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을숙도문화회관 운영 활성화 방안

        조경은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of Eulsukdo Cultural Center in terms of organization, budget and operation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inding solutions to those problems, proposing how to promote the operation of the performance hall and ultimately giving people the more opportunities of meeting their needs for culture at the center and art and, accordingly, raising their life quality.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first theoretically reviewed the concept and marketing of public cultural art centers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the organization, budgets and operation of Eulsukdo Cultural Center. Then the researcher analyz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May to Aug. 2010 to get responses regarding "the ways of promoting the operation of Eulsukdo Cultural Center from visitors of the center. The analysis found that Eulsukdo Cultural Center has some problems like few relevant experts, few convenience facilities, poor accessibility, little budgets and lack in customer satisfaction services and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activities. Considering these problems, the research would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promoting the operation of the center. First, relevant experts should be supplemented. This can be done in two ways, utilizing existing staffs of the center and hiring contracted specialists from outside. In the former case, it's needed to motivate the staffs with lots of incentives. In association, highly capable marketers, professional house managers who can help raise customer satisfaction and more stage experts should be recruited. Second,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facilities should be increased. The center needs to have child care facilities and more cultural spaces within their premise. They also needs to expand their parking lots and purchase or lease shuttle buses. To make people feel little distant from Eulsukdo Cultural Center requires that the center provides higher-quality performances and cultural and art education programs. Third, it's important to secure budgets enough and stable financial resources. This can be done by organizing sponsorship, raising lottery founds, promoting mecenat, attracting investors and getting subsidies under the name of cultural reception expenses. Fourth, service encounters should be strengthened for more customer satisfaction. The center needs to make their staffs participate in kindness education programs and, in accordance with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eory, improve their convenience facilities and try to satisfy their customers' needs for culture and art. And customer satisfaction surveys should be conducted over a long period in order to find more effective ways of satisfying customers. Finally,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activities should be made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ord of mouth marketing, network marketing and youth education programs. Introducing ticket booking and membership systems and placing mailzines and banner advertisements on the Internet are also needed.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above suggestions help promote the operation of Eulsukdo Cultural Center, ultimately making the center a performance space where not only residents of the west Busan, but also all people of the city can meet their various needs for culture and art.

      • 초등영어교육에서 동화의 효과적인 활용

        조경은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영어 동화를 활용한 영어 수업이 효과적임을 입증하기 위해 우선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고 현재 사립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지도하고 있는 한국인․외국인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한 후 두 교사군이 가지고 있는 동화책을 활용한 영어 교수의 효과에 대한 의견을 비교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실 상황에서 영어 동화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특성과 관련하여 아이들에게 동화책을 활용한 영어 교수가 효과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어린이들은 놀이를 학습처럼 받아들이기 때문에 간접적인 교수 방법이 적절하다. 영어 동화를 활용하면 아이들이 이야기를 읽는 동안 자연스럽게 언어에 노출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동화 속의 즐거운 이야기와 더불어 아름다운 그림은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게 된다. 셋째, 동화를 통해 실제 언어생활을 보여줌으로 아이들에게 유의미한 언어 학습을 제공한다. 사립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9명의 한국인 교사와 9명의 외국인 교사를 대상으로 영어 동화책을 활용한 교수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결과 한국인․외국인 교사 모두 영어 동화를 활용한 교수가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동화를 활용할 때는 우선 아이들의 흥미와 언어수준을 고려하여 이야기를 선정하고 이에 알맞은 교수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동화책 자체가 아이들의 영어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오해를 버리고 여러 다양한 영어 교수법과 함께 동화책을 적절하게 사용하여야 한다. 어휘와 구문의 수준이 어린이들에게 적합하고 아이들에게 흥미 있는 이야기 소재여야 함을 명심해야 한다. 더불어 교사들은 동화책을 활용하여 아이들의 학습 상황과 수준에 어울리는 영어 교수법을 다양하게 발전시켜야 한다. 