직문화에 적응해 가고 있는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경기도 소재의 공립 정보산업고등학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심층면접, 참여관찰, 문서수집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교직활동 영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지도에서는 ‘미리부터 소홀해 지는 수업’, ‘같은 학교 다른 수업’, ‘생활지도에 밀리는 수업’, ‘수업보강으로 때워지는 수업’으로 소홀한 수업문화가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자기합리화를 통한 방식으로 적응해 가고 있었다. 둘째, 생활지도에서는 생활지도가 교과지도보다 우선시 되는 교사의 능력으로 인정받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출결 문제는 교사들이 가장 중요시 하는 부분이었다. 하지만 교사들은 학생들의 생활지도에 대해 ‘포기’나 ‘한쪽 눈 감기’와 같은 소극적인 방법으로 적응해 가고 있었다. 셋째, 행정업무에서는 경력이 낮은 교사들에게 업무가 과중하게 부과되는 비합리적인 업무진행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전문교과 중심의 행정업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비합리적이라 생각하였지만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많고, 전문교과 교사인 경우에는 언젠가 또 만날 사람들이라는 생각에, 일반교과 교사인 경우에는 전문계 고등학교의 업무에 대해 잘 모른다는 이유로 이러한 상황을 ‘순응’하며 받아들이고 있었다. 넷째, 인간관계는 동료교사 관계, 관리자 관계, 학부모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동료교사 관계는 전체적으로 서로에 대해 잘 알지 못했으나 동교과끼리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일부 전문교과인 경우에서는 서열문화가 존재했다. 동료교사 관계에 대한 적응으로 교사들은 ‘친밀함 유지’와 ‘알아서 모시기’를 통해 적응해 가고 있었다. 관리자 관계는 승진을 위한 접대문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일부 부장교사들에게서 나타나는 접대문화는 학교 전체에 영향을 주어 교사들의 건의나 요구사항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을 만들었으며, 이러한 환경에 교사들은 방관자적 자세로 적응해 가고 있었다. 학부모 관계는 학생들의 생활지도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학생들의 생활지도를 더 어렵게 하는 경우가 많아 교사들은 도움이 되지 않는 관계로 판단하여 일정거리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직문화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교직활동들에 대해 소홀한 모습을 보이며, 교사편의가 중심이 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전문계 고등학교의 내실화된 교직문화 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또한 전문계 초임교사들은 전문계 고등학교 교직문화가 부정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인 방식으로 적응하고 있어 적극적인 방식으로 적응하고자 하는 노력과 함께 이들을 도울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way the newcome teachers adapt to the preexisting teachers' culture in a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eexisting teachers' culture in a vocational high school? Second, how do the newcome teachers adapt to the preexisting teachers' culture in a vacational high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public information industry high school in Gyeonggi-do was surveye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employed such as in-depth interviews, long-term participating observation, data collection, and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examined in four different areas of teaching profession. First, the characteristics shown from teaching principles are 'neglected lessons in advance', 'different lessons in the same school', 'emphasis on guidance principles', and 'makeup lessons'. Newcome teachers tend to continue adapting to the preexisting culture through their self-justification. Second, in the aspect of guidance principles, the teachers who are good at guiding and controlling students are considered to be competent, and they put a great emphasis on the students' attendance record. But in general the teachers adjust themselves to the circumstances quite passively through 'abandonment' and 'overlooking'. Third, in the aspect of administration, there is a tendency to have the teachers who have rather short career do too much work, which is quite absurd and unreasonable. Also, the administration work is mostly done centering around the vocational subjects. Most teachers think this situation is absurd but they accept it because there are a lot of teachers who have long-term career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o meet them again in other schools. In particular, the teachers who teach the general subjects and who don't know much about the system of a vocational high school tend to accept the current situations. Fourth, when it comes to human relations, the cultures in this aspect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teacher relations, supervisor-teacher relations, parent-teacher relations. On the whole, the co-teachers don't know each other well, but the teachers who teach the same subject maintain close relationships. Partly, there exists a hierarchical order among the teachers of the same vocational subjec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ir career. The teachers try to keep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and ‘treating well’. Supervisor-teacher relations can be seen as entertaining relations for a promotion. An entertaining culture shown from some department head teachers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deliver other teacher's needs or suggestions, which makes it har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other teachers assume the attitude of an onlooker. In the aspect of parent-teacher relations, many parents make teacher's guidance much harder. So the teachers try to solve the problems for themselves rather than ask for help and keep their distance from the parents. From the resear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 seen from the preexisting teachers' culture in a vocational high school is that the teachers tend to focus on their convenience rather than focus on teaching profession itself which should be dealt with importantly. Thus it is necessary to ensure internal stability in a vocational high school. In addition, even though there are some negative aspects of the preexisting teachers' culture, it is essential to encourage the newcome teachers to adapt to the current circumstances in an active way and also there should be a supporting system to help the newcome teachers to do their best.

