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치적 풍경에서 일상적 정원으로 : 유곡리 통일촌 정원 고찰

        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87

        정원은 인간의 문화적 결과물이다. 그렇기에 문화·사회적 공간으로서, 조영자 또는 가드너(관리자)의 삶이나 이상을 드러내는 표현의 장이 되기도 한다. 정원은 역사적으로 조영자의 생각이 투영되는 좋은 매개체로 국가의 지배계급의 정치적인 메시지 등을 전달하는 도구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반면 현대사회로 올수록 특수계급이 만드는 특별한 공간이 아니라, 평범한 민중들이 살아가는 삶의 공간으로서의 정원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주거 공간 속 정원은 일상적 삶의 공간으로 그곳을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가치를 담는 공간이기도 하다. 버나큘러 정원이라는 한 분야는 이런 미시적인 정원의 형태들을 다양하고 창조적인 삶의 결과물로 본다. 한편 본 연구의 대상지인 철원군 유곡리는 우리나라에 2개 밖에 없는 ‘통일촌’ 중 하나이다. 통일촌은 1972년 박정희 대통령 때 대북 선전을 위해 민통선 안에 조성된 마을이다. 이 마을은 정부에서 각 세대들마다 논과 밭, 주택, 농기구 등을 제공하였는데, 주택이 들어오고 남은 빈 공간에 잔디를 심게 하고, 이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마을이 형성되고 40여년이 지난 현재, 입주할 당시의 통제는 사라지고, 잔디가 심겨졌던 공간은 개인적 용도에 맞게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 공간을 1970년대, 대북경쟁체제 하에서 특수한 목적으로 조성된 마을에 최초로 집단적으로 제공된 ‘정원’으로 보고, 현재 다양하게 활용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제공된 정원’에서 다양한 삶의 현장으로 바뀌어 간 유곡리 정원은 정원사적 의의가 분명히 있는데도 불구하고, 그간 조경-정원 분야에서 주목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정치적 선전도구로써 만들어진 유곡리 정원을 회고하고, 정치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졌지만 현재 주민들의 일상적인 삶의 공간으로 변화한 정원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 정원이 지난 40여 년간 주민들의 삶에서 어떻게 작용하였는지 기록하고 정원과 주민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고찰, 현장 연구, 분석 및 해석으로 나뉜다. 유곡리 정원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정치적으로 작용했던 정원에 대해 살펴보고 현대로 오며 더 이상 풍경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민중들이 직접 만들어가는 일상적 정원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문헌연구 및 현장 조사를 통해 유곡리 통일촌의 조성 이래로 사회적, 물리적 변화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정원-주민간의 관계를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주민들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사람이 살지 않는 11채를 제외하고 49개의 정원을 각각 미시적으로 맵핑하여 분석하였다. 정원의 형태와 기능 분석 결과 정원은 형태에 따라 전면형, 내부형, 후정형에 속하는 7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고,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는 좁고 긴 형태의 정원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정원의 형태가 식물의 종류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그리고 주민들은 정원을 완상을 위한 공간, 생산의 공간, 소통의 장, 자기표현의 매개체로 활용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유곡리 정원이 갖는 의미는 두 가지 쟁점으로 정리 할 수 있었다. 첫째, 정치적 풍경으로서 정원이다. 70년대 녹화미화운동의 일환이자 대북체제 전시라는 정치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잔디 정원은 정원이 아닌 풍경에 불과했다. 결국 주민들의 실용적 논리로 변해갔지만, 일상적 정원으로 변한 현재에도 정원의 제약적 상황들은 여전히 정원의 형태 및 풍경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두 번째, 일상정원으로서의 의미이다. 유곡리의 일상정원은 텃밭 정원, 취미를 위한 정원, 전입가구들의 정원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사회적-개인적 사건들을 계기로 정원의 형태가 분화되고 표출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유곡리에서 일상 정원은 주민들의 변화를 드러내는 매개체로서 작용해왔고, 안전한 공간이자 자급자족을 위한 최후의 공간이라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상위계급이 소유한 고급 정원이 아닌 민중들의 일상 정원에 관심을 갖고 의미를 찾는 것은 민중들의 삶에 대한 관심이자 일상적 가치 추구에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정원이라는 공간이 일상 속에서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고 보다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은 ‘아파트’라는 규격화된 거주 환경으로 귀결되어 가는 현실 속에서 우리의 거주 환경의 질을 높이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 공공예술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방안 연구 : 부산지역 꽃마을을 중심으로

        조성 부산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87

        최근 공공예술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마을만들기’ 사업이 21세기 새마을운동을 방불케 하듯 전국적으로 시행되면서 한국사회를 거대한 공공예술의 실험장으로 만들고 있다. 본 논문은 공공예술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사업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마을만들기 사업의 전망과 과제를 맞추었다. 첫째, 공공예술을 마을만들기에 어떻게 결합해야 하는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공공예술과 ‘커뮤니티 아트’, 그리고 마을만들기의 개념과 특성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였다. 우선, 공공예술, 커뮤니티 아트와 공공예술의 관련성, 이를 활용한 마을만들기 개념과 특성들을 파악하였다. 둘째, 부산지역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과 감천문화마을 조성사업을 사례로 마을만들기 사업 현황을 고찰하였다.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은 여타 다른 도시재생사업과 다르게 부산시의 주관 하에 10개년 사업으로 계획되어 도시재생 및 마을만들기 사업의 새로운 모델이 되었으며, 낙후된 부산의 원도심 현장에서 다양한 성과들을 내었다. 