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졸업연주작품집 : Frank Wildhorn, John Harold Kander, Cyndi Lauper, Il Sang Yoon 뮤지컬곡과 Wolfgang Amadeus Mozart 성악곡 중심으로

        정혜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collection of works handles musical pieces of , Wildhorn(Frank Wildhorn, 1959-), Yoon(Il Sang Yoon, 1974-), Kander(John Harold Kander, 1927-), Lauper(Cyndi Lauper, 1953-) and vocal music of Mozart(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This study aims to help in playing more deeply by concentrating on composers' entire lives, the original works, characters of the works, situations to sing the song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ngs and the lyrics. Wildhorn is Musical 《Jekyll & Hyde, 1990》's composer. <Take me as I am> & <Dangerous Game> is duet. two songs by undeniable basic instinct toward Jekyll and inside desire of Jekyll. Il Sang Yoon’s who is Korean popular song composer has made first musical named 《Suh Pyun Je》. This musical is telling very sad story about a daughter's eye being blinded by her own father to solve father's unfulfilled wish of completing a south western typical Korean song. The music bares well daughter's deep resentment and sorrow toward her own heartless father and outside world. Kander’s 《Cabaret, 1966》 was created, the lyrics of the song <Cabaret>, <I don't care much > can be interpreted to have a double meaning, and the chromatic upward development of the melody and the rhythm of the lyrics give emotions to the words. Cyndi Lauper is very famous pop artist singer in 1970’s. The Musical <The Hitory of Wrong Guys> is made like repeated everyday conversation but it has quite interesting and touchable melodies. Mozart's opera 《Le Nozze di Figaro, 1786》 was created, <Voi che sapete che cosa e amor> and <Abendempfindung : KV 523> melody and the rhythm of the lyrics give emotions to the words. 본인은 석사과정 졸업 리사이틀 곡과 최근 뮤지컬 작품을 포함하여 작곡가 5명과 그들의 작품을 다루었다. 이 작품집을 통해서 작곡가의 생애와 작품해석 그리고 곡의 분석 및 음악적 특징을 연구하여 무대에서 곡을 연주할 때 더 깊이 있게 연주할 수 있도록 했다. 프랭크 와일드 혼(Frank Wildhorn, 1959-)은 미국의 뮤지컬 작곡가이다. 그의 생애와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Musical Jekyll & Hyde, 1990>의 시대적 배경 및 노래 Take Me as I Am(당신이 나를 받아준다면)과 Dangerous Game(위험한 게임)을 통해 나타나는 캐릭터의 이중성이 가사내용과 노래 선율을 통해 인간의 양면성을 자세히 드러내주고 있었다. 윤 일 상(Il Sang Yoon, 1974-)은 한국의 대중가요 작곡가로서, 뮤지컬 <서편제>를 통해 그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및 노래 원망(Resentment)을 통해 나타나는 작품 구성과 음악적 특징은 눈을 멀게 한 아버지에 대한 恨과 그 아버지를 용서하는 情이 드러남으로써 한국 특유의 정서가 보여 졌다. 존 해롤드 칸더(John Harold Kander, 1927-)는 미국을 대표하는 뮤지컬 작곡가이다. 그의 생애와 뮤지컬 <캬바레: Cabaret>의 시대적 배경 및 노래 cabaret(캬바레)와 I don't care much(나는 별로 상관없어)을 통해 나타나는 인간의 내면세계를 리듬과 멜로디의 반대적 분위기로 캐릭터의 상황을 더욱 더 강조했다. 신디 로퍼(Cyndi Lauper, 1953-)는 미국의 대중 팝가수이자 작곡가이다. 뮤지컬 <킹키부츠>를 통해 처음으로 뮤지컬 곡을 작곡하였다. 그 중 노래 The History of Wrong Guys(내 연애의 흑역사)는 반복되는 리듬과 멜로디, 스타카도 반주 기법으로 가사의 운율을 통해 단어에 감정을 실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는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그의 생애와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Le Nozze di Figaro, 1786> 중 아리아 Voi che sapete che cosa é amor(당신은 아시나요 사랑이 무엇인지)와 그의 가곡 Abendempfindun(황혼의 느낌), KV 523를 통해 나타나는 작품구성과 음악적 특징이 선율과 도약을 통해 가사를 부각시켜 주었다.

