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섭적 효과를 회피하는 직접적 글루코즈 산화를 위한 다공성 금 양극 및 산소 환원을 위한 빌리루빈 옥시다제 음극에 관한 연구

        조상은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1871

        본 연구는 PAA-PVI-[Os(dcl-bpy)2Cl]^(+/2+)와 BOD 효소가 전선연결된 BOD 음극에서의 촉매적 산소 환원반응의 비활성화를 초래하는 유레이트의 영향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전극수식법에 대하여 수행한 결과이다. BOD 음극과 수식층의 전하분위기를 조절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양이온 분위기의 BOD 효소층 위에 음이온 유레이트와 전하반발력을 일으킬 수 있는 음이온막인 나피온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나피온 코팅처리는 유레이트에 대한 차단은 효과적이었으나 음이온막인 나피온 자체로 인해 BOD 음극의 활성을 잃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BOD 음극과 나피온막 사이에 양이온 분위기의 BOD 음극을 보호할 수 있도록 양이온 분위기의 양이온 중간막을 도입하였다. PAA-PVI가 적합한 후보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며, 이후 유레이트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최대의 산소 환원전류를 얻을 수 있는 PAA-PVI 층의 코팅부피를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25 mg/mL PAA-PVI 15 μL와 1 wt% 나피온 6 μL 순으로 이중막 코팅처리한 BOD 음극을 사용하여 체내 조건과 유사한 pH 7.4, 0.15 M NaCl, 포스페이트 완충용액에서 유레이트의 부정적인 영향을 피한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PAA-PVI/나피온-BOD 음극을 세룸에 적용할 경우 3시간 정도에 산소 환원 활성을 잃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유레이트 이외에도 여러 방해물질의 존재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유레이트 이외에 세룸 구성 성분인 글루타티온, NADH, SCN^(-), Br^(-), 락테이트, 피루베이트, 하이드로부틸레이트, 아세토아세테이트, 타우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글루타티온, NADH, SCN^(-)이 추가적으로 BOD 음극의 비활성화를 초래하는 물질로 판명되었다. 이들 중 음이온인 NADH와 SCN^(-)은 PAA-PVI/나피온 이중막 코팅처리로 영향을 차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중성인 글루타티온은 제안한 수식전극에서 50 %에 달하는 전류감소 현상을 야기시켰으며, 이는 글루타티온이 BOD 음극의 비활성에 책임이 있는 세룸 성분 중 하나임을 의심하게 한다. 현단계에서 PAA-PVI/나피온 수식 BOD 음극이 음이온 방해물질의 차단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중성 방해물질의 손상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electrocatalytic glucose oxidation and oxygen reduction reactions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because of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to sensors and glucose-oxygen biofuel cells. For most results, enzyme electrodes were generally employed. Glucose oxidase or glucose dehydrogenase for the glucose anode, and laccase or bilirubin oxidase for the oxygen cathode have been used. The enzyme electrodes, however, have some disadvantages of a complicated fabrication and insufficient stability due to the instinct enzyme natures. Interfering effects of some electro-oxidizable biological components such as ascorbic acid, urate, and acet- aminophen should be also overcome. This dissertation includes the studies of the direct glucose oxidation at noN^(-)enzymetic porous gold electrodes in part I-1 through I-3 and an anioN^(-)excluding bi-layer protecting the wired-bilirubin oxidase cathode against anioic interfering species in part II. In part I-1, glucose oxidations avoiding the interfering effect of ascorbate at porous gold electrodes after amalgamation treatments were studied. The amalgamation treatment produced a highly porous structure at a gold electrode surface and catalytic effects of reducing overpotential and increasing oxidation currents were resulted. With these effects, a good selectivity for glucose oxidation against ascorbate, which is a common interfering species, could be obtained. With a gold electrode with a 60s amalgamation treatment, an optimal condition was determined and two glucose calibration curves at different potentials were made in a normal human glucose concentration range in the presence of 0.1 mM ascorbate. Sensitivities of 16 Acm^(-2)mM and 32 Acm^(-2)mM at -0.1 V and +0.25 V, respectively, were evaluated. In part I-2, EQCM studies were carried out during the glucose oxidations at a gold surface, on which gold nanoparticles were electrochemically deposited. In an open circuit potential condition, glucose was injected and mass change was detected by the QCM experiments. A spontaneous adsorption of glucose at the electrode surface with the gold nanoparticles attached was observed by the surface mass increase while no mass change was measured at a bare gold electrode. During the oxidation of the adsorbed glucose, the EQCM measurements indicated desorption of the product from the surface. As the surface became inactive, the glucose seemed not to adsorb on the surface any more. In part I-3, an effect of different size of gold nanoparticles in the direct glucose oxidation was investigated. Gold nanoparticles of 7.2, 17.3, and 30.7 nm diameters were prepared and characterized by size distribution analyzer, uv-vis spectroscopy, and FE-SEM. They were spontaneously adsorbed on the EPG surface, which was employed for the glucose oxidation. In the comparison of the glucose oxidation current vs. the microscopic surface area of the gold nanoparticles among different sizes, size effect was observed. As the size of the gold nanoparticles became smaller, higher glucose oxidation current was measured. In part II, studies regarding to the