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조선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행동과의 관계 유아교육전공 조선희 지 도 교 수 이경화 본 연구는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행동과의 관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의 개인배경(연령, 성별)에 따라 유아의 자아개념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2. 유아의 개인배경(연령, 성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에는 차이가 있을것인가? 연구문제 3.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것인가? 연구문제 4. 자아개념 수준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개인정서조절능력, 대인관계형성능력, 유치원적응능력)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G구에 위치한 3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아 110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이경화, 고진영(2003)의 “유아용 자아개념 검사”와 McGinnis와 Goldstein(1990)의 ‘Skill Situations Measure'를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1993)가 수정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ANOVA 그리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라 유아의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별로는 만 4세아가 만 5세아 보다, 성별로는 여아보다 남아의 평균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연령별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만 4세아가 만 5세아 보다, 성별로는 여아보다 남아의 평균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는 r=.268∼682 수준에서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행동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유아의 자아개념 수준에 따라 친사회적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자아개념 수준이 높은 유아일수록 친사회적행동 점수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행동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형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유아의 자아개념을 분석하여 자아개념 향성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친사회적 행동지도를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교육적 시사점을 갖게 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Early Childhood Education Seonhui Jo Supervised by Professor Kyung-Hwa L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Henc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depending on their personal background (age, gender)? Research question 2. Is there a difference i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depending on their personal background (age, gender)? Research question 3. What correlation exists between children’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Research question 4. Is there a difference i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bility to control personal emotion, ability to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o adapt to preschool life) depending on their level of self-concep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10 preschool children attending three different child care centers in G area, Seoul. For test tools, ‘Early Childhood Self-concept Test’ by 이경화 and 고진영(2003) was used along with ‘Skill Situations Measure’ translated by 이원영, 박찬옥, and 노영희 (1993) from the original version by McGinnis and Goldstein (1990).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18.0 and to calculate t-test, ANOVA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 summary of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self-concept depending on age or gender. Children’s self-concep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with such variables as age or gender. Four-year-old children on average scored higher than five-year-old children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age group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Girls scored higher than boys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depending on age or gende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with such variables as age or gender. Four-year-old children on average scored higher than five-year-olds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age group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lso, girls scored higher than boys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rd, a clos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hildren’s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Correlation r = in..268-682 level showed a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 child’s self-concept and his/her pro-social behaviors. Fourth, differences in a child’s pro-social behaviors depending on his/her level of self-concep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ther words, pro-social behaviors vary depending on level of self-concept. Children whose level of self-concept is high will also score higher in pro-social behaviors. In conclusion, as seen from the study,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elf-concept and factors of pro-social behaviors. Therefore, this result is expected to promote instructions for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investigating related variables that helps children adapt to social situations with confidence through fostering positive self-concept and pro-social behaviors.

