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저탄소정책에 관한 연구 : 탄소성적표지 및 저탄소제품 인증을 중심으로

        조규수 금오공과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저탄소정책에 관한 연구 -탄소성적표지 및 저탄소제품 인증을 중심으로- 조 규 수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된 지구온난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날로 심각해지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탄소저감 및 배출량 공개를 추진하고 있는 바, 이를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 도입된 탄소성적표지 제도의 활성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1단계 탄소라벨링 제도 운영과정에서 생산․유통․사용․폐기 단계 등 과정별 배출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세계최초로 도입된 탄소성적표지 2단계 인증인 저탄소제품 인증제도의 본질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시행중인 탄소성적표지 제도에 대하여 도입 배경, 추진방향, 향후 추진과제 등에 관하여 고찰해보고 외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제도와 차이점 등을 분석고찰 확인하였다. 탄소성적표지 제도 도입의 본질적인 목적은 녹색소비를 통한 녹색생산을 유도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서 저탄소사회를 구현하고자 함에 있다. 하지만 탄소성적표지제도가 공식 도입된지 얼마되지 않은 제도이기 때문에 탄소성적표지 제도를 인식하는 인지도와 활용도 및 향후 과제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사안이다. 이에 향후 해결방안 등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2009년도에 도입․운영되고 있는 탄소성적표지제도가 전세계적으로 탄소라벨링을 운영하는 12개 국가중에서도 영국에 이어 선도국가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고 일부 국가에서는 벤치마킹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1단계 탄소배출량 인증을 기초데이타(Base Line)로 하고 동종제품군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제품이거나 정부에서 제시한 최소한도의 탄소감출률을 달성한 경우에는 2단계 인증인 저탄소제품 인증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정부에서 추진중인 온실가스목표관리제를 충실히 이행하는 하나의 실천방안으로 활용된다면 좋은 효과를 거양할 수 있을 것이고, 2020년까지 배출전망치(BAU)대비 30%감축 목표달성의 실행방안으로도 활용된다면 많은 효과를 거양할 수도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탄소제품 인증제도는 생산기업체의 입장에서는 탄소성적 산출을 통해 제품 전과정의 탄소 배출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원부자재 및 공정의 문제를 파악하고 감축요소를 도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한 제품 또는 탄소배출이 낮은 제품을 많이 구매할 수 있도록 저탄소 소비문화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는 것이 목표이다. 탄소성적표지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비자들에게 사용상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인센티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소비자들은 탄소라벨링 제품 구매시 대부분이 제반 경제적 가치를 제일 우선 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린카드와 연계하여 인센티브 부여 방안을 강구하고, 홍보 시 우선적으로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 측면에서의 인센티브 부여방안도 아울러 고려할 필요가 있다. 2단계 인증인 저탄소제품 인증이 2011년 11월부터 시작되었으므로 저탄소제품을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녹색제품의 범주에 포함하여 공공기관 의무구매 대상품목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해야만 실질적인 인센티브 방안이 될 것이며, 인증신청비용을 감면하는 방안, 상대적으로 어려운 인증신청보고서 작성 및 해외 인벤토리 활용 등 컨설팅 지원방안이 고려되어야만 실질적인 인센티브 부여방안이 효과를 거양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기업 등에서 마케팅 전략 등으로 활용가능여부 등을 제시함과 아울러 제도의 실효성을 기하는 한편,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개 년도에 걸친 소비자의 의식조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심각성 인식과 탄소라벨링 제도의 인지도 변화 등을 살펴보고 탄소성적표지제도의 발전방안을 고찰하였다. 탄소성적표지제도 도입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탄소배출량 인증 제품당 연평균 약 384톤CO2 감축효과 있고, 생산재를 제외한 434개 제품에 적용할 경우 매년 약 166천톤CO2 감축효과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CER 가격환산 시 약 31억원(1,867천유로)의 경제적 효과 발생 및 어린소나무 6천만 그루 식재 효과가 있는 등 그 효과는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인증제품이 더욱 다양화되고 활성화 될 경우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이산화탄소 다량 배출업종인 석유화학, 철강, 중화학공업 분야에 대하여 탄소성적표지 및 저탄소제품 인증을 확대하고 실질적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하여 보다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Study on Low Carbon Policy for Climate Change Response -Focusing on carbon labeling and low carbon product certification- Gyu-Soo Joe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bstract Recently, as an active response to the serious environmental