protecting bi-layer against biological components damaging the wired-BOD cathode for the 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O₂ were carried out. The anioN^(-)excluding membrane, Nafion, can not be directly used because of its de-wiring effect in the electrostatic binding of the BOD enzymes with the redox polymer chains. An intermediate layer of cationic polyacrylamide-poly-N^(-)vinylimidazole between the BOD cathode and the anionic Nafion was introduced. With this bi-layer, the BOD in a phosphate buffer solution could be protected from the Nafion layer and influxes of anionic interfering species, such as urate, NADH, and SCN^(-), could be successfully prohibited. The bi-layer over-coated BOD cathode was also examined in a bovine serum, and its activity was still lost in a few hours, which suggests the existence of other damaging species in addition to the anionic interfering species.

      • 사례기반 추론을 통한 냉동 사이클 성능 예측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조상은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Recently due to the oil and commodity prices, the world countries need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s, refrigerators, other small household and commercial refrigeration systems are no exception. Each company is trying to get the most effective with less effort and is trying to resolve this problem through using refrigeration cycle simulation. Refrigeration cycle simulation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ycle to reduce effort and cost is a good way. However, the theoretical refrigeration cycle simulation is hard to predict the actual abil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test results is occured. In this study, it shows to reduc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experimental results and theoretical simulation results. Firstly, to extrac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s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experimental results and theoretical simulation results, it is use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the decision tree method. Secondly, Case-based reasoning techniques, SVM (Support Vector Machine), MARS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Boosting Tree, Multiple Regression, are applied to the main factors and the results of applying each of the cases are compared and analyzed. Finally, through actual system by implementing the SVM superior to generalization ability, this study shows difference between simulation results and the actual test results and suggest the optimized forecasting model

      • Iodine-free polymer electrolytes and crosslinked polymer electrolytes for dye-sensitized solar dells

        조상은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인류는 현재 대부분의 에너지를 화석연료로부터 얻고 있지만, 화석연료의 한정된 매장량과 환경 오염 문제로 인해 이차전지, 태양전지, 연료전지를 주축으로 석유 대체 에너지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태양전지는 공해가 적고, 자원이 무한적이며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지고 있어 미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 중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5분의 1정도의 생산가격으로 고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휘어짐이 가능하며, 투명하고 염료를 통해 여러 가지 색을 구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많은 장점을 가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상용화 하기 누액 문제를 가지는 기존의 액체전해질을 대체 할 수 있는 고체 전해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두 종류의 고분자 전해질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 번째, 승화성을 가지는 아이오딘을 첨가하지 않고 이온성 액체와 TBAI만을 첨가하여 고분자 전해질을 만들었다. 사용한 고분자는 Nonyl phenol ethoxylate로써, 아이오딘을 첨가 하지 않은 전해질과 첨가한 전해질 두 가지를 만들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하였다. 초기에는 빠른 산화환원 반응으로 아이오딘을 첨가한 전해질을 사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좋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1000시간 뒤, 두 종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거의 비슷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아이오딘을 첨가 하지 않은 고분자 전해질이 더 좋은 내구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 화학적 가교결합을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을 만들었다. 1-vinyl imidazole을 기초로 한 공중합체 P(VIm-co-EGMEA)를 합성하여 가교제인 1,5-diiodopentane과 함께 액체상태인 전구체 전해질을 만든다. 만들어진 전구체 전해질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주입하여 열을 가하면 가교결합이 형성되면서 액체 상태였던 전해질이 겔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 전해질은 초기 낮은 점도의 전구체 전해질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주입함으로써 전해질과 전극 사이에 좋은 계면을 형성 할 수 있으며, 유동성이 없는 겔 전해질의 특성상 좋은 내구성을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 국내 대학도서관 정보시스템의 실제적 분석 연구

