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ibbs sampler를 이용한 Bayesian 방법에 의한 돼지 주요 경제형질의 유전모수 추정

        조규호 韓京大學校 生物環境·情報通信專門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Bayesian method에 바탕을 둔 Gibbs sampl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돼지의 산육형질에 대한 유전모수를 추정하고, 또한 번식형질에 대한 산차별 자료를 활용하여 산차의 기록에 대한 서로 다른 모델설정시의 유전모수 추정치의 변화를 통하여 종돈장에서 분석모델설정, 선발 및 육종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듀록종의 산육능력 검정자료를 바탕으로 30kg도달시 일당증체량, 30kg ~90kg도달시 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90kg 도달일령 및 사료요구율에 대한 성별, 연도, 계절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모든 효과에 있어서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30kg 도달시 일당증체량은 검정개시 체중과도 유의성을 보였으며, 30kg ~90kg 도달시 일당증체량 또한 종료체중과 유의성을 보였다. 2. 단형질 Bayesian 방법에 의해 추정한 Post-gibbs 후의 30kg도달시 일당증체량, 30kg ~90kg도달시 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90kg 도달일령 및 사료요구율의 유전력 및 표준편차는 각각 0.43±0.04, 0.49±0.038, 0.31±0.040, 0.48±0.039 및 0.62±0.086으로 추정되었다. 3. 다형질 Bayesian 방법에 의해 추정한 형질간 유전상관은 30kg도달시 일당증체량과 30kg~90kg도달시 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90kg 도달일령, 사료요구율에서는 각각 -0.02±0.077, -0.13±0.095, -0.55±0.053 및 -0.15±0.146으로 추정되었으며, 30kg~90kg도달시 일당증체량과 등지방두께, 90kg 도달일령, 사료요구율간의 유전상관은 각각 0.16±0.092, -0.73±0.034, -0.32±0.159로 추정되었고, 등지방두께와 90kg 도달일령, 사료요구율에서는 각각 0.01±0.093 및 -0.08±0.264로 추정되었으며, 90kg 도달일령과 사료요구율간의 유전상관은 0.23±0.136으로 추정되었다. 4. 요크셔종의 번식형질 중 생시총산자수와 21일령 복당체중에 대하여 농장, 년도, 계절 및 산차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계절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들에서 고도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21일령 복당체중의 경우는 계절에서 0.06 수준의 유의성을 보였다. 5. 단형질 Bayesian 방법에 의해 추정한 Post-gibbs 후의 생시총산자수와 21일령 복당체중의 유전력 및 표준편차는 각각 0.12±0.020, 0.03±0.007로 추정되었으며, 생시총산자수와 21일령 복당체중의 영구환경효과는 각각 10.9±1.63%, 0.96±0.695%로 조사되었으며, 두 형질의 반복력은 각각 0.22±0.012 및 0.04±0.008로 추정되었다. 6. 단형질 Bayesian 방법에 의해 추정한 산차별 생시총산자수의 유전력 및 표준편차는 1산차, 2산차, 3산차, 4산차, 5산차 및 6산차에서 각각 0.11±0.032, 0.15±0.037, 0.15±0.044, 0.12±0.042, 0.07±0.046 및 0.05±0.037로 추정되었다. 7. 다형질 Bayesian 방법에 의해 추정한 생시총산자수의 산차간 유전상관 및 표준편차는 1산차와 2산차, 3산차, 4산차, 5산차 6산차간에 각각 0.85±0.161, 0.89±0.144, 0.82±0.194, 0.69±0.343 및 -0.13±0.579로 조사되었으며, 2산차와 3산차, 4산차, 5산차 6산차 간에 각각 0.94±0.074, 0.94±0.121, 0.71±0.260 및 0.87±0.202로 조사되었고, 3산차와 4산차, 5산차 6산차 간에는 각각 0.99±0.019, 0.94±0.082 및 0.89±0.284로 조사되었으며 4산차와 5산차 6산차 간에는 각각 0.95±0.126 및 0.72±0.244로 조사되었고, 5산차와 6산차간에는 0.14±0.556으로 추정되었다. 8. 단형질 Bayesian 방법에 의해 추정한 산차별 21일령 복당체중의 유전력 및 표준편차는 1산차, 2산차, 3산차, 4산차, 5산차 및 6산차에서 각각 0.06±0.026, 0.02±0.013, 0.05±0.027, 0.03±0.023, 0.07±0.046 및 0.08±0.054로 추정되었다. 9. 다형질 Bayesian 방법에 의해 추정한 21일령 복당체중의 산차간 유전상관 및 표준편차는 1산차와 2산차, 3산차, 4산차, 5산차 6산차 간에 각각 -0.37±0.452, 0.51±0.368, -0.47±0.351, 0.69±0.296 및 -0.20±0.315로 조사되었으며, 2산차와 3산차, 4산차, 5산차 6산차 간에 각각 -0.08±0.701, -0.76±0.389, 0.57±0.429 및 -0.09±0.462로 조사되었고, 3산차와 4산차, 5산차 6산차 간에는 각각 0.82±0.263, -0.03±0.538 및 0.63±0.314로 조사되었으며 4산차와 5산차 6산차 간에는 각각 -0.35±0.703, 0.40±0.461로 조사되었고, 5산차와 6산차간에는 0.39±0.411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유전모수 추정시 REML 방법으로 추정이 불가능 한 대용량의 자료일 경우 Gibbs sampling을 이용한 Bayesian 방법도 훌륭한 유전모수 추정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일반적인 영구환경효과를 고려한 번식능력 분석시 산차간의 상관에 대한 가정이 많이 달라지므로 정확한 육종가 추정을 위해서는 산차를 고려한 반목모델보다는 개체의 산차를 다른 형질로 간주하여 분석하는 다형질 개체모형일 더 타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Genetic parameters for growth and reproductive traits of Duroc and Yorkshire breeds were estimated using Bayesian method via Gibbs sampling. The statistical model used in the analysis was the animal model with BLUP properties. The result were summarized as; 1.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x, year and season were highly significant for average daily gain at 30kg(ADG1), average daily gain at 90kg(ADG2), backfat thickness(BF), days to 90kg(D90) and feed conversion ratio(FC) in Duroc pigs (p<0.01). Average daily gain at 30k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different starting weight at performance test. And also, End weight at performance test was highly significant for average daily gain from 30kg to 90kg (p<0.01). 2. Estimated heritabilitie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for ADG1, ADG2, BF, D90 and FC were 0.43±0.04, 0.49±0.038, 0.31±0.040, 0.48±0.039 and 0.62±0.086, respectively. 