threat of global warming, and as a means to adapt to the ever-growing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carbon reductions and disclosure of carbon emissions are being pursued. The study proposes methods to promote the carbon labeling policy, a policy measure adopted to address the above needs.. The study analyzes the substance of the low carbon product certification policy, the second phase in carbon labeling, which Korea was first to adopt in the world. The adoption of this certification policy was based on production, distribution, use and disposal emissions data accrued during the enforcement of first phase carbon labeling policy. This study reflects on the background, direction, and future tasks for the current carbon labeling policy in Korea, and analyzes similar cases overseas to analyze, review and identify differences with domestic policy. The core purpose of the adoption of the carbon labeling policy was to promote green production by encouraging green consumption, lower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o realize a low carbon society. However, as the carbon labeling policy has only recently been adopted, the tasks of increasing policy recognition, utilization and other tasks need be addressed. As such, the study explores means by which to address these tasks. The carbon labeling policy, adopted and operated since 2009, has placed Korea as one of the leaders in carbon labeling, second to the United Kingdom among the 12 countries worldwide operating such policies. Some countries have set Korea as the benchmark for their own policies. With phase one carbon emissions certifications as the baseline, products with relatively low carbon emissions than similar products or those having accomplished the minimum carbon emissions reductions set forth by the government are awarded phase two low carbon product certification. When utilized as a means to implementing the greenhouse gas target management system currently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positive effects can be expected. Additional beneficial effects can also be expected if the policy is utilized as a means to accomplish the goal of 30% reductions relative to 2020 BAU (business-as-usual-) scenarios.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the carbon labeling policy, incentives providing benefits to consumers should be provided. When purchasing carbon-labeled products, consumers are found to consider the underlying economic value to be most important. methods to provide incentives in connection with the green card system should be studied, and promotion of policies should take the economic aspect into key consideration. Incentives for business need be considered as well. As phase two low carbon product certification was begun in November 2011, low cabon products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green products provided in the 『ACT ON ENCOURAGEMENT OF PURCHASE OF GREEN PRODUCTS』, thereby included in the mandatory purchase items list of public agencies to provide real incentives for businesses. Additional considerations for reductions in costs involved in requesting certification, providing consulting support services for the relatively complex process of filling out and submitting certification request reports, and making use of overseas inventories should be made in order for incentives to be truly effective. The study proposes means by which the policy can be incorporated into corporate marketing strategies, and, based on consumer behavior surveys over 3 years from 2009 to 2011, changes in understanding of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and recognition of the carbon labeling policy were reviewed to propos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 carbon labeling policy.

