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천연물 추출에 관한 연구

        조동선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달맞이 꽃씨로부터 유지를 추출하는 일련의 실험을 파일롯 규모의 추출 플랜트와 실험실 규모의 장치에서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실험은 200-300 bar의 압력과 20-50℃의 온도에서 이루어 졌으며 추출 수율이 약 16 wt%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은 실험 결과로부터 달맞이꽃씨 유지의 추출공정은 외부 물질전달 메카니즘에 의하여 지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달맞이꽃씨로부터 유지를 추출하는 행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두 가지 수학적 모델을 적용하였다. 두 가지 모델로부터 계산된 수율은 실험으로부터 구한 추출 수율과 잘 일치하였다. Catchpole이 제안한 모델로부터 실험실적 규모와 파일럿 규모의 추출기에서 얻은 달맞이꽃씨의 추출속도의 총괄물질전달속도계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선속도에 다음과 의존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Sovova가 제안한 모델로부터 파일럿 규모의 추출기에서 얻은 달맞이 꽃씨의 추출속도의 고체상과 유체상의 총괄 물질전달 계수는 각각 다음과 같았다. A series of experiments for the extraction of oil from Evening Primrose see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ere carried out on both of a laboratory scale extraction apparatus and a pilot scale extraction system. Most of experiments to extract Evening Primrose oil were performed at the pressure of 200-300bar and the temperature of 20-50℃. The extraction yield of oil from Evening Primrose seed were found to be approximately 16 wt%.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ion yield mainly depend on the external mass transfer mechanism in EPO extraction process. Two mathematical models were used for investigating the extraction behavior of EPO. A reasonably good fitting was obtained between the calculated yield and the experimental yield. From the Catchpole's model,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s are represented as following equations; From Sovova's model, the experimental data for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s of the fluid phase and the solid phase can be correlated as follows:

      • 韓國 光産業의 國際競爭力 强化 戰略에 關한 硏究

        조동선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포터의 국가경쟁력 이론과 더불어 포터이론은 확장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의 한국광산업의 국가경쟁력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관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포터의 국가경쟁력 이론과 확장이론을 통해 국가경쟁우위 요소들을 살펴보고, 선진주요국들이 그러한 경쟁우위 요소를 어떻게 개발할 수 있었고, 어떻게 키워왔는지를 조사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우리나라의 광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포터는 국가의 경쟁우위가 어디에서 비롯되는가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경쟁우위의 분석틀을 제공하고, 국가경쟁우위의 원천을 네가지 속성에서 찾고 있으며, 거기에 정부와 기회의 역할도 중요하게 언급하고 있다. 국가의 환경이 특화된 자산이나 기술의 매우 빠른 축적을 허용하고 도와 줄 때 기업들은 경쟁우위를 얻게 된다고 포터는 국가경쟁력 이론에서 말하고 있다. 국가환경이 보다 양질의 정보와 제품과 공정의 필요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때 기업들은 경쟁우위를 얻게 된다는 것이다. 국가환경이 기업들로 하여금 혁신하고 투자하도록 압력을 가할 때 기업들은 경쟁우위를 얻게 되는 동시에 시간이 지나면 이들 우위를 더욱 높이게 된다. 여기에 Porter모델을 확장하여, 경제규모가 작은 경제체제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는 일반화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에 의한 접근법이 더욱 유용하다고 판단하여 이의 접근 방법을 가미하게 되었다. 이 접근 방식은 한 국가의 국내 다이아몬드뿐만 아니라 그 나라와 무역이나 투자거래를 하는 다른 나라의 다이아몬드까지도 고려한 국제화된 다이아몬드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광산업은 한마디로 빛을 만들고 제어하며 활용하는 산업이다. 광산업은 21세기 초고속 정보화 사회의 기반산업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지식산업의 원동력이자 지속 성장이 가능한 미래형 산업으로 여겨지고 있다. 자원의 제약을 받지 않는 환경친화적 산업이라는 점에서도 매력적이다. 반면에 광산업은 그 효과의 가시화까지 장기간이 소요되고 선진국 사례에서 나타나듯 초기투자에 국가적 관심이 요구되는 만큼 정부의 집중지원 전략도 필수적이다. 광산업은 장기투자가 필요하고 연구기반조성이 필수적이며 집적화 및 개방형 협력체계구축이 이뤄져야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 등 연구기반 시설을 중심으로 관련산업이 집적화되어야 하는 산업이며, 장기간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사업으로서, 광산업은 단기간에 사업의 결실이 쉽게 나타나지 않는 산업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안목의 투자가 필요한 산업이다. 또한 선진국의 성공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외국의 주요 광산업단지와 연계한 기술개발 및 협력에도 적극 앞장서야 하는 산업인 것이다. 선진국의 광산업은 집적화 및 중앙정부의 집중적 지원을 통해 중점 육성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광분야에 특화된 대학과 연구소를 육성, 이의 활용을 최대화하고 있다. 광산업단지는 대학 등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산업체가 연구기관의 성과를 활용하거나 기술적인 지원을 받아서 산업화를 시작한다. 특히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은 대부분 광산업집적화단지를 중심으로 사업화 하게 된다. 