        조상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rrent state of two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ystems and find out concrete problematic situations. After that, propose a proper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ystems and services. This study was performed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side of domestic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ystems problems and looked at the need for change and development for existing systems and services. In addition, examined study trends in the overseas and domestic. As an overseas advanced case study,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system and Kuali OLE VuFind system based on open source system has analyzed. And domestic preceding case study wa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main propulsion of library systems. Second, two universities in seoul were selected for practical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y library information systems. User surveys and staff interviews confirmed the problems of practical library system and satisfaction of the users. Looking at the survey results, 70% of A university us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omputerization of library infrastructure. Overall satisfaction survey results based on Likert scale the ‘homepage’ was a 2.80 point average, ‘information infrastructure’ was an average 2.49 point, ‘User education’ showed an average of 2.38 points. B University users were asked about the need for additional user training for the library homepage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73.6% of 117 responses were needed training. Overall satisfaction survey results ‘homepage’ was an average 3.21 point, ‘information infrastructure’ was an average 3.32 point, ‘User education’ showed an average of 2.68 points. Through the staff interviews, it was confirmed that limitations on the budget, shrinking workforce problem, limitations of the systems development and difficulty of reflecting new trends and user needs. Third, A university library was founded problem issues about information infrastructur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onitoring(user) side from the above analysis. B university library's problem issues were system policy and planning, user education and training. Finally, proposed three aspects of improvement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problem situations. 1) enhancing the university library system, 2) strengthening infrastructure, 3) policies and institutions.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현황과 문제점, 대학도서관을 둘러싼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국․내외의 선행 연구와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A, B 대학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현황분석, 이용자 설문조사, 담당자 인터뷰의 실제적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문제 상황을 조사․분석하여 적절한 대학도서관 시스템과 서비스의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국내 대학도서관 시스템의 문제점을 시스템의 관리․운영과 개발․유지 측면에서 조사하고 대학도서관을 둘러싼 환경변화를 통해 대학도서관 기존 시스템과 서비스에 대한 변화와 발전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해외와 국내의 정보시스템의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해외와 국내의 대학도서관 정보시스템의 선행사례 분석에서 해외는 Open source system을 기반으로 한 Kuali OLE 및 VuFind 시스템을 도입한 시카고대학 도서관 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내 선행 사례로는 서울대학교 도서관을 선정하여 도서관 시스템의 현황과 주요 추진 내역을 조사․분석하였다. 둘째, 국내 대학도서관 정보시스템의 실제적 분석을 위해 서울 소재의 A와 B 대학을 선정하였다. A와 B 대학은 학술정보통계시스템에서 상위 그룹에 속하며, 도서관의 현황분석을 통해 다른 대학도서관과 비교하여 앞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용자 설문조사와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실질적인 도서관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A 대학 이용자들은 도서관의 정보화 기반 시설에 관련한 질문에 70%가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전반적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Likert 척도 기준으로 ‘홈페이지’는 평균 2.80점, ‘정보화 기반 시설’은 평균 2.49점, ‘이용자 교육’은 평균 2.38점을 나타냈다. B 대학 이용자들은 도서관 홈페이지 및 정보화 기반 시설과 관련하여 별도의 이용자 교육이 필요한지 묻는 질문에 대하여 117개의 응답 중 89명(73.6%)이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며, 전반적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홈페이지’는 평균 3.21점, ‘정보화 기반 시설’은 평균 3.32점, ‘이용자 교육’은 평균 2.68점을 나타냈다. 시스템 담당자 인터뷰를 통해서는 대학 예산상의 한계, 줄어드는 인력의 문제, 도서관 간 시스템 관련 협의체의 미흡 등으로 인한 시스템 개발의 한계, 새로운 경향 반영의 어려움, 이용자 요구 반영이 어렵다는 문제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A와 B 대학 도서관 시스템의 현황분석과 이용자 설문조사, 인터뷰 조사 분석 결과를 통해 A 대학 도서관 시스템은 정보화기반 시설, 조직 및 인력, 모니터링(이용자) 측면의 문제, B 대학 도서관은 시스템 정책 및 계획, 이용자 교육 및 훈련 측면의 문제 상황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과 현재 상황을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제 상황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대학 도서관 시스템의 제고, 인프라 강화, 정책과 제도 3가지 측면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시스템의 제고 측면에서는 정보자원 구축확대 방안으로, 학내 정보자원의 축적 및 공유와 효과적 관리 및 서비스를 통한 지식 공유 및 활용 활성화를 제안하고 세부 서비스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서관 시스템의 최신 발전방향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반영한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인프라 강화 측면에서는 최신 정보기술을 구체적으로 반영하는 제안으로 모바일 학습 도구, 위치 정보 안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IT 공간의 운영 및 관리를 통한 지속적인 서비스 체제 구축의 IT 서비스 헬프 데스크 운영을 제안하였다. 정책과 제도 개선 측면에서는 인력 확충 및 조직 역량 강화, 도서관 이용자 교육 강화, 대학의 정보화 담당 기관 간 정기 협의체 운영, 시스템 성과 관리체계 마련 및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제시하고 구체적인 추진안과 업무 구성도, 단계 등을 제시하였다.

