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KOICA의 개발도상국 의상제작 교육 지원 연구 : 아프가니스탄 파르완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조상우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Korea has a point of excellence relatively on the aids of education to developing countries but has a little contribution. Therefore, for better aids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ase of aids of fashion education for developing industrial clothing, because clothing is the basic for human living. Focused on clothing habits of human society, the case of teaching Afghan poor natives sewing technology which is the base of fashion and establishing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of fashion for industrial infrastructure was studied. First of all, for escaping from economical poverty and difficulties, the concept and purpose of international developing aids of educ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aids was explained. And then, from the data of KOICA, which has been donating various educational aids to poor nations, the definition, necessity, and actual state of aids of education to developing countries were studied and analyzed. This study shows the case of cooperation for Korean overseas aids of education and the Korean fashion education condition about teaching fashion technology for developing countries living support. The case of nation of Afghanistan, which has a trouble and needs, was studied. KECC supported the aids of dressmaking education through Korean Provincial Reconstruction Team for Afghanistan in Parwan. This study included the preparation for a year, supporting various practice material and instruments in sewing, setting the supporting educational fashion curriculum, employment and founding enterprises, and adverts. Three different educational courses, a short term course of technology for 3 months, a regular course of technology for 5 months, and the aids of education for native women to support liv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study, the improvement of fashion education and technology for Afghan industrial infrastructure was estimated. This study will help Korean fashion industry to construct the base for advancing into Europe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Middle East.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선진 공여국들의 끊임없는 지원에도 불구하고 국가적 빈곤이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다. 그 원인은 순수한 인도주의적 이념보다는 자국의 정치적?경제적 이익을 위해 지원하기 때문이며 이 같은 정부주도 원조의 비효율성으로 개발도상국의 자립능력을 저해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현재는 경제적 자립을 위한 교육원조가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나라들이 교육원조로 지원방법을 바꾸고 있다. 한국은 1950년대 이후 전쟁의 폐허에서 벗어나기 위한 주요 정책으로 전국민의 교육화를 선행하였고, 그 결과 20세기 후반 개발도상국에서 벗어나 선진국의 문턱에 다가서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육성과를 바탕으로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하였고 교육 원조분야에서 분명히 비교우위의 강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빈민국에 대한 기여도는 아직까지는 미미한 수준이다. 의류산업은 6.25 전쟁을 겪은 한국이 소규모의 산업에서 출발을 하여 놀라운 경제성장의 디딤돌이 되었고 1980년대에는 수출을 주도하는 산업으로 다른 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하게 하였다. 