이야기 내용을 불러일으키면서 자연스럽게 언어 반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활동이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아이들은 언어적 발전과 감성을 함께 기를 수 있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어린이들을 위한 여러 가지 동화 활용법을 제시함으로써 동화를 실제 교실 상황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동화를 읽기 전, 읽는 중, 그리고 읽은 후에 아이들에게 흥미로운 교수법을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동화가 가진 매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how children’s stories are effective learning tools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ying English. Story books can be utilized to develop elementary English lessons. To prove the effect of using story books, theoretical background and studies are provided. I conducted a survey of current elementary Korean and Native English teachers and compare the opinions of two teaching groups toward story books. The result of the study demonstrates proper methods of using story books in elementary English teaching. Using story books in elementary English classrooms is beneficial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ndirect teaching way i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ince they tend to accept studying as playing. Children are also exposed to the English language naturally when reading story books. Second, fun stories with beautiful pictures can encourage children’s imaginations. Third, story books help children develop meaningful language learning through the acquisition of authentic language use. In a survey of 9 Korean English teachers and 9 Native English teachers, who are teaching at two private elementary schools in Korea, it is found that using story books is effective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n using story books, both the children’s interests and their language proficiency level should be considered. Teachers should get rid of that misconception that a story book itself can be beneficial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English. Teachers should keep in mind that words and sentences in the story should be suitable to children’s language level and story should stimulate children’s interest. Teachers als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interesting activities, which help children refresh story and repeat language naturally, using story books. Children can improve sensibility as well as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shows various teaching methods using story 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was meant to help teachers who would like to use story books in a real teaching condition. The attraction of story books can be elevated when using various and interesting teaching methods over three phrases of reading: pre-reading, while-reading, post-reading.

      • 확률적 정규문법 추론에 근접 정보를 적용한 사람 몸 동작 인식

        조경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1855

        Human actions are expressive and meaningful body motions used in daily life as a means of communications. In the last several years there has been a tremendous growth in the amount of research on computer vision aimed at understanding human action and automatic action recognition systems using computer vision techniques may be useful in many application areas. This paper proposes a recognition scheme to analyze automatically nonverbal human communication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a human body action can b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multiple articulation movements which are build up from simpler sub-patterns, and that human actions to be recognized may be considered as a stochastically predictable sequence of states, we apply a mixed statistical-syntactic approach to recognition of action and we use additionally a mechanism to infer stochastic grammars. This approach deals with learning the production probabilities for a set of given grammars each of which represents a human action in our case. As inputs to learning and recognition of action we use a simple feature set : 3D world-coordinates representing the centers of the user's head, hands, elbows, and shoulders in the image sequence. These are obtained by STABIL++, which detects and tracks color markers automatically. We measure and quantize each human action in 3D world-coordinates, and make two sequences of 4-chain-code for x-y and z-y projection plane. Based on the fact that the neighbor information among articulations is an essential element to distinguish actions, we design a new stochastic inference procedure to apply the neighbor information of hands to the other articulations. Our proposed scheme achieved the recognition accuracy of 92.7%, which reveals 7.8% improvement over the case of the other general stochastic inference procedure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e use a method of inferring stochastic grammars to understand each human actions, where the inference was leaved as a further study for [Ina98] which used only stochastic grammars without inference for action recognition. As the result, autonomous learning from human action pattern of known classification was revealed as possible. Secondly, our proposed scheme is not only suitable for simple actions that are composed of single articulation movement, it is but also suitable for complex actions which are composed of several articulation movements. And, finally, we propose a new model applying neighbor information to recognition of nonverbal human communications and thereby we can achieve better recognition rate than that of other general stochastic inference procedures.