      • 고등학생의 학급내 사회성 지위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과 일탈행동 연구

        조상은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us of this study is have to something relation about school-life adjustent and deviant behavior in high-school student of focus friend relationship within class. The subjects were clasify into academic department(N=364) and industial department(N=371) for male and female high-school students. Social status is measured classify into high, middle, low and school-life adjustment is measured classify into student-teacher relation, friend relation, active of class, make a school rules. Also deviant behavior is measured classify into trivial deviant behavior and serious deviant behavior. The resule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n't signficant difference school-life adjustment according to sex but deviant behavior was patially signficant ditfference. There was high deviant behavior male than female in serious deviant behavior. 2. Difference about school-life adjustnent and deviant behavior according to department, school-life adjustnent was no difference but serious deviant behavior amoung deviant behavior was high tendency in case industial department. 3. Difference about school-life adjustnent according to social status was was no signficant but there was reciprocal action of department. high group of academic department different was middle·low group in friend relation, active of class, make a school rules. amoung school-life adaption but there wasn't signficant difference in case industial department. 4. No difference was in relation about deviant behavior according to social status but reciprocal action effect was according to department.. difference was academic department students in case trivial deviant behavior but there wasn't difference in case industial department. students.

      • 출신학교 배경에 따른 이공계 학생들의 대학원 선택과 만족도 분석

        조상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이공계 석사과정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원 진학 시 학교 선택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대학원 생활의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 이는 출신 대학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대학이 우수 대학원생을 유치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이들을 장기적으로 육성하여 대학 연구경쟁력 향상의 선순환을 이루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이공계 학생들의 대학원 선택과정에서 주로 고려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둘째, 이공계 학생들의 대학원 만족도는 어떠하며 재학 중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이공계 학생들이 생각하는 우수 대학원생 유치 촉진요인은 무엇인가? 넷째, 이러한 사항들은 학생들의 배경 변인, 특히 출신학교(자교생 vs. 타교생)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소재 4년제 사립대학교인 K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일반대학원 이공계열 석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총 246건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조사 도구는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참고하고 대학원생 6명을 사전 면담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그 후 지도교수의 조언을 얻어 수정, 보완하여 내용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도구 응답자의 구성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대학원 생활 만족도 및 어려운 점에 대해 출신대학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다. 또한, 대학원 생활 만족도와 향후 희망진로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ANOVA (f검정) 분석을 실시하고 대학원 학교선택과 대학원 생활 만족도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검정)을 실시하였다. 점수는 Likert식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약간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처리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 변인과 관계없이 대부분 학생이 모두 학자(교원, 연구원 등)가 되기 위해 또는 취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대생과 남학생의 경우 주변 선배·교수 등 지인을 통해 대학원 정보를 수집하는 경향이 높으나, 타대생과 여학생의 경우 대학원 홈페이지 또는 인터넷 검색에 의존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변 인맥을 통한 정보수집의 기회가 제한적인 학생들을 위해 학부생 인턴십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거나 대학원 입학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대학원 입시와 생활, 졸업 후 진로 등에 대해 안내하고 홍보하는 더욱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학원 진학 시 학생들은 연구 분야에 대한 지적 호기심과 장래성, 대학원 평판도 및 사회적 인지도, 교수의 학문적 연구 성과 및 권위를 중점을 두어 