      • 스마트 홈트레이닝이 농촌 노인의 하지근력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정혜영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을 대상으로 10주간의 하지운동을 실시하고 스마트 홈트레이닝군(실험군)과 그룹 운동군(대조군)의 운동 효과를 비교하여, 근력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북도 G 군에 소재한 J 진료소를 이용하는 60세 이상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매주 1회 진료소에서 운동하는 그룹 운동군 10명과, 앱을 설치하고 각자 집에서 스마트 홈트레이닝을 하는 스마트 홈트레이닝군 10명을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룹 운동군은 주 1회 집합 운동을 하고, 각자 집에서는 배운 동작을 운동하도록 하였다. 스마트 홈트레이닝군은 처음 시작할 때 올바른 운동 자세를 가르치고 앱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해 2회 집합교육을 실시하고, 매일 각자 집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운동하도록 하였다. 운동 동작은 앉아서 무릎 펴기, 제자리 걷기, 미니스쿼트, 옆으로 걷기 등 4가지를 선정하여 대상자들에게 올바른 동작을 가르치고, 점검하며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 2분 걷기 검사, 간편 신체기능 검사, 근력 측정, 벡 불안 우울 척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신체기능 검사 결과 balance는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29). 둘째, 등척성 근력 측정 검사 결과 strength knee extension은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셋째, 2분 걷기 검사 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넷째, 불안 우울 검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스마트 홈트레이닝은 농촌 노인의 하지 근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고 본다. 또한 balance와 strength knee extension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낸 것으로 볼 때 스마트 홈트레이닝 운동이 노인의 낙상 예방에 효과적인 중재 방안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10 weeks of lower extremity exercise was conducted for rural elderly people, and the effect of exercise between the smart home training group ( experimental group ) and the group exercise group ( control group ) was compared to analyze the effect on muscle strength and depression. di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derly women aged 60 years or older who used J clinic located in G-gun, Chungcheongbuk-do. Ten people in the group exercise group who exercised once a week at the clinic and 10 people in the smart home training group who installed the app and did smart home training at home were divided and conducted. The group exercise group did a collective exercise once a week, and each exercised the learned movements at home. When the smart home training group first started, they were instructed to teach the correct exercise posture and explain how to use the app. Four exercises were selected, including sitting, knee extension, walking in place, mini squat, and sideways walking, and the subjects were taught the correct movements, checked, and proceed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2m step test,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trength measurement, and Beck Anxiety Inventory, Beck Depression Inventory were condu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the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bala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P<.029 ). Second, as a result of the strength measurement, strength knee extens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P<.001 ). Third, the results of the 2m step tes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urth, in the anxiety and depression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it is believed that smart home training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lower limb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significant increase in balance and strength knee extension, smart home training exercise can be seen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preventing falls in the elderly.

      • 엽낭게 Scopimera globosa (De Haan, 1835)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분석 연구

