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흡연갈망이 흡연관련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

        정홍열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흡연갈망이 흡연유발 자극 및 흡연혐오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흡연갈망을 조작하기 위해 실시된 흡연박탈 과정에 기여하는 시간관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총 68명(흡연자 48명, 비흡연자 20명의 대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가자들은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1) 갈망 고 집단(n = 20)에게는 12시간 이상 흡연을 박탈하였다. 2) 갈망 저 집단(n = 19)에게는 흡연을 박탈하지 않았다. 3) 갈망 무 집단(n = 20)은 비흡연자로 구성하였다. 4) 흡연박탈실패 집단(n = 9)은 흡연박탈 과정에서 흡연을 했던 이들로 구성하였다. 흡연자들에게는 4개의 설문지(흡연습관 질문지, 니코틴 의존 척도, 흡연갈망척도, 시간관 척도), 비흡연자들에게는 2개의 설문지(과거 흡연 질문지, 시간관 척도)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은 주의편향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갈망 고 집단은 갈망 저, 갈망 무 집단보다 흡연유발 자극에 대하여 유의하게 큰 주의편향이 나타났다. 둘째, 갈망 고 집단 및 갈망 무 집단은 갈망 저 집단보다 흡연혐오 자극에 대하여 유의하게 큰 주의편향이 나타났다. 셋째, 흡연박탈에 실패한 집단은 성공한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현재쾌락 시간관이 나타났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흡연유발 자극 및 흡연혐오 자극에 대한 주의편향에서 흡연갈망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금연 과정에서 현재쾌락 시간관의 역할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금연을 돕기 위한 개입에서 흡연갈망의 증가, 주의 과정의 변화, 현재쾌락 시간관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smoking craving. The first objective is to analyze smoking craving which influence attentional bias for smoke-induced stimulus and the smoke-disgusted stimulus. The second objective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ime perspective which contributes in the smoking deprivation process. All 68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48 smokers and 20 non-smoker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 four groups. 1) The high craving group (n = 20) was smoking deprived for 12 hours or more. 2) The low craving group (n = 19) was not smoking deprived. 3) The non-craving group (n = 20) was non-smokers. 4) Smoking deprivation failure group (n = 9) who smoked tobacco during the smoking deprivation process. The smokers completed four surveys: the Smoking Habit Questionnaire, the Fagerstrom Tobacco Questionnaire, the Brief Questionnaire of Smoking Urges and the Time Perspective Inventory. The non-smokers completed two surveys: the Past Smoking Questionnaire and the Time Perspective Inventory. All participants performed an attentional bias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 crav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greater attentional bias for smoke-induced stimulus than the low craving and non-craving groups. Second, the high craving and non-craving groups had a significantly greater attentional bias for smoke-disgusted stimulus than the low craving group. Third, the deprivation failure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sent-hedonistic time perspective than the smoking deprivation success group. To summarize,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smoking craving on attentional bias for smoke-induced stimulus and smoke-disgusted stimulus.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e role of present-hedonistic time perspective on quitting smok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 to help quit smoking should be considered as a factor that increases smoking craving, change of attentional process, and present-hedonistic time perspectiv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구강내 병원성 미생물 검출을 위한 전기화학 압타머 센서에 관한 연구

        정홍열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의 구강진단 외래진료 건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치아 우식증 관련 외래 진료 방문자수는 국내 전채 외래진료 방문자수에서 점유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구강 내 존재하는 다양한 박테리아에 대한 압타머 기반 전기화학 센서를 제작하고 박테리아를 투입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박테리아에 대응하는 Screen Printed Carbon Electrode를 기반으로 한 압타머 전기화학 센서를 제작하고, Square wave voltammetry 방법을 사용하여 박테리아의 농도별 응답 특성과 다른 박테리아에 대응하는 압타머를 이용하여 선택성 실험에 응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각 박테리아에 대응하는 압타머를 기반으로 한 전기화학 센서를 제작하고 박테리아에 농도에 따른 압타머 센서의 응답 특성을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박테리아의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한 패턴의 피크 전위 이동을 관찰하였고 농도의 증가에 따른 전류의 변화가 커짐을 관찰하였다. 선택성 실험에서는 기존과 다른 방법으로 표적 박테리아를 검출하기 위한 압타머가 아닌 다른 박테리아에 대응하는 압타머를 이용한 방법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박테리아 투입 후 특정 시간대에서 전위, 전압의 차이를 보여 다른 박테리아와 구분이 가능하여 선택성을 가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The number of outpatient treatments for oral diagnosis in Korea is increasing year by year, and in particular,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related to dental caries is increasing every year in the number of domestic appetizers. In this study, We create an aptamer-based electrochemical sensor for various bacteria existing in the oral cavity and to investigat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by injecting bacteria. To this end, we fabricated a aptamer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Screen Printed Carbon Electrode corresponding to each aptamer, square wave voltammetry method was used for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by concentration of bacteria and selectivity experiments using aptamers corresponding to other bacteria. An electrochemical sensor based on an aptamer senser corresponding to each bacteria was prepared, 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aptamer sensor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observation, a constant pattern of peak potential shift was observed regardless of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 and the change of current was observ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In the selectivity experiment, a method using an aptamer corresponding to other bacteria other than the aptamer to detect the target bacteria in a different way than the existing one was attempted.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potential and voltage was shown at a specific time period after bacterial injection, making it distinct from other bacteria. It was observed that it has selectivity.