      • 『광장』의 주제 탐색 지도 방안

        조경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소설 읽기의 최종 단계인 ‘주제 탐색’의 문학 교육적 방법을 고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서 수록 빈도가 가장 높은 최인훈의 광장을 대상으로, 고안한 방법이 이 작품의 주제 탐색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고안한 방법대로 절차를 수행하였다.본 논문의 연구를 위해 필자는 주제 개념을 먼저 검토하였다, 최근의 독자 중심 반응 이론에 입각한 주제는, 독자가 구성하는 것으로 독자의 적극적 개입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주제란 결과보다 그것을 탐색하고 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독자가 형성하는 총체적 의미이다.본 논문은 독자 반응 중심의 주제 개념을 받아들여 이를 주장한 김태기 ․ 이강엽 ․ 임경순 ․ 최시한이 제시한 주제 탐색 방법의 공통성을 추출한 결과를 토대로 광장의 주제 탐색에 필요한 방법을 고안하였다. 학습자들이 사건 요소를 중심으로, 소설 속에서 관찰하는 사건을 나열한 뒤 이것을 자연적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재배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작품의 미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연속되거나 되풀이되는 사건을 파악하여 중심 줄기를 잡게 한다. 나아가 학습자는 사건의 묶음을 만들어 각 묶음을 표현하는 대표 단어나 어구로 이를 표현하면서 학습자는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한다. 스스로 구성한 주제를, 개별 작품을 넘어 인간과 세계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으로 만들려면 작품을 넘어 사건체와 인물의 모습을 작품 밖으로 꺼내 토의를 통하여 의미를 확대한다.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광장을 수록하고 있는 문학 교과서 5종(교학사 ․ 금성 ․ 디딤돌 ․ 천재 ․ 한교)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학습활동은 문학 교과의 교수-학습 목표와 내용, 구체적인 교수의 방법을 집약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제재의 내용을 학습 목표에 맞는 질의를 수록하여 학습자들이 학습 목표와 내용을 내면화하도록 돕는 가장 중요한 교과서 요소이기 때문이다.분석 결과, 분석 결과 5종의 문학 교과서 학습활동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첫째, 장편소설이라는 특성상 교과서에 분량 전체가 수록될 수 없다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학습자들의 사고 수준을 반영하지 않고 문제를 배열했다. 이에 구체적인 질문 단계에서 작품이 의미가 무엇인지 말하라거나, 자신에게 주는 감동을 서술하라고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문의 일부 내용을 근거로 작품 전체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을 강요하거나 잘못된 소설 읽기 방식을 전제하고 있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활동 자체에만 매몰될 수 있는 창작 학습의 문제들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의 언어활동과, 작품 감상을 연계하며 주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적한 학습활동의 문제들을 수정 ․ 보완하였다.4장에서는 학습자 반응 중심의 문학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한 경규진과 이희정의 연구를 토대로 작가-작품-독자의 상호 교류가 가능한 토의 중심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 도중의 명백한 오류마저 독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교사의 역할을 강화하여 질문을 촉진하고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 교류를 독려하도록 하였다. 이 때 교사는 3장에서 수정 ․ 보완한 학습활동은 물론, 교과서 자체를 보완하는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해 학습자들의 흥미를 최대한 돋울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는 광장의 주제 탐색 수업을 통해 작품을 숙독하면서 음미하는 개인적 과정 외에도 자신의 반응을 확대하는 공적인 체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주제 개념이 고정적이지 않고, 소설 읽기의 방법이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제각각이라는 이유로, 주제 탐색의 방법이 제대로 제시되지 못하는 교육 현실을 생각할 때, 학습자들의 일반적 사고 수준을 반영하여 줄거리 잡기부터 의미 구성까지의 단계를 설정해 본 것은 소설 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이것으로 실제 주제 탐색을 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교수-학습 상황의 변인을 고려하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겠다. This paper is to devise the educational method of 'exploring main topic' as the last step for novel reading. I put Gwang-jang, one of Choi, In-hoon's novels included in the 7th curriculum literature textbook with high frequency, at the center of this study, and followed the procedures of how much this novel contributes to exploring main topic.I examined the concept of main topic for this paper study at first. The main topic, which is based on the recent reader-centered response theory, is formed by the intervention of active readers. Therefore the main topic is the gross concept that readers construct the process which explores and forms it rather than the consequence.This paper devised the method needed for exploring main topic of Gwang-jang, based on the consequence which extracts the commonness of exploring main topic that was suggested by Kim, Tae-ki ․ Lee, Gang-yeob ․ Im, Gyeong-sun ․ Choi, Shi-han who had accepted the main topic concept of reader-centered response. After learners read a novel, they arrange the events observed in the novel, focusing on the event factor that can be accepted easily, and rearrange this in the order occurred according to the natural time stream. And they grip the main stem, grasping the repetitive or successive event, to understand the aesthetic structure of the work. Furthermore learners construct the meaning of text, expressing the key word or phrase that show each event bundle they make. It is important to take out characters and event beyond a work to make the main topic universal to be able to apply to human beings and world.On the basis of this principle, I analyzed the learning activities of 5 literature textbooks which include Gwang-jang ; Gyo-Hak-Sa, Geum-S대ng, Di-dim-dol, Cheon-Jae, Han-Gyo. Learning activities is the part that integrates the concrete teaching method and teaching-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 of literature, for it is the most important textbook element to help internalize the learning purpose and content, including the questions suitable for learning purpose.After analyzing this, I found that these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have some problems.First, they have hardly shown efforts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we cannot embody all its content in the textbook. Also, they arranged the questions without revealing the thinking level of learners. There have some cases in the concrete question stage to ask learners to illustrate the touching part or comment what a work means to them. On the basis of some part of main text, they urge learners to accept the improper content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whole work and suppose the wrong reading method. Finally, there are also problems in creative learning that can be buried in the activity in itself. I modified and compensated the problems of learning activities mentioned above to construct the main topic, connecting between appreciation for the work and