        정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Littoral, one of the marine ecosystem, is abundant of organic to such an extent as to generating 30% of whole marine organic and is single ecosystem which makes marine creatures do an interaction of pray-predator to grow and reproduce successfully for themselves. Brachyura, which is littoral animal and zoobenthos and tries to adapt to this marine environment, gnaw holes through littoral or mud flat against predator, which affects survival rate of benthic organism population for providing an hideout with them impliedly and performs important function that cycle of material of marine ecosystem. Especially Scopimera globosa, known to widely exists in East Asia, serves important function of preserving coastal marine ecosystem. This study is meant to contribute to preserving littoral marine ecosystem by apprehending whole mitochondrial genome nucleotide of Scopimera globosa and establishing a genetic trait of it. First, to apprehend mitochondrial genome nucleotide of Scopimera globosa, the DNA of Scopimera globosa is extracted and refined. To conduct NGS analysis, Produced DNA library is used for sequencing. Second, Paired-end genome sequencing is peformed. Consequently, the original mitochondrial genome nucleotide of Scopimera globosa is embodied via mitochondrial genome assembly procedures. The whole sequence length of mitochondrial genome of Scopimera globosa is 15,925 bp. Mitochondrial genome of Scopimera globosa consists of 13 type of coding proteome, 2 Ribosomal RNA, and 22 Transter RNA. Adenine and Thymin respectively accounts for 33.89%(5,397bp) and 33.92%(5,402bp) of the whole mitochondrial genome. The total amounts of A+T contents is 67.81%, which is markedly higher than G+C contents(32.19%). In the whole mitochondrial genome of Scopimera globosa, the intergenic spacer, which represents non-coding space, ranges from 1bp to 246bp between 35 genetics and the intergenic overlap appears 3 points(area). Its mitochondrial genome nucleotide completely corresponds to reported that of Decapoda up to now. By newly established whole mitochondrial genome nucleotide of Scopimera globosa, it could be served to grasp and establish the facts of marine species. More concretely,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servation of marine system and the phyletic evolutionary study of an arthropod. 해양 생태계의 하나의 지역인 연안지역은 해양 유기물 생산의 30%가 생산되고 있을 정도로 유기물이 풍부한 곳으로 해양생물들이 서로 피식-포식 관계를 구성하여 성장과 번식을 성공적으로 하게 해주는 환경 생태계이다. 이러한 환경시스템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는 해양의 연안동물이자 저서동물인 게류는 연안이나 갯벌에 구멍을 파고 살아가며 다른 피식자들에게 포식자에 대비한 은신처를 제공하여 생존율을 증가시켜 저서 생물의 군집 조성에 영향을 미치고, 생태계의 물질 순환을 촉진해주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엽낭게(Scopimera globosa)는 동아시아에 광범위하게 출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게류로 연안 생태계의 보존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엽낭게의 전체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염기서열 구성도를 파악하고 유전학적 특성에 대해 규명하여 연안 생태계의 보존을 위한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먼저 엽낭게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를 분석하기 위해, 엽낭게의 DNA를 추출 및 정제하였다. 그리고 NGS분석에 들어가기 위해 DNA library를 제작하고, 제작한 DNA library를 이용하여 시퀀싱을 수행하였다. Paired-end 유전체 시퀀싱을 진행하였고,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assembly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엽낭게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를 원형의 구성도로 형상화 하였다. 엽낭게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전체 서열 길이는 15,925bp로 나타났다. 엽낭게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는 13종류의 암호화 단백질 유전자와 2개의 Ribosomal RNA, 22개의 Transfer RNA로 구성되어 있었고 전체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A+T contents는 Adenine 함량이 33.89%(5,397bp), Thymin 함량이 33.92%(5,402bp)를 차지하여 총 67.81%로 G+C contents인 32.19%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엽낭게의 전체 미토콘드리아에서 비 암호화 지역인 유전자간 공간(intergenic spacer) 지역은 35개의 유전자 사이에서 1bp에서 246bp의 범위까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유전자와 유전자간의 중첩(overlap)구간은 3구간에서 나타났다. 또한 엽낭게의 미토콘드리아 전체 유전자 구성과 순서, A+T 편향성은 전체 미토콘드리아 유전체가 밝혀진 달랑게상과 9종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엽낭게를 포함한 10종의 전체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길이는 평균적으로 15,699bp를 나타내었고, 유전자 배열순서는 10종 모두 같았다. 또한 10종의 A+T함량은 모두 G+C함량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엽낭게의 전체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를 통한 염기서열 분석은 해양 생물종에 대한 실체 파악과 규명에 공헌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해양 생태계의 보전과 절지동물의 계통진화학적 연구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한다.

