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학급아동 어머니의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욕구에 관한 연구

        조경윤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사회적 인식재고를 위해 특수학급 아동 어머니의 방과후 아동지도에 대한 욕구를 측정하여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본 연구를 통하여 특수학급 아동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감과 사회적응력 향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특수학급의 입급대상 아동들이 지닌 발달장애의 개념,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특수학급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조사연구를 통하여 서울과 수도권지역 소재 25개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어머니 115명을 대상으로 특수학급 자녀의 어머니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 특수학급 자녀의 현재 방과후 시간 활용에 관한 사항,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인식도에 관한 사항,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사항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아동의 어머니인 경우 취업주부와 전업주부 모두 장애자녀를 방과후에 가정 내에서 보살피고 있었고 특수학급에서 여아보다 남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특수학급아동이 방과후 시간을 집밖에서 혼자 지내거나 일반학원을 보내는 경우 특수학급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를 하는 곳이 있다면 보내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기관이 필요한 이유로는 장애아동이 전문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으로 조사되었으며, 프로그램의 실시기관으로는 장애인종합복지관을 희망하였고, 반구성은 한 반에 동일 연령대 5-6명의 장애아동으로 구성되어 개별지도와 그룹지도를 병행하기를 원하였다. 프로그램 이용은 하교 후부터 6시까지로 주 3일 내지 4일이 적당하다고 하였으며 점심식사와 간식은 방과후 아동지도 기관에서의 급식을 원했다.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교사의 자질을 최우선으로 선택하였다. 셋째,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들의 필요정도는 사회, 언어, 인지, 건강, 예능, 기타의 6가지 영역 중에서 사회영역에 대한 필요정도가 가장 높았다. 세부 프로그램 중 사회영역에서는 친구 관계와 협동심 프로그램이 중시되었으며, 언어영역에서는 기본적인 생활대화, 인지영역에서는 주의집중 향상, 건강영역에서는 여가 및 오락활동, 기타부분에서는 일반아동과의 통합에 대한 필요정도가 가장 높았다. 넷째, 영역별 프로그램에서 유의미한 관계성을 보인 것으로는 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영역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자녀의 장애유형중에서는 정서장애가 예능영역을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어머니가 취업주부인 경우 언어영역을 강조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영역과 건강영역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에 대한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요구된다. 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 다른 발달적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반아동과 차별성을 지닌 다양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자녀 교육의 남녀 차별에 대한 부모의 인식재고가 필요하다.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취학아동 중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내 교육의 기회가 남녀 차별적임을 보여 주며 이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수혜면에서도 남아가 우선 시 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이를 위해 앞으로 장애여아 부모의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인 종합복지관의 활용이 중요하다. 부모들이 가장 신뢰하는 기관으로 장애인종합복지관을 선택하였으며 앞으로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전문적인 서비스와 학교생활을 연계하여 장애아동을 위한 이원적인 서비스지원을 모색하여 볼 수 있으며 나아가 프로그램에서 일반아동과의 통합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어머니들의 특수교육적인 측면 강조는 사회복지에 관한 인식의 부족 때문이라 생각되며, 부모교육이나 상담, 부가적인 서비스, 지역사회와의 교류 등 통합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복지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을 전환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정부차원에서 영유아보육법의 방과후 아동보육시설 운영기준을 장애인복지법에도 명시하여 각 구청의 가정복지과와 사회과와의 상호연계를 이루어야 할 것이며 부대적으로 재정적인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materials that develop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by measuring their mothers' needs on their children's after school program and to provide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improve children's satisfaction at a school life and social adaptation skills and that reduce stress in a bid to reconsider social perception on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I firstly studied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disability,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and a special class by doing literature research and examined the general information on the mothers of children in a special class, what the children in a special class currently do after school, and how the mothers perceive an after- 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thei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by surveying 115 mothers of children in the special classes of 25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As a result of my study, the fellowing was found. First, both the mothers with jobs and without jobs usually take care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home after school and the percentage of school attendance for boys was higher than for girls. Specially, when the children spend their time alone outside home or in a private institution after school, their mothers wanted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in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if there is any. Second, the mothers needed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in order to offe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ized education. The mothers considered'a social welfare agen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the best place to educate their children after school. They wanted that each class in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has 5-6 same age group children with disabilities, gives both individual lessons and group lessons, starts after school and finishes around 6 p.m., opens three to four times a week and provides snacks and lunch. Third, as for the mothers' demand 