그 결과로 한국은 OECD에 가입과 선진국의 대열에 발을 맞추게 되었기 때문에 한국의 강점인 교육 지원 원조를 활성화하고 그것을 위한 연구 및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점에 주목하여 현재 내전과 전쟁의 폐허 속에 산업 기반 시설이 부족한 세계 최고의 빈민국인 아프가니스탄의 경제 자립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 의상제작 기술교육 지원 사례를 통한 그 필요성을 인식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2012년 12월 한국군 오쉬노(Ashena) 부대의 주둔 장소인 아프가니스탄 파르완州차리카에서 기술교육 지원철수를 하는 한국 지방 재건 팀(Provincial Reconstruction Team)에서 KOICA(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의 지원 아래 KECC(Korean Educational and Cultural Center)의 소속으로 1년간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여 아프가니스탄 파르완 차리카 지역에서 수행한 의류제작 기술교육 지원 체험을 바탕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국제 개발 교육 원조의 개념과 목적, 그리고 현황 등을 각종 자료와 언론매체를 참조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세계 여러 빈민국에 다양한 교육지원으로 도움을 주고 있는 코이카(KOICA)의 자료들을 통하여 개발도상국 교육환경의 실태, 해외 교육 원조의 정의, 해외 교육 원조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교육 지원의 현실적 어려움 속에서 직업이 필요한 교육생 선발을 위해 현실에 맞는 기준을 만들고 다양한 실습재료와 기자재의 지원방법과 필요성, 지원교육생의 수준을 통한 커리큘럼의 구성, 교육과정 이수후의 취업과 창업의 기회 확대를 연구하였다. 의상제작 기술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는 3개월의 단기속성 기술과정, 5개월의 정규 기술과정, 가계도움을 위해 어려움에서도 실행한 현지 여성의 교육지원 등 세 가지의 교육과정을 통해 현지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 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아프가니스탄 현지인들의 이슬람 문화와 생활, 의식을 먼저 이해하고 제한된 활동 안에서 교육지원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열악한 초등교육과 문맹의 80%의 현실 속에서 다양한 지원혜택만을 생각한 개인적인 이기심으로 선발 조건을 무시하였다. 그리고 눈앞의 생계유지만 생각하여 부족한 직업의식과 노력 없는 생활이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KOICA에서 제시한 교육생 선발 규칙에 따라 현지인들에게 기초 초등교육을 함께 지원하고 간결한 개인 인터뷰와 테스트를통한 선발 방법을 실시하여 짧은 교육기간의 효율성 높은 교육으로 많은 현지인들이 지원 혜택을 받는 기술자 양성의 개선된 교육지원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내전의 위험에서 기술축적과 산업현장 구축을 위해 열악한 교육환경속의 부족한 교육적인 역량과 교사들의 부족은 교육지원 운영에 있어서 또 다른 문제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현지 교육생들의 언어소통과 기술교육 지원을 위해 현지교사들의 한국 연수기회를 활용하고 한국의 선진문화를 경험하여 교육의 필요성과 산업구축의 성과를 느끼게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수준 높은 현지교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개선된 교육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목적이 부족한 직업의식은 아프간 현지인들에게 끊임없는 물질적인 지원으로 이어져서 결국은 빈곤의 악순환의 자리에서 맴도는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프가니스탄에서 산업화 구축이 쉽고 현지인들이가장 선호하는 의상제작 기술교육을 더 많은 지원과 혜택 안에서 짧은 교육기간동안 교육지원의 혜택을 경험하게 하고자 효율적인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연구하고 취업과 창업에 활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 외국인들에 대한 각종 테러공격의 위험과 현지인들의 종교와 생활에서 부족한 홍보 문제점과 활동제약에 따른 문제점, 그리고 산업구축의 문제점이 나타났고 이를 위해 생계비를 비롯한 다양한 지원금 확대와 새로운 재분배, 그리고 이수 후 관리 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섯째,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종교와 생활에 대한 이해부족과 현지인들의 경제생활에 나타나는 열악한 교통수단으로 인해 느껴지는 많은 어려움들이 교육지원 운영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 종교 활동 보장과 남, 여 성차별을 개혁하는 2부제 수업실시, 안전이 보장되는 출입통로 확대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지인들의 높은 문맹률을 낮추기 위한 기초 교육 현장 구축을 하였고 생계활동을 위해 기술교육과 산업현황이 이루어질 수 없는 빈곤한 현실에서 현지인들이 의상제작 기술교육 지원을 받고 스스로 자활하여 산업현장을 구축할 수 있는 직업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수준 높은 기술교육의 지원을 위해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의상교육 시스템을 단계별 교육기간에 맞춰 중간, 기말 평가를 하여 적합성을 판단하였고 그 결과로 실습물 완성과 전시회를 통하여 평가를 하였다. 또한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교육기관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교육생들에게 아낌없는 문화적인 지원과 교육과정 이수 후에 취업과 창업을 위한 지원을 하였고 그 결과를 연구하였다. 