      • 소비자생활협동조합 조합원의 서비스 품질 지각과 고객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유의식의 매개효과 분석

        조성아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협동조합의 소유자와 고객이라는 이중적 지위를 지닌 소비자생활협동조합 조합원이 지각하는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매장의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어떠한 서비스 품질 구성 요인이 심리적 소유의식과 고객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 였다. 그리고 협동조합을 ‘나의 것’이라 느끼는 심리적 소유의식이 조합원의 서비스 품질 지각과 고객시민행동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 품질 요인 중 서비스 신뢰도와 서비스 정책, 서 비스 편의성은 고객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서비스 외 형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정책과 서비스 신뢰성은 심리적 소유의식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 나 서비스 외형성과 서비스 편의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 다. 또한, 조합원의 심리적 소유의식은 서비스 신뢰성 및 서비스 정 책과 고객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서비스 품질을 지각한 조합원들의 자발적인 참 여 행동을 유발하는데 심리적 소유의식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생협 조합원, 서비스 품질 지각, 심리적 소유의식, 고객시민 행동 This study identifies the components of cooperative service quality as perceived by consumer cooperative members who have the dual status of cooperative owners and customers, and what service quality components influence psychological ownership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is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sense of ownership of the cooperative as one's own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ervice quality factors, service reliability, service policy, and service conveni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but service externa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In addition, service policy and service reli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but service appearance and service conven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 psychological ownership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reliability, service policy,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behavior of cooperative members. Key words: perceived service quality,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psychological ownership

      •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음악흥미도 및 음악의 생활화에 미치는 영향

        조성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오케스트라 활동에 경험이 없는 3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기간 동안 학생들의 수업을 참여관찰 하였고 연구 참여자중 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음악흥미도는 사전·사후 검사에서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악활동에 따른 음악흥미도 하위요인 중 기악활동에 대한 흥미도가 높게 향상 되었으며, 음악가에 대한 흥미도, 음악 관련직업에 대한 흥미도 역시 활동 이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참여자들의 오케스트라 활동 경험은 개인의 음악에 대한 내재적인 정서반응 향상에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음악의 생활화는 사전·사후 검사에서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의 생활화 검사에서는 음악과 행사와 음악의 기능의 하위영역이 특히 높아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반면 음악의 생활화 하위영역 중 음악의 가치영역에 대한 결과는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악의 생활화의 하위요인 중 음악과 행사는 음악흥미도의 하위요인인 음악가와 음악 직업 대한 흥미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음악관련 산업과 음악에 대한 내재적인 정서 반응 간의 상관관계 역시 높게 측정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음악흥미도가 높게 형성된 학생일수록 음악의 생활화 역시 높아 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한 음악의 생활화 연구와 더불어 국내에서 연구되지 않았던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오케스트라 활동이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과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orchestra activities effect there musical interest and music in daily lives. Thus, preliminary/post examinations were conducted on 31 students without prior experience in orchestra activities. And the researchers observed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lass. Among them, 5 students were in a focus group interview to measure the changes in their interest in music and musical activities in dail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terest in music shown by the students who took part in orchestra activities increased overall in the preliminary/post examinations. In particular, their interest in instrumental activity and occupations related to music was high. Especially, interest in musical instrument activity in musical interest was increased, interest in musician and interest in music related occupation increased after the activity. In addition, participants' experience of orchestra activity influenced intrinsic emotional response to individual music. Second, for the extent of music being a part of the students' daily life, the study found the preliminary/post examinations that the extent increased for the students who took part in orchestra activities. In the examinations, the sub-areas of music, events and function of music especially increased. However, the result on the value of music among the sub-areas was not significant. Third, in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level of interest in music and their musical activities of daily life, the two had a high level of correlation.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musical life, music and event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interest of musicians and musical occupations,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music interest,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intrinsic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related industries and music were also high.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have developed a high level of interest in music through orchestra activities are more likely to make music a part of their everyday life. This study examined how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orchestra activities effect there musical interest and music in daily lives.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n promoting musical activities in daily life through orchestra activities, which had not been studied in Korea,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est in music and musical activities of everyday life was also analyzed.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influence of orchestra activities on the level of interest in music and daily musical activities, and that it offer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orchestra activities.