또 한 감천문화마을 조성사업도 문화관광부에서 시행한 마을미술프로젝트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수많은 관광객들을 불러 모으며 부산을 넘어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마을로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이 두 사례들을 조금만 깊이 살펴본다면 여러 문제들이 있음을 쉽게 알 수 가 있다. 현재 여러 지역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마을만들기 사업은 ① 지역 특색의 상실과 유사 프로그램의 난립, ②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외부자본의 잠식과 원주민들의 이탈 등을 큰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로부터 조금은 자유로운 사례가 있다. 부산 꽃마을의 경우이다.지역의 문화단체가 중심이 되어 문화창작공간ARTinNATURE에서 레지던스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사업들을 진행하며, 여타 마을만들기 사업과는 다르게 마을 내부의 문화단체가 중심이 되어 2005년부터 2018년 현재 14년째 꽃마을을 배경으로 매년 새로운 공공예술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고, 지역 주민들과 긴 시간 다져진 커뮤니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 꽃마을 문화마을 조성사업의 성과들을 분석하고, 마을만들기의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꽃마을에서의 성과들을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마을만들기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① 사업 주체의 지역에 대한 이해가 높아야 한다는 점, ② 지역을 기반으로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문화단체를 사업주체로 선정하여 진행해야 한다는 점, ③ 도시재생사업과 달리 마을만들기 사업은 작은 마을을 대상으로 하기때문에 지역 주민들과의 커뮤니티 형성이 중요하다는 점, ④ 지역 거점 문화예술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특히 외부 인사들이 사업을 진행하는 경우, 지속적인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외부의 기획자를 데려다가 사업 수행자로 내세울 것이 아니라 지역 인재 또는 문화단체, 시민단체를 발굴하고 육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이 해결된다면, 향후 공공미술을 활용한 마을만들기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 키질石窟 <捨身飼虎本生圖> 硏究

        조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71

        쿠차지역에 위치한 키질석굴은 동투르키스탄 지역에서 규모가 가장 크며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벽화들이 많이 남아있다. 20세기 초 서구열강 제국주의 국가들의 서역탐험대에 의해서 널리 알려진 키질석굴은 독일 탐험대에 의해 최초로 키질석굴의 조성연대 및 벽화의 양식분류가 행해졌다. 그 후 1981년 북경대학의 宿白교수에 의해서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이 이루어 졌으나 오차의 간격이 너무나 크고, 또한 중국내 학자들 간의 의견이 서로 일치되고 있지 않다. 키질석굴의 조성에 관한 정확한 문헌기록이 남아있지 않아서 조성연대를 알 수 없는 것이 연구의 어려운 점이다. 본 논문은 키질석굴에 남아있는 벽화들 가운데 인도에서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佛敎說話畵인 本生圖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실크로드를 통한 동서 문화의 교류 속에서 창조된 쿠차지역 미술의 지역적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키질석굴에 현존하는 70여 종의 본생도들 중에는 특히 이 지역에서 많이 표현된 '자기희생'의 주제를 가진 본생도들이 다수 있다. 그 가운데 '자기희생'의 주제가 가장 극적으로 묘사된 <捨身飼虎本生圖>는 키질석굴에 여러 장면이 남아있고 河西回廊의 석굴사원에도 벽화나 부조의 형태로 다수가 남아있어 이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키질석굴 본생도의 특징은 대다수가 중심주굴의 천정 능형문 안에 본생고사의 가장 중요한 한 장면만을 축약하여 표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형식은 인도 스투파의 기단이나 난간의 장식을 위한 원형이나 방형의 틀 안에 묘사되던 본생고사 부조와 비슷하다. 그러나 중원에 전해져 묘사된 본생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묘사하는 서술적인 방식을 취하고 있다. 회화의 표현방식이나 안료의 사용 등이 중국보다는 인도나 이란·바미얀에 가까운 키질석굴은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불교미술의 특징 위에 쿠차지역만의 독특한 특성이 융합되어 있다. Ⅱ장에서는 쿠차불교의 성격과 키질석굴의 조성관계에 대해서 논급하였으며, Ⅲ장에서는 인도에서 기원한 본생도가 간다라지방, 서역 그리고 중원지방에 이르기까지 전래되는 과정과 지역적 변용의 여러 모습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키질석굴 본생도와 가장 밀접한 관련 경전인 『賢愚經』과의 관계를 통해서 쿠차 불교미술의 성격을 밝히고자 했다. 이와 함께 현재까지도 키질석굴 양식분류와 편년연구의 기본이 되는 발트슈미트(E. Waldschmidt)의 양식론에 근거하여 키질석굴 <사신사호본생도>의 양식 분류를 시도하였고, 이를 통한 지역적 특색을 밝히고자 하였다. 大譯經僧 鳩摩羅什이 활동했던 쿠차는 서역북도에서 가장 불교가 번성했던 국가로, 왕실과 관료 그리고 오아시스 중계무역으로 부를 축적한 상인의 후원으로 자연지형을 이용한 많은 불교석굴이 조성되었다. 이 석굴사원 내부에 장엄된 소승계의 벽화들은 인도·이란적 요소들이 쿠차의 지역전통과 합쳐져 새로운 변용을 초래하였으며, 이러한 쿠차지역의 불교미술이 하서회랑의 석굴사원군과 중국의 불교미술에 영향을 미쳐, 전통적인 중국화의 기법과는 또 다른 서역적인 표현법이 정착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t of Kucha created in east-west cultural exchange along the Silk Road, with special regard to the illustrations of Jatakas, the Buddhist birth-stories, introduced from India along the road among other Kizil mural paintings. Situated at the crossroads where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meet, the Kucha region could accumulate great wealth with transit trade and contact the Buddhist art from India earlier than Chinese inland. The extreme hot and cold climate of a desert and stony, grassless mountains provided an appropriate natural condition for constructing stone caves. The geographic background had been combined with the support of Kucha royal families and oasis traders to build up many cave temples of the Kucha region, among