현재 KECC의 교육지원은 종료시점을 앞두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파르완 지역의 차리카 PRT 자체 교육 실현 완성도와 기술의 질적 향상수준을 기대하고, 아프가니스탄의 산업 인프라 구축 및 빈민국 탈출의 기대를 도모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향후 다른 개발도상국들의 산업구축에 한국의 의상제작 기술교육 지원이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OECD 회원국의 소임을 다하고 인도주의적 방향에 따른 한국의 의상제작 기술교육 지원이 개발도상국들의 산업화 구축에 바탕이 되며 나아가 이들과의 경제협력을 통해 개발도상국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한국의 대외 이미지 협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이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 소유지배구조가 CEO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조상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를 알아보고 재벌이라는 변수가 존재할 경우에는 어떠한 결과가 도출되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소유경영자의 특성이 소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에 끼치는 영향을 설명함으로써, 소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를 알아보고 재벌기업의 경우 소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재벌 계열사의 경우, 재벌의 소유권과 의결권이 높을 때 최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리인 이론과 자원의존이론, 그리고 경영자 안주가설을 활용하였다. 첫 째 대리인 이론을 바탕으로 최고경영자의 유형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고 주주와 이사회에 반응하는 소유경영자의 기업 전반에 나타나는 태도를 살펴보았다. 대리인 이론에 의하면 최고경영자는 주주와 기업의 이익에 반하면서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성향의 행동을 취한다. 소유경영자의 경우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막강한 기업의 소유권을 바탕으로 사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전문경영자에 비해 더욱 짙게 나타날 수 있으며, 주주의 이익보호를 위해 최고경영자에 대한 통제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이사회를 자신의 영향력 아래에 두려고 노력한다. 따라서 소유경영자는 이사회의 통제기능을 무력화시키고 사회적 연결을 바탕으로 자신과 우호적인 이사진을 구성할 것이라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재벌기업인 경우 소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재벌기업에 속한 경우에는 재벌총수라는 독특한 형태의 최대주주가 존재하며, 재벌총수의 직속조직이라 할 수 있는 재벌본부가 있다. 재벌본부는 상당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계열사를 통제하므로 계열사의 소유경영자는 이사회와의 관계를 우호적으로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줄어들게 되므로 이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재벌계열사의 경우, 재벌의 소유권과 의결권이 높을수록 최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재벌의 소유권과 의결권이 높아지면 재벌의 사적 이익추구성향이 높아지며, 재벌본부에 의한 계열사의 직접적인 통제 가능성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계열사의 최고경영자 유형의 중요성과 이사회의 통제기능은 줄어들게 되며, 재벌본부의 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최고경영자에 대한 사외이사의 지원기능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최고경영자와 이사회와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실증결과를 살펴보면 소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가 높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재벌기업의 경우에는 소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는 가설에서 예측한 대로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벌의 소유권과 의결권이 높을 경우에 최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는 높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최고경영자가 이사회를 장악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통제기능을 약화시키고, 자신에게 우호적인 사외이사를 임명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소유경영자의 경우 기업경영 전반에 걸친 상당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이사회와의 사회적 연결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으며, 재벌의 경우에는 재벌총수의 영향력의 집합체라 할 수 있는 재벌본부의 의하여 소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었다. 그리고 재벌의 소유권과 의결권의 영향에 따라서 최고경영자와 이사회 간의 사회적 연결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새로운 시선을 제시하였다.