      • 시각적 사고 전략(VTS)을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조성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Our modern society, which is referred as the ter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knowledge-based society has been rapidly changing as science and technology progress. In order to lead the future society, it is considered that creative thinking that may lead to creative values from existing knowledge and skills are required. Therefore, education for the future will step in a direction that may cultivate creation of learner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thus applied Visual Thinking Strategies(VTS) as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s for improving creativity. VTS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takes place in an open and relaxed atmosphere, having no fixed answer to learners’ appreciation, and enables them to concentrate on observing the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TS art appreci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pply it to practice to confirm the effect on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ind out the details, two kinds of research questions were arranged: “How should VTS art appreciation learning be structured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ow does art appreciation learning using VTS affect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largely conducted in two stages. For the first stage,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creativity, background and outline of VTS, and educational effects, and as a result, the researcher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VTS. In the second stage, the researcher developed art appreciation learning using VTS for improving creativity and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creativity of learners through execution research. In addition, “idea expression” stage was added to develop VTS education program that enhances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ing the existing VTS discussion stage. The idea expression activities are based on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beyond a simple understanding. Comparing to the existing VTS education method that consists only of dialogue, VTS education program added with “expression of ideas” allows learners to expand their ideas as they reorganize and develop the contents for VTS discussion.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18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VTS education program on the creativity of learners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 program that consists of a total of 10 sessions. The dialog and conversat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during the program and research records, worksheets, and interview data with the learner were collected. Data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factors of creativity were positively changed through VT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analyzed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sensitivity, and Elaboration for the cognitive factors of creativity.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changes in fluency by comparing the number of ideas from learners. Comparing the idea worksheets used in the 9th class that students appreciated the work by applying VTS with the 1st class which VTS was not applied, the learners brought up with a lot more ideas in the 9th class even when they appreciated the same work. In addition, the learners observed even the smallest parts of the work and came up with many ideas from it as the program progresses. Furthermore, changes in flexibility were found by the contents of VTS conversation and interviews. The learners explored various possibilities in the work. They showed a new way of thinking and interpreting that may be simply concluded. This has become the basis for the learners to think in multiple ways from a new perspective, which breaks the existing stereotypes. The learners of this study created unique ideas through VTS education program and expressed them. The learners led the class and created new ideas through conversations with fellows that did not exist before. In addition, they focused on the work only and led empathy on the elements of the work through interaction. Moreover, the learner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and sensitive to their surroundings than before. Thus, VTS education method, which considers work carefully, helped improve the observation ability of the learners. As the lessons progressed, the learners could observe even the smallest details in the work, and mentioned things that even were not yet discussed. The changes in sensitivity were extended to areas outside of class, thus the learners began to take an interest in various images in everyday life and came to imagine a story based on what they observed. The learners refined their ideas and developed them into better ones. The learners further materialized their initial ideas through additional observation and developed them by accepting opinions that they considered appropriate among the opinions of fellows, as well as refining the idea by looking for additional evidence to refute the opinions of fellows who had different opinions. Second, the affective factors of creativity have changed positively through VTS education program. The study analyzed affective factors focusing on motivation and openness. The learners enjoyed participating in VTS education program, and through this, their intrinsic motivation improved, such as gaining confidence in appreciation activities, and bringing up ideas and expression activities. The learners experienced collaboration through VTS discussion and the process of idea sharing. In the 9th class, they were asked to write a review according to VTS method after appreciating the work, and compare it with the appreciation that they had in the 1st class, as a result, they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by confirming their growth. VTS discussion enabled the learners to recognize that various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for certain elements of the work and various problems of the real life exist. In particular, teachers’ attitude of accepting learners’ ideas without modifying or judging them had a great impact on learners’ openness.