선진국뿐만 아니라 호주, 대만 등 광산업의 기반이 확고하지 않은 국가에서도 정부차원에서 광산업을 집중육성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 등은 고급과학기술의 산업화차원에서 광산업연구 기관과 산학연계를 추진중이다. 광기술의 선진국인 러시아의 경우 광관련 연구소만 47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거기에 고급연구인력 6,000여명이 국가차원에서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대만은 공업기술원 산하에 광관련 전문연구소를 별도로 운영중이다. 국내광산업도 양적 변화 및 구조면에서 세계적 추세와 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산업에 대한 국내수요의 증가세는 다른 첨단 기술산업에 비해서 떨어지는 편이지만 세계수요의 높은 증가세에 힘입어 국내생산은 높은 증가세를 시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학과 산업체가 산학연 공동연구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테크노파크는 지역의 연구기능과 생산기능을 연결하게 된다. 또한 대학의 연구인력과 시설의 결집을 통해 연구능력을 극대화함으로써 대학의 발전이 촉진되고 실용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의 산업발전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 이의 적절한 활용도 필요하다. 광산업을 특화산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광주시가 오는 2003년까지 4천 668억원을 투입해 광산업 육성에 나선다면 이런 조건들을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또한 광산업 부문에 뛰어든 업체들이 대부분 영세규모란 점을 고려, 이들이 고가의 장비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광산업기술 종합센터를 광주에 먼저 건립하는 등 광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주요선진국들의 경쟁우위요소 및 국내의 경쟁력 기반을 바탕으로 한국 광산업의 국가경쟁력 강화방안을 종합해 보면, 첫째 국가차원의 전략산업으로서 광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광산업은 단기간 내에 산업화를 달성하기 어려운 분야이기 때문에 국가차원에서 장기적인 육성 의지가 필요하며,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광산업의 후발국인 경우에는 산업화에 필요한 일정량의 투자가 없이는 선진국과의 격차를 좀처럼 좁힐 수 없다. 선진국에서도 광산업은 산업·국방 등의 중요성 때문에 국가적인 육성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미국이나 일본 등 광산업의 선진국뿐 아니라 호주, 영국, 대만 등에서도 국가가 광산업을 정책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범세계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국가나 기업들이 범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으려면, 반드시 전세계에 걸쳐 점증적으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그러한 필요성은 국적이 다른 기업들이 형성하는 범세계 전략적 파트너십의 급격한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범세계 전략적 파트너십은 오늘날 성장산업으로부터 사양산업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제조산업으로부터 서비스 산업에 이르기까지 세계경제의 모든 부문과 관련되는 중요한 새로운 전략적 선택의 하나가 되었다. 비교적 규모가 작은 국가나 기업들에게는 규모가 비슷하거나 거대한 다른 기업이나 국가들과 범세계 전략적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것이 미래의 기업과 국가기회를 개척하는 데 활용가능한 가장 이익적인 행동노선일 수도 있다. 오늘날의 세계경제속에서 다소나마 일련의 범세계 전략적 파트너십을 형성하지 않고 세계적인 리더십을 달성할 수 있는 기업체나 번영할 수 있는 국가는 몇 개 안될 것이기 때문이다. 셋째, 광산업의 접적화단지 구성을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 광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요소의 결합이 필요하고, 이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방법이 집적화 단지 개념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광산업에 관한 한 대부분의 국가가 집적화라는 개념을 통해 산업화를 촉진시키고 있다. 이는 광산업이 기술적인 시너지와 폭이 넓은 산업이기 때문에 한곳에 모임으로써 성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는 점 때문으로 판단된다. 광산업은 현재 본격적인 산업화기로 진입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정보나 아이디어가 집결하는 곳이 산업화에 유리하며, 광산업은 중소기업들이 구입하기에는 고가인 테스트 장비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산업단지로 집적화 시켜 공용설비를 이용하게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집적된 산업단지는 외국업체의 유치나 해외시장의 개척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함으로 이의 실현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 강구가 시급하다 하겠다. 넷째, 선진국의 광산업단지 및 협회와의 적극적인 국제협력을 통한 광산업기반을 조기에 구축해야 한다. 광산업은 광주수준, 혹은 한국수준에 머물러서는 성공할 수 없는 산업이다. 경쟁상대는 세계적인 명성과 기술력을 가진 기업이라는 점을 감안 할 때, 광주 광산업 단지가 조기에 산업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역량 있는 외부기업의 유치가 필요하며, 선진기업을 통해 새로운 광기술이나 산업의 흐름을 벤치마킹하고, 이를 토대로 세계로 도약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광산업은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외자유치의 기업을 통한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도 가능하다. 다섯째, 광산업의 핵심요소인 연구개발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선진국의 광산업단지의 사례에서도 보았듯이 광산업육성의 가장 핵심기반은 연구개발 능력이다. 전세계 대부분의 광산업 단지는 광산업에 특화된 대학을 가장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하여 대학을 중심으로 단지가 형성되어 있다. 