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손의료보험 보상실무에 관한 연구 : 금융분쟁조정결정 및 판례를 중심으로

        정회근 국민대학교 법무대학원 손해사정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3년 실손보상 상해보험의 도입으로 시작된 실손의료보험은 소비자권익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2009년 손·생보 통합 표준약관을 제정했고, 2017년까지 10차에 걸친 개정을 진행해 왔다. 실손의료보험은 국민건강보험의 보충적 역할을 감당하는 제2국민건강보험으로 국민건강보험의 낮은 보장성을 보충하고, 신의료기술 및 신약품을 보장하여 신의료기술 개발재원 확보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수용하면서 발전해 왔다. 하지만, 현재 실손의료보험은 수년간 지속적으로 높은 보험금 지급률과 과도한 운영비 지출로 인해 손해율이 급등하고, 이로 인해 보험료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에 봉착해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동차보험의 할인·할증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도입해서 보험금을 많이 수령한 고객에게 보험료를 선택적으로 올리고 보험금을 청구하지 않은 고객에게는 보험료를 할인해 주는 공평한 보험료 부과 체제를 만들고, 불필요한 보험금 누수를 막기 위해 본인부담상한제 분위정보 및 산정특례 정보 등 공공기관과 민간보험사간의 정보공유가 절실한 상황이다. 아울러 실손의료보험 지급 보험금 중 2/3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제도적인 통제를 받지 않는 비급여 의료비로 인해 손해율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실손의료보험의 지속적·안정적 성장을 위해서는 시장 자율로 맡겨져 있는 비급여 진료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데 건강보험 비급여 대상에 대하여 급여영역과 동일한 수준으로 가격, 진료량 등에 대한 제도적 통제장치를 마련하고 보험권 스스로도 보험금 지급절차 개선을 위한 노력과 비급여 의료비 표준화 작업등을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국민, 의료계, 민영보험사, 정부기관의 이해관계를 종합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강력한 컨트롤 타워를 국무총리실에 두고 국민건강증진과 의료비 절감을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실손의료보험의 담보종목은 입원 및 통원의료비로 간단해 보이지만, 모호한 약관문구와 잦은 표준약관 및 제도변경, 신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른 신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보험금 지급관련 분쟁이 보험 민원내용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보험분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그동안 많은 이슈가 되어 왔던 주요한 보험 분쟁조정결정 및 판례를 살펴보고 실무에 어떻게 적용 할 것인지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해당 분쟁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실손의료보험은 국민건강보험의 보장률이 일정수준이상 도달할 때 까지는 현재와 같이 국민건강보험의 보충적 역할을 담당하는데 그칠 수 있겠으나, 향후에는 실손의료보험의 보장영역을 예방적 치료로까지 확대하여 질병의 발생으로 인해 피보험자가 겪는 고통을 미리 예방하고, 보험금 지급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국민 모두가 이용 가능한 사회 안전망으로써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In 1963, private health insurance, which was init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loss compensation insurance, made the protection of consumers' rights the top priority. In 2009, it established the integrated standard terms of insurance such as general insurance and life insurance. It has been revising 10 times by 2017. Private health insurance is the second National Health Insurance that covers the supplementary rol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t compensates for low protec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contributes to securing new medical technology development fund by guaranteeing new medical technology and new medicine. It has evolved to accommodate the needs of stakeholders. However, private health insurance has suffered from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insurance loss rate due to high insurance coverage rate and excessive operating expenses over the years, resulting in a continuous increase in insurance premium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system similar to the discount and premium system of auto insurance was introduced to selectively raise premiums for customers who received a large amount of insurance premiums, and to create a fair insurance premium system that discounts premiums for customers who did not claim insurance premiums. In order to prevent insurance leaks, information sharing between public agencies and private insurance companies, such as information on the self pay upper limit and information on the calculation of special exemption, is urgently needed. In addition, while the loss ratio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non-provisional medical expenses that do not receive institutional control even though it accounts for two-third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payment, in order to continuously and steadily grow private health insurance, management of non payed medical care should be enhanced. In addition, institutional controls for the price and amount of medical care for health insurance non-payment targets should be provided to the same level as the salary area, and the insurance companies themselves should promote efforts to improve the insurance payment process and standardization of non-payment medical expenses.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set up a powerful control tower in the Prime Minister's Office that can comprehensively coordinate the interests of the public, the medical community, private insurance companies, and government agencies. This should be done to promote public health and reduce medical costs. In the meantime, collateral item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re simple for hospitalization and out-of-hospital medical expenses. However, disputes related to payment of insurance claims due to ambiguous terms, frequent changes in standard conditions and system, and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due to development of new medical technology occupies a large proportion of contents of insurance claims. In order to effectively reduce these insurance disputes, it is important to prevent the relevant disputes from being repeated through major insurance dispute settlement decisions and judgments that have been many issues in the meantime. Until the coverage rat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reaches a certain level or more, private health insurance can only play a supplementary rol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as it is now. However,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coverage area of private health insurance to prophylactic treatment so as to prevent the suffering of the insured by the occurrence of the disease in advance and to prevent the insurance money from being expande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health.