학교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학금 지원 여부와 생활비 및 기타 인센티브 지원 여부 등 재정지원 여부도 큰 학교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출신대학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타대생이 자대생에 비해 대학의 평판도 및 사회적 인지도와 연구 분야의 장래성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대생의 경우 타대생에 비해 연구실 분위기 및 환경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의 평판도 및 사회적 인지도를 높이고 연구 분야의 장래성을 홍보하기 위해서는 교수의 다양한 연구 성과와 각종 대학평가의 우수한 성적, 재학 중인 대학원생의 우수 연구결과 등을 학교 홈페이지와 언론 등 대외에 알리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자대생의 경우, 대학원에 진학한 선배 또는 지인을 통해 연구실 분위기 및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될 가능성이 큰 만큼 재학 중인 대학원생의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선순환 홍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대생은 학교 시설, 교수, 인맥 등의 익숙한 환경을 따라 학부와 같은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부생이 대학원 생활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인턴십 프로그램을 활발히 운영한다면 대학원 생활에 대한 적응력도 높이고 교수와 선후배 등의 인맥 형성을 통해 대학원 진학을 유도할 수 있는 촉매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대학원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인간관계 만족도와 연구 만족도, 종합 만족도 모두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기숙사 시설 만족도, 재정지원 만족도, 행정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만족도가 낮은 항목들은 모두 행정·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항목이므로 대학원생 기숙사를 마련하고 대학원생 장학금 지원을 확대하는 등 대학의 고민이 필요하다. 특히 과도한 행정업무를 대학원생에게 전가하는 현 행정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각 연구실의 행정업무를 전담하는 인력을 대학 차원에서 채용하고 배정하는 등 근본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출신 대학별 만족도를 분석해보면 행정·교육 여건에 대한 만족도(공간/시설/장비, 재정지원, 행정 서비스, 기숙사 시설, 도서관, 학생 수준)와 교육방법의 체계성에 대한 만족도가 자대생에 비해 타대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대생의 경우 K대학교가 만족도의 기본 기준이 되는 반면, 타대생의 경우 학부를 졸업한 대학보다 K대학교가 행정·교육여건과 수준이 우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타대생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또한, 타대생이 자대생에 비해 동료와 선후배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는 대학원생 중 자대생의 비율보다 타대생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자대생 문화에 타대생이 ‘적응’ 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타대생간의 커뮤니티 또는 집단문화 형성이 얼마든지 가능하기 때문일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 대학의 뿌리 깊은 서열문화를 고려했을 때, 상위권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만족도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넷째, 향후 희망진로에 대한 분석결과 연구실선택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참여 연구 활동에 만족할수록, 충분한 연구지도를 받을수록, 교수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교수와의 접촉기회가 많을수록 동 대학원 박사 과정에 진학을 희망하는 경향이 많았고 이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취업을 선택했다. 또한, 배경 변인별로 타대생의 경우, 그리고 재정지원이 낮을수록 졸업 후 진로를 취업으로 선회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한 대학원생을 장기 연구인력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구지도를 받으며 동기부여가 되는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연구와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재정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대학원생을 유치방안으로 재정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이공계열 대학원의 경우 BK21에 선정된 경우 장학금을 지원받을 수 있지만 선정되지 않은 학과의 학생들 또는 상대적으로 연구비 수혜의 사각지대에 있는 학문 분야의 학생들에게도 안정적인 재정지원을 할 수 있도록 대학 차원에서 제도적 고민이 필요하다. K대학교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성적에 따라 지원하던 장학금 제도를 폐지하고 가정형편을 기준으로 장학금과 생활비를 지원하는 새로운 장학금 제도를 도입했다. 이와 같이 학업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한 현실적인 재정지원 방안이 대학원생에게도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 학부생은 본인이 대학원 진학에 특별히 관심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학원 생활과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졸업 후 취직을 선택하는 경우에 비교했을 때 대학원 진학이 어떠한 장점이 있는지 체감하기 어렵다. 학부생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과목도 마찬가지로 연구에 대한 지적 호기심이나 흥미를 끌어낼 수 있는 과목보다는 이론 위주의 수업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학부 생활 과정에서 대학원 진학에 대한 친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교수들도 더욱 적극적으로 대학원 진학을 장려하는 등 학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이공계의 특성상 연구실 환경과 분위기, 교수와의 관계가 대학원 만족도에 긴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교수 또는 연구실에 따른 만족도 편차가 크지 않도록 대학원생의 인권과 최소한의 연구 환경을 보장해 줄 수 있는 대학 차원의 제도적 장치와 관심이 필요하다.