which Kizil cave is the greatest in East Turkistan. With the absence of literary documents of the period when Buddhism had been introduced, and the construction of the caves had started, it has been difficult to divide the styles and record the chronicles of mural paintings in Kucha, located in the middle of Northern Silk Road. In approaching mural painting style, this study depended mainly on E. Waldschmidt's theory of style, referring to the researches of chinese authors. The illustrations of Jatakas presented on the tunnel-shaped ceiling of a center piller cave and a great statue cave among the Kizil caves are very singular first in the composition and descriptive way of rhomboid. Representing the most essential part of the tales within a rhomboid pattern after condensing them into one or two scenes, the illustrations of Jatakas in Kizil are drawn in a single picture like the Jataka relives of Sanci, Bharhut, Amaravati Stupa in India. But Indian sculptors preferred square and round composition, while Kucha painters adopted square and rhomboid one, led to more dramatic presentations of Buddha's good deeds in his previous life. Similarly, though two regions have in common with how to portray figures, that is, nakeness above the waist and a skirt below it, with Iranian ornaments, the typical shape of Kucha figure with a flat forehead and features closing together demonstrates that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is a result of a mixture of the ethnic property of the Kucha people and the traditional style of India and Iran. Following Waldschmidt's theory of style,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in the Kizil caves belongs to the second style, Indian-Iranian period. Nevertheless, it shows the features of both the first and second style period and the illustrations of Jatakas in the Kilzil caves are all concise and implicit descriptions, thus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illustration and other murals. But in that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of a warm color system(cave 47, 58, 114) highlights the image of the victim rather than that of the tiger, while that of a cold color system(cave 8, 17, 38) portrays two figures equally, making their actions come to the fore, the latter emphasizes on the whole the sense of sacrifice more than the former which antedates it. Generally,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in the Kizil caves is 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clear stylistic difference distinguished periodically. Occupying major part of the Jataka pictures in the Kizil caves,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is about the story with the most strongest sacrificial motif among all the elements of self-sacrifice, as well as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India or eastern/southern Asia in the light of the content and nature of offering one's blood and flesh. The preferred theme is thought to reflect the Kucha people's way of thinking who have valued life in a desolate desert environment. In the Mogao Grotto in Tun huang(敦煌 莫高窟), the kind of Jataka and Karma tales reaches 53 types, covering 124 pictures, among which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is shown in more than 25 pictures in 21 caves. The one built up in the North Wei Dynasty(北魏) found in 254 cave, expressing unsynchronous time and space in a same picture plane, clearly manifests the sense of abandonment of the body and exhibits the figure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Kizil caves. This fact establishes the assumption that they are considerably affected by those of Kizil. Holding an important place in the Silk Road, the Kizil caves can be considered to be a treasurehouse of painterly materials and contain various influences from foreign cultures. To conclude, the "illustration of Jataka of Maha Bodhisatta" of the Kizil caves is a recreation by harmonizing diverse influences from the West and the regional trait peculiar to Kucha, and its greatest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spread toward the east, to the stretch of land to the west from Lanzhou to Dunhuang, Gansu province, and China, forming the best known theme in the Illustrations of Jatakas even so far.