      •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성과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효과와 윤리적 가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회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성과 및 조직몰입와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영향, 그리고 이들 사이 관계에서 조직기반 자긍심의 매개효과, 또한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기반 자긍심의 관계에 있어 윤리적 가치의 조절효과에 대해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 실증분석 연구이다. 이론적 모형 및 가설 검증을 위해서 본 연구는 광주·전남 지역의 27개 기업의 상사와 부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324명의 부하와 108명의 상사 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부하의 조직기반 자긍심과 직무성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기반 자긍심이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성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조직의 윤리적 가치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윤리적 리더십의 성과 및 태도에 대한 효과는 윤리적 가치를 낮게 지각할 때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 메커니즘에 대해 보다 포괄적인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지닌다.

      • 교육정책의 사교육시장에 대한 영향 분석 : '참여정부' 이후 교육주(株)의 주가변동을 중심으로

        정회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육정책과 사교육업체의 주가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사교육업체 중 학습지 업체인 대교 및 웅진씽크빅, 온라인 업체인 메가스터디, 오프라인 업체이면서 영어전문 교육업체인 정상제이엘에스 및 청담러닝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업체의 주가 동향과 주가에 미치는 요인, 특히 교육정책간의 연계성을 분석하였고 개별주가의 시계열분석을 통하여 교육정책이 사교육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와 어떤 교육정책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는 한국거래소의 종합주가지수 및 개별기업 주가 현황, 각 증권사 교육담당 애널리스트의 교육산업 및 개별기업의 주가 전망 그리고 각 언론사의 교육관련 주가에 대한 분석기사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대상 기업 주가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주가지수가 거의 모든 기업체의 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미국 등 해외 증시의 변화, 국제 유가 변동, 환율 등의 변수가 거의 주가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사교육 산업의 국가 간 진입장벽이 높고 교육시장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음에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내수 경기 등의 변수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이는 상위계층의 사교육비 지출 확대 및 경기 불황시 학원에서 학습지로 사교육 대체 등과 같은 요인에 기인한다. 넷째, 학교급별로 정책의 영향이 확실히 다름에 따라 사교육업체가 받는 영향도 확연히 구분된다. 초·중학생의 경우 초·중학생의 학력신장 및 특성화 중학교 입시, 영어교육 정책, 방과후 학교(교실) 정책 등이, 고등학생의 경우 대학입학제도 정책 및 대학별 입학전형 변화가 강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위 학교급별로 정책의 영향이 다르나 이중에서 사교육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대학입학제도 및 대학별 입학 전형이다. 이는 과거 200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 발표(1998.10.19) 이후 대입논술 비중 강화로 인한 논술관련 학원시장이 양적 팽창을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대입 3불 정책 폐지 및 완화와 같은 교육정책의 변화가 사교육시장에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향후 사교육시장 전망은 첫째, 상위 소득계층의 사교육비 지출 확대로 인한 사교육비 양극화, 둘째, 학력별 고용의 형태와 임금격차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당분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견해가 다수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교육정책이 정부에 의해 결정되고 소비자 및 공급자는 국가정책에 적응할 수 밖에 없는 구조아래에서 사교육시장의 성장세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교육정책은 공교육 강화를 목표로 사교육 경감 대책을 수립하는 방향으로 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EBS 수능방송처럼 사교육에 대한 일정부분의 수요를 공교육에서 흡수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교육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형식적인 공청회보다는 전문적인 리서치 기관 등을 통한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의 의견 수렴과 교육정책이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파악(사전영향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모든 사교육이 대학입학제도 및 대학별 입학전형으로 귀결되는 상황에서 대입 3불 정책 폐지 및 완화 등과 같은 대학입학제도의 자율화 확대는 단순히 대교협에 맡기는 것 보다는 학생·학부모 그리고 대학 등 교육공동체를 통하여 광범위한 의견 수렴을 거쳐 균형적인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냄으로써 사전에 국민들의 혼란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계적 고등교육기회 확대는 치열한 입시경쟁을 줄이기보다 오히려 증폭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우수한 교육여건을 갖추고 우수한 학생을 유치할 수 있는 고품질의 대학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대학 스스로의 책무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policies and the stock price of the private education enterprise, in particular by means of a time-series analysis of individual stocks, with aim to understand how education policies impact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and specifically what kinds of education policies exercise the heaviest influence. Data for the study are drawn from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KOSPI) of the Korea Exchange Office, the stock price status of individual companies, the forecast of securities firms' education analysts on education stocks and individual company stocks, and analytical reports on education stocks given by major media organizations. Results of the stock analysis of target companies are as follows: First, the KOSPI index is found to have a widespread influence on the stock prices of almost all companies analyzed. Second, the stock fluctuation of foreign countries including the U.S.,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exchange rate changes have meager impact on Korean education stock prices.