      • 빛과 운동성에 대한 회화적 표현연구 : 연구자의 '빛이 흐르는 세계'를 중심으로

        조상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paper is a study on pictorial expressions of light and mobility, which are important as a source of images in the history of visual arts. In term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mages for light and mobility start from a review of the history of visual arts, which examines the visual expression of movement from the emergence of light. The quest for ancient light and vision begins from the tradition of Western metaphysics. In ancient Greek times, light is considered as a source of truth and existence, and in the Middle Ages, it develops into aesthetics of religious light, which means the manifestation of a transcendent God. Metaphysical thought about light begins to be perceived as a material matter in religious terms through the development of humanism and science in modern times.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the understanding of the visible world and empirical thinking based on new scientific observation such as anatomy and perspective is fully explored in Renaissance art in the 14th and 16th centuries. Later in the 17th century Baroque era, dramatic expression is emphasized by bold shading and dramatic directing, and by the time of Romanticism, progressive dynamic expression is emphasized by the changed view of nature and unique expression of the artist. Moreover, after Impressionism, through simultaneous experience of nature and artificial light, expansion of the medium, and the flow of avant-garde art, image experimentation is pursued through more diverse methodologies. In particular, study of works ranging from abstract art to light art in the 20th century continues to this day. As such, the extended awareness of light in modern visual arts advances into a more dynamic image experiment by the light hitting the world and the flow of thought. Representative leading artists who have developed an original art world by capturing the mobility of the image through light, on the basis of the study of art history, are William Turner, Claude Monet, and László Moholy-Nagy. The three leading artists use the image of light in the flow of time and space as a subject of expression and unfold image experimentation that reflects dynamic motions at the boundary between concrete shape and abstract image. In the analysis of the works, which is the core of this study, the world that the researcher has examined so far is referred to as “The World Where Light Flows,” and analyzed. The study on pictorial expressions of light and mobility concretely identifies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in which the image in the state of motion in the two-dimensional screen is condensed. The exploration of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motion through the extraction of the image of the floating light is the core of the work analysis. The main content of the study is summarized in three categories. First, regarding the expression of mobility, the process of changing to dynamic image is analyzed in the study of techniques for realistic representation. Second, in the experiment of images for abstract effect of object and media study, techniques of painting and photo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are identified. Third, for the type of work, ‘The World Where Light Flows,’ the researcher's art world is explored on the basis of experience of light and image of thought.