      • Quercetin의 급여가 산양의 사료이용성,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조성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실험은 quercetin 의 급여가 우리나라 재래 산양의 사료이용성, 혈액 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공시동물로 체중 15 kg 정도의 우리나라 재래산양 16두(2처리 8반복)를 공시하여 TMR 사료에 quercetin을 0 및 200 ppm씩 첨가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로서, 재래산양의 사료섭취량, 음수량, 배뇨량 및 배분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건물 소화율, 조지방, NDF 및 ADF의 소화율도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조단백질의 소화율은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은 결과였다. 그리고 반추위액의 pH는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otal VFA, 프로피온산 및 낙산의 농도는 첨가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초산, 이소 낙산, 이소 발레린산 및 발레린산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P비는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ALT ․ AST ․ Creatinine ․ BUN· BUN/creatinine ․ Albumin ․ γ-GT ․ Ca ․ Pi의 농도는 quercetin 첨가에 따른 유의한 영향을 관찰할 수 없었다. 재래산양육의 pH, 보수력 및 총페놀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ABTS+ radical 소거 능력은 첨가구가 무첨구에 비하여 도축 후 0시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어졌다. 산양육의 주요 지방산 함량에는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에서는 quercetin을 섭취한 산양의 육에서 색과, 조직감과 전반적인 부분의 선호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조단백질 소화율, 반추위 발효성상 및 관능검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지만 육질 평가에 있어 pH, 보수력, 전자공여능, 지방산패도 및 지방산 조성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재래산양육의 ABTS 환원력이나 관능적 특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quercetin 급여가 육질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는 가능성은 제시되었다. 따라서 추후 quercetin 급여가 육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quercetin on feed utilization, blood parameters,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goats. Totally sixteen Korean native goats were employed in the experiment with eight replicates per treatment. One group was fed quercetin at 200 ppm level and the other group was fed none as control. Dietary inclusion of quercetin did not affect feed intake, water intake, urine excretion, and feces elimination.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fat, NDF, and ADF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ut crude protein digestibility was increased by dietary inclusion of qurecetin. Quercetin increased total VFA, propionate, and butyrate significantly. But pH, acetate, iso-butyrate, iso-valerate, and valerate contents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A/P ratio of the quercetin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added control. ALT, AST, Creatinine, BUN, BUN/creatinine, Albumin, γ-GT, Ca, Pi in blood and pH, water holding capacity, and total phenol content in meat of Koran native goat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dietary inclusion of quercetin. However, ABTS+ reducing activity of the muscle from goat fed quercetin was higher than that of non-added control at 0 day of storage. Dietrary quercetin did not affec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BARS value ,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significantly. Sensory analysis revealed that muscle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meat from goat fed quercet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addition. In conclusion, the dietary inclusion of quercetin resulted in the increase in digestibilty of crude protein, ruminal parameters, meat color, and meat texture, and did not affect pH, water holding capac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BARS value of back muscle, and fatty acid contents significantl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quercetin in feed increased ABTS+ reducing activity and sensory quality of meat, indicating that some beneficial effect on enhancement of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y.

      • 택지와 주거단지 통합개발 계획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조성 단국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1855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은 그동안 주택의 공급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대량공급되면서 도시경관요소로서, 도시환경계획의 대상으로서 기본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계획목표들은 경시되어 건설되어왔다. 이는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보다는 정책집행의 효율성만을 위하여 법과 제도라는 일률적 집행수단이 우선적으로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주거단지 건설시 택지와 주거단지를 분리하여 계획함으로서 도시와 격리된 자기완결적이고 고립적인 주거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 도시환경속에서 공동주택의 계획행위가 획일성에 기반한 일반적인 틀로 작동하게 함으로서 계획요소간 정합성 확보라고 하는 원론적인 계획목표의 달성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우리나라의 물리적 환경을 다루는 국토공간계획체계의 한계를 그대로 나타낸 것이라고 판단했다. 도시계획, 택지개발계획 등 상위계획에서 계획적 틀을 정하면 이에 따라 단지계획, 건축계획 등 3차원적인 계획이 이를 일방적으로 준수해야 하는 순차적이며 상위계획 주도적인 우리나라의 택지, 주거단지계획체계의 경직성과 전문분야별 폐쇄적 계획관행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대단위 주거단지 개발시 택지와 주거단지를 일체형으로 개발하는 MA설계방식의 적용이 확산되고 있으나 일관된 기준과 원칙에 따라 계획이 진행되지 않고 계획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엮어주는 운영기준이나 지침설정등 계획체계 정립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도시공간이론의 고찰을 통해 도시공간과 주거지가 갖고 있는 본질적인 속성을 고찰해 보고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 공동주택단지계획의 전개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택지와 주거단지 분리계획에 따른 동인을 주거환경 조성의 계획적 틀인 계획체계의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계획체계를 구성하는 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유형화함으로써 그 속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택지와 주거단지를 통합개발하기 위한 계획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계획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유형별 역학관계를 밝혀 결합관계에 의한 상관성 분석으로 계획체계를 구조화하여 다음과 같이 계획체계의 정립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택지와 주거단지 계획과정은 통합되어야 한다. 