      •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성장욕구의 조절효과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선희 호서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고령화 사회로 인한 전문요양의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는 현실에서 요양보호사는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인적자원이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낮은 사회적 인식과 처우는 직무불만족, 조직에 대한 애착 부족, 이직 등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와 같은 문제들은 요양서비스 제공에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 중 하나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요양보호사의 직무태도 원인이 조직 자체 직무설계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탐구하여 직무재설계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직유효성이란 조직이 얼마나 잘 운영되고 있는지 또는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표시하는 개념으로 조직의 성과를 평가하는 기준이며, 조직의 성공 정도를 나타내는 지침이다. 현재 요양보호사 관련 연구에서 조직유효성을 심층적으로 다룬 연구는 많지 않으며, 소수의 독립변수 결정요인으로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 등을 분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독립변수인 직무특성 측정요인으로 핵심직무특성, 업무환경특성, 역할특성의 측면에서 절충 사용하여 직무다양성, 직무중요성, 직무자율성, 대인관계, 교육훈련, 역할모호성, 업무량의 7개 요인을 설정하였다. 이와 함께 종속변수인 조직유효성 측정을 위해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3개 요인을 선택하였다. 더불어 심리적 상황요인인 성장욕구의 조절효과와 중요심리상태인 자아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사용하여,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다양한 변수들을 사용하여 포괄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충청남도 소재 입소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54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 중 502부를 수거하여 자료로 쓰기에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 23부를 제외한 유효설문지 47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 9.2 통계패키지와 AMOS 5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다양성, 직무중요성, 대인관계, 교육기회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고, 업무량은 조직몰입에 부정적 영향관계를 보였다. 둘째, 직무다양성, 직무중요성, 대인관계, 교육기회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고, 역할모호성과 업무량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다. 셋째, 직무중요성은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업무량은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였다. 넷째, 직무자율성은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 중 어느 것과도 아무런 영향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성장욕구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성장욕구 상위 25% 만이 직무중요성, 역할모호성에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간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여섯째, 직무특성과 조직유효성 간 자아효능감의 매개역할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수정모형의 경로과정에서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특히 직무중요성과 업무량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관계는 물론 직무만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관계도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직무특성 요인 중 직무다양성, 직무중요성, 교육기회, 대인관계, 역할모호성 및 업무량은 조직유효성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였다. 한편 성장욕구는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었으나,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없었으며, 직무특성과 이직의도 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론에 근거하여 요양보호사의 직무재설계 및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자유무역협정의 환경규정에 관한 법적고찰

        조선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역과 환경에 대한 문제가 점차 중요해지고 FTA체결이 확산되어감에 따라 이와 관련한 FTA와 환경규정간의 관계에 대한 법적 고찰을 수행하여 보고자 한다. 1970년대 중반 이후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자유무역이 급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환경보전과 국제 무역 간의 논의가 활발해지게 되었다. 환경보호와 무역증진 중 어느 쪽에 우위를 둘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 일게 되었다. Siebert, McGuire를 비롯한 환경보호론자들은 자유무역은 생산의 증가로 인해 자원의 소비를 촉진하며, 오염물질의 배출 또한 늘게 하여 환경 파괴를 일으킨다고 주장한다. 반면 경제학자들을 위시한 무역보호론자들은 자유무역을 통해 이룬 경제성장은 높은 수준의 환경보호를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게 하여 오히려 환경보호에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온다는 주장을 각기 내세웠다. 이러한 논의들과 함께, 점차 오염되어가고 있는 환경에 대한 자각과 관심이 증가 고조됨에 따라 환경에 관한 구체적인 규범들이 급속도로 생성되었다. 1972년 UN인간환경회의의 결과로 채택 된 스톡홀름 선언을 시작으로 1982년 리우환경개발선언 및 의제 21, WTO CTE의 의제10, DDA 등의 논의를 통해 무역 연계 환경의제는 더욱 구체화 되었다. FTA의 체결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규제하기 위하여 FTA 환경규정을 마련하게 되었으나 아직까지 확립된 체계가 정의되지 않아, 앞으로 우리나라의 현실에 부합하는 협상전략과 원칙의 정립이 필요하다. 사실상 FTA에서 찾아 볼 수 있는 환경 규정의 형태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는 FTA의 부속협력협정으로서 독립적인 협정의 체계를 갖추고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FTA 협정문 내에 하나의 장(章)으로 규정 되어 주요 의제 중 하나로 규정되어 있는 형태이다. 부속협력협정은 의무이행체제, 협력이행체제, 분쟁해결체제를 규정하여 FTA 환경규정의 기본적인 골격을 형성하였다. 이후 미국이 당사자인 FTA 내에 이러한 환경규정을 주요의제 중 하나로 도입함으로서 환경장(章: Chapter)형태의 규정을 도입하여 자발적(또는 보충적) 환경보호 강화를 위한 메커니즘 또는 기업의 책무 등과 같은 보다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제도를 갖추게 되었다. 미국과 캐나다가 체결한 3개의 부속환경협력협정은 독자적인 분쟁해결절차를 갖추어 적용하는 반면, 환경장 형태의 환경규정은 FTA 본래의 분쟁해결절차를 적용하게 된다는 점이 이들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반면 한-미 FTA 이전까지는 우리나라가 당사자인 FTA에는 환경규정이 전무하였다. 한-미 FTA는 우리나라가 환경규정을 도입 되어 명문화 한 최초의 FTA로, 기존의 미국이 당사자인 FTA에 비하여 민간조사요구제, 환경협력협정 등의 구체적인 이행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추가협상이후 최종타결·서명 된 한-미FTA는 환경분쟁해결 절차를 삭제하고 일반 분쟁해결절차를 적용하였으며, 양국이 당사자인 7개 국제환경협약에 관한 분쟁에 대하여 사안인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동절차를 원용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이로 인해 한-미FTA는 분쟁해결절차의 적용 대상의 폭이 넓어졌으며, 과징금이 승소국에 귀속 되게 됨에 따라 이행의 강제를 강화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문언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FTA 환경규정은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안고 있다. 