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 social domain out of 6 domains in the program was most wanted. The mothers' detailed needs on each domain are as follows: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cooperation among the social domain, basic daily conversation among the language domain, entertainment and leisure among the health domain, and the integration with children without disability among the other domains. Fourth, there were certain factors related to the mothers' preferred domains of the program. The older children are, the more the mother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health domain in the program. When the children have emotional disability, the entertainment domain was most needed. When the others have a job, the language domain was most demanded. Also, the higher the mother's education background is, the more the mothers needed the social domain and health domai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present my suggestions on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in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alized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and to delivery the program broadly. It is needed to develop various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distinct from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considering differ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Parents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 higher percentage of school attendance for boys than for the girls among children in a special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shows the discriminated education opportunities between boy's and girls and this will result in making boys prior recipients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e parents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on their daughters' education. Third, it is important to utilize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s a place for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We can look for a way to elaborate a binary service support system that relates specialized services provided at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with the children's school life because the mothers chose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s the most reliable place for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We can further implement the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children and without disab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The mother's concentration on special education is caused by the lack of perception on social services. The integrated social welfare services including parent education or counseling, extra services and community interactions should be offered to change the mothers' perception on social welfare services. Fifth, the government should include a criterion for operating an after school child-care facilities currently incorporated in the Nursery Care Act in the Rehabilitation Act. Also, a family welfare division and a social division in district offices should collaborate together while giving the financial support.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이동동사‘가다',‘오다'의 사용 양상 연구

        조경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다’와 ‘오다’는 장소의 변화를 수반하는 이동을 표현하는 동사로서 가장 전형적인 이동동사라고 할 수 있다.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가다/오다’와 ‘come/go’의 표면적인 유사성 때문에 ‘가다/오다’의 의미와 사용에 대해 자신의 모국어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하기 쉬우며 ‘가다/오다’를 활용한 복합 동사 역시 자신의 모국어로 생각한 문장을 그대로 한국어로 옮겨 어색한 문장으로 표현할 때가 종종 있다. ‘가다/오다’의 화용적인 사용 양상과 한국어 이동 표현의 체계를 인지하지 못한다면 이러한 의사소통의 문제는 계속해서 야기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어와 영어의 이동동사 ‘가다/오다’와 ‘come/go’의 의미와 화용적 차이, 그리고 이동동사의 어휘화 유형을 비교하여 정리하고, 실험적인 방법을 통해 모국어 화자와 학습자의 실제적인 사용 양상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와 영어의 이동동사 ‘가다/오다’, ‘come/go’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과 이동동사의 어휘화 양상에 관한 논의들, 그리고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동동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다. Ⅱ장에서는 본고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이동동사에 관한 논의의 출발점이 되는 Fillmore의 분석과 공감도에 따른 ‘come/go’의 사용 양상을 밝힌 Kuno의 공감이론을 중심으로 ‘가다/오다’와 ‘come/go’의 의미와 제약 조건, 기준점 설정과 관련된 화용적 요인 등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의 범위를 ‘가다/오다’의 단순 이동동사뿐만 아니라 ‘V-어 가다/오다’의 복합 이동동사로 확장시켜 Talmy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영어의 이동동사의 어휘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Ⅲ장에서는 실험 대상, 실험 설문, 자료 수집 기간 및 절차, 자료 분석 방법 등의 연구 방법에 대해 밝혔다. Ⅳ장은 연구 결과 및 논의로써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학습자 기본 정보, 한국어 이동 표현에 대해 느끼는 차이와 어려움, 이동동사와 관련된 수업과 교재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실태 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가다/오다’와 관련된 구체적인 문항들을 시간, 목적지, 이동주체를 변수로 각 집단별 결과를 비교 ·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V-어 가다/오다’의 복합 이동동사에 관한 학습자 응답을 오류 유형과 특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Ⅴ장의 결론에서는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가다/오다’, ‘come/go’의 사용 양상과 분포를 정리하여 학습자와 모어 화자 간에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를 분석해 보고 본 논문이 가지는 의의를 돌아보았다. 