      • 리튬/황 전지용 카본나노튜브 집전체를 이용한 황-폴리아크릴로니트릴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조상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난 수십 년 동안, 리튬이차전지는 휴대폰,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왔다. 이들 기기들은 낮은 가격, 안정성, 긴 수명, 고전압, 고에너지밀도를 가지는 이차전지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1] 황의 평균전위는 2.1V로 다른 양극 활물질보다 낮지만, 리튬과 반응하여 최종 생성물인 Li2S를 형성시킴으로써 1672mAh/g의 높은 이론용량과 2600Wh/kg의 이론 에너지밀도를 가지며 차세대 전지의 양극 활물질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리고 황은 풍부한 매장량을 바탕으로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반면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황은 전기전도성이 매우 낮으며 충전시의 셔틀현상 및 카보네이트 계열의 전해질 사용시, 반응생성물(리튬폴리설파이드)의 전해질 내 용출로 인하여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2-4] 이런 리튬/황 전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도성 물질과의 합성[5-10], 전도성을 가진 물질을 코팅 하는 방법[11-16], 그리고 다공성 및 카본나노튜브 집전체[17-18]를 사용하여 전기전도성을 높여 주는 연구가 진행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도 리튬폴리설파이드가 전해질 내로 용출 되는 것을 완전히 막아 주진 못했다. 그 대안으로 황-폴리아크릴로니트릴 복합물을 리튬/황 전지에 적용 시키는 방법을 사용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PAN)은 사슬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열분해를 통해 공액구조를 가지게 되어 전기 전도도가 생기며, 탈수소화가 되면서 그 자리에 황이 들어 갈수 있게 된다. 전기 전도도가 낮은 황을 전도성을 가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열적으로 결합시켜 단점을 보완 하였다.[19] 또한, 기존의 원소 황을 이용한 전지에서는 에테르 계열의 전해질이 주로 사용 되었으나, Wang 그룹에서는 카보네이트(Carbonate) 계열의 전해질을 사용하였으며, 충·방전 거동 또한 기존의 원소인 황을 이용한 전지에서 나타나는 평탄전압 구간이 없으며, 경사를 가지는 거동을 보였으며, 카보네이트(Carbonate) 계열의 전해질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리튬폴리설파이드(Lithium polysulfide)가 전해질로 용출 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게 되었다.[20] 최근 황-폴리아크릴로니트릴 복합물의 연구는 열처리 조건[21-23], 전해질 조건[24-27], 복합물내의 황의 함량[28-32], 전도성을 가지는 물질과의 합성[33-38], 그리고 그래핀을 코팅한 필름을 집전체로 사용하여 전기전도성을 높이는 연구[39]가 진행 되어 왔다. 황-폴리아크릴로니트릴 복합물을 이용한 연구들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렇게 많은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로 전지를 구성하는 구성물품의 질량을 개선시켜 실질적인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연구는 적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지의 이론 에너지밀도는 전지의 용량(Capacity ; mAh/g-electrode)과 평균전위(Average voltage; V)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론 에너지밀도를 높이려면 전지의 용량과 전압은 높고 양극과 음극의 질량이 적으면 이론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구성하는 전극, 도전재, 전해질, 분리막, 바인더, 집전체 등의 전지의 구성품의 질량을 줄이면 실질적인 에너지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리튬/황 전지의 반응생성물인 리튬폴리설파이드(Lithium polysulfide)를 카보네이트 계열의 전해질을 사용하여 억제하고 전기전도성이 좋으며 가벼운 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를 Flocking 공정으로 전극과 접합하여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며, 집전체의 질량을 줄여 실질적인 에너지밀도를 높이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 드론박물관

        조상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설계가 개념적으로 새로운 공간을 만들기 못 해지만 기능적으로 잘 되고 있고 사람들이 잘 쓰겠다는 모습을 보여 드렸다.

      • 전문 품새 지도자의 품새 경기화에 대한 인식과 지도방법

        조상우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recognitions of Poomsae experts according to Poomsae competition and factors of teaching method to teach poomsae based on qualitative study method. To get the purpose participants were 3 Taekwondo Poomsae specialists who got many gold medals and members of Poomsae national team.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as used to get information about recognitions according to Poomsae competition and teaching method to teach Poomsae competitors. Selected data were used to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conclusion from the result according to above th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explored 206 frequency and 13 factors on the recognitions according to Poomsae competition. the specialists of Poomsae stressed out that they recognized Taekwondo Poomsae competition based on judge education(40, 19.42%), scoring system(32, 15.53%), formal form(20, 9.71%), equalization(19, 9.22%), rule(15, 7.28%), know-how(12, 5.83%), victory and defeat(12, 5.83%), experience(10, 4.85%), popularization(10, 