3. Genetic correlation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were -0.02±0.077, -0.13±0.095, -0.55±0.053 and -0.15±0.146 between ADG1 with ADG2, BF, D90 and FC, respectively, 0.16±0.092, -0.73±0.034, -0.32±0.159 between ADG2 with BF, D90 and FC respectively, 0.01±0.093, -0.08±0.264 between BF with D90, FC, respectively, and 0.23±0.136 between D90 with FC. 4.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arm, year, season and parity were highly significant for total number of born and litter weight at 21 days except season's effect (p<0.01). For litter weight at 21 days, season was significant at p=0.06. 5. Estimated heritabilities, permanant environments, repeatabilitie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after post-gibbs using single traits for reproductive traits were 0.12±0.020, 10.9±1.63%, and 0.22±0.012, respectively, for total number of born and 0.03±0.007, 0.96±0.695%, and 0.04±0.008, respectively, for litter weight at 21 days. 6. Estimated heritabilitie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for total number of born after post-gibbs using single traits Bayesian method for 1st parity, 2nd parity, 3rd parity, 4th parity, 5th parity and 6th parity were 0.11±0.032, 0.15±0.037, 0.15±0.044, 0.12±0.042, 0.07±0.046 and 0.05±0.037, respectively. 7. Genetic correlation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for total number of born analysed by multiple trait Bayesian method were 0.85±0.161, 0.89±0.144, 0.82±0.194, 0.69±0.343 and -0.13±0.579 between 1st parity with 2nd parity, 3rd parity, 4th parity, 5th parity and 6th parity, respectively, 0.94±0.074, 0.94±0.121, 0.71±0.260 and 0.87±0.202 between 2nd parity with 3rd parity, 4th parity, 5th parity and 6th parity, respectively, 0.99±0.019, 0.94±0.082 and 0.89±0.284 between 3rd parity with 4th parity, 5th parity and 6th parity, respectively, 0.95±0.126, 0.72±0.244 between 4th parity with 5th parity and 6th parity, respectively, and 0.14±0.556 between 5th parity and 6th parity. 8. Estimated heritabilitie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of litter weight at 21 days after post-gibbs using single traits Bayesian method for 1st parity, 2nd parity, 3rd parity, 4th parity, 5th parity and 6th parity were 0.06±0.026, 0.02±0.013, 0.05±0.027, 0.03±0.023, 0.07±0.046 and 0.08±0.054, respectively. 9. Genetic correlations and their standard deviations of litter weight at 21 days analysed by multiple trait Bayesian method were -0.37±0.452, 0.51±0.368, -0.47±0.351, 0.69±0.296 and -0.20±0.315 between 1st parity with 2nd parity, 3rd parity, 4th parity, 5th parity and 6th parity, respectively, -0.08±0.701, -0.76±0.389, 0.57±0.429 and -0.09±0.462 between 2nd parity with 3rd parity, 4th parity, 5th parity and 6th parity, respectively, 0.82±0.263, -0.03±0.538 and 0.63±0.314 between 3rd parity with 4th parity, 5th parity and 6th parity, respectively, -0.35±0.703, 0.40±0.461 between 4th parity with 5th parity and 6th parity, respectively and 0.39±0.411 between 5th parity and 6th parity. Bayesian method via Gibbs sampling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was considered an efficient method especially in case of a large dataset for which genetic parameters often could not be estimated by REML method. Also the repeatability model assuming that genetic correlation among paraties was equal was improper. Rather than using the repeatability animal model with repeated records over the several parities, treating the parities as different traits would be more efficient because the genetic correlation was not the same between parities, which was proven more obvious in this study.

      • 육군 초급 장병의 유형별 갈등수준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갈등관리방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규호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조직 내 초급간부와 병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갈등유형별 수준과 이러한 갈등유형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부대 내에서 개인 간 갈등상황이 발생 시 직속상사들이 취하는 갈등관리방식은 어떠한 조절작용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방부의 사전승인을 받아 육군 전․후방부대의 초급간부와 병사 3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으로 독립변수는 Jehn(1995)의 갈등유형(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을, 조절변수는 Rahim(1983)의 갈등관리방식(통합, 순응, 타협, 지배, 회피)을, 종속변수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으로 하여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과 주요 변수별로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우선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신분별로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육군 조직 내 직속상사가 취하는 갈등관리방식에 대한 인식은 초급간부 및 병사 공히 통합․순응 〉타협 〉지배 〉회피방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갈등유형의 신분별 차이점을 확인한 결과 과업갈등은 유의한 차이점이 없는 반면, 관계갈등은 병사〉부사관〉위관장교 순으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신분별로 직무만족에 대한 인식은 장교〉부사관〉병사 순이며, 조직몰입은 부사관〉장교〉병사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갈등유형과 갈등관리방식,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등 주요 변수별로 상호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이다. 