language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In the chapter 4, I suggested the discussion-centered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that interaction can be possible among arthur and work and reader on the basis of the study of Gyeong, Gyu-Jin and Lee, Hee-Jeong who projected the literary teaching-learning model of learner-centered response.And I encouraged questions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reinforcing the role of teachers to correct the problems that can be reinforced while learning.This will supply a tense atmosphere to the literature class which can be likely to loose and provide teachers with the chance to observe the learning state of learners. Then in the chapter 3, introducing the supplementary program actively, teachers can encourage the interests of learners as well as modified learning activities. Learners can have public experiences that magnify their own response as well as the personal experiences that appreciate and peruse the work through the main topic exploration for Gwang-jang.I assume that setting the step from grasping main story to structuring meaning can have so much implication to the concrete method of novel teaching when we think that the concept of main topic is not fixed and the educational reality which the main topic exploration cannot be suggested because the way of reading novel is not same according to each learner's characters.However, I would also point out the limit of this study that teaching-learning situational variations can be occurred in the case of exploring the authentic topic.

      •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동기강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조경은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동기강화상담이론을 접목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직업재활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D시 소재의 J사회복귀시설에 사회적응훈련을 받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학력, 성별, 연령 등을 고려 하여 무선적으로 20명을 선정하였으며, 동질성 확보와 선발적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 사항과 지능검사인 K-WAIS 및 증상검사인 간이정신진단 검사를 실시하고 t-test를 통해 실험집단, 비교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실시기간은 2008년 1월 2일부터 2008년 2월 27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5회기로, 미술활동(40 분), 느낌나누기(20분)로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는 실험·비교집단 정신장애인의 직업탐색 효능감, 자기효능감, 직업준비기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측정방법은 사전·사후·추수검사 기간을 고려하여 Repeated measurement ANOVA 검증과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 상호작용이 있을 경우 단순 주효과의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ukey 사후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동기강화상담(신성만 외, 2006)의 이론 절차를 따랐으며, 정신장애인의 변화동기분석과 동기향상프로그램의 효과(강덕규, 2000)를 참고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따른 매체와 활동은 본 연구자가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반 구직프로그램 집단보다 직업탐색효능감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이다.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수검사에 따라 직업탐색효능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비교집단은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반 구직프로그램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에 효과적이다.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은 사전검사, 사후검사, 추수 검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비교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동기강화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이 일반 구직프로그램 집단보다 직업준비기능을 높이는데에 효과적이다. 동기강화를 미술치료를 받은 집단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전검사와 추수검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비교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동기강화미술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직업탐색효능감, 자기 효능감, 직업준비기능을 높여 직업재활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The research aims at how an art therapy, which integrates motivation intensified counseling theory influences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object of study is academic background, gender and age-considered random sample of twenty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who are getting society adaptation training in a halfway house. In order to minimize entropy and selecting variables K-WAIS, an intelligence test and a simple psychognosis as an examination of symptom were performed, and then through T-test, twenty people a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his research was proceeded from January 2 to February 27, 2008, twice a week, There were fifteen sessions, and each session consists of forty minutes of art activity and twenty minutes of feedback. The research focuses on exploring job search efficacy,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function of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Considered the period of pre, post, and follow-up test, Tukey post-test method is us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simple effect in case there is an interaction between repeated measurement ANOVA verification and efficacy of the program verification. This study follows the theory process of motivation intensified counseling, and refers to motivation of change analysis and effect of motivation improvement program, however the researcher reorganized media and activities according to programs for the purpose of study. The consequence of research is as follows : First, the group of people who have taken motivation intensified art therapy more effectively reacted to job search efficacy than that of general job-seeking program. It showed difference of job search efficacy according to pre, post, and follow-up test while the comparison group didn't. Secondly, the experiment group vigorously responded to self-efficacy as well. Thirdly, this group more easily got to improve job preparation function than the other group. In conclusion, the motivation intensified art therapy targeting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y improves their job search efficacy, self-efficacy, and job preparation function,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vocational rehabilitation.