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re exists a high barrier for foreigners to enter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and also because Korea's education market is not fully open yet. Third, education stock prices are rarely influenced by domestic economic variables. This is the result of increase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mong the upper income stratum and the tendency to substitute private teaching institutes with home-school materials even in times of economic downturn. Fourth, education policies cast distinctively different impact on different education levels, and accordingly different policies have a major impact on different private education companies. At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 level, policies that most strongly influence stock prices include those related to promoting students' academic ability,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English education, and after-school programs. At the high school level, policies o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nd individual university's admission procedures have the strongest impact on stock prices. Fifth, while policy effects differ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the policies that cast the strongest influence o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rates is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nd individual university's admission procedures. As for forecasts regard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private education markets, first, a majority of views foresee an increase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mong the upper income stratum of society, which is apt to lead to a polarization of private education. Second, outlooks are that the gap of employment types and salary levels will increase according to education attainment levels, and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will therefore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In consideration of this situation, Korea must strengthen school education and secure better effectiveness in its policies to counter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primarily by means of conducting an impact analysis in advance on how education policies may influence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This may be done through EBS lectures that prepare students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or through surveys by expert research organizations at the time of policy planning. Considering that almost all private education programs are concentrated on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nd individual university's admission procedure, policies to grant universities expanded autonomy in student admission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a balanced social consensus, rather than autonomy expansion schemes just be delegated to the Korea Council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opinions of a wide range of education stake holders including students, parents and universitie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efforts to rais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longside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higher education access, as well as devices to help universities self-secure accountability in educational operation should developed.

      • 主成分分析에 의한 開發地隣近의 水質變化 特性硏究

        정회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구상에 끊임없는 물순환은 모든 생명체의 생활터전이면서 인류생명을 연장시키고 항상 묵묵히 지켜주고 있는 어머니와 같은 존재이다. 그 중요성 만큼이나 그 양도 지구표면(510 × 106 ㎢)의 71%를 차지할 정도로 풍부하다. 얼측, 지구의 표면을 공처럼 평편하게 한다면 지구가 약2,440m 의 수심으로 뒤덮힌다고 할 정도다. 하지만 현재 많은 수자원들이 오염되어가고 있으며,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국가 차원에서도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환경시설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는 등 개선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환경의 특성상 이러한 노력에 환경이 바로 좋아지는 것은 아니겠지만 노력이 무색할 정도로 환경오염 개선은 더디다. 이 이유는 환경정책이 점오염원에만 집중되어 있고 막대한 환경피해를 주고 있는 비점오염원에 대해서는 투자뿐 만 아니라 조사분석자료조차도 없다는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비점오염원에 대한 피해 심각성을 알고 대책에 전전긍긍할 때 우리의 관심은 이에 미치지 못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비점오염원은 발생원이 분산되어 있는 관계로 추적이 어렵고 유역특성과 지역적 강우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특성을 다른 지역에 적용시키는 것은 많은 비약이 따른다. 