첫째는 환경주권과 관련되는 높은 수준의 환경보호 규정에 관한 문제와 ‘국내 환경법의 효과적인 집행’의 의미규정 및 분쟁해결절차에 대한 강제력 부과, ISD절차에 있어 환경을 목적으로 하는 간접수용의 경우를 정의하는 문제를 공통적으로 안고 있다. 궁극적으로 국내 환경법의 효과적인 집행에 대한 실패 또는 빈약한 이행은 FTA 환경 부문의 협상에 있어서 혼란을 초래하거나 당초 협상을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해결하기 위하여 인센티브 프로그램이나 협력 프로그램, 새로운 형태의 과징금, 지적재산권 분야의 역외관할규정 등을 원용하여 효과적인 이행을 유도할 수 있는 수단 및 방법을 고려해 보고 이들을 국내 행정·사법체계에 도입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앞으로 EU, 아세안, 일본 등과의 FTA 체결을 앞두고 있으며, 이러한 FTA와 과련하여 환경규정은 중요한 의제가 될 것이기 때문에, 부속환경협력형태 또는 환경장 형태를 취할 것인지를 비롯한 여러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국내 환경법의 효율적인 집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기업들의 환경법 준수 의식을 고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행정기관의 유명무실화를 피하고 감시나 모니터링을 전문적으로 이행해 나갈 수 있는 전문기관과 전문인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환경권은 개별입법에 위임되어 있어, 이에 의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야 비로소 적용 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정보공개청구권, 환경정책참여권, 환경사법심사청구권 등 환경권을 행사하기 위한 명확한 요건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The discussion background between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international trade commenced late in the 1980s as setting priority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rade has raised controversies. Environmental protectionists including Siebert and McGuire argue that free trade caus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by increasing production, which promotes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emission of polluted materials. In contrast, proponents of trade including economists argue that trade positively affects environmental protection. It is because economic growth enabled by free trade nurtures the ability to pursue high level of environment protection Beginning from Stockholm Declaration on the Human Environment, which was adopted by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 in 1972, the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and Agenda 21 in 1982, WTO CTE’s 10 Work plan, and DDA discussions, discussions that link trade and environment have become more elaborate. And then various environmental agreements including trade regulations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have been performed. In particular, when the 1990s arriv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arth environment and international trade become raised more and environmental problems advanced to the situation which might threaten the FTA system. With the increase of FTAs, environmental regulations were devised in FTA’s to cope with accompanying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concrete environment protecting devices were not established in FTA’s. Therefore, in carrying out future FTA negotiations, negotiation strategies and principles that suit Korea’s reality must be established. The FTA's environmental regulations have two types of form. First is Side-Agreement that is independent environmental agreements of FTA. And the other is Environment Chapter that consist one of major agenda in FTA. Side-agreements, which define systems for implementing obligations, cooperation, and dispute settlement, began to form the basic structure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of FTA’s. Afterwards, in FTA’s where the United States was a party,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were adopted major agenda items and an environment chapter was introduced to provide a mechanism for strengthened voluntary (or supplementary) environment protection or more detailed and specific institutions such as corporate responsibility. Environment chapters are included in the main text of the agreement, while the side-agreements apart from the main text. This allows environment disputes to be addressed through the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used to resolve all other covered areas. That is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supplementary agreements and environment chapters. Before the Korea-US FTA, there were no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FTA that Korea was a party. In the final Korea-US FTA that was finally concluded and signed after the additional negotiation, dispute settlement process was deleted and the general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was adopted. And more when trade-related conflicts involving the seve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s, to which the countries are parties, occur the procedures will be applied and that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agreement. As a result,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dispute settlement procedure in Korea-US FTA has been widened and because surcharge will be reverted to the winning country, it is expected that coercive effect on implementation will be