택지와 주거단지의 통합개발을 위해서는 계획을 하나의 과정으로 인식하는 동시에 택지와 주거단지를 통합된 계획대상으로 인식하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계획대상 뿐만 아니라 계획주체나 계획참여자간 역학관계도 하나로 보는 통합적 인식체계의 문제로서 다른 전제조건에 앞서는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다. 계획과정에서 두 분야를 통합적으로 인식하되, 각기 독자적 영역에 대한 전문성은 서로 인정하며, 지구단위계획과 같이 서로 중첩되는 부분을 다루는 분야에 대한 문제점의 보완작업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를 새로운 계획영역으로 발전시켜 나아가면서 택지와 주거단지의 계획과정을 점진적으로 통합하여야 한다. 둘째, 공동주택단지 계획초기단계부터 입체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야 한다. 일정규모의 대단위주거단지는 계획적이고 조화로운 개발을 위해서 택지와 주거단지를 통합설계 하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후보지 선정단계에서부터 입체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도록 의무화하여야 한다. 시스템이나 법령은 하나의 수단에 불과하며 가장 중요한 인자는 이를 운영하는 사람의 문제가 될 수 있다. 전문분야간 협력체제 강화하고 학문적, 인적교류를 확대하며 전문가Pool을 구축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신도시나 주거지를 건설할 경우 상호교차적인 전문가그룹이 초기단계부터 계획에 참여토록 의무화하여야 한다. 셋째, 토지이용계획과 단지계획 등 공간통합을 위한 계획기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실무적으로 단지중심의 내부지향적 계획에 전념하기 보다는 도시차원의 공간조직에도 중점을 두는 외부지향적 계획을 추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 관련 전문가의 개방적인 참여와 협력설계 시스템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하나의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책임자와 전문분야별 위원회와 같은 계획 제어장치를 구축하고 각 지구별 여건에 기초한 계획기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현행 택지개발계획과 주거단지계획이라는 두 분야의 계획과정에 있어 규범적이며 기능적인 역할과 접근방법은 인정하되 순차적 개발 또는 위계적 개발에 따른 각 분야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중첩된 계획기법의 적극적인 발굴이 필요하다. 넷째, 절차, 규제중심의 개별법을 계획, 권장중심의 통합법으로 개정하여야 한다. 현행 법체계는 단위개별법으로 제정되고 규제위주, 절차 위주로 운영되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통합설계의 제도화를 위해서는 현행과 같이 나열식 계획내용과 사업시행을 위한 계획절차 규제등 계획과 관련하여 형식적으로 제정된 주택관련법등 관련 조항의 정비 및 보완이 필요하다. 선행의 상위계획인 택지개발계획이나 각종 영향평가 등 형태를 규제하는 내용은 지구지정부터 입체적인 검토를 병행하도록 의무화하고, 규제사항을 제시할 때는 마스터플랜 수립 등 입체적인 검토 자료가 근거로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택지와 주거단지의 상호교류적 통합계획을 위하여 가칭 “택지 주거단지 통합계획법” 제정등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계획과정을 모델화하여 시험적으로 운영해 보고 실무적인 문제점을 점검하여 계획과정을 구축하는 등 점진적인 대안을 검토하여야 한다. 특히 법정계획인 지구단위계획이 택지와 주거단지의 계획적 문제점을 개선하는 장치로 활용되고 있으나 공간적 규제측면에서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는 방안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계획체계의 정립을 위해서는 계획과정, 계획기법, 계획방식의 개선과 관련법제 개정 등 상호연계체계가 구축된 통합적인 해결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행 방식과 같이 진행되는 택지와 주거단지의 개발은 기존 주거단지가 갖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기 어려우므로 본 논문에서 제시한 택지와 주거단지계획체계 모델과 같이 각 분야를 넘나드는 통합적 장치의 일관된 적용이 필요하다. 아울러 택지와 주거단지를 하나의 계획대상으로 간주하여 계획하는 기법의 적용, 계획초기단계부터 계획을 총괄하는 전문가 중심의 계획방식으로의 전환을 꾀한다. 이러한 체계로의 전환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 제공할 계획과정 중심의 계획법이 제정되어 운영되었을 때 계획체계 정립을 통한 택지와 주거단지의 통합개발이 이루어져 도시공간속에서 바람직한 주거환경이 조성되어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 Housing planning made much of separations in housing development and residential space for the purpose of mass supply of housing. As a result of, urban space is composed of self-completion, unit-oriented, individual regulations. Multi-complex housing regarded as one of valid residing type to correspond on request of age called large quantity supply of house for last half a century. So it is a component that integrated by one as townscape and city environment and should be made up harmonious environment by users. But, we emphasized uniform means of execution that despise fundamental planned goal that is quality raising of habitat and are law and system that emphasize efficiency of execution. Therefore, it is caused fatal results that are consist of construction of environment to contain self site-oriented development and self-completed by development of separating for housing and residential site. Planning of multi-complex housing is expressing limit in planned goal achievement that is establishment of consistency in urban environment which operating in general framework of base city environment in uniformity. Therefore, this thesis is judged to prove that the bounds of country space plan system that these problems handles physical environment of our country. Also, judged our country site for housing, residing that is caused in plan custom individual crippled operation of plan system and professional field blockade red only. The reason is that low rank plan must be observe the unilateral conditions of high position plan contents and that select a high position plan, leading grade and sequential grade of rank style. We investigated a essential attribute that including urban and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city space theory. Analyze the unfolding process of multi-complex housing plan in our country by timely in the 1960s that urbanization and multi-complex building consist rapidly for this. And grasp the attribute by drawing element that compose plan system. For the establishment of planning system for integration development, we must be consider that relations of the typology that is composing plan system. We proposed step application way of plan system through analysis to structure plan system by interrelationship analysis by union relation of type. Through these process, as following, presented a plan system improvement way. Firstly, The plan process of residential and housing site process