      • 수학학습의 지도원리 및 방법에 관한 연구 : 귀납법에 의한 중학교 수학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정홍열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the ability of mathematics by the mathmatical induction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In order to obtain the stated purpose, the study employs the method of literature survey which includes books, monographs, professional journals, dissertation, and other unpublish papers relevant to the mathematical induction study. Mathematical induction method is induced from the axioms of the set of all natural numbers and we hav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the principles of the complete induction and the incomplete induction. Notable points from the viewpoints of guidance by teaching method in order to elevate the power of inductive and deductive thoughts in guiding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subject are as follows: In the inductive side, 1. to first present examples. 2. to let students understand principles or rules by finding common features through concrete numerical values. In the deductive side, 1. to first present principles or rules. 2. to explain drawing examples suitable for principles or rules. 3. to have students understand principles or rules study by solving examples. As a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the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in induction and deduction methods as follows: 1.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by the induction method was 63%. 2.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by the deduction method was 37%. Specially study guidance by the inductive method is effective for providing students with interests and intention and elevating various thinking power. Therefore to have students master thinking power through gradual and repetitive training is required.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ents of studying inductive problem are too few and the purpose of theirs is to demonstrate the guide direction that are thwart to teach the students the mathematical induction problem and to solve those problem with creativity and discovery ability. And through the role of inductive thought, it was seen that it was able to study of solution and learning of discovery, but it may make a mistake and deductive thought protects to make a mistake, but it is not able to lead a new general knowledge. Therefore, if it were subject to method of inductive, it is divert to method of deductive and if it were subject to method of deductive, it is convert to method of inductive, and it is considered desirable that theirs are not mutually dualitic, but converge to mutual supplementary. In conclusion, I hope that this poor study makes it known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tics by the mathematical induction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I also hope that it can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the guiding principle and method of the Matmematics learning.

      • Totus homo in der christlichen Auferstehungshoffnung und Eschatologie : studien zu den implikationen der Rechtfertigungslehre fur die Eschatologie

        정홍열 Friedrich-Alexander-Universitat Erlangen-Nurnberg 1997 해외박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종래의 헬라적 사고에 의해 지배받아온 이원론적 인간론과 그러한 인간론을 바탕으로 구성된 기독교종말론의 전통적 진술을 성서적 인간론, 즉 전인적 인간론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논문이다. 먼저 성서가 말하는 전인을 소개하기 위해 한편으로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간을 나타내는 용어들을 어원적으로 분석한 후, 모든 인간론적 표현에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대변되는 헬라적 인간상과는 대비되는 히브리적 고유한 인간상이 자리잡고 있음을 밝히면서, 그러한 인간상은 인간을 실체적-존재론적 관점에서 보지 않고 하나님의 행동의 관점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의 측면에서 보는 전인적 인간론임을 밝힌다. 이러한 주장은 단지 성경에 등장하는 인간을 표현하는 여러 용어들 뿐만 아니라 루터의 "인간에 관한 논제"에서도 주장되는 바이다. 이러한 인간론의 핵심에는 철저하게 하나님 중심적 사고가 자리잡고 있으며, 이런 점에서 이러한 인간론과 그것에 근거한 종말론은 당연히 자연신학을 중심으로 구성된 카톨릭의 인간론 및 종말론과 대립관계에 놓여지게 된다. 카톨릭측에서 주로 주장하는 전통적 영혼불멸론에는 플라톤주의의 영향이 깊게 뿌리를 내리고 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모양을 바꾼 채, 새로운 용어로 표현되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행동을 강조하며 이것을 통해 신학적 진술을 시도하려는 인간론과 그것에 근거한 종말론은 영혼불멸론에 맞서서, 죽은 자를 살리시는 하나님의 행동의 시각에서 "죽은 자의 부활"을 주장하며 같은 선상에서 "몸의 부활"로 표현되는 전인적 인간론을 선언한다. 본 논문은 특히 영혼 불멸론의 최근의 형태로 등장한 요셉 라찡어(Joseph Ratzinger)의 "대화적 영혼불멸론"을 "오직 하나님의 행동"이라는 전통적 개혁자의 신앙의 입장에서 강하게 비판한다. 이 과정에서 전통적 영혼불멸론의 논리적 근거였던 "인간의 정체성의 유지의 자리"를 인간의 영혼이 아닌 "하나님의 기억"이라는 행동으로 우리의 지상의 삶과 내세의 삶 사이의 간격을 성서적 근거를 통해 극복하고자 시도한다. 아울러 본 논문은 전통적 종말론의 주제들인 죽음과 부활 그리고 영생에 관련된 최근의 논의들을 역시 "하나님의 행동"의 시각에서 새롭게 정의한다. 그 가운데 특히 최근 예수의 부활의 사실성을 부인해 물의를 일으켰던 괴팅엔 대학의 뤼데만(Gerd Luedemann)과 예수의 부활에 관한 철저한 논쟁을 전개한다. 본 논문이 "칭의론의 종말론에의 적용"이라는 부제들 정함으로 전체적 내용 가운데 여러번에 걸쳐 현금의 주요 카톨릭 신학자들과의 논쟁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주로 라찡어와 그레샤케 그리고 라너등이 본 논문의 논쟁에 다루어진 신학자들이다. 그들과의 논쟁을 통해 오히려 더 성서적 종말론을 찾아나가는 일에 본 논문이 공헌 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논문은 마지막으로 진정한 영생에 대한 소망과 위로는 인간이 지닌 불멸적 요소가 아닌 하나님의 종말론적 구원의 완성행동으로부터 출발한다는 논지하에 종말론은 구속론이요 삶에 위로를 주는 신학이며 하나님의 영광을 찬양하는 신학이어야 함을 밝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