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the learners laughed or bewildered to this peculiar idea that goes beyond the conventional category. However, as the teachers accepted all kinds of their ideas in an open manner throughout the program, the learners gradually began to respect each other’s opinions. In everyday class life, they opened their minds than b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VTS art appreciation program by using idea expression activities to improve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pplied it to the fiel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TS on the creativity of the learne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VTS educational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eativity of the learners.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VTS and creativity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make VTS effectively used in schools and art galleries as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s for improving learners’ creativity. 제4차 산업혁명, 정보통신기술, 인공지능, 지식기반사회 등의 용어로 서술되는 현대사회는 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욱 빠르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의 사회를 이끌어나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식과 기능으로부터 창조적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는 창의적 사고가 필요하다. 따라서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 또한 학습자의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의 하나로 시각적 사고 전략(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을 활용하고자 한다. VTS는 개방적이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루어지며 감상에 대한 답이 정해져 있지 않고, 학생들이 작품을 집중하여 관찰하고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사고 전략(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을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 학습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해 VTS 감상 학습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 학습자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는 크게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로 문헌 연구를 통해 창의성의 정의와 구성 요소, VTS의 배경과 개요 및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창의성과 VTS의 관계에 대해 정리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을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연구를 통해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VTS 감상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VTS 토의의 단계 뒤에 ‘아이디어 표현’ 단계를 추가하였다.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활동은 단순한 이해를 넘어서는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활동이다. 기존의 VTS 교육 방법이 대화로만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아이디어 표현’ 단계를 추가한 VTS 감상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가 VTS 토의 내용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발전시켜 자신의 아이디어를 확장해 나갈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1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총 10차시에 해당하는 미술 감상프로그램을 개발하여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 학습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수업 중 대화를 녹취하여 전사하였고 연구자의 연구일지, 학습자의 활동지, 학습자와의 면담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창의성의 인지적, 정의적 구성 요소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을 통해 창의성의 인지적 요소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창의성의 인지적 요소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민감성, 정교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학습자가 생성한 아이디어 수를 비교하여 유창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VTS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방법대로 작품을 감상했던 1차시와 VTS를 적용하여 작품을 감상한 9차시 수업에서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 활동지를 비교해 보면 학습자들은 같은 작품을 보고도 9차시 수업에서 훨씬 많은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또한,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작품 속에서 아주 작은 부분까지 관찰하며 그로부터 많은 아이디어를 떠올리기도 했다. VTS 대화 내용과 면담을 통해 융통성의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작품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했다. 단순히 결론지을 수 있는 부분도 새롭게 생각하여 해석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는 학습자들이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를 다층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다. 학습자들은 VTS를 적용한 감상 학습을 통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표현하였다. 학습자는 수업을 이끌어나가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동료 학습자와의 대화를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였다. 작품 자체에 집중하며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품 속 요소에 감정을 이입하기도 하였다. 또한, 자신의 주변에 대해 전보다 더 관심을 가지고 민감하게 탐색하게 되었다. 작품을 주의 깊게 바라보는 VTS 교육 방법은 학습자의 관찰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학습자들은 차시가 진행될수록 작품 속의 세밀한 부분까지 관찰하며 아직 논의되지 않은 것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민감성의 변화는 수업 외의 부분으로 확장되어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한 이미지에 관심을 가지고 자세히 살펴보기 시작했으며 관찰한 것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상상하게 되었다. 나아가 학습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정교화하여 더 개선된 아이디어로 발전시켰다. 학습자들은 추가적인 관찰을 통해 초기 아이디어를 더욱 구체화하였으며, 동료 학습자의 의견 중 스스로 판단을 통해 적절하다고 생각한 의견을 수용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로 발전시키기도 하고,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동료 학습자의 의견에 반박하기 위한 추가 증거를 찾으며 아이디어를 정교화하였다. 둘째,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을 통해 창의성의 정의적 요소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창의성의 정의적 요소는 동기와 개방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본 VTS 감상 학습에 즐겁게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감상 활동과 아이디어 생성 및 표현활동에 자신감을 얻게 되는 등 내적 동기가 향상되었다. 