첫째, 육군의 초급간부 및 병사의 갈등유형과 조직효과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과업갈등과 직무만족 간에는 낮은 부(-)적 관계를, 관계갈등과 직무만족 간에는 비교적 높은 부(-)적 관계가 나타났으며, 조직몰입과는 과업갈등과 관계갈등 공히 낮은 부(-)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둘째, 갈등유형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초급간부와 병사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초급간부는 과업갈등〉관계갈등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병사들은 관계갈등이 과업갈등보다 부(-)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육군 초급간부 및 병사의 갈등유형별 수준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직속상사의 갈등관리방식이 어떠한 조절작용을 하는가를 확인한 결과, 갈등관리방식 중에서 회피방식만이 조절작용을 하여 조직효과성에 부(-)적인 영향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Rahim(1983)이 개발한 다섯 가지의 갈등관리방식(통합, 순응, 지배, 회피, 타협)중에 통합․순응방식이 하나의 요인으로 수렴되었다. 이는 철저한 위계조직인 육군의 조직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육군 조직 내에서 직속상사가 취하는 갈등관리방식은 통합〉타협〉지배〉회피방식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공무원에 대한 연구결과와 동일하나, 경찰 또는 중앙부처 공무원에 대한 연구와는 상이한 결과다. 셋째, 육군 조직 내에서 초급간부와 병사들의 갈등유형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과업갈등보다는 관계갈등이 더 큰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와 일치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여주는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육군에서 초급간부 및 병사들이 인식하는 직속상사의 갈등관리방식은 통합․순응 방식이 가장 많고, 회피방식이 가장 적었다. 또한 상관분석 결과 통합․순응방식은 개인 간 갈등을 완화하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증가시키는 반면, 회피방식은 반대로 부대원들 간의 갈등을 증가시키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육군은 개인 간 갈등상황을 통합․순응방식으로 해소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다양한 제도를 개발 및 확대해야 한다. 둘째, 관계갈등이 과업갈등보다 육군 초급간부 및 병사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더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육군은 관계갈등을 우선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셋째, 효과적인 갈등관리를 위해서는 통합․순응방식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 상황에 따라 타협․ 지배방식과 회피방식 등을 적절하게 활용하여야 한다. 상이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최선의 갈등관리방식은 없기 때문이다. 넷째, 육군 조직의 특성과 초급간부 및 병사의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갈등관리체계의 정립이다. 부대별 사고예방체계를 갈등관리체계로 통합하고, 제대별․ 기능별로 갈등관리 전담조직을 편성함으로써 체계적이고 실질적이며 지속적인 갈등관리를 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적인 갈등관리방식을 파악하는데 있어 설문지 기법만을 이용하였으나, 향후에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위해 면담(interview), 관찰(observation) 등의 다양한 측정방법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표본 대상을 육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levels of different conflicts that are perceived by soldiers and junior leaders within the army and how these different types of conflicts may effect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Furthermore, it is analysed positively that how conflicts are controlled by the immediate superiors when personal conflicts actually occur. After being given the pre-authorization from the ministry of defense, the total number of 369 soldiers and junior leaders had been surveyed and the data was analysed by SPSS-21.0 stats program. As for the experiment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set to Jehn(1995)'s conflict styles, the moderator variable to Rahim(1993)'s conflict management style(integrating, obliging, compromising, dominating, avoiding) and the dependent variable to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he result can be classified by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the analysis on the mutual effects per primary variables. Above all, the result of analysis regar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rank shows following. First, the realization on the conflict management by the immediate superiors within the army was displayed as following: integration․obliging 〉 compromising 〉dominating 〉avoiding. Second, having the difference per social status confirmed, contrary to task conflict, relational conflict was displayed as following : solider 〉non-commissioned officer 〉officer. The education and working place