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the process of experimentation in which the researcher's art world expands contemporaneously through the study of images of light and mobility. Through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new images are sought progressively, and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is reconsidered and expanded. 본 논문은 시각예술의 역사에서 이미지의 원천으로 중요한 빛과 운동성에 대한 회화적 표현에 관한 연구이다. 이론적 배경으로 빛과 운동성에 대한 이미지의 형성과 전개는 빛의 등장에서부터 움직임의 시각적 표현을 연구하는 역사의 고찰에서 출발한다. 고대의 빛과 시각의 탐구는 서구의 형이상학의 전통에서 시작된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빛은 진리와 존재의 근원으로 인식되며, 중세 시대에는 초월적인 신의 현현을 의미하는 종교적인 빛의 미학으로 전개된다. 빛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사유는 근대에 이르러 인본주의와 과학의 발달에 의해 종교적인 의미에서 물질적인 질료로 인식되기 시작한다. 해부학, 원근법 등 새로운 과학적 관찰에 바탕을 둔 가시적 세계의 인식과 경험론적 사유로의 전이과정은 14~16 세기 르네상스 예술에서 본격적으로 탐구된다. 이후에 17세기 바로크 시대에는 대담한 명암법과 연극적인 연출에 의해 극적인 표현이 강조되고, 낭만주의 시대에 이르면 변화된 자연관과 예술가의 개성적인 표현에 의해 점진적으로 동적인 표현이 강조된다. 그리고 인상주의 이후에는 자연과 인공의 빛에 대한 동시적 체험, 매체의 확장, 전위적인 예술의 흐름에 의해 이미지의 실험은 더욱 다양한 방법론으로 모색된다. 특히 20세기 추상미술과 라이트 아트에 이르기까지 작품 연구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처럼 현대의 시각예술에서 빛 에 대한 확장된 인식은 세계를 스치는 빛과 사유의 흐름에 의해 더욱 더 역동적인 이미지의 실험으로 나아간다. 미술사의 연구를 토대로 빛을 통해 이미지의 운동성을 포착하여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전개한 선행작가로는 윌리엄 터너, 클로드 모네, 라즐로 모홀리-나기가 대표적이다. 세 명의 선행작가는 시공간이 흘러가는 흐름 가운데 스치는 빛의 이미지를 표현의 소재로 삼고, 구체적인 형상과 추상적인 이미지의 경계에서 동적인 운동감을 반영하는 이미지의 실험을 전개한다. 본 연구의 핵심을 이루는 연구 작품 분석에서는 연구자가 지금까지 전개한 작품세계를 ‘빛이 흐르는 세계’로 총칭하고 이를 분석한다. 빛과 운동성에 대한 회화적 표현연구는 2차원의 화면 안에 운동하는 상태의 이미지가 응집(凝集)되는 실험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규명한다. 이처럼 부유하는 빛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움직임의 시각적 표현을 연구하는 형식의 전개는 작품 분석의 핵심을 이룬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 번째로, 운동성의 표현에서는 사실적인 재현에 관한 기법 연구에서 동적 이미지로 변화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두 번째로, 대상의 추상작용에 관한 이미지의 실험과 매체연구에서는 회화와 사진의 기법과 표현의 특징을 밝힌다. 세 번째로, 빛이 흐르는 세계의 작품 유형에서는 빛에 대한 경험과 사유의 이미지를 토대로 연구자의 예술세계를 고찰한다. 본 연구는 빛과 운동성에 대한 이미지의 연구를 통해 연구자의 예술세계가 보다 동시대적으로 확장되는 실험의 과정을 규명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통해서 새로운 이미지를 발전적으로 모색하여 표현의 가능성을 재고하고 확장한다.

      • 청량리 일대 근·현대 도시주거지의 형성과정 연구

        조상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이후 새로운 근대 도시주거지로 주목받은 청량리 일대가 해방, 전쟁, 경제개발로 이어지는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근․현대 도시주거지의 흔적과 주택유형의 원형이 존재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도시․주택정책의 기조변화에 따른 청량리 일대 근․현대 도시주거지의 형성과정을 기록하고 그 가치를 발굴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청량리 일대 근․현대 도시주거지를 대상으로 어떠한 사회적 배경에서 어떻게 들어서게 되었고, 누구를 대상으로 하였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청량리 일대 도시주거지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청량리 일대가 갖고 있는 주거문화사적 의미를 고찰한다. 한국의 주택공급은 주택자금 면에서는 시장경제에 의존하면서도 정부가 강력한 행정권으로 주택시장을 통제하고 시대별 정책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정부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을 통해 도시주거지 형성을 유도해 왔으며, 이는 주거지 공급주체와 입주대상, 주택유형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청량리 일대 근․현대 도시주거지 형성과정을 도시․주택정책의 기조변화에 따라 시기별로 분석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기인 1910년~1935년, 조선총독부는 한반도로 이주한 일본인의 주택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적으로 관사를 건설하도록 권장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청량리 철도관사는 1936년 중앙선 철도가 부설됨에 따라 청량리역 주변 지역을 대규모 필지로 구획하고 철도국 관리의 등급별 표준설계도를 적용하여 주택을 공급한 것으로, 이는 청량리 일대 최초로 등장한 근대 도시주거지이다. 