4.85%), excellence skills and unskillfulness(10, 4.85%), dojang popularization(10, 4.85%), truth and falsehood(8, 3.89%), injury(8, 3.89%). That is, according to Poomsae competition specialists pointed out to change judge education, scoring system, scoring system, rule and improve equalization, popularization of Poomsae competition. Second, there were explored 435 frequency and 22 factors on th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Poomsae competition. the specialists of Poomsae stressed out that they used teaching method such as grab and pull(14, 3.21%), wrist(26, 5.98%), teaching core skills(13, 2.99%), mental training(14, 3.21%), foundation(31, 7.13%), kicks(25, 5.75%), training of the lower part of body(15, 3.45%), losing power(35, 8.05%), softness(15, 3.45%), sturdiness and gentleness(32, 7.35%), breathing(35, 8.05%), theory(15, 3.45%), role of leader(10, 2.30%), separation of education(10, 2.30%), imagery(32, 7.35%), principle(10, 2.30%), using waist(32, 7.35%), practical aspect(15, 3.45%), order of skills(10, 2.30%), part task practice(15, 3.45%), center maintenance(21, 4.83%), acceleration(10, 2.30%). That is, Poomsae experts recognized importance teaching methods such as grab and pull, wrist, teaching core skills, mental training, foundation, kicks, training of the lower part of body, losing power, softness, sturdiness and gentleness, breathing, theory, role of leader, separation of education, imagery, principle, using waist, practical aspect, order of skills, part task practice, center maintenance, acceleration. They are using those above teaching method in the field. 본 연구는 태권도 품새의 경기화에 대하여 품새 전문 지도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도방법 특성에 대하여 질적접근으로 체계화 하는 것에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품새 전문지도자 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품새대회에서 다수의 입상경력을 가지고 있고, 우수 품새 선수들을 양성한 대표적인 품새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품새 경기화에 대한 인식과 품새 지도방법에 대한 자료수집을 위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해서 귀납적 내용분석과 요인을 대표하는 사례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질적연구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학습하였고, 삼각검증법을 활용하여 질적자료가 연구자의 주관성 개입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첫째, 태권도 품새 전문 지도자의 경기화에 대한 인식은 13개의 인식 요인과 206개의 인식 빈도를 나타냈다. 품새 전문 지도자들은 품새 경기화는 심판교육(40, 19.42%), 채점방식(32, 15.53%), 형식적 동작(20, 9.71%), 평준화(19, 9.22%), 경기규칙(15, 7.28%), 노하우(12, 5.83%), 승패(12, 5.83%), 경험(10, 4.85%), 저변확대(10, 4.85%), 고수와 하수(10, 4.85%), 도장 활성화(10, 4.85%), 허실(8, 3.89%), 상해(8, 3.89%)에 대하여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즉 품새의 경기화는 주로 심판교육, 채점방식, 경기규칙의 개선이 필요하고 경기화에 따른 형식적 동작과 평준화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둘째, 태권도 품새 전문 지도자가 사용하는 지도방법의 특성은 총 22개의 요인과 435개의 응답빈도를 나타냈다. 품새 전문지도자의 지도방법은 주로 잡아당기기(14, 3.21%), 손목(26, 5.98%), 대표기술 지도(13, 2.99%), 정신교육(14, 3.21%), 기본기(31, 7.13%), 발차기(25, 5.75%), 하체훈련(15, 3.45%), 힘쓰기(빼기)(35, 8.05%), 부드러움(15, 3.45%), 강유완급(32, 7.35%), 호흡(35, 8.05%), 이론(15, 3.45%), 리더역할(10, 2.30%), 교육형태 배분(10, 2.30%), 심상(32, 7.35%), 원리(10, 2.30%), 허리쓰기(32, 7.35%), 실전성(15, 3.45%), 기술순서(10, 2.30%), 분습법(15, 3.45%), 중심잡기(21, 4.83%), 가속도(10, 2.30%) 등으로 나타났다. 즉 품새 전문 지도자는 지도방법 중 기본기, 호흡, 강유완급, 심상, 허리쓰기를 지도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고, 손목, 발차기 지도방법 또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잡아당기기, 대표기술 지도, 정신교육, 하체훈련, 부드러움, 이론, 리더역할, 교육형태 배분, 원리, 실전성, 기술순서, 분습법, 가속도 등에 대하여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이러한 기술을 현장에서 지도하고 있다.