must unify. Must be recognize residential and housing site by single integrated objects while recognize plan by one process for selecting land and planning object. It is most important that recognizes a plan target by one dynamics relation between plan subjects and participation of plan by one is. At plan process, recognize two fields configurationally but professionalism for individually individual sacred ground must recognize each other and solidify. To improve each other problems of planned unit plan and develop by new plan area and must integrate plan process. Secondly, Perspective master plan must be established from the beginning of project. A large scale residential site in certain scale must be design integration systematic device for the integration between residential and housing site by harmonious and systemic development. And perspective master plan must make mandatory to establish from proposed site choice step. System or statute is not more in one tool.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actors that person's problem which operate this. Solidify cooperation system between professional fields, expands a human interchange and constructs a integration professional pool. Must make mandatory to take part in project from the beginning in case constructing new town and housing site in specialist group each other. Thirdly, Plan techniques must be developed for space integration with land use and site planning. Planning must be sought head for outside intention which emphasize to space establishment of city dimension rather than concentrate head for the interior intention of urban tissues in the planning only as working-level. And need active participation of connection specialist and active induction of cooperation design system. Therefore, Plan control system must be established devices such as professional field committee with responsible person who take charge project and develop plan techniques. Current land for housing development project and residential site planning at plan that called process of big two fields must be recognized prescriptive and functional role and access method Plan techniques need circumspect research to solve problems of each field by development hierarchy. Fourth, Individuation laws of formality converts process and rigid regulation oriented to plan and encouragement oriented. Current jurisprudence is not achieving expected purpose because it is established by unit individuation method and is operated by regulations and putting formality first. Current laws need efficient full equipment and back up of house connection law article such as plan formality for plan substance of array and business trial with current for institutionalization of integration design. With land for housing development project of virtue or various effect estimations, high position plan connection regulation contents etc. that control spatial form must run parallel spatial investigations from site appointment. Also, must ready provisional name "Land for residential and housing site only plan for integrating law" back systematic device for plan of integrating that is mutual interchange of land for the residential and housing site. Operate and must establish gradual countermeasure to inspect working-level problem and establish plan process in a tentative way modeling plan process for this. Specially, planned unit plan that is official plan is limit in regulation device or spatial control of it. Fifth, For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in planning system synthetic solution way should be readied to improve planning process, planning technique, planning method and regulation. With current way, gone selecting land and development of residential site does not overcome problem and limit that existing residential site has. Therefore, Synthetic plan process needs to be land for housing and residing that go and come often each field with planning system model. Also, apply techniques to plan configurationally, regard selecting land and residential site as single target. Convert by plan method of specialist-oriented to generalize plan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project. When plan law of plan-oriented process is established, and had been operated, integration development of residential site made i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planning system.

      • 전도성 고분자의 준-결정화 및 여기자 재결합과 분리에 관한 연구 : P3HT / ZnO 계면에서의 전하 거동 제어

        조성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고분자 사슬이 응집 및 정렬되면, 고분자 사슬 간의 거리가 감소하여 오비탈의 중첩이 강화된다. 또한, 최고 점유 분자궤도(high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와 최저 빈 점유 분자궤도(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근처 영역의 에너지 준위 분화가 더 많이 발생된다. 이로 인하여, 고분자 사슬의 결정도(crystallinity)에 따라 고분자의 광학적·전기적 특성이 변화된다. 증가한 오비탈의 중첩은 전하 이동도를 향상시키고, 분화된 에너지 준위는 여기자 분리와 재결합 특성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전하와 여기자의 거동 변화는 벌크(bulk)뿐만 아니라 에너지띠 간격(band gap)이 큰 금속산화물 반도체와의 계면에서도 그 특성이 유지된다. 고분자 사슬의 결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벌크 및 계면 특성을 수직 다이오드 구조의 태양전지와 전계 유도 트랜지스터 및 다양한 계측 방법을 통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용액 상태의 고분자 사슬에 진동에너지를 인가하여 구조적인 배열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준-결정화 처리법(vibration-induced aggregation, VIA)을 고안하였다. 또한, 용액 상태의 고분자를 박막으로 형성하여도 고분자 사슬의 정렬 특성이 유지된다는 것을 구조적·전기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증명하였다. 준-결정화 처리 방법으로 준-정렬된 P3HT(poly(3-hexylthiophene)) 박막에서의 에너지 이행(energy migration)은 분화된 에너지 준위를 통하여 더욱 활발하게 발생된다. 