대학이나 연구소의 중요성이 높은 것은 광산업이 기술중심의 복합산업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희소한 연구인력 자원의 확보를 위해서도 대학 주변에 연구단지가 생겨나고 있는 것인데, 대학에서 배출된 인력이 대학과 유기적으로 연계를 맺으며 제품이나 기술을 정교하게 상업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thesis aims to present strategic plans for securing the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global, as well as domestic, market of Korea' s optoelectronics industries through Porter' s national competitiveness theory and its extended version, the Double Diamond Model. Also, it examines the factor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dvantage and how advanced countries developed; in turn, it focuses on how Korea can prepare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optoelectronics industries. Porter provides the analytical framework for looking into where 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starts, suggests four possible attributes for competitive advantages, and describes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opportunity. In his theory, it is when the national environment allows and helps the accumulation of featured assets and technologies that business can get competitive edge. When the national environment pressures businesses into reforming and investing, they can promote competitive advantage in time as well as getting it. In doing so, the Double Diamond Model is added since it is considered to be useful for explaining small-scale economy systems. This approach employs internationalized diamond which takes into account not only a country's domestic but also other countries' diamond. Optoelectronics industries are, in short, the industries of making and controlling light. It is expected to be the base industry for 21C information superhighway society, the powerhouse of knowledge industry, and the futuristic industry with continual growth. Not only that, it is attractive in that it is not influenced by resources and it is environment-friendly. On the other hand, it takes long time for the fruit to take shape. As is the case, the governmental intensive support is indispensable. Optoelectronics industries need long-term investment, research infrastructure, specialized and open cooperation system. That is, it should center around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erefore, it needs patience for the tangible result to take place. There is the need for cooperation with major foreign optoelectronics industries complexes to promote technologies. Optoelectronics industries of advanced countries is developing through integration and the intensive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the maximization of the use of universities and institutes specializing in optics. Optoelectronics industries complexes starts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research findings of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Especially small-and medium-businesses and venture businesses starts business, largely, by capitalizing on the optoelectronics industries integration complex. Even in countries with weaker optoelectronics industries foundation such as Australia and Taiwan, as well as in advanced countries, governmental-level support is provided for fostering optoelectronics industries. Russia and China are mulling over the cooperation with optic research institutes. To take Russia, it has 47 optic research laboratories where six thousand researchers are working on the governmental level. Taiwan operates optics-related institutes under the Industry and Technology Ministry. The same trend in quantitative change and structure is expected from Korea' s optoelectronics industries. Though the domestic demand seems to lag behind other state-of-the-art technologies, domestic productivity is expected to improve on account of the rise of global demand. Since Kwangju City is expected to invest 466.8 billion won in the optical industries by the year 2003, this thesis attempts to provid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irst, governmental-leve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grow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optoelectronics industries as one of domestic strategic industries. Since it takes time for the industry to achieve industrialization, the government should employ long-term approach and as in our country, which belatedly started the industry, it can be difficult, without the critical mass of investment, to lessen the gap with the companies of advanced countries.