9차시 수업에서는 VTS 방법에 따라 작품을 감상한 뒤 감상문을 쓰고 1차시에 썼던 감상문과 비교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성장을 목격하며 성취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VTS 토의는 작품의 특정 요소에 다양한 해석이 가능함을 인식하도록 하여 실생활의 여러 문제도 다양한 해결책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한다. 특히 교사가 학습자의 아이디어를 수정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인정해주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학습자의 개방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의 초반, 학습자들은 관습적인 범주를 벗어나는 독특한 아이디어에 대해 웃거나 당황하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내내 교사가 어떠한 아이디어든 개방적인 태도로 인정해주자, 점차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게 되었다. 일상적인 학급 생활에서도 전보다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해 아이디어 표현활동을 추가한 VTS 감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VTS와 창의성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VTS가 학교와 미술관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의 하나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등교사의 다문화연수 및 교수 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친 영향

        조성아 아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과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현재 중등학교에 근무 중이며 교과수업을 진행하는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 및 본 조사를 거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과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은 다문화교육역량의 하위요인인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 또는 다문화학생에게 교과를 가르쳤거나 담임을 했던 경험이 없더라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과 비교하면 다문화교육에 관해 갖는 인식 및 태도는 비슷하다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태도 항목의 평균 점수는 비교적 높았으므로 다문화교육에 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문화교육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내용은 줄이고 교사들이 취약한 부분의 내용구성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은 다문화교육역량의 하위요인인 다문화교육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은 다문화교육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를 통해 다문화학생을 교수한 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지식수준이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학생을 교수한 경험이 다문화교육지식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뜻한다. 한편,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다문화교육지식이 풍부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문화 개념 및 다문화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다문화정책 등 중등교사들이 알아야 할 다문화관련 지식들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과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의 하위요인인 다문화교육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은 다문화교육기술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은 다문화교육기술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다문화학생을 교수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숙련된 다문화교육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다문화교육기술은 현장에서 행동으로 발현되는 실제적 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론이 대부분인 다문화교육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한다고 하여 다문화교육기술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이 있는 교사는 다문화학생을 지도하면서 겪는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기술이 발전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연수 프로그램을 전부 이론으로 구성하기 보다는 다문화교육기술과 관련된 내용, 예를 들면 다문화를 반영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하기,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을 줄이는 학습활동 구상하기 등 실천적 내용을 추가한다면 교사들이 연수를 통해 다문화교육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조사대상자가 수원과 안산의 교사로 한정되어 있고 편의 표집법에 의한 것이므로, 중등교사 전체로 해석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향후 보다 폭넓게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향후 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연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연수가 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중 어떠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미치지 않는지 확인한다면, 효과가 없었던 내용은 보충하여 개발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다문화학생 교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이 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중 어떠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미친다면 어떤 요인인지 확인하여 실제 연수 프로그램에 관련 내용을 실습내용으로 구성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전당하는 다문화지도사와 같은 평생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연구한다면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다른 시각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차이 분석

        조성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기반 교육이 보편화되면서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 체제인 이러닝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이러닝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러닝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을 능동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의 특성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지속의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각각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청주시의 한 대학교에서 한 학기 과정의 100% 정규 이러닝 강좌 수강경험이 있는 남․여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기주도 학습전략,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검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검사지를 토대로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의 차이를 검증하고,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우선, 수강경험 집단에 따른 학습만족도 분석 결과, 수강경험이 높은 집단의 학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17). 또한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분석 결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01). 둘째,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지속의향에 차이가 있었다. 우선, 수강경험 집단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분석 결과, 수강경험이 높은 집단의 학습지속의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02). 또한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분석 결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습지속의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00). 