      • 반 고흐 작품의 색채를 활용한 뷰티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정혜영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래의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반 고흐 작품의 색채를 분석하고 응용하여 뷰티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제작해 봄으로써 디자인 영역을 확대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반 고흐, 색의 체계,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의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반 고흐 회화 작품을 5개 시기로 나누어 대표작품을 선정, 색채를 추출하여 자연색채계로 분석하여 활용함으로써 뷰티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을 제작 하였다. 작품제작으로는 반 고흐 회화의 색채 분석 결과와 작품에 쓰인 채색 기법 및 작품에 나타나는 분위기와 감정을 응용하여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 일러스트레이션 작품 제작을 통해 순수했던 청소년기의 심리상태, 감정을 색채와 인물의 표정으로 표현하였다. 현실을 대하고 있는 상황과 내면의 아름다움, 순수함과 당당함의 이미지를 자연적인 요소인 들꽃, 토양과 같은 이미지와 연결시켜 나타내었다. 둘째, 노란 불 빛은 더욱 진한 원색의 노랑으로, 어두운 파란 하늘은 원색의 파랑으로 나타내어 강렬한 원색의 대비를 이용하였다. 초록색 잎을 석양이 비친 붉은 빛으로, 어두운 밤하늘은 밝은 파란색으로 채색하여 보색과 함께 구성하여 역동적인 심상을 표현하였다. 셋째, 작품에 나타내고자 하는 내면의 불안감을 선의 방향성을 통해 역동성과 리듬감으로 나타내었다. 이는 선의 사용을 감정의 매개체로 나타낸 것이다. 의도적인 면적 구성을 통해 감정을 리듬과 방향성으로 표현하였다. 넷째, 내면적 욕구, 관념을 색채, 조형요소 등 추상적인 방법으로 재해석하여 작품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표현은 있는 그대로의 표현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무형의 심상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작가의 의도를 담았다. 다섯째, 본 연구에 제시한 뷰티 일러스트레이션 작품들에는 본인의 심리 상태와 내면을 반영하는 사상의 차원인 예술성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제작하였다. 노란 색조의 황금빛 표현, 사물의 색과 동화되어 분홍 색조로 나타난 붉은 색조의 표현 등 색채를 의도에 맞게 재창조하여 표현하였다. 이러한 본래의 색이 아닌 자신이 해석한 사물의 색으로 나타내는 색채의 재창조로 많은 모티브를 제공하며 미의 독창적인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본 연구의 작품 제작 시 나타난 다양한 시도는 뷰티디자인과 회화의 융·복합이며, 이를 통하여 뷰티디자인 분야의 일러스트레이션을 다양한 시각과 방법으로 재창조하여 예술성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함으로써 일차적인 기능성, 목적성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의 한계를 극복하고 표현의 제약성을 대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시도된 디자인을 통하여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이 학문적이고 예술적으로 발전 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논문에서 다뤄지지 않은 많은 미술사조들과 작가들의 작품의 색채를 뷰티 일러스트레이션에 활용하여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다양한 디자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기를 바란다.

      • 효과적인 영어 구동사 학습을 위한 교재 모형 개발

        정혜영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uggests a material model for learning English phrasal verbs effectively, which most Korean English learners find it hard to study. Phrasal verbs are a unique structure which doesn't exist in Korean. Korean students think it difficult to learn phrasal verbs and they depend on avoidance strategy by using one-word which contains the same meaning as the phrasal verb.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phrasal verbs for English learners.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tems to achieve fluency since English native speakers use them often in all registers from conversations to relatively formal documents. To suggest an appropriate material model for Korean learners, this paper reviews some studies and researches on phrasal verbs and Korean students' knowledge about phrasal verbs, and discusses the effective approach to learn them. The material is based on the approach that phrasal verbs are not categorized as a part of grammar, which is the case in Korea, but are one of the lexical chunks. Instead of analysing individual factors, the material model aims to treat phrasal verbs like other vocabulary learning. It also assists English learners to learn various phrasal verbs which are semantically related under a topic and to emphasize both understanding and producing of phrasal verbs. 본 작품은 한국 영어 학습자들이 어려워하는 구동사를 효과적으로 익히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교재 모형을 제시한 것이다. 구동사는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독특한 구조로서 한국 학습자들은 구동사 학습 자체를 어려워 하고 있으며, 의미를 알고 있다 하더라도 구동사의 사용을 기피하고 의미가 비슷한 한 단어로 된 동사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전략에 의존한다. 그러나 영 어 학습자들에게 구동사의 학습은 불가피하다. 원어민들의 경우 일상 대화에 서 구동사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문어체의 문서에서도 종종 구동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창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한국 학습자라는 특정 대상에 알맞은 교재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구동사와 한국 학습자들의 학습 형태에 관한 여러 논문과 문헌을 정 리하여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접근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그 결과를 실제 교재에 적용하여 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발하고자 하는 교재는 구동사를 문법 분류 중 한 항목이 아닌 어휘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개별 요소를 분석하기 보다는 다른 어휘를 학습하듯이 접근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다 양한 구동사를 하나의 주제 아래 연관지어 익히고 상황과 문맥을 통해 구동 사의 이해와 표현 모두에 중점을 두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 배려적 화법에서의 대화 학습 방법 연구