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strategic global partnership. To that end, gradual cooperation around the world is necessary. The drastic rise of such global partnerships justifies the need. Strategic global partnership is one of the important strategic choices in business from growing to declining industries, from manufacturing to services. Third, the building of optical industry-integrated complexes is necessary. To develop optoelectronics industries, the integration of various elements is needed. The integration of optic industry satisfies this need. In fact, most countries foster industrialization through integration since optical industry is the business with the broadband width of technological synergy and in turn, by integrating necessary resources, enhances productivity. Fourth, the building of optical industry founda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optical industry complexes in advanced countries should be expedited. The industry cannot succeed if it stays on Kwangju level or country level. Considering the competitiveness of world-renowned companies and their technologies, it is also important to invite foreign investment, to do the benchmarking of the industry mainstream, and to build the springboard to grow in the world. Finall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capability, the core of optoelectronics industries, should be enhanced. As seen in the cases of advanced countries, the most significant foundation is R&D. Most optoelectronics industries complexes in the world gather around universities majoring in optics. The reason is that the industry depends heavily on technologies and relatively scarce professional researchers.

      •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조동선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Multi-cultural Reading Program in a Middle School Name : Cho, Dong-Seon Major : Reading Education Advisor : Prof. Jung, Ok-Ryu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changes of the way students regard multiculturalism after conducting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it. The Korean society is changing greatly enough to have more than 2 % of the population with foreign citizenships. However, Koreans, who pride themselves in their homogeneous population, are not yet familiar with the terms such as a multiracial or multicultural society. In fact, they are not fully ready for the imminent multicultural society. Current educational programs about multiculturalism are overly weighed toward the enculturative education for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here is no other education for the general students. This shows the limit of the current education on multiculturalism, which is only aimed at cultural minorities. However, in order to have a great educational effect, we need to educate both the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he genera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will show us the changes of the general students'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ism after participating in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it, which makes the most of reading.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70 third graders in C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Preliminary inspections on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were conducted with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wo controlled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educational program was proceeded by using reading as a main method, and with the controlled groups, students took regular lessons, then the post-inspections on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were carried out to observe the chang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1.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makes the most of rea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s of the students' awareness on multiculturalism. 2.