have shown to be less significant. Third, the recognition on the job satisfaction per different status was displayed as following : officer 〉NCO 〉soldi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NCO 〉officer 〉soldier and recognition on the job satisfac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in regard to mutual effects of primary variables such as conflict types, conflict manage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rst, after the correlation analysis on conflict types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of the junior leaders and soldiers, lesser negative relation was displayed between task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and relatively high negative relation was displayed between relational conflicts and job satisfaction. The organization commitment has in fact indicated less negative relation with task conflicts. Second, by observing the result, the way in which conflict types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of the junior leaders and soldiers have appeared to be different. Due to task conflict being bigger than relational conflict, the junior leaders displayed a negative sign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reas for the soldiers, relational conflicts have shown to have more negative effect than task conflicts. Third, after verifying how immediate superior's conflict management works against the junior leaders and soldier's conflict levels affecting organizational efficiency, among the five management types only avoiding appeared to control and hence increases nega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 efficienc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btainable throughout the research are following : First, among the five conflict management(integrating, obliging, dominating, avoiding, compromising) invented by Rahim(1983), integrating and obliging have made a convergence. this is due to the army being thoroughly established on the order of rank. Second, the conflict management adopted by the immediate superiors within the army has appeared in the order of integrating 〉compromising 〉dominating 〉avoiding. such result is identical to the study toward public educational officer but it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 studies took place in the police organization or the central office group. Third, the regression analysis has presented that the relational conflict has more negative influence than the task conflict and it has came to consensus with the existing advanced research. The political undertone presented in the outcome of this study is following below. First, the most efficient conflict management measure recognised is integrating and the worst is avoiding. contrast to integrating, where it reduces individual conflicts and enhanc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voiding works exactly the opposite. therefore, the army must develop and expand the practical and diverse system that can resolve individual conflict in the integration method. Second, since the relational conflict has more negative influence toward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he task conflict, the army must primarily seek the ways to resolve relational conflict. Third, to manage conflict effectively, integration must be efficiently utilised first, and then other methods such as compromising, dominating and avoiding needs to be used regarding the situation. because no method is best in any situation. right method must be used. Forth, establishing an efficient conflict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junior leaders and soldiers. integration of preventative program systems that are spreaded in different units to one conflict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ing conflict management unit per each echelon will contribute in making systematic, actual, sustaining conflict management conditions. The limit and henceforth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comprehend effective conflict management method, only survey was used. hereafter, for depth study, various measures including interview and observation should be used. Second, since only the army was taken into account in this study generalization is limited. the marines and the air forces must also be included in the future studies and in case of need, the study should stretch out to include field grade officers too.

