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생후 정상백서 치배세포에서 아포프토시스

        조복형 단국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태생 후 백서 제일 대구치는 형태생성 및 세포분화기에 단계적으로 일어나는 세포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모델로 널리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직성장은 세포증식과 사망으로 균형을 이루는데 아포프토시스가 관여하다. 아포스토시스(Apoptosis)는 괴사와 구별되는 생리적 사망 또는 Programmed cell death(PCD)라고 정의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최근에 조직증식 및 발육연구에 응용되고 있다. 태생 후 맹출전까지 법랑질 및 상아질이 형성될 때 많은 Ameloblast(IEE)가 사라지고 또한 Dental lamina, SR, SI, OEE 등이 점차적으로 퇴축하여 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 목적은 태생 후 맹출전까지 치아형성시 이러한 현상이 Apoptosis(아포프토시)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서 치배세포에서 아포프토시스 분포를 관찰하고 표지지수를 구하여 향후 치배의 증식성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200-250gm 자성백서를 임신시킨 후 태어난 신생백서를 3, 5일째 10% 중성포르말린에 고정하고 통법대로 처리하였다. 4-6㎛ 파라핀 절편을 제작하여 In situ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In situ TdT) 방법으로 Anti-digoxigenin peroxidase을 사용하고 DAB로 발색후 분포상태를 관찰하였고 아포프토시스 표지지수(Apoptotic Labelling Index = Apoptotic cells/2000 cells X 100(%))도 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태셍 3일째 하악 제일 대구치 치배에서 Stratum Intermedium(SI), Outer Enamel Epithelium(OEE), Mesenchymal Cell(MC), Stellate Reticulum(SR)에서 아포프토시스가 활발하였다. 2. 태생 3일째 상아질 형성부위에 있는 Odntoblast(OD)에 아포프토시스 세포가 보였고, MC에서는 감소하였으며 SI, SR, OE, Inner Enamel Epithelium(IEE)은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3. 태생 5일째 법랑질을 분비되는 IEE에서 아포프토시스가 뚜렷하였고 SR, MC, OD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았다. 4. 태생 5일째 법랑질형성이 진행된 부위 IEE에서는 아포프토시스 세포가 거의 사라졌으나 SI, OEE는 아직 아포프토시스 세포가 보였다. 5. 태생 5일째 Dental Lamina는 치배와 연결이 끝나는 부위에서 기저 및 부기저세포층에 아포프토시스가 불규칙하게 분포하였다. 이와 연결된 구강 상피세포에서는 상피세포층까지 분포하였다. 이와같은 결과에서 태생후 맹출전 하악 제일대구치에서는 상아질 및 법랑질 분비시 부위에 있는 OD 및 IEE에 아포프토시스가 활발하였고 IEE, SI, SR 및 DL의 퇴축 및 소실과 관련있다고 생각하였다. Apoptosis has been engaged in cell proliferation and death of the developing tooth germ during postnatal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the distribution of apoptotic cells in tooth germ of normal postnatal rat using In situ terminal deoxynucleotidly transferase(in situ TdT) method. After 200-250gm, 5 female Sprauge Dawley rats were fertilized, new born rats were killed by chlomform at 3, 5 days, and were fixed in 10% neutral formalin, embedded in paraffin, and sectioned. After 4-6um sections were treated with proteinase K(20ug/ml) at room temperature for 12 min, Equilibration buffer, working strength TdT enzyme, pre-warmed working strength stop/wash buffer, and anti-digoxigenin peroxidase were applied. After DAB treaoent, counter staining and balsam mounting was done. 1. Active apoptosis was seen in stratum intermedium(Sl), outer enamel epithelium(OEE), dental papilla(DP), and stellate reticulum(SR) at posoatal 3 days of mandibular first molar 2. Odntoblasts facing dentin showed active apoptosis, but there was a decreased apoptosis in DP and similar pattern in Sl, OEE, SR, and IEE at postnatal 3 days of mandibular first molar 3. IEE secreating enamel matrix showed active apoptrsis, but rare apoptosis in Sl,DP, and SR at postnatl 5 days of mandibular first molar 4. IEE facing advanced enamel formation showed few apoptotic cells, but there were a few apoptotic cells in Sl, and OEE at postnatal 5 days of mandibular first molar 5. Basal and parabasal cells of dental lamina disconnected from tooth germ showed irregular distribution of apoptotic cells, but connected oral epithelium showed apoptotic cells to superHcial layer at postnatal 5 days of mandibular first molar From above results, in postnatal mandibular first molar before eruption odntoblasts facing dentin, and IEE secreating enamel matrix showed active apoptosis, which was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atrophy and involution of IEE, SR, Sl, and DL.

      •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조복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조 복 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이 연구는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 례연구이다. 통합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는 생활지도를 어떻게 하는지 그 과 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중 통합학교 교사들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초등교사, 중등교사, 관리자 그룹으로 나누어서 총 1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 정하였다.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고,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형 소규모 통합학교 교사들은 서로 다른 생활지도 기준과 내용, 학년 별 생활지도 특성 등 통합운영학교 생활지도에 대해서 서로 다른 경험을 가 지고 있었다. 초등교사는 활동마다 세세한 기준을 정해서 생활지도를 하는 점과 중등교사는 울타리만 쳐 주면 그 속에서 자율성이 생기면서 학생들이 관리되는 점을 통합학교 생활지도에서 색다른 경험이었다고 한다. 초·중학 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풍성한 교육 행사 결과를 보고 부정적이었던 통합운 영학교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었다. 통합학교 교사들은 학생 정보공유로 수월한 생활지도, 다양한 학생들이 서로를 통해 배우면서 성장하는 모습을 경험하고 있었다. 공동프로그램 운 영으로 학생성장을 지원하고 충분한 활동 공간을 제공하여 교사간 갈등을 줄여야 하는 점이 통합운영학교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공동 생활지도의 중요성은 함께 풀어야 가야 할 과제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통합학교 교사들 은 학생들 생활지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단계에서 초·중 통합학교 생활지 도를 연계하여 공동 성장에 대한 적극적인 기대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바람직한 초·중 통합학교 학생생활지도를 위해서는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에 맞는 생활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합학교 교사들 다양 한 상호작용에 관한 분석과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생 생활지도 경험, 질적 사례연구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