      • 근대 전환기의 기생 인식과 소외 양상 연구 : 『녹파잡기』, 『소수록』, 『장한』을 중심으로

        조경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본고의 연구 대상인 『녹파잡기(綠波雜記)』, 『소수록(消愁錄)』, 『장한(長恨)』은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생성된 기생 관련 자료로서 근대 전환기의 기생 인식과 소외 양상을 오롯이 담고 있다. 이 자료들에 수록된 작품들을 보면 관념적 집단으로서의 기생이 아닌 현실을 살아간 개인으로서의 기생을 전하려는 의도가 강하게 감지된다. 이 글의 연구 목적은 19세기에서 20세기를 관통하는 이 자료들의 작품들을 분석하여 기생들의 생활 및 인식의 변모 양상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 세 작품을 통해 기생들의 목소리가 점점 강하게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기생들이 소외 상황에 대응해 나간 양상을 통해 그들의 자의식, 가치관 등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에 따라 19세기, 20세기 초 기생이 처하였던 사회·문화적 상황을 고찰해 보고 그로 인해 파생되는 기생의 소외에 대해 언급하고자 하였다. 소외는 기생의 출현부터 소멸에 이르기까지 존재하였던 것으로 각 작품을 통해 기생이 소외에 대응해 나가는 양상을 파악하고 그것을 통해 세 작품이 지니는 문학사적 의미를 찾아 보려고 하였다. 이 글에서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녹파잡기』, 『소수록』, 『장한』이 갖는 의미는 몇 가지가 있다. 첫째 이전 시기와 달리 기생을 한 사람의 인격체이자 개인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기생이 집단화되지 않고 개별화된 존재로 초점화되고 부각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야담, 남성 문인의 문집 등에서 부분적으로 전해 오던 기생들의 모습을 한 권의 책으로 엮어 기생들을 드러내고 전달하려 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시도를 보여 준 것은 이전 시기에 시도되지 않았던 작업이다. 셋째는 기생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시대와 관련되어 드러난다는 점이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기생을 바라보는 시각, 인식이 변화하여 기생의 내면, 가치관, 기생의 삶 등에 주목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20세기 초까지 이어지게 된다. 연구 대상으로 이 작품들을 선정한 이유는 이러한 의미들이 세 작품에 공통적으로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Ⅱ장에서는 기생의 소외를 언급하기 위한 예비적 고찰로 소외의 의미를 살피고 고전 문학의 소외 담론을 확인하며, 기생의 사회적 위상을 고찰하였다. 소외는 특정한 시대의 것이 아니라 인간 사회의 보편적인 것으로 이 글에서는 자기 인식과 관계의 불균형에서 오는 자기 동일성의 상실을 핵심 속성으로 보았다. 기생의 사회적 위상을 살펴보면 19세기 기생은 성적 착취의 대상으로 여겨졌고, 사랑으로부터 소외된 여성이었으며 경제적으로 궁핍한 기생과 이익 추구로 경제적 안정을 이룬 기생이 공존하였다. 20세기 초의 기생은 매음을 일상적으로 요구받았고 기생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 고통받았으며 축첩의 대상이었다. 기생의 삶은 기생이 소외와 고독에 직면하게 하였고 일부 기생은 대중 문화의 주도자로 변신하기도 하였다. Ⅲ장에서는 기생 인식의 시대적 변모를 고찰하였다. 『녹파잡기』에는 남성의 시선 속에 기생과의 소통이 공존하고 있고 『소수록』에는 남성과 여성의 혼합적 시선과 발언이 반영되어 있다. 『장한』에는 기생의 자각과 개인적 발언이 표출되어 있다. Ⅳ장에서는 기생의 소외된 삶과 대응 양상을 작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인간이 추구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못한 상황은 소외라고 할 수 있는데 기생이 처한 현실은 원하는 욕구를 충족하기 힘든 소외 상황이었다. 본고의 기생 소외에 대한 점층적 분류는 매슬로(Abraham H. Maslow)의 인간 욕구 5단계 이론을 활용하였다. 매슬로 5단계 이론은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소속감과 사랑의 욕구, 자기 존중의 욕구, 자아 실현의 욕구이다. 이 글에서는『녹파잡기』, 『소수록』, 『장한』에 반영된 기생들의 삶이 매슬로의 인간 욕구 5단계와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이를 기생 소외 연구 분석의 도구로 활용하였다. 다만, 매슬로의 자기 존중의 욕구는 타인으로부터의 존중과 존경에 기반하고 개인의 자아 실현이 수반되는 경우가 많아 이 글에서는 자기 존중의 욕구에 자아 실현 욕구를 포함하여 크게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근대 전환기 기생의 소외된 삶과 대응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노동으로부터의 소외와 대응이다. 『녹파잡기』, 『소수록』의 기생들은 보상이 결여된 노동에 고통받았고 개인적 노동을 통한 이익 추구를 통해 소외에 대응하였다. 『장한』에서는 근대 기생들이 자본주의 노동 현장에서의 비인간적 대우로 인해 자기 정체성을 상실한 소외에 처하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생들은 노동자로서의 인정, 자기 정체성 회복을 지향하였다. 둘째 장소로부터의 소외와 대응이다. 『녹파잡기』에서는 사적 장소의 부재로 인한 소외에 처하였고 이것은 관계 상실도 동반하였다. 기생들은 소외에 대응하기 위해 자기를 표상할 수 있는 사적 장소 구현의 욕망을 표출하였다. 『장한』에서는 가정 붕괴로 인한 장소 상실의 소외를 경험하였고 회복된 가정에 대한 희구, 『장한』을 활용한 연대·소통의 상징적 장소 기대로 소외를 극복하려 하였다. 셋째 애정으로부터의 소외와 대응이다. 『녹파잡기』, 『소수록』에서는 애정 관계의 상실, 가정 내로 편입하지 못한 기생의 소외가 드러나 있다. 기생은 애정 회복을 갈망하고 가정 내 편입 욕망을 추구하는 것으로 소외에 맞섰다. 『장한』에서는 애정 대상에서 배제되어 남성에게 사물로 간주된 기생이 성적 유희, 교환 가치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경험하는 소외가 반영되었다. 기생들은 타인에 대한 이타심의 발현으로 애정으로부터의 소외를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존중으로부터의 소외와 대응이다. 『녹파잡기』, 『소수록』에서는 사회적 천시와 멸시의 대상으로 간주된 기생의 소외가 나타났다. 이에 대해 기생들은 예술을 통한 존중 회복을 지향하였고 자기 성취로 인정받고 존중받는 존재가 되고자 하였다.