enforced. However, despite textual differences, FTA environment regulations are commonly subject to the following issues that have to be solved: the definition of high level of environment protection, effective enforcement, legal binding force of dispute settlement. Ultimately, lowering of the level of environmental protection or failure or insufficient implementation of domestic environmental laws can cause difficulties in environment-related FTA negotiation or even make the negotiation impossible. Therefore, means and methods that can induce effective implementation must be considered and methods of introducing them to domestic administrative and legal systems should be explored. And it is needed to consider means and method that can drive effective performance of incentive program or cooperation program, new concept of fines, IPR approach and need to grope method that can introduce these in domestic administrative or justice system. In the future, Korea has to conclude FTA’s with the European Union, the ASEAN, Japan, etc. In the FTA’s, environment regulation will emerge as an important agenda item and a number of issues have to solved including the regulation should take the form of supplementary environmental cooperation or the environment chapter. So it is important that domestic environmental law observance ceremony of individual and corporations in order to effective enforcement and need to secure professional institution and manpower which can fulfill supervision or monitoring environment specially. In addition, the fact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s that environmental rights in Korea are commissioned to individual acts and the rights can be protected only when corresponding acts exist. Therefore, clear conditions for exercising environment rights - such as the right to access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right to access to administrative decision-making or law-making, the right to access to courts for environmental issues, etc. - should be established.

      •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과학적 자료 해석 비교 분석

        조선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의 양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현대 사회의 특성을 고려할 때 자료 해석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은 현대 교육자들의 중요한 의무이다.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과학적 자료 해석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 해석의 다양한 측면을 보기 위하여,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변인의 수와 변인과 자료의 제시 순서가 다양한 과제를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통합 탐구의 수행이 가능한 초등학생 6학년 10명과 대학생 5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의 주어진 정량적 자료에 대한 자료 해석 활동을 촬영하고, 추가 인터뷰를 실시하여 프로토콜을 생성하였으며, 학생들이 자료 해석 활동 중에 작성한 활동지도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자료 해석 활동에서 변인 인식, 계산, 표지의 사용, 자료의 정리 등이 관찰되었으며, 일부 대학생은 자료 해석에 그래프를 이용하였다. 초등학생 중 몇몇은 변인과 자료의 순서가 일반적이지 않은 자료에서 관련된 주요 변인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이들의 자료 해석 결과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변인 인식에서 초등학생이 보여준 기능적 고착과는 달리, 대학생들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문제의 핵심 측면을 표상하여, 자료 해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자료의 핵심 측면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교수 설계를 학생들의 자료 해석 능력 발달을 위한 방안으로 제안한다.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interpret the vast amount of quantitative data they encounter on a daily basis has become a major task for today's educa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interpreting data. To catch a immense variety on interpreting data, the task with a diversity of numbers and ordering of variables used.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en elementary students who can use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five university students as a adult. To collect data for analyzing students' interpreting data,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elementary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interpreting data and interviewed with students to collect additional data. The protocol to analyze the result was established from recorded data and from the students' no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was presented that is identifying variables, a mathematical operations, use of mark, use of prior knowledge, reordering data on students's interpreting data. Some of university students used graph to interpret data. But, as a result of difficulty with untypical data of som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failed to interpret data. It was likely to came from a functional fixedness of untypical data. In contrast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successfully interpreted same data. Because of their abundant prior experience about process skill and domain knowledge, they could make representation of the core of data.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 would get a chance to interpret data with a variety of nature, to catch the core of data for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interpret the vast amount of quantitative data.