      • 메틸셀룰로오스 제조 공정 폐수 처리에 대한 연구

        조규수 명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부분 산업은 공정 중 다량의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양의 폐수가 발생하고, 이는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각 산업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성상은 분야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처리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합성화학물질 중 하나인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MC)는 의약품, 화장품, 건축용 자재의 첨가물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는 물질이며, 메틸셀룰로오스 제조 폐수는 메틸기와 떨어진 Cl-와 잔류한 Na+로 인해 염이 높다. 고농도 염은 미생물 활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기존 활성슬러지법으로 해당 폐수를 처리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염에 적응된 슬러지를 이용하여 폐수의 유기물 제거를 확인하고, 처리에 기여한 미생물 군집을 분석하였다. 이후, 물리·화학적 처리를 통해 추가적인 유기물 제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생물학적 처리 실험은 MC 폐수와 에피클로로하이드린(Epichlorohydrin, ECH) 제조 공정 폐수를 혼합하여 연속회분식 반응으로 진행되었고, 미생물 군집은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물리·화학적 처리 실험은 활성탄흡착과 오존 산화 실험으로 진행되었다. 생물학적 처리 결과, MC+ECH 폐수의 영양물질을 추가하여 최대 93%의 제거율을 확인하였다. 처리에 기여한 미생물은 Halomomas spp.등의 호염성 미생물에서 Marinobacter spp., Methylophaga spp.와 같은 호염성 탄화수소 분해 미생물로 군집이 변화하였다. 물리화학적 처리 결과, 활성탄흡착에서 최대 75%의 추가 유기물 제거가 가능하였고, 오존 산화에서는 추가적인 유기물 제거를 확인할 수 없었다. Since most industries use large amounts of water during the process, large amounts of wastewater are generated, which has an impact on the environment. In addition, since the properties of wastewater discharged from each industry vary depending on the field, development of treatment technology to solve this is required. Methyl cellulose (MC) is one of synthetic chemical substances. It is a substance widely used in medicines, cosmetics, and, additives for building materials. The wastewater generated in the MC production process is characterized by high salt due to residual sodium and chlorine separated from the methyl group. It is difficult to treat the wastewater with the conventional activated sludge method because the high concentration of salt interferes with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s.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e removal of biological organic matter from methylcellulose wastewater using sludge adapted to salt, and amalyzed the microbial community that contributed to the treatment. After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al organic matter removal was confirmed through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The biological treatment experiment was conducted by mixing MC wastewater and Epichlorohydrin (ECH) manufacturing process wastewater in a sequencing batch reactor, and microbial communities were analyzed using pyrosequencing.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ctivated carbon adsorption and ozone oxidation experiments. As a result of biological treatment, the removal rate of up to 93% was confirmed by adding nutrients from ECH+MC wastewater. The microbes that contributed to the treatment were changed from halophilic microorganisms such as Halomomas spp. to halophilic hydrocarbon-degrading microorganisms such as Marinobacter spp. and Methylophaga spp. As a result of physicochemical treatment, it was possible to remove up to 75% of additional organic matter from activated carbon adsorption, and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additional organic matter removal from ozone oxidation.

      • 건강 기능성 식품의 상품화 전략을 위한 섭취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비타민.미네랄을 중심으로

        조규수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비자의 비타민?미네랄 제품의 섭취실태를 분석함으로써, 비타민ㆍ미네랄 제품에 대한 올바른 섭취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 지속적 성장이 예측되는 건강기능성식품의 시장규모와 환경 및 향후 전망을 살펴보고, 소비자 섭취실태분석을 통하여 중소기업 건강식품 업계의 성공적 상품화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응답자의 인구 통계학적 분포상태 및 건강 관련 특성과 비타민ㆍ미네랄제의 복용여부, 복용이유, 비복용 이유, 복용하는 비타민ㆍ미네랄제의 종류, 구입 시 참조하는 정보매체 및 구입 장소, 비타민?미네랄의 구입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고려요인과 앞으로의 복용의사를 빈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남자, 30대, 대졸이상, 주부, 가족의 총 월수입은 300~400만원 대가 가장 많았으며, 또한 대다수가 본인 스스로 건강하다고 생각 하지만 걱정은 하고 있었으며 거의 대부분의 대상자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복용면에서는 다수의 대상자가 종합비타민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여자, 주부의 경우는 C제, E제, 철분제, 칼슘제 등을 다양한 분포로 복용하고 있었다. 한편 복용이유는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와 피로를 회복하기 위해서가 많고, 비복용자는 식사만으로 영양이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비타민ㆍ미네랄 제품 구입 시 필요한 정보는 경험자의 권유나 의사?약사의 처방권유로 많이 얻고 있었고 약국과 병원?전문점에서 주로 구입하였다. 조사 대상자가 선호하는 제품형태로는 캡슐과 정제를 선호하고 본인의 체질에 맞는 제품과 제품의 품질관리에 대하여 거의 대부분의 대상자가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끝으로 비타민ㆍ미네랄 보충제의 상품화 전략에 대한 제언은 소비자를 위한 종합적 상담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소비자 지향적 유통전략과 자사의 지속적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한 시장과 소비자의 세분화, Target 선정, 집중화된 제품 개발, 틈새시장에서 기존기술의 상품화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