셋째,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p=.071) 및 학습지속의향(p=.369)에 미치는 각각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이러닝 수강경험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이 높았다. 따라서 이러닝 수강경험이 없거나 적은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동기를 높이기 위한 맞춤형 형태의 이러닝을 제공하여 이러닝 강의를 재차 참여할 수 있도록 이러닝 강의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사전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높을수록 이러닝 강의에 대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 및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이러닝 교육방법이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이러닝 학습 환경 특성 상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필요하므로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스캐폴딩을 제공하고,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는 방안이 필요하다. 향후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학습을 하고 있는 다양한 환경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이러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이러닝 학습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학습자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이러닝 학습전략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효과성 변인으로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동기, 학습몰입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 최승자 시세계의 시간의식 연구 : 기억과 죽음 이미지를 중심으로

        조성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examines how time is represented in the early poetry of Choi Seung-ja, analyzing the aspects of the poetic subject's existence and illuminating these as a central poetic consciousness permeating her poetic world. The subject exists within a present horizon grounded in both the past and the future. The meaning of the present is formed based on the past, and its value is gained through the prospect of the future. However, time often recedes into the background landscape as an abstract concept. In such moments, time is mechanically consumed without embodying any significance. An existence living in unperceived time cannot sense its own reality. As mentioned, our existence in the present horizon is recognized by relating to the elapsed time (past) and the time to come (future). With this problematic awareness, Choi Seung-ja persistently undertakes the task of 'memory work' and writing poetry as a form of 'death consciousness' to grasp the essence of existence. Choi Seung-ja's 'memory work' differs from retrospection. In retrospection, the key aspect is to recount the past as accurately and factually as possible, since its purpose is to reproduce specific segments of the past. In contrast, the images recreated through memory work diverge from objective facts. Her memory work, deeply intertwined with the subconscious, is aimed not at reproduction but at re-creation. However, this re-creation does not occur at the will of the poet. It infiltrates the present unconsciously. For example, the poet says that all her experiences steadily submerge within and then suddenly manifest as poetry one day. This depiction of emerging spontaneously, rather than being summoned, suggests an active role of the past. Choi Seung-ja's memory work particularly focuses on experiences of love. The poetic subject, having separated from a lover, recognizes their current lack through the remembrance of the lover's presence. In essence, memory sharply reveals the desires of the present. However, this desire is not 'a longing to return' to the fulfilled past but rather 'a wish to depart' from the present of lack. The death that she longs for along with love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Death is, after all, an event that is only possible within the horizon of the future. In Choi Seung-ja's poetry, death is pivotal. She simultaneously longs for and seeks to postpone death. To explain this paradoxical attitude, many scholars point out that the existence of life makes death possible, and the presence of death makes life more valuable. However, this merely ascribes an instrumental value to death. When considering the poetic subjects in Choi Seung-ja's work who embrace death, it is not merely accepted as a possibility, nor does it simply signify physical death. For Choi Seung-ja, death is a precondition that must precede (re)birth. However, since birth itself leads again towards death, birth and death endlessly cycle. This cycle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life and death, and the poetic subjects even desire death after dying.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dismantle the binary values of life/death as traditionally understood in Choi Seung-ja's poetry and to view her concept of death from a semiotic perspective. The death portrayed in Choi Seung-ja's poetry always signifies a horizon 'beyond' reality, akin to a future that remains perpetually unreachable. What is thought to be the future is merely a new present. Thus, the poet faintly senses her existence in the timeless space of dreams. For her, dreaming is both a way to distance oneself from reality and a way to live within it. This orientation towards the 'beyond' drives it. Therefore, the poetic subject, before and after dreaming, remains in despair, but the awareness or lack thereof of reality allows for a completely different driving force. This aspect of existence is not essenti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oetic subject in Choi Seung-ja's 『The Lovers』(1999), often identified as a turning point in her work. The mainstream perspective on Choi Seung-ja's poetry is based on the poet's contemplative gaze and mysticism, positing a disjunction between her early and later poetry. This view interprets the poet's seemingly detached observation of the world as nihilism and surmises her desire to reach a transcendent world based on a profound mystical system. They perceive this world as a realm of meaninglessness, 'emptiness', and read it as the poet's radical shift from her earlier confrontational stance with the world. However, this world is not different from the 'beyond' that was sought through death earlier. If the early poet imagined 'the presence of absence', the later Choi Seung-ja lives in the present by sensing what is both absent and present, or present yet absent. This is especially discussed in terms of the disintegration of the boundaries of time. This research explores how the poetic irony emerging from Choi Seung-ja's memory work and consciousness of death is embodied in 『The Lovers』, thereby incrementally proving the potential connection with her later poetry, which was previously seen as disconnected.