      •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경찰공무원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olice Officials o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조상우 영산대학교 법무·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olice system differs according to behavior depending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untry, civic consciousness, and political system, and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operating method. Since its foundation, it has maintained a unified national police system due to its centralized power structure and special circumstances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on July 1, 2021, after discussions on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2004.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a police system established and maintained by local governments to perform police affairs as local government affairs, and the contrast is the national police system, which means a system established and maintained by the state to perform police affairs as state affairs (Jeongseon Hong, 2007). Although the police system currently in effect in Korea has police committees in each region, it classifies organizations by police affairs and classifies autonomous police based on life safety, women's youth, and transportation, operating a new type of self-governing police system.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people and police officials can be seen as the most important stakeholders (Nam Jae-sung, 2010).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can affect the scope of work as it is currently classified as autonomous police and national police for each offic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interests of police officials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police officials, who are the operators of the service-providing system. Changes in the police recruitment system, changes in personnel systems such as promotion and transfer (Yeongnam Lee, 2006), and working conditions can lead to confusion or uncertainty after police officials enter the office, which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entire police organization. Therefore, it should be possible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system in relation to the oper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y police officials and seek effective measures to operat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ased on thi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system of police officials, who are major stakeholders in performing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hrough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find a stable and effective operation plan for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verify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etween the autonomous police and the national police classified by offic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the basis for policy suggestions that can successfully settle policie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police officials providing service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ased on a questionnaire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of front-line police officials who were piloting self-governing police in 2020, Park Joon-hwi et al. (2020) investigated in detail.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s a national police and the autonomous police classified by office work was verified. A survey was conducted on 490 police officials working at police station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It was analyzed with the SPSS. 25.ver statistical progra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at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performed for basic data statistics, and cross-analysis, t-test, and ANOVA test were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etween the autonomous police and the national police. In a new form of the "Korean Self-Governing Police System,"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was implemented from 2021 by classifying organizations by police office and focusing on the work of life safety, women and youth, and transportation. In order to find a way to operat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more stably and effectivel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how police officials, the main stakeholders who are implementing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perceive the system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nd concept of the domestic autonomous police system was review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study was designed and specified based on the overall Korean autonomous police system conducted by Park Joon-hwi et al. (2019 and 2020). In particular,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police official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region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1) the perception of the introduction system, 2) the perception of authority, 3) the expected effect, 4) concerns, 5) the improvement plan, 6) the intention. In particular,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for each area according to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of police official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each area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lice officials. The study showed that despite the operation of the Korean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level of concern for confusion was relatively high,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for police officials, especially police officers working in patrol units. Similarly,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opposed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only about 30% of the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needed to switch to autonomous police or worry about the type of autonomous police. Considering that the expected effect of front-line police officials on autonomous police is still generally negative, and the level of concerns is high,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of police officials providing services to the implementation of policies is not sufficiently reflected. In order to stably implemen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police agencies operate an administrative complex security center together in Jeju Island. This is evaluated as being successfully implemented in order to carry out activities that meet the actual security demand that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order to enable development such as this stag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of police officials providing security services, given the appearance of this study.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ducational program to make good use of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to provide compulsory education to police officials under the supervision of each local police agency. In order to stabilize the Korean autonomous police system, it is necessary to collect public opinion around the field of front-line police officials who provide security services for autonomous police, not one-way desk administra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alleviate the level of concern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policies by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police officials in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 愛國啓蒙期 漢文散文의 意識 志向 硏究