      • 세종테크노파크 설립과정과 역할에 관한 연구

        조규호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조성된 우리나라 테크노파크의 시작은 1990년대 후반 지역산업정책의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1997년 6개 지역 시범테크노파크를 시작으로 전국 광역시·도에 테크노파크가 단계적으로 조성되기 시작했으며, 2019년 세종테크노파크를 마지막으로 전국 19개 테크노파크가 설립되어 운영 중이다. 테크노파크는 산·학·연·관의 인적·물적자원을 일정한 장소에 집적시켜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그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하며 산·학·연·관의 상호 연계와 협력을 통하여 지역혁신과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테크노파크 중 가장 마지막으로 설립된 세종테크노파크의 설립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설립초기부터 현재까지 세종시의 지역산업 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전개한 활동과 성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세종시 지역혁신 거점기관으로 발전하기 위한 향후 역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세종테크노파크의 설립은 세종시 지자체의 정책적 의지가 반영된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세종시는 2012년 출범 직후인 2013년부터 경제적 자족기능 확충을 목표로 다른 지역의 테크노파크가 수행하는 지역산업진흥사업에 참여해왔으며, 세종테크노파크 설립 추진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시기인 2018년에는 세종테크노파크 설립이 세종시 시정 3기 공약인 ‘지속가능한 스마트경제’ 구현의 일환으로 세종시 산업육성의 핵심과제로 추진되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세종테크노파크는 설립 이후 조직규모와 기능이 대폭 확대되었다. 조직 규모는 인원, 예산, 수행사업 수를 기준으로 설립 당시 대비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5배 이상 성장하였으며, 세종테크노파크 설립으로 다른 지역 기관에서 운영하던 세종시 기업지원사업이 세종테크노파크로 이관되면서 다양한 지원기능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세종테크노파크는 테크노파크 고유기능인 지역산업 육성, 중소기업 지원, 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왔으며, 그로 인한 성과도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산업 육성을 위해 집중 육성할 산업을 선정하고, 관련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개발 및 다양한 기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기업의 매출 증대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었으며, 세종시 향후 10년을 주도할 5대 신산업을 발굴하여 지원하는 활동도 확인하였다. 또한,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신규사업 및 지원기능을 확대함으로써 지원기업 수가 설립 당시와 비교 했을 때 2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 내 산학연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서 여러 유관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협력사업 발굴, 기업지원프로그램 연계, 정책연계시스템 운영 등 유관기관과의 활발한 연계·협력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네 번째, 본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세종시 지역혁신 거점기관으로서 자리 잡기 위한 세종테크노파크의 향후 역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세종시 경제자족도시 완성을 위한 역할로 스마트국가산단 등 세종시 핵심과제와 연계한 산업육성 관점의 아젠다 발굴에 주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것과 중소기업 종합지원기관의 역할로 체계적인 기업지원관리시스템 구축, 전문서비스 제공을 위한 임직원 역량강화, 유관기관과의 협력강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세종테크노파크는 2년이 지난 초기 조직임에도 불구하고 20년 역사의 타 테크노파크와 같은 기능을 갖춰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활동과 성과는 타 테크노파크와 비교해 조직 규모가 미약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세종시 지역혁신 거점기관으로서 자리 잡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로 판단하였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한 자율주행 산업 육성, 진단기반 기업맞춤지원시스템 운영, 정책연계시스템 운영 등의 세종테크노파크의 대표 활동사례는 세종테크노파크만의 차별화되는 성과로 볼 수 있다. The start of Korea's Techno Park, which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was promoted in earnest with the start of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the late 1990s. Starting with pilot techno parks in six regions in 1997, techno parks began to be built in stages i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country, and 19 techno parks nationwide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after Sejong Techno Park in 2019. Techno Park contributes to regional innovation, job creation,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rough inter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cademia, research, and government, jointly developing technology by integrating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certain plac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Sejong Techno Park, the last of which was established among techno parks in Korea, and studied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Sejong City to develop local industries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In addi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tudy, the future role of developing into a regional innovation base institution in Sejong City was considered. The main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ablishment of Sejong Techno Park wa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policy will of the local government of Sejong City. Sejong City has participated in regional industry promotion projects carried out by techno parks in other regions since 2013, shortly after its launch in 2012, and in 2018, the establishment of Sejong Techno Park was promoted as a key task to foster Sejong City's industry. Second, Sejong Techno Park has greatly expanded its organization size and function since its establishment. Based on the number of people, budget, and projects carried out,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has doubled to as much as five times compared to the time of establishment,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various support functions are expanding as Sejong City's corporate support project was transferred to Sejong Techno Park.