      • KINDS에 있어서 자연어와 동의어의 검색 효율성 비교 연구

        조선희 숙명여자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신문기사 데이터베이스는 색인 및 검색에 있어서 자연어나 통제어의 한가지 유형을 고수하기 보다는 검색의 효율성과 유지의 양면을 고려하여 통제어와 자연어를 혼용하는 병용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각 신문사마다 어려운 당면과제로 남아 있는 통제어의 사용 여부에 대한 검색 효율성상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 각 신문사에서 활발히 이용되는 한국언론연구원의 종합 신문기사 데이터베이스 KINDS를 대상으로 자연어와 동의어 검색의 적중률과 검색 효율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어를 검색에 사용하는 경우는 동등관계의 용어들중 어떤 용어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적중률과 검색 효율성이 매우 가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연어 검색시에는 해당 분야의 주제와 용어에 대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적중빈도가 높은 용어를 검색어로 사용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수작업 색인이나 자동색인 모두 효율적인 검색을 기대할 수 없었다. 둘째, 동의어 검색은 자연어와 비교해 재현율이 매우 높았으나 반면 정확률은 약간 감소하여 동의어가 재현장치임을 입증하고 있다 셋째, 서울신문과 KINDS전체를 비교하였을때 적중빈도면에서 살펴본 신문용어의 사용 경향은 거의 유사했으며, 자동색인 기법을 사용한 경우 적중률은 재현율과 매우 유사한 수치를 나타냈다. 신문기사 데이터베이스는 재현율을 중시하는 사실 데이터베이스이며, 또한 전문 데이터베이스로서 보다 효율적인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연어 시스템에 통제어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의어 사전은 색인 단계에서 전거파일로 사용되거나 혹은 탐색용 시소러스로 역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ent Newspaper Articles Databases have been using a hybrid system of free keywords and controlled keywords simultaneously in consideration of the retrieval efficiency and systems maintenance, rather than using a specified types of free or controlled key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hit rate and retrieval efficiency of free keywords and controlled keywords in KINDS(Korean Integrated Newspapers Database System) of the Korean Press Institute, which is commonly used by Korean Newspapers. The matter of vocabulary control for newspaper articles is a very difficult problem for most newspapers in Korea and there has been no study done on this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using free keywords, the hit rate and retrieval efficiency proved to be variable, depending on selection of terms that have equal relations. That is, the searcher must hav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keywords with highest occurrence in order to accomplish a free keyword search. Otherwise, retrieval efficiency is so poor in both the human indexing and automatic indexing method. Second, in the instance of using controlled keywords of synonyms, the recall ratio is very high, but the precision ratio is a little lower. Therefore, controlled vocabularies prove to be important as a recall device. Third, when Seoul Daily Newspaper articles in KINDS were compared with all articles in Kinds, the frequencies of hit occurrence of terms were discovered to be very similar. And in the case of automatic indexing, the hit rate was almost the same. Newspaper databases are fact and full-text databases in which the recall ratio is significant. Use of free keyword and controlled keyword systems simultaneously is the most desirable method to achieve retrieval efficiency. Synonyms can be used as an authority file or as a thesaurus for searching aids.