즉, 지역의 토양성분과 지형형태등의 고정적 여건에다 강우강도 및 강우량, 강우지속시간, 선행강우일수등 수문특성간의 상호연관성을 찾고 이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배출양태를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비점오염원이 집중 발생되는 개발대상지를 찾아 개발과정이 인근하천 수질에 미치는 주성분을 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하천의 수질종합지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분석된 주성분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식을 제시하였다. 결국 오탁된 물을 얼마 만큼 확보하여 수량의 부족은 다소 충당할수는 있어도 결국 수질의 악화는 수자원의 감소라는 것을 인식해야만 한다. 환경을 보전하자는 순응적 대응이 아니라 우리의 생명을 지킨다는 적극적인 대처가 요구되어 진다. The incessant circulation of water on earth could be compared to the nest for all the living things and at the same time elongate the life span of humankind, being an existence similar to a mother who always takes care of her child. The astronomical quantity of water occupies the 71 percent of the surface of the earth (510×106㎢), not to mention its importance. It is even asserted that the whole land of the globe will be inundated with water in the approximate depth of 2,440m if its surface is levelled out. At present, however, a lot of water resources are being polluted and the government, fully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environment has made efforts to improve the aggravating situation through such as large-scale investments of the fiscal budget into environmental facilities. Though these efforts do not necessarily lead to the immediate environmental improvements, the improvement in environmental pollution is still in stalemate despite great efforts. The reason is that the environmental policy is mainly focused on the point source pollutant while the policy has ignored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excluding it from the agenda of investments, and the related data to research and analyse it has been hardly available. It is also true that our interests have been far from it even when the advanced countries which had taken proper measures to cope with it had already shown deep concerns about the seriousness of damages by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Besides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is not easily traceable because its origin of pollution is distributed around the area and it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properties of neighboring area and the local conditions for precipitation, making it difficult not only to find out the exact cause but also to apply a property to other areas to inevitably incur a jump of logic. Adding the constant conditions such as the ingredients of soil in a particular area,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etc.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like the intensity, quantity, lasting time and preceding days of precipitation should be traced and,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find out the outflow states of the non-point source of pollution. In conclusion, by selecting the identical area as an development area, the author hav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ain components that have influences on the quality of water in the neighboring area at the stage of development, and presented the formula of regression analysis. By the use of these data, it is possible to make out a perspective policy, to widely spread the understanding that, 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the deteriorating quality of water directly means the decrease of water resources. Therefore, it is indispensable for us to adopt a positive attitude that we keep our own lives rather than to adapt ourselves to an acquiescent, inactive attitude just to maintain the environment as miscellaneous matters around us.

      • 직장 내 가십행동이 가십행위자의 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회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As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has undergone unprecedented changes due to the recent pandemic situatio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is emphasized, and interest in informal communication such as gossip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research are growing. In the field of gossip research, neutral definitions have emerged and functional aspects have begun to be highlighted recently, away from the negative definition of gossip.