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ejong Techno Park has been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focusing on fostering local industries, supporting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and establishing industry-academia-related networks, which are unique functions of Techno Park, and is also showing results. It selected industries to be intensively fostered to foster local industries, contributed to increasing sales and job creation of local companies by providing technology development and various corporate support services to related companies, and confirmed activities to discover and support five new industries that will lead the next 10 year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supported companies more than doubled compared to the time of establishment by expanding new projects and support functions to suppor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In order to establish an industry-academia-related network in the reg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business agreements were signed with various related organizations to actively link and cooperate with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finding cooperative projects, linking corporate support programs, and operating policy linkage systems. Fourth,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future role of Sejong Techno Park to establish itself as a regional innovation hub institution in Sejong City was considered. First of all, it suggested the need to play a leading role in discovering agendas from the perspective of fostering industries such as the Smart National Industrial Complex, establishing a systematic corporate support management system, strengthening professional services,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Although Sejong Techno Park is an early organization two years lat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has the same function as other Techno Parks with a history of 20 years. Although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has been weaker than that of other techno parks, it has been judged as a result of great efforts to establish itself as a regional innovation hub in Sejong City. In particular, Sejong Techno Park's representative activities such as fostering the autonomous driving industry, operating a diagnostic-based company customized support system, and operating a policy-linked system can be seen as a differentiated achievement only for Sejong Techno Park.

      • 회전익 항공기 이·착륙 시설 활용방안에 관한 법제 검토 및 개선방안

        조규호 韓國航空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 검토, 개선하려는 부분은 헬리콥터 이·착륙시설의 구분과 이·착륙장의 증설, 헬리콥터 이·착륙의 선택적 자율성 증가에 있다. 이·착륙장증설의 목적은 헬리콥터 전용 이·착륙장으로 등록함으로써 관리되는 안전한 헬리콥터 이·착륙장을 설치하고자 함이다. 또한 이·착륙장의 고른 분포를 형성함으로써 도심에서 교통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긴급상황 시 공중과 지상을 연결해주는 통로를 증가시키고자 함이다. 항공기 이·착륙 시설은 비행장과 이·착륙장으로 나눌 수 있고 헬리콥터의 헬기장은 비행장에 속해 있다. 이·착륙장은 경량항공기(최대이륙중량600Kg미만)이하의 항공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시설로 현재 국내 등록된 헬리콥터는 이·착륙할 수 없는 제도적 문제가 있다. 그리고 헬기장외 이·착륙을 위해서는 비행장외 이·착륙을 위한 허가를 국토교통부장관으로부터 득하고 착륙해야 하는 현실이다. 헬기장의 증설을 논하면 되지 않은가 싶지만 항공관련법규는 헬기장을 비행장으로 분류하고 있다. 비행장시설을 갖추어야 하고 모기지로서 정비시설, 주기시설 등을 갖추도록 정의해야 한다. 정거장의 개념을 지니는 간단한 이·착륙장의 개념으로 헬리콥터 이·착륙장이 증설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고정익항공기의 비행장과 이·착륙시설 구분과 같이 회전익항공기도 헬기장과, 이·착륙장으로써 헬리패드로 작성함을 든다. 그리고 이러한 헬리패드의 설치기준에 있어 운항특성을 기본으로 물리적 기준을 확인함으로써 이·착륙장의 장소를 늘리기 위해 항공관련법규와 건축법의 제도적 보완과 증설을 위한 물리적 기준을 제시한다. 그리고 헬리콥터 이·착륙장의 증설로 해결되지 못하는 지역에 비행장외 이·착륙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한 포터블장치를 제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헬리콥터의 비행특성과 이·착륙시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헬기장기준으로 작성되어진 항공관련법규의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아쉬운 점은 헬리콥터의 이·착륙장에 대한 선행연구가 적다는 점이다. 헬리콥터를 생활과 가깝게 하고자 소음에 관한 문제, 국가항공기등 긴급항공기의 문제를 다뤘을 뿐 필자가 중요하게 제시하는 이·착륙시설에 대해서는 찾기가 쉽지 않았다. 앞으로 PAV, 드론택배 등의 미래 발전성을 볼 때 이·착륙장의 증설은 중요한 부분일 것이다. 미약하나마 본 논문이 이·착륙장 시설의 선행연구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지방자치단체의 초고속자가통신망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조규호 동의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그 중요성 및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력 응집을 위한 효율적 초고속 자가통신망 구축 및 운영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유비쿼터스 도시(이하 u-city)라 일컬어지는 지방자치단체의 독립적 자가통신망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 수립과 운영에 대한 방안 제시를 위하여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아울러 모범적인 해외사례의 고찰을 진행하였다. 