한국어와 영어의 이동에 대한 인식과 관점의 차이는 이동동사의 사용 양상의 차이로 나타난다. ‘가다/오다’와 ‘come/go’는 직시적인(deictic) 성격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화자와 청자, 발화 시점, 발화 장소, 화용적 요소가 관련된 발화의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맥락이 발화의 좌표라고 한다면 그 좌표의 중심점이 무엇이냐에 따라 발화의 의미가 달라지기 때문에 기준점 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한국어와 영어가 기준점 설정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이 차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면 이해나 수행에 있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이동사건의 의미적 요소가 결합하여 어휘화(lexicalization)되는 방식이 서로 차이가 있는데, 한국어는 영어와 달리 이동의 경로를 나타내는 요소가 동사를 통해 실현되며 ‘양태’ 움직임 동사들은 ‘움직임’이나 ‘동작’이 아닌 ‘장소의 변화’를 뜻하는 이동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V-어 가다/오다’의 연쇄 구문 형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다/오다’의 직시적 요소는 단순 이동동사뿐만 아니라 복합 이동동사에서도 중요한 의미 차이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의 이동동사에 관한 연구는 개별 언어의 특수성을 밝히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영어교육 차원에서 영어와 한국어를 비교하는 것에 머물러 왔다. 그러므로 한국어의 이동동사의 의미와 사용 체계를 밝히고 학습자가 한국어 이동동사의 사용에 있어 모어 화자들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 양상을 밝히는 것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ATA' and 'OTA' are the most typical examples of movement verbs which are verbs expressing change of locations. For students learning Korean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it is easy to presume that the meaning and the use of 'KATA/OTA' will be similar to 'Go/Come' due to their apparent similarities. Even with compound verbs using 'KATA/OTA', they tend to often come up with awkward sentences as they simply translate their English sentences into Korean. This kind of communication problem will persist if we do not acknowledge a system for the correct use of 'KATA/OTA' and for expressing movements in Korean language. Therefore this essay aims to disco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finition and use of the movement verbs in English, 'Go/Come', and Korean, 'KATA/OTA', and also compare and regulate lexicalization patterns of movement verbs through practical experiments by examining the actual use by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Chapter Ⅰ discloses the aim of the research and examines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movement verbs 'KATA/OTA' and 'Go/Come', discussions regarding lexicalization patterns of the movement verbs and preceding research on movement verbs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Chapter Ⅱ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comparing definitions and conditions of 'KATA/OTA' and 'Go/Come', usability in setting view-points based on Kuno's empathy theory which reveals the use of 'come/go' according to the level of empathy and Fillmore's analysis which constitutes the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s regarding movement verbs. Moreover, the extent of the research is not limited to simple movement verbs like 'KATA/OTA' but extends to compound movement verbs in the form of 'V-uh-KATA/OTA' and compared lexicalization patterns of English and Korean movement verbs based on Talmy's theory. Chapter Ⅲ shows research methods such as research subjects, research questionnaire, period and process for collecting data, data analysis. Chapter Ⅳ contains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Firstly it analyses student information, difficulties and differences experienced by students in terms of expressing movement verbs, the status of acknowledgement by students of lessons and textbooks related to movement verbs. Next, it compares and analyses group results of the specific sections relating to movement verbs according to the variables being time, destination and agent. Finally, it examines the students' responses in relation to lexicalization patterns of movement verb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errors. The conclusion in Chapter V puts various research results together and places in order distribution and aspects of using 'KATA/OTA' and 'come/go' and then analyzes the reason for difference between the native speakers and the learners and describes the values of the study. The difference in the aspects and acknowledgment of movement verbs in English and Korean i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use of movement verbs. Because 'KATA/OTA' and 'Come/Go' have deictic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speech related to speaker and listener, time of speech, place of speech, usabi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rrect meaning. If it is said that the utterance context is the coordinates of speech, setting deictic-center is most important as the meaning of speech varies according to what the deictic-center is for the coordinates of speech. Also Korean and English differ in how they lexicalize the components of motion events. Korean requires the components "Path" of motion events to be expressed by verbs and verbs expressing on "Manner" of movements must be in the form of serialization of 'V-uh KATA/OTA' to express movements to define change in location and not motion. Accordingly, deictic factors of 'KATA/OTA' have difference in meanings not just in simple movement verbs but also compound movement verbs. Research up to date in relation to movement verbs were only focused on reveal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languages and remained upon comparisons conducted among Korean students learning English. Therefore, information which shows the system for correct definition and usage of Korean language and the aspects of differences in using movement verbs by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will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the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