        조상우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8639

        지금까지 애국계몽기 한문산문에 대하여 창작계층의 사유기반, 전통 사상의 재인식과 문학적 구현, 계몽사상의 수용과 현실대응양상, 친일 계몽의 논리와 문학적 형상화, 애국계몽기 한문서사체의 역사적 성격과 의미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에 앞서서 전개한 논의를 간추리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 디지털 교육기자재 개발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용 교육정보화 기자재 중심으로

        조상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의 흐름이 빠르게 변화 할수록 그 기본적인 밑바탕이 되는 '교육'은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습득 할 수 있게 해준다. 21세기의 첨단사회는 우리의 생활에 크고 작은 변화들을 안겨다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시대의 흐름을 바꾸어 놓을 정도로 급속도로 퍼져나가고 있으며 그 속도 또한 빠르고 강력하다. 사회, 문화, 오락, 교육, 과학 등 그 파급효과가 미치는 분야는 실로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그 중에서도 교육의 분야는 이러한 기술과 과학의 발전 속에 거듭나고 있다. 교육의 형태는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맞게 끊임없이 변화해 왔으며 그 필요성과 중요성 역시 강조되어오고 있다. 열린 교육, 정보화교육, 미래화 교육 등의 명목 하에 교육의 이념은 끊임없이 발전과 개혁을 단행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중의 하나가 현제 추진중인 교단선진화 사업 이다. 교육부는 97년부터 교육 정보화사업의 일환으로 교단선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97년부터 전국의 초·중·고교 전학급에 한 한급당 300만원정도의 예산으로 컴퓨터와 VCR 프로젝션 TV(또는 대형 PC모니터)를 구입하여 에듀넷, 인터넷, 위성방송 등을 연결하여 첨단교육 실시를 위한 멀티미디어 교육환경을 조성토록 하고 있다. 교단선진화는 교실개혁을 이루는 지름길로 교실개혁의 핵심을 이루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21세기 정보화 시대에서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고력과 창의성 을 키울 수 있는 정보화 교실구축이 가장 필요한 것이다. 국제 경쟁력 을 신장시켜 국력을 키우는 일은 교육 경쟁력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의 가장 기본단위인 교실환경의 현대화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교단선진화 사업은 초·중등교육 중에서도 컴퓨터실, 과학실 등의 특별교실을 제외한 일반 학급을 대상으로 한 멀티미디어 교육환경 을 조성하는 부분적이고 수단적인 계획이라 할 수 있다. 교육방법의 개선은 첨단사회 속에서 필수 불가결한 것이며 지극히 과학화된 교육법을 따른다면 교육의 환경과 그 성과는 향상 될 것이며 공급자위주의 교육에서 탈피에 교사와 학생간의 보다 원활하고 효과적 인 교육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교단선진화 사업의 보다 효과적인 추진을 장려하고 동시에 교사·학생간의 원활한 교육커뮤니케이션을 도울 수 있는 기자재의 개발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교육환경을 제시하고자함이 본 연구의 취지라 할 수 있겠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서술하였으며 2장에서는 현대 정보화교육의 고찰을 통해 기본 개념과 추진 중인 교단선진화 사업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3장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육용 기자재의 보급현황과 사용실태 등을 조사하였다. 4장에서는 선진화 교육용 디지털 기자재의 제안을 통해 보다 진보된 개념의 기자재를 제시하며 5장에서는 향후의 방향과 그 결론을 논하고자 한다. With the rapid change in flow of the society, the 'education', which becomes the basic foundation of the society, enables us to learn many things. The advanced society of 21st century is giving us big and small changes in our everyday lives. Such change is expanding rapidly enough to change the flow of a certain period in the history, and that speed is a fast and strong one. Many fields including society, culture, entertainment, education, society, and others are experiencing far-reaching affects, and the area of is very diverse and broad. Among such fields experiencing the powerful affects, education is resuscitating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science. Form of the education have changed endlessly so it will fit the flow and request of the period it is in and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have also been emphasized. Opened education, information education, and education of the future are the names under which the concept of the education have been end1essly developed and reformed. One of the changes among others is the business of advancing world of teach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promoting the business of advancing teaching method since 1997 as a part of educational information business. Since 1997, in all classes of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computers, VCR projector, and TV (or large PC monitor) were purchased with the budget of 3 million wons and linked to the Edunet, Internet, and telecommunications satellites to form multi media education environment to practice advanced education. Advance in teaching is the shortcut to achieve class reformation and is an element that forms the focus of the class reformation. In order to sec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age of information, the class structures of information that can develop creativeness and thinking power is needed the most. The business of developing the national power by expand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tarts from educational competitiveness. And it is not possibile without modernization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which is the basic unit of the education. The business of advancing the teaching method can be regarded as a partial and strategic plan that forms the multi media education environment on the object of general classroom, excluding special classrooms such as computer room or science room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The improvement in educational method is something you can't ignore in advanced society and much improved resul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can be obtained following the scientific education method. Also, harmonious and effective education can be expected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when the reality of education escapes from the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suppli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more effective and practical educational environment by encouraging effective promotion of the business of advancing the teaching method explained above and developing the equipments that can help smooth educ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chapter 1, I have summarized abou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background; in chapter 2, I have analyzed the business of advancing the teaching method under promotion and the basic concept understood through inquiring on the modern informational education; in chapter 3, I have investigated the current conditions of supply and usage of educational equipments; in chapter 4, through the promotion of digital equipments for advanced education, I have proposed the equipments with more advanced concept; lastly in chapter 5, I have discussed about the future directions and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