      • 브랜드이미지 제고를 위한 통합디자인커뮤니케이션(IDC)전략

        조선희 全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화, 다변화되는 정보사회에서 정확하고 빠른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상을 고려할 때, 효과적인 시각전달을 위한 브랜드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요소가 무엇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는 기업체에서는 모든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창출하여 친근감 있게 사용함으로써 기업의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더 가깝게 접근시키고 있다. 이는 기업 아이덴티티인 사명(社名)을 브랜드화 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점차 기업 디자인 아이덴티티와 기업브랜드를 동일하게 하는 단일형 브랜드 이미지 전략을 내세워 브랜드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브랜드가 오늘날에는 그 범위를 넘어서 기업자체의 브랜드화나 기업철학의 브랜드화 같이 경영전략으로 받아들이게 되면서 기업 디자인 아이덴티티로서 브랜드의 접근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이처럼 기업 디자인 아이덴티티 화는 오늘날 기업의 핵심적인 경영전략의 일환 및 기업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국내에서도 일부 대기업을 중심으로 활용하기 시작하고 있지만 그간 시각시스템에 관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연구 결핍과 대기업마다 업종과 문화권을 무시한 채 획일적인 브랜드 구조 체계로 인하여 효과적인 수용과 전문적인 활용에 있어 많은 한계를 가져오게 되었다. 최근에 들어 국내 기업들이 21세기의 세계화에 대비한 기업이미지통합계획에 대해,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기업의 통일된 시각이미지가 앞으로 소비자들에게 있어 가장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창출 도구로서 그 필요성과 가치를 제안하는 추세이다. 스타벅스의 예를 보더라도 매장 간판, 실내 디자인, 커피를 파는 종업원의 태도, 광고, 그리고 고객들의 구전효과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스타벅스만의 독특한 기업이미지를 구축하였던 것이다. 외국 기업들의 사례를 보았을 때 기업의 이름과 그 이름을 연상하게 하는 시각적 이미지가 통합적으로 적용된 기업의 경우 시각적 이미지가 제품과 어울려 하나의 기업이미지로 쉽게 인지됨을 알 수 있었으나 국내 기업의 경우 통합디자인커뮤니케이션(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활용되고 있지 못한 현상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국내 기업들의 통합디자인커뮤니케이션(IDC)현상을 비교 분석해보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방문판매업체인 N사의 기업이미지 제고를 위한 통합디자인커뮤니케이션(IDC)의 적용사례로 그 연구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사례를 통해 많은 국내 기업들도 장기적이고 뚜렷한 기업이미지로 차별화하기 위해 통합디자인 커뮤니케이션(IDC) 전략 활용으로 앞으로 기업 이미지와 기업자산가치 구축에 있어서 중요한 성장요소로 작용될 것이다 Harvard Business School의 Robert Hayes가 말한 다음의 이야기로 정리하고자 한다. "과거의 경쟁력은 가격이었다면, 현재의 경쟁은 품질이며, 미래의 경쟁은 디자인이다." In today's society characterized by a plethora of information, accuracy and spee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have become prerequisites for all successful communication. Accordingly, product and business brands, being strategic marketing communication tools, are becoming the object of growing attention on the part of an industry in search of more effective designs. Companies in the service sector in particular are making extensive use of logos and identities to imprint their images on consumers. More and more companies brand the company ID and many of them no longer distinguish company ID from their product or business brands. Adopting a single-brand strategy offers the advantage of making brand management easier and more effective. As a matter of fact, in today's business world, where company branding and management philosophy branding have become a crucial element of corporate operation, branding has ceased to be what it once was, and is now an integral part of management strategy. While use of company identity as a strategic tool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is increasingly popular especially among large corporations, identity branding in Korea is still far from being efficiently exploited due to the lack of systemic and empirical studies on visual system and to the adoption of uniform brand structures among companies, which are not well adapted to their respective sectors or to the cultural spheres in which the communication takes place. During more recent times, Korean companies have started to show signs of waking up to the need of company image integration in conjunction with plans for business globalization, and discussions on the critical importance of an integrated visual image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tool of communication toward consumers are underway. One successful example of integrated image branding is Starbucks. The coffee franchise comprehensively manages its image, throughout all available communication tools such as store sign, interior decoration, staff attitude, advertising, notably word-of-mouth advertising, to build its own unique business image. Many foreign companiesprovide excellent examples of design integration where visual images chosen to represent the company are ideally matched to and evocative of company name for clear and easy recognition. In comparison, most Korean company IDs and brands constitute examples of poor application of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realizations of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as found in different domestic companies, and subsequently proposes a model of improved application of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using NamyangAloe as a sample case. The example proposed by this study can significantly benefit Korean companies for achieving more fully integrated design communication to create distinctive and well-defined corporate images, which are critical for company value growth. The following thought, from Robert Hayes of Harvard Business School, sums up the spirit of this inquiry: "If yesterday's competitiveness was price, today's competitiveness is product quality, and tomorrow's competitiveness,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