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change in four subcategories of 'cultural openness', 'cultural acceptability', 'cultural relativism', and 'understanding and satisfaction of one's culture' Second,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makes the most of reading had a meaningful effect on both the students with experiences abroad and those without any. In addition,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regardless of the level of the students' prior awareness on multiculturalism. In particular, it had a greater effect on the students with lower awareness on multiculturalism.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makes the most of read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On the basis of this study, we expect the vital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which makes the most of reading at schools. 논 문 개 요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사회는 외국 국적을 가진 주민이 2%를 넘을 정도로 사회 구성원이 변해가고 있지만 단일민족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는 한국인들에게는 다인종․다문화 사회라는 용어는 아직도 낯선 개념이며, 다가올 다문화 사회에 대한 준비도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 교육도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응 교육에 치우쳐 있고 그들과 학교에서 함께 생활하는 일반 학생들에 대한 교육은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문화적 소수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온전한 교육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들의 다문화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설정된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가? 2.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라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차이가 있는가? 2-1.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해외 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학생의 사전 다문화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있는 C여자중학교 3학년 70명으로 하였다. 2010년 12월에 예비 검사를 실시하여 설문 문항을 선정하였고, 2011년 3월 셋째 주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독서 교육 프로그램은 국어 시간을 활용하여 2011년 3월 28일부터 5월 24일까지 총 9차시의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 집단 2개 반과 통제 집단 2개 반을 설정하여 다문화 인식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에서는 독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통제 집단에서는 학교 수업을 진행한 후 다문화 인식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다문화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일반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문화개방성’, ‘문화수용성’, ‘문화상대주의’, ‘자국문화 이해 및 만족도’의 4개 하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둘째,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은 해외 문화 경험이 있는 학생과 해외 문화 경험이 없는 학생 모두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사전 다문화 인식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사전 다문화 인식이 낮은 학생에게 더 큰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학교에서 독서를 활용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될 것을 기대한다. 주요어 : 다문화 교육, 다문화 인식, 독서 교육

      • 슬관절치환술 환자의 Cephalosporin계 항생제 사용에 대한 경제효율성연구

        조동선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슬관절치환술은 노인층에 주로 발생하는 질환이며 심한 통증과 보행 장애 등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환자들은 치료의 최종 선택으로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수술인 슬관절치환술을 받게 된다. 급속한 고령화에 의한 수명의 연장 그리고 의료기술 및 재료대의 발전 등으로 우리나라의 슬관절치환술은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환자들 중에는 오랜 세월동안 잘 걷지 못하는 장애 때문에 불편한 나날을 보냈으나 편측 또는 양측의 술관절치환술 수술을 받고 제2의 인생으로 거듭 태어난 분들이 많다. 슬관절치환술은 고가의 재료대와 수술의 난이도 등으로 정형외과의 다른 수술에 비하여 재원일수도 길며 약제비의 부담도 크다. 슬관절치환술은 청결창상수술(Clean surgery)에 해당하는 수술이며 양측이나 혹은 편측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 가장 심각한 것 중의 하나가 감염이다 슬관절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예방적 항생제 사용에 있어서 2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와 3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를 각각 비교 검토해 봄으로써 환자들에게 치료와 약제비의 효과 면에서 어느 방법이 가장 경제적으로 효율성이 있는지 조사해 보기로 하였다. 본 연구는 S병원 정형외과에서 양측 또는 편측 슬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 112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진행되었다. 수술부위 감염을 막기 위해 슬관절치환술 전 후에 2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주사를 투여 받은 환자는 34명, 3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주사를 투여 받은 환자는 78명이었다. 2세대 Cephalosporin계 환자군의 경우 평균재원일수는 32.6일(양측)과 25.4일(편측)이었고 3세대 Cephalosporin계 환자군의 평균재원일수는 29.9일(양측)과 21.7일(편측)이었다. 슬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 개인 당 평균 총 항생제 약제비는 2세대 Cephalosporin계 환자군의 경우 226530원(양측)과 205863원(편측)이었고 3세대 Cephalosporin계 환자군의 평균 총 항생제 약제비는 268284원(양측)과 251548원(편측)이었다. 