즉, 준-정렬된 P3HT의 경우, 비탈길 에너지 전이(downhill energy transfer) 이후에 발생하는 등-전위 이동(iso-energetic charge transfer)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 과정 중 여기자는 트랩이나 비방사 재결합(nonradiative recombination)을 통하여 비활성화될 확률이 증가되면서 양자 발광 효율(quantum luminescence yield)이 저하된다. 양자 발광 효율을 저하하는 비방사 여기자(non-emissive exciton)의 형성은 벌크 P3HT 공여체(donor) 층뿐만 아니라 ZnO 수용체(acceptor)와 근접한 계면 영역의 P3HT에서도 발생된다. 즉, 준-결정화 처리로 준-정렬된 P3HT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준-정렬된 P3HT 박막의 여기자 비활성화 특성은 벌크 P3HT 뿐만 아니라 공여체-수용체의 계면에서도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준-결정화 처리를 통한 고분자 사슬의 배열 구조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P3HT / ZnO 계면에서의 최고 점유 분자궤도의 변화와 띠 굽음(band bending) 현상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변화가 여기자 분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polymer chain aggregation-induced molecular ordering and the resulting formation of lower excited energy structures in a conjugated polymer on exciton dissociation and recombination at the interface with a wide-bandgap semiconductor is provided through correlation between structural arrangement of the polymer chains and the consequent electrical and optoelectronic properties. A vertical diode-type photovoltaic test probe is combined with a field effect current modulating device and various spectroscopic techniques to isolate the interfacial properties from the bulk properties. Enhanced energy migration in the quasi-ordered (poly(3-hexylthiophene)) (P3HT) film, processed through vibration-induced aggregation (VIA) of polymer chains in solution state, is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the aggregation-induced interchain species in which excitons are allowed to migrate through low barrier energy sites, enabling efficient iso-energetic charge transfer followed by the downhill energy transfer. We discovered that formation of non-emissive excitons that reduces the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in the P3HT film deactivates exciton dissociation at the donor (P3HT) close to the acceptor (ZnO) as well as in the P3HT far away from the ZnO. In other words, exciton deactivation in its film state arising from the quasi ordered structural arrangement of polymer chains in solution is retained at the donor/acceptor interface as well as in the bulk P3HT. Effect of change in the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level and the resulting energy band bending at the P3HT / ZnO interface on exciton dissociation is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resence of vibration induced aggregates in the P3HT film.

      • Sublime Allegory : The Marriage of Heaven and Hell

        조성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1855

        정태적인 이분법의 위계질서를 허물고 새로운 비젼의 체계를 확립하려고 하는 문제는 William Blake에게 중요한 주제이다. 기존의 문학작품들과 종교의 법전들은 천국/지옥, 이성/상상력, 천사/악마 등의 상반된 속성들을 정태적인 이분법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이분법의 사고방식은 상반된 속성들의 대립을 인정하지 않고 모든 것을 선, 악의 체계로 파악하였다. 블레이크는 이러한 상반된 속성들의 대립을 인정하지 않고 부정하는 기존의 체계를 비판하였다. 기존의 전통적 체계는 블레이크에게 비판의 대상이지만 이를 부정하지 않았다. 그는 전통적 체계들과의 대립을 통하여 자신의 새로운 상상적 비전의 세계를 완성한다. 상상적 비전의 세계를 완성하기 위하여 그는 Sublime Allegory를 만들어 낸다. 그에게서 알레고리는 화석화되어서 결정적인 의미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알레고리를 살아 움직이게 하는 것이 숭엄미이다. 숭엄미는 알레고리의 의미를 전환시켜서 상상적 비전의 세계로 안내한다. Sublime Allegory가 독자들을 상상적 비전의 세계로 안내할 수 있는 것은 기존의 화석화되어 결정된 의미로서의 부정적 알레고리와 숭엄미에 의해서 살아 움직이는 은유로서의 새로운 알레고리 사이의 대립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상반된 속성들의 대립을 인정하는 것은 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위계질서를 인정하지 않는다. 위계질서는 대립물의 역동적인 협력관계를 부정하고 새로운 상상력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블레이크에게서 선과 악의 위계질서를 허무는 작업은 상상적 비전의 세계를 완성하는 시작이다. The Marriage of Heaven and Hell에서 천국과 지옥, 천사와 악마의 알레고리는 기존의 전통적 담론들이 만들어놓은 의미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로서의 알레고리이다. 이 작품이 전개되는 역동적인 힘은 천국과 지옥, 천사와 악마, 이성과 상상력의 상반된 속성들의 대립이다. 그러므로 "지옥"은 새로운 비전의 세계를 완성하는 데 필요한 긍정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지옥"은 상상적 세계를 달성하고자 하는 창조적 에너지를 억압하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허구의 세계이다. 이러한 지옥의 의미는 새롭게 역전된다. 블레이크는 Sublime Allegory를 통해서 기존의 전통적 담론들이 만들어 놓은 절대적 개념들을 허물고 새롭게 전환시키고자 한다. The Marriage of Heaven and Hell 역시 전통적 담론들과의 역동적인 대립을 통해서 창조된 블레이크의 비전의 세계이다. Before advance of Romanticism, people with authority tended to establish all discourses and institutions by a unified standard. Neoclassicism absolutely relied on the abstract system of rationality. William Blake, a forerunner of Englsh Romanticism, sought for a vision of infinite conflict between contrary properties such as nature/man, reason/imagination, generality/particularity, heaven/hell. In his advocacy of Romantic agenda for self-consciousness, Blake criticized supporters of empiricism for excluding particularity and imaginative power. As a supporter of Reynold's painting theory, he denounced any generalizing aesthetics, which excludes "minute particular." Blake employs allegory and deploys its specific features, "polysemy" and "multidimension," in order to overturn the established philosophical abstraction and to realize his own imaginative vision. To him, vision and imagination are always part of an unceasing process of creation. One of his aesthetic goals is to restore the human capacity of imagination that the ancient poets had possessed: "The Ancient Poets animated all sensible objects with Gods or Geniuses, calling them by the names"(M.H.H, 11:l-5). The ancient poets believed that the divinity resides in human mind capable of such