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 of gossip behavior within the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and work tension in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vig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ssip behavior within the organization, trust, and work tension. This study derived hypotheses based on self-perception theory and affective event theory through literature review. To verify the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such as faculty members, related institution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finance in Gwangju and Jeollanam-do,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gossip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affect-based trust and cognitive-based trust, and through thi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promoted. It was verified that negative gossip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work tension and promoted organizational-oriented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is. In addition, vigor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gossip behavior and psychological respons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gossip behavior and affect-based trust was stronger in gossipers with low vigo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gossip behavior and work tension was stronger.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mainly examined the effect on gossip subjects, this study contributes to gossip studies in that it confirms the effect of gossip behavior on the gossipers themselves. In addition, it provides an explanation of the discriminatory effect mechanisms of positive and negative gossip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최근 팬데믹 상황으로 인하여 조직운영 방식이 전례 없는 변화를 겪게 되면서 구성원 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가십과 같은 비공식 소통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커져가고 있다. 가십 연구 분야에서도 최근 가십에 대한 부정적 정의에서 벗어나 중립적 정의가 등장하고 기능적 측면이 조명받기 시작했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조직 내 가십행동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들 간 관계에서 신뢰와 직무긴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 내 가십행동과 신뢰 및 직무긴장의 관계에 있어 활력이 지니는 조절효과를 함께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자기지각 이론과 정서사건반응 이론 등을 토대로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광주 및 전남지역의 교직원, 유관기관, 기술사업화 전문기관, 금융 등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긍정적 가십행동은 정서기반 신뢰 및 인지기반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를 매개로 조직시민행동과 조직몰입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정적 가십행동은 직무긴장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를 매개로 조직지향 시민행동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밖에 활력은 가십행동과 심리적 반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여, 활력이 낮은 가십 행위자들에게서 긍정적 가십행동과 정서기반 신뢰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나고, 부정적 가십행동과 직무긴장 간의 관계도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십 대상자에 대한 영향을 주로 살펴본 기존 연구들과 달리 가십 행위자 본인에 대한 가십행동의 영향을 확인한다는 점에서 가십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아울러 긍정적 가십행동과 부정적 가십행동의 차별적 효과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장편 시나리오 <아버지를 위하여> 창작보고서

        정회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아버지에게 억압받던 아들이 아버지를 벗어나게 되는 이야기로 현 사회와 시대를 조명한 장편 시나리오 창작 보고서이다. 장편 시나리오 <아버지를 위하여>는 어린이 실종 사건을 중심으로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아들과 친구들의 갈등과 대립을 다루고 있다. 초등학교 교장이자 재단 설립자로 재력과 명예를 가진 아버지를 둔 아들 민수는 별다른 욕망 없이 이미 가진 것에 만족하며 사는 달관 세대다. 그런 민수에게 어릴 적 친구였던 연주가 나타나 아버지가 어린이 실종 사건과 관련이 있다고 말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이 논문의 시나리오는 2년의 집필 기간 동안, 트리트먼트를 제외한 시나리오를 9회에 걸쳐 수정, 발전시켰다. 인물이 삭제되거나 추가되고 두 가지 이야기에서 하나의 메인 플롯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구조로 바뀌었다. 주제와 장르성 강화를 위해 캐릭터와 서사구조가 변형되었다. 시나리오를 수정하면서 현재 내가 속한 사회의 청년세대와 기성세대의 갈등, 그것을 아버지와 아들의 대립관계를 통해 이야기하려 했다. 욕망과 법률 사이에 대립 관계를 오이디푸스 서사구조로 분석해 보면서 현재 청년세대와 사회를 그리는 장편 영화 시나리오를 완성하는 것이 목표였다. 현재의 청년세대는 삼포 세대. 달관 세대 등 자신의 욕망을 포기하는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기성세대가 만들어놓은 사회 구조와 질서에 들어가기 위해 발버둥 치고 들어가지 못하면 포기하는 세대, <아버지를 위하여>의 주인공 민수는 그런 세대다. 포기하고 나아가 이미 주어진 것에 만족하고 그 안에서 즐거움을 찾으려는 세대다. 민수에게 조금 다른 건 그의 아버지가 가진 게 많다는 것이다. 그는 아버지가 원하는 삶을 회피하고 거부한다. 그렇다고 온전히 자신의 삶을 살아가지도 않는다. 민수는 욕망이 없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에 의해 억압되고 숨겨진 수동적인 인물이다. 영화의 주인공은 욕망과 목표를 가져야 한다. 그리고 능동적으로 그 목표를 방해하는 적과 갈등하고 대립하며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아버지를 위하여>는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수동적인 주인공 민수의 트라우마를 건드리며 능동적으로 변하길 압박한다. 무언가를 해야 한다. 그렇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라는 의문을 던진다. 그리고 민수에게 아버지에 대해 알아가게 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게 되는 성장을 이야기한다. 현 사회의 청년세대와 기성세대에 대해 연구하고 욕망으로서 영화의 서사구조에 대해 연구하며 시나리오를 수정 발전시켰다. 수정 과정에서 지금의 청년세대들은 기성세대를 벗어날 수 없는 것인가? 아니면 벗어나려 하지 않는 것인가?, 기성세대에 질서가 잘못되었다고 말하지 못하는 걸까? 아니면 안 하는 걸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부모 세대에 대한 의존이 큰 청년들. 그것이 길들여진 교육의 결과물이라 하더라도 아버지 세대를 닮아가거나 닮지 않으려는 노력은 해야 하지 않는가? 라는 고민을 했다. 기성세대의 질서에 편입하지 못하면 포기하고, 나아가 이미 가진 것에 만족하는 달관 세대는 영화의 주인공과 맞지 않는다. 영화의 주인공은 아버지들의 법률과 질서가 금기시한 욕망을 갖고 질서에 들어가거나 벗어나거나 선택을 해야 한다. 이 영화 시나리오는 그런 선택을 강요받게 된 민수라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이야기 풀어나간다. 이 이야기는 아버지를 둘러싸고 주인공 민수와 그 친구들의 이야기로 젊은 세대들 스스로의 갈등과 기성세대와의 대립을 통해 이 시대를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에 대해 고민하게 하는 영화가 될 것이다. 주요어 : 아버지를 위하여, 아버지와 아들, 달관세대, 청년세대, 기성세대, 욕망과 법률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