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ew perspective on her later works. Choi Seung-ja's poetry, always desiring the motivation to live in the present, desperately reveals the will of the existence that wants to 'live as I'. In doing so, it showcases the beauty of a robust vitality that overcomes fear, illustrating the urgent manifestation of an individual's will to exist. 본고는 최승자의 초기 시에서 시간이 재현되는 방식을 살핌으로써 시적 주 체의 존재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최승자의 시세계를 관통하는 시적 문제의식 으로 조명하였다. 주체는 과거와 미래에 근거해 현재적 지평을 살아간다. 현재의 의미는 과거 를 토대로 형성되고, 그 가치는 미래의 전망을 상정함으로써 획득되는 까닭이 다. 그러나 시간은 추상적인 개념인 까닭에 곧잘 후경(後景)으로 물러나고 만 다. 이때의 시간은 기계적으로 소모될 뿐 어떠한 의의도 내포하지 않는다. 감 각되지 않는 시간을 사는 존재는 스스로의 실존 또한 감각할 수 없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현재적 지평을 살아가는 우리의 존재는 지나온 시간(과거), 그리고 나아갈 시간(미래)과 관계 맺음으로써 인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 제의식 아래 최승자는 존재의 인식을 위해 끊임없이‘기억 작업’과 ‘죽음의 식’으로의 시 쓰기를 수행한다. 최승자의‘기억 작업’은 회고와 다르다. 회고에 있어 중요한 것은 가급적 사실에 가깝게 과거를 되짚는 것이다. 회고의 목적이 과거의 특정 구간을 재 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기억 작업을 통해 재현되는 이미지는 객관적 사실과 다르다. 무의식과 긴밀하게 관계 맺는 그의 기억 작업은 재생이 아닌 재창조를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 재창조는 시인의 의지대로 되는 것이 아 니다. 그것은 무의식적으로 현재에 침투한다. 가령 시인은 자신의 모든 체험은 착실하게 내부로 가라앉았다가 어느 날 돌연 시로 나타난다고 말한다. 불려 나오는 것이 아니라 돌연 나타난다는 서술은 과거의 능동성을 시사한다. 최승자의 기억 작업은 특히 사랑의 경험을 대상으로 한다. 연인과 이별한 시적 주체는 과거 연인의 존재를 기억하는 것으로 현재의 결핍을 인식한다. 요컨대 기억은 현재의 욕망을 극명하게 드러낸다. 그러나 이 욕망은 충족된 과거로 ‘돌아가고 싶음’이 아니라 결핍의 현재로부터 ‘떠나가고 싶음’이 다. 그가 사랑과 함께 열망하는 죽음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죽음 이야말로 미래적 지평에서만 가능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최승자의 시에서 죽음은 핵심적이다. 그는 죽음을 열망함과 동시에 유예하 고자 한다. 이 모순적인 태도를 해명하기 위해 다수의 논자들은 삶이 있기에 죽음이 있고 죽음의 존재가 삶을 더 가치 있게 만든다는 점을 지적한다. 그러 나 이는 죽음의 도구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에 불과하다. 죽음에 투신하는 최 승자의 시적 주체들을 떠올릴 때, 죽음은 단순히 가능성으로 수용되는 것이 아니며 물리적 죽음을 의미하는 것 또한 아니다. 최승자에게 있어 죽음은 (재)탄생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조건이다. 그러나 탄생 역시 다시 죽음을 향해 가는 까닭에 탄생과 죽음은 무한히 순환한다. 이 순환으로 인해 삶과 죽음의 경계는 불분명해지고, 시적 주체들은 심지어 죽어 서도 죽음을 욕망하기에 이른다. 그렇기 때문에 본고는 최승자의 시에서 기존 삶/죽음이 지닌 이분법적 가치를 해체하고, 최승자의 죽음을 기표적 차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최승자의 시에 나타나는 죽음은 언제나 현실‘너머’의 지 평을 의미한다. 이는 시간이 흘러도 영원히 도달할 수 없는 미래와 같다. 미래 라고 생각했던 시간은 새로운 현재일 뿐이다. 하여 시인은 꿈이라는 무시간성 의 공간에서 그 존재를 희미하게 감각한다. 그에게 있어 꿈은 현실과 멀어지 는 방법임과 동시에 현실을 살아가는 방법이다. ‘너머’에 대한 지향이 그것 을 추동한다. 때문에 꿈을 꾸기 전과 후의 시적 주체는 여전히 절망에 존재하 지만, 실재에 대해 감각 여부로 하여금 완전히 다른 추동력을 지닐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존재 양상은 최승자의 분기점으로 지목되는『연인들』(1999)에 나 타나는 시적 주체의 그것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 최승자의 시세계를 바라 보는 주류적 관점은 시인의 관조적 시선과 신비주의를 근거로 초기 시와 후기 시의 단절을 말한다. 더 이상 부정조차 하지 않는 듯 멀찍이 세계를 관조하는 시인의 모습에서 허무주의를 읽어내고, 도저한 신비체계를 근거로 초월적 세 계에 이르고자 하는 시인의 바람을 짐작하는 것이다. 그들은 그 세계를 무의 미의 세계, ‘허(虛)’로 의미화하며 치열하게 세계와 맞서던 시인의 전향을 읽어낸다. 그러나 이 세계 역시 앞서 죽음을 통해 도달하고자 하던 ‘너머’ 의 세계와 다르지 않다. 다만 초기 시의 시인이 ‘없음의 있음’을 상상했다 면, 후기의 최승자는 없으면서도 있고 있으면서도 없는 것을 감각함으로써 현 재를 살아간다. 이것은 특히 허물어진 시간의 경계성으로 이야기된다. 본고는 최승자의 기억작업과 죽음의식를 바탕으로 드러나는 시적 아이러니 가 『연인들』에 이르러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살핌으로써 그간 단절되었던 후 기 시와의 연결 가능성을 단계적으로 증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렇듯 후기 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언제나 현재를 살 아갈 동력을 욕망하던 최승자의 시 쓰기는 ‘나’로 살고자 하는 존재의 의지 를 필사적으로 드러내며, 이를 위해 공포를 이겨내는 강인한 생명력의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

      • 중환자의 침상 안정 기간 및 관련 요인에 따른 중환자실 획득 쇠약 비교

        조성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배경: 중환자실 치료를 위한 침상 안정과 부동은 근육 손상과 쇠약을 초래한다. 중환자에게 발생하는 사지의 확산적이고 좌우 대칭적인 전신의 근육 약화인 중환자실 획득 쇠약은 아직까지 그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고 치료 방법이 없어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조기 발견이 어렵다. 또한, 중환자실 획득 쇠약의 가장 주요한 위험요인인 침상 안정 외에도 고령과 여성, 질병의 심각성, 중환자실 치료 및 약물 사용 등이 관련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 결과에 차이가 있는 상태이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획득 쇠약의 진행을 나타내는 지표로 알려진 사지 둘레의 변화를 입실 당일부터 입실 8일째까지 추적하고 관련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전향적 관찰 연구로 2022년 08월 04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서울시 소재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과 중환자실에 입실한 308명의 환자 가운데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통과한 최종 23명을 대상으로 입실 당일과 입실 2일째, 입실 5일째 및 입실 8일째에 좌우 상박과 대퇴 및 종아리 둘레를 줄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중환자실 획득 쇠약의 관련 요인으로 문헌에서 보고되어온 나이와 성별, 중증도, 혈당, 인공호흡기와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 및 억제대 적용 기간, 진정제와 스테로이드 및 근이완제 투약 유무와 기간 및 용량, 체질량지수(BMI), 영양공급 개시 시점, 혈청 알부민 수치와 혈중 단백질 수치 및 재활 시행 유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자료는 R 통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선형혼합효과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 대상자는 남성이 14명(60.9%), 여성이 9명(39.1%)였으며, 평균 연령은 71.87세로 나타났다. 이들의 평균 중환자실 재원기간은 19.26일이었으며, 73.9%의 대상자(17명)가 호흡부전 및 호흡장애로 인해 중환자실 입실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23.35kg/m2으로 과체중에 해당하였고, APACHE II 점수는 26.78점, 혈당은 227.84mg/dL으로 나타났다. 8일의 조사기간동안 인공호흡기 치료를 제공받은 대상자는 21명(91.3%), CRRT는 7명(30.4%), 억제대는 14명(60.9%)이었으며, 진정제를 투여받은 대상자는20명(87.0%), 스테로이드는 12명(52.2%), 근이완제는 4명(17.4%)로 나타났다. 8일간 본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혈청 알부민 수치는 2.69g/dL, 혈중 단백질 수치는 5.38g/dL로 대상자 대부분이 영양상태가 불량했다. 