『장한』의 근대 기생들은 직업 기생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존중으로부터 소외되었다. 이러한 소외에 대해 기생들은 직업인으로서 기생의 의미를 모색하고 기생의 가치를 강조하여 존중받는 여성이 되고자 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정리하면 『녹파잡기』, 『소수록』, 『장한』에는 근대 전환기 기생의 소외 상황, 소외에 대한 인식, 소외에 대응한 양상이 반영되어 있었다. 세 작품은 19세기, 20세기 초에 소외자였던 기생이 소외된 삶에 좌절하지 않고 극복해 나가며 자기 동일성을 회복하는 삶을 지향하였음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측면이 이 작품들이 지니는 가치이자 문학사적 의의이다. 『Nokpa-jabgi』, 『Sosurok』, and 『Janghan』, as objects of this study, were written in 19th to early 20th century, which brought up some topics about gisaeng and described how they’re perceived and alienated in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odern era. Writings in these literary works are imbued with strong intention to show gisaengs as individuals to carry on in reality, not an ideational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se works that penetrate 19th to 20th century and discover how the lives of gisaengs and perception changed in detail. It aims to confirm that gisaengs made their strong voice heard from these three works and examine how they coped with alienation to discover their identity and values as well. Thus, it tries to bring to light to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when the gisaengs lived in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and touch on their alienation accordingly. They had been isolated from the moment they made appearance until they disappeared. In this article, these three works allowed to explore how the gisaeng dealt with being alienated and also, their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re’re a couple of significant implications presented by 『Nokpa-jabgi』, 『Sosurok』, and『Janghan』, which were chosen for this study. First, they consider gisaengs as human beings and individuals unlike previous perception. It indicates that these works did not collectivize gisaengs but put focus on as separate individuals. Second, they tried to collect fragments of gisaengs portrayed in the unofficial historical history and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ritten by men writers in a book to expose and convey who the gisaengs really were. There had been no attempts like them. Third, they depicted changes in perception of gisaeng over time.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perspective and perception of gisaeng were changed, focusing on their inner side, values, and their lives. Such changes continued until early 20th century. These works were chosen for this study as they contain such meanings in common. In Chapter Ⅱ, the meaning of alienation is explored as preliminary consideration to deal with negligence of gisaeng, look into discussion on their alienation and social position as well. They’re alienated and outcasted in a specific time, but the concept of alienation is quite universal in human society. In this writing, the loss of identity that derived from imbalance between self-perception and relationship is defined as alienation. As to the gisaengs’ social position, they’re regarded as something for sexual exploitation, and alienated from loving relationship in the 19th century. Some were economically deprived but the others were financially secure as they attempted to make financial gains. And they’re asked to prostitute themselves every day in early 20th century and suffered with negative evaluation and kept as concubine. Their lives led them to encounter alienation and loneliness. But some of them transformed themselves as the leader of the popular culture. Chapter Ⅲ traces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gisaeng over time. 