특히 효율적인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본 연구자가 원활한 정보 수집 및 교류를 진행할 수 있는 부산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독립적인 자가통신망 구축과 운영에 대한 고도화 계획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대역 통합망 시스템, 미래 컨버전스 서비스 및 IPv6 서비스 등의 현황과 발전방향을 파악하여 초고속 자가광통신망의 기술발전동향을 알아보고, 부산정보고속도로, 서울시(e-Seoul Net) 및 일본의 오까야마, 기후현 등의 지방자치단체 자가통신망 구축사례를 통해 그 시사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초고속 자가통신망의 발전 및 활용방안을 통해 초고속 자가통신망 구축사업의 특성 및 성과분석 범위, 방법 및 절차를 알아보고 효율적 인 성과분석을 위한 측정지표를 도출하고, 체계적인 u-City 구현을 위한 통 신 인프라 수요도출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의 역할 분석 및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초고속 자가통신망의 고도화에 따른 인프라 전환의 필요성을 알아보았으며, 초고속 자가통신망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u-서비스의 중장기 사업 추진방향 및 초고속 자가통신망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u-도시통합관제센터의 역할모델을 제시하였다.

      • 교원의 공직윤리관 분석

        조규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designed to present basic materials needed to establish policies related to public office ethics by securing information and materials necessary for the enhancement of public office ethics on the basis of making an analysis of how much teachers are aware of public office ethics and how hard they try to put such an awareness into practice.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contents of this survey. The researcher inquires into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as to public office ethics centering on the Service Regulations on Government Employees and General Principles on the Practice of the Charter of Government Employees' Ethics;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as to public office ethics breaks down to the cognitive level of teachers and the practical level of teachers. And the researcher tries to find out wh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levels. So a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worked with a total of 600 teachers working for 30 public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making use of 580 returned questionnaires. I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drawn from the study. First, the subjects working for public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turn out to have a substantially high understanding of public office ethics.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a less career prove to be more highly aware of public office ethics than male teachers, appointed teachers and teachers with a more career. And the research indicates th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have a relatively high understanding of public office ethics in the right order. This is ascribable to the fact that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a less career take a pride in the job of teaching students for they have a notion of preferring the job to others and have come to enter the teaching profession through state examination for the employment of teachers, and parents have a more confidence in them than male teachers and elderly teachers, and they regard their profession as a life-long work for self-achieve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public office ethics in the right order for there are m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a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ve level and the practical level is attributable to the deteriorated educational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burdensome tasks of teachers. So it is absolutely necessary that education authority in charge of policies should not shrink from making an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hat teachers should be allowed to be relieved of miscellaneous duties and to zero in on teaching students. Third, the findings have it that teachers are aware of public office ethics by subordinate area in the following order: integrity & dignity, the spirit of obeying laws and order, respect & fidelity, basic attitudes, and honesty & sacrifice. The fact that teachers are most highly aware of integrity and dignity is interpreted as a green light for the future of Korean education. The government authorities in charge of educational policies should make sure that the gap between the pay of employees at ordinary companies and that of teachers should be narrowed and that teachers should not be exposed to nasty infringement on educational authority with the help of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authorities in charge of educational policies in the grim context that students and teachers pay little respect to teachers, and that teachers fall a victim to the reduction of mandatory retirement age, leading to the aggravation of educational fields. So I would like to strongly suggest that teachers, the subjects of educational reform, should be granted better treatment and real educational authority as a vehicle for heightening the morale of teachers and for saving their hon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