둘째, 일제말기인 1936년~1945년에 ‘조선시가지계획령’ 제정 이후 인구증가로 인해 도시가 확장되면서 1936년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교외주거지를 계획하였고, 청량리지구도 이중 하나이다. 청량리지구는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주거지 조성 후 그 위에 도시한옥 주택유형이 집단적으로 건설되었다. 셋째, 1945년~1962년에는 해방과 전쟁이후 심각한 주택난으로 공공기관 주도로 사회복지차원에서 주택을 건설 ․ 공급하게 된다. 이때 청량리 일대에 서울시가 204호(1955년), 대한주택영단이 283호(1957년)의 부흥주택을 건설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공급하였다. 넷째, 1962년~1990년은 주택유형이 아파트로 일반화되어 주택의 양적 공급을 확대하는 시기이다. 1960~70년대 초 주택난을 해결하고자 공공과 민간에서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여러 유형의 아파트를 공급하였고, 이들 중에는 시민아파트, 상가아파트, 맨션아파트 등이 있다. 청량리 일대는 이런 다양한 아파트 유형의 대상지가 되어,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서울시에서 건설한 ‘전농지구, 월곡지구 시민아파트’, 민간건설업체에서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 호화주택인 ‘홍파맨션아파트’가 건설되었다. 또한 민간주도의 대단위 고층 아파트건설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는 1972년 주택건설촉진법과 1976년 아파트지구도입 등 주택공급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78년 민간건설업체에 의해 1,089세대에 이르는 대단위 청량리 미주아파트단지가 건설되었다. 다섯째, 1990년대 접어들면서 서울시는 균형발전을 이루고자 하였고, 그와 더불어 재개발, 재건축사업이 활발히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청량리 일대는 재래시장 활성화사업에 의해 현대코아 주상복합이 건설되는가 하면, 시범균형발전촉진지구로 지정되어 대형 주상복합 형태로 변화될 계획이 발표되었고, 청량리역의 동쪽 주거지일대는 답십리‧전농 뉴타운으로 지정되어 대단지 아파트들로 변화될 예정이다. 이렇게 도시․주택정책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조성된 청량리 일대 근․현대 도시주거지는 다음과 같은 건축계획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청량리 일대 근․현대 도시주거지는 고밀화에 대응하여 수평적, 수직적 확장을 통해 대량의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단독주택 유형은 연속화, 연립화, 적층화를 통해 밀도에 대응하였고, 아파트 유형은 단지화, 고층화를 통해 고밀화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둘째, 경제개발이전에는 철도관사, 도시한옥, 공영주택과 같은 단독주택 유형이 주를 이루었으나, 1960년대 이후에는 아파트로 대표되는 공동주택이 주로 공급되었다. 셋째, 대량의 주택을 경제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표준설계도를 적용하여 단위세대계획이 이루어졌고, 입주대상에 따라 다양한 규모의 단위세대로 공급되었다. 이는 최소 26㎡에서 최대 170㎡까지 세대의 규모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단위세대 규모 변화를 통해 청량리 일대 근대 도시주거지는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공급이었다면, 현대 도시주거지는 중산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청량리 일대 근․현대 도시주거지는 형성과정과 건축 계획적 측면에서 다양한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들을 바탕으로 청량리 지역이 가지는 지리적 위상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량리 일대 근․현대 도시주거지는 실험적인 대상이었다. 청량리 철도관사,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 내 도시한옥, 6.25 전쟁 이후 부흥주택, 경제개발이후 시민아파트, 맨션아파트, 민간아파트단지에서 현재 재개발까지 근대적 수법에 의한 집합적 도시주택들이 조성되었다. 이런 다양한 수법의 근․현대 도시주거지들은 시기별 도시‧주택정책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실험적 역할의 장으로 등장하였다. 둘째 청량리 일대는 꾸준히 실험 대상지였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대표성을 지닌 계층이 정주해 왔던 공간이 아닌 임기응변적인 도시․주택정책에 따라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시민아파트에서 중산층을 대상으로 하는 청량리 미주아파트단지까지 다양한 경제계층의 주거가 혼재되어 혼성적 성격을 지닌다. 마지막으로 청량리 일대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변두리로 인식되었고, 상대적인 관점에서 가시적이고 특별한 변화를 추동한 곳이 아니었기 때문에 지난 100년의 근․현대 도시주거지의 도시 조직과 흔적을 발견할 수 있어, 근․현대 서울 주거사의 독보적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즉, 청량리일대는 서울의 집단주거지 조성에 활용되었던 모든 근대적 계획수법이 존재하고, 주거공간을 유지한 채 변용의 과정을 겪었기 때문에 역사도시 ‘서울’을 읽을 수 있는 주요한 참조점이 되는 지역이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도시‧주택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로 모든 도시적, 건축적 실험공간이 되어온 청량리 일대 근․현대 도시주거지의 특성과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이 ‘서울’이라는 전체를 읽거나 다른 장소와 비교 대상으로 자리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