『Nokpa-jabgi』 is imbued with communication with gisaeng from men’s perspective, while the integrated perspectives and remarks of both men and women are reflected in 『Sosurok』. 『Janghan』 contains self-awareness of gisaeng and individual remarks. In Chapter Ⅳ, their isolated lives and how they coped with were discovered in detail with these three works. Alienation can be defined as frustrated desire of humans and the reality for gisaengs is that they’re unable to satisfy their desires. Their alienation is based on 5 Levels of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ose needs are physiological needs, safety needs, love and belonging needs, esteem needs, and self-actualization needs. In this study, the lives of gisaengs portrayed in 『Nokpa-jabgi』, 『Sosurok』, and 『Janghan』 are used for analysis tool for research as they are associated with 5 Levels of Hierarchy of Needs. Esteem needs are borne out in other’s respect and accompanied with self-realization. Thus, it breaks down into four categories as the self-actualization is included in the esteem needs in this study. Their isolated lives and how they coped with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are as follows. Firstly, it’s alienation from labor and how they coped with. According to 『Nokpa-jabgi』, 『Sosurok』, gisaengs were suffered with labor without reward and attempted to cope with their alienation by personal labor in pursuit of profits. In 『Janghan』, gisaengs in the modern times were isolated, losing their identity as they’re treated inhumanely in the capitalistic labor environment. Thus, they tried to be recognized as laborers and regain their identity. Secondly, it’s alienation from place and how they coped with it. 『Nokpa-jabgi』 described gisaengs isolated as they did not have private place, which led to loss of relationship. They expressed their desire to create their own private place to represent themselves to cope with alienation. According to 『Janghan』, they experienced alienation as they lost place with family breakdown and wanted to recover their family. And they tried to overcome alienation, looking for symbolic place to band toge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Janghan』. Thirdly, it’s alienation from love and how they coped with it. 『Nokpa-jabgi』, 『Sosurok』 portrayed gisaengs’ alienation they lost loving relationship and failed to set up their home. They confronted this issue by revealing their longing for regaining love and setting up their home. 『Janghan』 showed gisaengs perceived as the objects for sexual entertainment and exchange, as they’re considered to be things by men and neglected in the loving relationship. But they tried to get over it with their unselfish concern for other people. Fourthly, it’s alienation from respect and how they coped with it. 『Nokpa-jabgi』, 『Sosurok』 depicted their alienation as they’re despised and treated contemptuously. They wanted to recover respect through the arts and tried to be respected and recognized for their achievement. According to 『Janghan』, they’re alienated from the respect in the modern times due to negative perception on their occupation in the society. Thus, they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their occupation and put high value on their value to be women who deserve respect. To sum up, 『Nokpa-jabgi』, 『Sosurok』, and 『Janghan』 showed gisaengs being outcasted in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odern era, the perception of alienation, and how they coped with. These three works described that they were not discouraged with their isolated lives as outcasts in 19th and early 20th century but tried to overcome and recover their identity. As explained above, they shared such values and meanings in respect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