activities as naming and poetic creation, and that it is perceivable through visible objects. Such empiricists as Newton and Locke are destroyers of what Blake calls "Jerusalem", a paradise where man can reach through his or her infinite imagination. They oppressed man's creative inspiration since they pursed a univocal concept of language instead of a creative language that could produce polysemous signifiers. Blake's poetry is an attempt to break from conventional concept of language and to realize his vision of creation. "Poetic Genius" is shrouded by "rotten rags of memory" and poetic imagination is overshadowed by clouds of rationality. Arbitrary sign is confined in limited structure. "Poetic Genius" shrinks by "rotten rags of memory" It was this tyranny of rationality that destroyed Jerusalem and Jesus. To Blake the restoration of "Poetic Genius" is a necessary step for breaking down repressive institutions such as religion, politics, and economy, in order to create a Utopian world. Being confined in the arbitrariness of language means only a repetition of "the dull roundness of convention." Breaking from it is a revolutionary attempt to accomplish his vision. His poetic wish is to restore a nonhegemonic cultural voice as creative language of "Poetic Genius." Blake's poetry articulates a conflict between hegemonic dicourse and nonhegemonic discourse. His ultimate vision is to restore the powerful energy of unconscious desire locked in convention and systems. In other words, his vision is an unceasing conflict between creation and re-creation, which is not fixed as the absolute truth. The world in which the energy of desire can unfold itself without restraint is the very one that Blake tries to construct in his poetry. It is said that Blake's poetry leads readers to what he calls "Jerusalem." But it is not easy for most of them to grasp his poetry. His original mythic world escapes reader's understanding. Even though Blake's contemporary critics thought that his short lyrics showed his poetic genius, they disregarded his later prophetic poems as a phantom created by an insane person. The reason why Blake was thought of as an "unfortunate lunatic person" is not because his prophetic poems are hard to make out, bur rather because his mythic system threatens ruling systems of his time. His poetry subverts established systems and institutions that were privileged as hegemonic for a long time. This subversive system is sustained by what Blake calls "Sublime Allegory." It denies mechanical systematization obstructing the spur of creative energy. Blake's "Sublime Allegory", which is characterized by polysemy and multidimension, refuses to be solidified as an absolute origin and meaning through unceasing changes and inversions. Such a flexible allegory subverts repressive systems and incessantly produces new meanings. His "Sublime Allegory" is created by a struggle between negative allegory (rationalistic distortion) and positive allegory(imaginative vision). Blake advocates for what is explicit, indeed, but he opposes what is too explicit. This ambivalent attitude is revealed in his use of allegory. Allegory has the power to represent truth in a recognizable size or scope. As he says, "The Infinite alone resides in Definite and Determinate Identity"(Jerusalem, 17:60), The reason is that to incarnate spiritual entities into tangible things doesn't distort truth. By means of allegory, Blake imposes a definite, perceptable form on his own spiritual vision to be sensibly perceived. Blake's allegory does not formulate his vision into a unilateral system, which prevents the poet's imagination from bringing forth multiple meanings. To him allegory is a device to create multiple meanings in a text by producing an intersubjectivie space. In this sense, Blake's allegory is not enough to represent the absolute truth, but dynamic enough to represent truths that are unceasingly transformed through all times. Allegory's historical dimension is created since it does not reflect transcendental truth, but produces a dialogical relation with readers through all times. Blake's "Sublime Allegory" prevents divine imagination from being shrunk by the repression of Urizenic "brass law". Through "Sublime Allegory" Blake creates new system which is created in a conflict between "Urizenic System" and energy of desire. The latter, which is a power to break from the boundary imposed by former, the repressive system. Blake's "Sublime Allegory" is an unceasing creation to seek an escape from absolute truth rather than to seek an absolute truth. Blake prefers a dynamic conflict to a static compromise, into which binary oppositions between good and evil are incorporated. The Marriage of Heaven and Hell is a product of Blake's own political, religious vision, in order to accomplish what he needs as a system of polysemy and variety, a system resisting the convention of unitary signification. He realizes that "heaven" and "hell" are not real places, but delusions of Christian metaphysics. In the Marriage of Heaven and Hell, Blake creates new meaning of "heaven" and "hell" by subverting conventional concept of them. The new meaning of "heaven" is a place where it allows for dynamic creativity spring from conflicts between contrary concepts while the new meaning of "hell" is a static place where the dynamics of conflicts is negated. He tries to peel off heavy crusts of significance to transform traditional allegory into creative mean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