항생제 주사의 평균 투여일수는 2세대 Cephalosporin계 환자군의 경우 10.1일(양측)과 8.5일(편측)이었고 3세대 Cephalosporin계 환자군은 10.8일(양측)과 10.0일(편측)이었다. 111건의 슬관절치환술 중 퇴원 시 까지 수술 부위 감염은 한 건도 발생되지 않아(수술 전 감염된 경우 1건 배제시킴) 2세대와 3세대 Cephalosporin 계열 항생제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슬관절치환술 전 후에 수술부위 감염의 예방적 항생제로 사용되는 3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가 2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에 비해 수술부위 감염율을 낮추는데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3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는 재원일수를 약간 단축시켜준 것으로는 보이나 전체적인 약제비를 줄여주지 못했으며 오히려 항생제 약제비의 상승만을 가져왔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3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의 빈번한 사용은 병원 내에 항생제 저항성을 갖는 균주가 생겨나는 것과 연관이 있으며 골수염 같은 수술부위 감염이 실제로 일어났을 때 선택할 수 있는 항생제의 폭을 좁힐 수 있다. 이 연구는 국내 병원에 만연한 수술부위 감염에 대한 근거가 확실치 않은 걱정으로 인해 광범위 항생제의 남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증거를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Total Knee Replacement (TKR) surgery is an invasive procedure for those who have a late-stage knee joint disorder and cannot benefit from conventional drugs or conservative therapies. In the TKR surgery, the bone and the cartilage on the end of thigh bone (femur) and top of shin bone (tibia) are removed to create exact surfaces to accommodate the implant. The end of two bones is then capped by special metals. A specially designed plastic, metal and ceramic knee replacement implant is placed to function as a new knee joint that enables a patient to move smoothly. Many patients who had long suffered from extremely painful knees and eventually had a difficulty in walking have undergone the TKR surgery to restore the normal function of knees and successfully returned to an active life. Relative to other surgeries in orthopedic department. TKR surgery requires a longer hospital stay with higher drug costs. In this study, economic efficiency is compared between the use of 2nd and 3rd generation cephalosporins, before and after the TKR surgery.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ngth of hospital stay are considered as well, such as patients' gender, age and concomitant diseases and complications. This study was implemented by analyzing 112 patients' records who received bilateral or unilateral TKR surgery in S hospital. To prevent surgical site infection, all the patients received prophylactic antibiotics before and after the surgery. The 2nd generation cephalosporins were used to 34 patients, and 3rd generation cephalosporins were used to 78 patients. The average of total hospital treatment days was 32.6(in case of bilateral TKR) and 25.4(in case of unilateral TKR) for the 2nd generation cephalosporins recipients, and 29.9 days(bilateral), 21.7 days(unilateral) for the 3rd generation cephalosporins recipients. The total costs of antibiotic injections was on average 226530 won(bilateral) and 205863 won(unilateral) for the 2nd generation cephalosporins recipients and 268284 won(bilateral) and 251548 won (unilateral) for the 3rd generation cephalosporins recipients. The average antibiotic duration time was 10.1 days(bilateral) and 8.5 day(unilateral) for the 2nd generation recipients and 10.8 days(bilateral), 10.0 days(unilateral) for the 3rd generation recipients. No surgical site infection was found in this study. The one patient who had infection before the surgery has been excluded. This study shows that the 3rd generation cephalosporins do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rate of surgical site infection in comparison with the 2nd generation cephalosporins. Although they seem to reduce the total days of hospital care, they did not reduce the total medication costs and significantly raised the antibiotics costs. A frequent use of the 3rd generation cephalosporin is closely related to the emergence of resistant bacterial strains, and may limit the choice of antibiotic treatment when serous infections like osteomyelitis occur. This study suggests solid facts against the abuse of broad spectrum antibiotics, which tend to be overused in Korean hospitals out of ungrounded worries for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