조사기간 중 재활은 8명(34.8%)에게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중환자들은 입실 2일째부터 입실 당일에 비해 좌측 상박둘레(p=0.01)와 좌측 종아리 둘레(p<0.01) 및 우측 종아리 둘레(p<0.01)가, 우측 상박둘레(p<0.01)와 좌측 대퇴둘레(p=0.01)는 입실 5일째부터, 우측 대퇴둘레(p=0.02)는 입실 8일째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APACHE II(좌측 상박둘레: χ2=11.57, p=0.01)와 혈당(좌측 대퇴둘레: χ2=9.74, p=0.02; 우측 대퇴둘레: χ2=6.93, p=0.05; 우측 종아리둘레: χ2=6.47, p=0.04), CRRT 적용기간(우측 종아리둘레: χ2=11.13, p=0.01), 억제대 적용기간(좌측 대퇴둘레: χ2=6.43, p=0.05), 진정제 투여용량(좌측 상박둘레: χ2=10.07, p=0.01; 우측 종아리 둘레: χ2=8.13, p=0.04), RASS 진정 수준(우측 상박둘레: χ2=9.40, p=0.05), 스테로이드 투약(좌측 대퇴둘레: χ2=8.69, p=0.03; 우측 대퇴둘레: χ2=6.23, p=0.05), 입실 시 BMI(좌측 상박둘레: χ2=11.40, p=0.05; 우측 상박둘레: χ2=18.47, p=0.03; 좌측 대퇴둘레: χ2=34.25, p=0.00; 우측 대퇴둘레: χ2=31.36, p=0.00; 좌측 종아리둘레: χ2=25.31, p=0.00), 혈중 단백질 수치(우측 종아리둘레: χ2=12.06, p=0.01) 및 재활(좌측 대퇴둘레: χ2=10.39, p=0.04)이 중환자실 획득 쇠약의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의 중환자들은 중환자실 입실 2일째부터 8일째까지 측정한 사지둘레에서 유의한 감소가 발생하였으며, 감소의 개시가 근육 부위마다 다른데 큰 근육에서의 감소는 비교적 늦게 입실 5일째와 8일째에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획득 쇠약의 지표로 사용 가능한 사지 둘레의 변화를 줄자로 손쉽고도 비용 효과적으로 측정하였는데, 이로써 입실 초기부터 시작되는 중환자실 획득 쇠약의 조기발견에 중요한 사지 둘레 측정을 중환자 간호 사정에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BACKGROUND: Bed rest and immobility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can lead to rapid muscle damage and weakness. ICU-acquired weakness (ICUAW), characterized by diffuse and symmetric muscle weakness in extremities, still lacks a clear understanding of its causes, and preventive measures are prioritized due to the absence of specific treatment methods, so it is difficult to diagnose early. In addition, in addition to bed stabili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ICUAW, elderly and women, severity of disease, ICU treatment and drug use are reported as related factors, but those are still controversial in research results. OBJECTIVE: This study i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imed to identify changes in limb circumferences among ICU patients through admission day to eighth days and the related factor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4th August 2022 to 31st December 2022 involving 23 participants selected from 308 patients admitted at MICU of Korea university Anam hospital The limb circumferences were measured on both upper arms, thighs, and lower legs on the admission day, second days, fifth days, and eighth days of ICU admission. The related factors, including age, gender, severity, blood glucose, use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CRRT), administration of sedatives, steroids, and muscle relaxants, body mass index(BMI), initiation of nutrition support, serum albumin and protein levels, and rehabilitation, were collected from the medical records after measuring eighth day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linear mixed effect model in R statistical software.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14 males (60.9%) and 9 females (39.1%), with a mean age of 71.87 years. The average length of ICU stay was 19.26 days, and 73.9% of participants were admitted due to respiratory failure. The average BMI of the subjects was 23.35kg/m2, indicating overweight status. The APACHE II score was 26.78, and the blood glucose level was 227.84mg/dL. During the 8-day study period, 21 participants (91.3%) received mechanical ventilation, 7 participants (30.4%) underwent CRRT, and 14 participants (60.9%) were on restraints. Additionally, 20 participants (87.0%) received sedatives, 12 participants (52.2%) were administered steroids, and 4 participants (17.4%) received muscle relaxants. The mean serum albumin level over 8 days was 2.69g/dL, and the blood protein level was 5.38g/dL, indicating poor nutritional status in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Rehabilitation was conducted in 8 participants (34.8%) during the study period. In this study, the critically ill patient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left upper arm circumference (p=0.01), left calf circumference (p<0.01), and right calf circumference (p<0.01) from the 2nd day of admission compared to the admission day. The Right calf circumference (p<0.01) and the left thigh circumference (p=0.01) decreased from admission day to the 5th day, while the right thigh circumference (p=0.02) decreased from admission day to the 8th day. Several factors were identified as related to ICUAW. These included APACHE II (left upper arm circumference: χ2=11.57, p=0.01) and blood glucose levels (left thigh circumference: χ2=9.74, p=0.02; right thigh circumference: χ2=6.93, p=0.05; right calf circumference: χ2=6.47, p=0.04), CRRT duration (right calf circumference: χ2=11.13, p=0.01), restraints duration (left thigh circumference: χ2=6.43, p=0.05), sedative dose (left upper arm circumference: χ2=10.07, p=0.01; right calf circumference: χ2=8.13, p=0.04), RASS (right upper arm circumference: χ2=9.40, p=0.05), steroid administration (left thigh circumference: χ2=8.69, p=0.03; right thigh circumference: χ2=6.23, p=0.05), BMI at admission (left upper arm circumference: χ2=11.40, p=0.05; right upper arm circumference: χ2=18.47, p=0.03; left thigh circumference: χ2=34.25, p=0.00; right thigh circumference: χ2=31.36, p=0.00; left calf circumference: χ2=25.31, p=0.00), blood protein level (right calf circumference: χ2=12.06, p=0.01), and rehabilitation (left thigh circumference: χ2=10.39, p=0.04).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reduction of circumference of limbs was started from the 2nd day of ICU and last for the duration of bed rest, with variations in onset observed among different muscle group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measure ICUAW cost-effectively and simply by using a tape measure from the time of admission in ICU.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limb circumference measurements into critical care nursing assessments for the early detection of ICU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