        정혜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배려적 화법의 특성과 원리를 탐색하고 배려적 화법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대화 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데 있다. 이전의 화법 교육은 의미전달과 이해 측면이 강조된 화자 중심의 교육이 주가 되어 대화의 관계 개선적 측면이나 상대방을 배려하는 태도 교육은 소홀했었다. 최근 상대방과의 상호 작용에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함께 공존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부각시키고 있으나, 아직 대화 참여자들이 상대방을 배려하며 대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구체적이고 전략적인 방법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로를 배려하며 대화 참여자간의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배려적 화법을 수행하고, 대화 참여자 사이의 의도까지도 생각하여 더 적극적인 듣기와 말하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의사소통 방법을 찾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배려적 화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배려적 화법 전략에 대한 원리,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배려적 화법은 나와 상대방의 정체성을 실현하기 위해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의미를 재구성하고 새롭게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자기 자신이 화자와 청자의 역할을 모두 수용함으로써 스스로도 성장시키며 인간관계도 개선하는 화법이다. 이를 위해 현행 2007년 개정 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나는 배려적 화법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실제 교육 활동 속에서 배려적 화법을 어떻게 지도하여야 할 지 방향을 모색하였다. Ⅲ장에서는 배려적 화법 중심의 대화 학습 방법을 구체적으로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배려적 화법의 구성요소 및 그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적절한 전략들을 추출하여 그에 합당한 활동과 자료를 개발하였다. 배려적 화법 중심의 대화 학습 활동은 모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하였다. 배려적 화법의 학습 활동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려적 화법 전략의 적용으로 학습자들은 배려에 대해 새롭게 인식을 하면서 동시에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도 깨닫게 되었다. 듣기·말하기 시간에 학생들은 좀 더 활발하고 친근하게 대화를 하였으며, 대화할 때 표현하는 방법들에 있어서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려는 정의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배려적 화법을 익히기 위한 활동들을 하면서 학습자들은 자신이 화자가 되고 또한 청자가 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자신의 주위에 둘러싼 여러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도 깨닫게 되었다. 이는 서로에 대해 관심을 갖으며 좋은 인간관계 형성에도 영향을 주었고, 그런 모습들이 자신에게도 되돌아오는 본보기가 된다는 것을 알고 반성해 보는 모습도 가지게 되었다. 셋째, 배려적 화법 전략 학습은 학습자들의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며,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습관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해주었다. 구체적인 학습방법을 배우며 배려적 화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들을 더 알고 싶어 하는 인지적 영역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고, 대화할 때도 자신감 있는 언어사용 태도를 마련해주었다. 본 연구자가 구안한 배려적 화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도하기 위한 전략들은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있어서, 청자와 화자로서의 대화자의 자세가 중요한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가져야 할 기본 태도이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고 지도되어야 할 것이다.

      • 예비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

        정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a purpose for providing basic data to be useful in teacher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management beliefs of pre-servic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Participant of this study were 143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seoul.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18.0.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middle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relatively high, also Personal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PSTE) subscale an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STOE) subscale were high.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but male students' PSTE was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p< .05).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xperience of practice teaching, but experienced students' PSTE was higher than those of non-experienced students(p< .05). Second, pre-service middle science teachers favored interventionist style on the classroom management. Particularly, the Instructional Management(IM) subscale was more interventionist than the People Management(PM) subscale. Classroom management belief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level. Also classroom management belief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xperience of practice teaching.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managemen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and people management(p< .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and instructional management(p< .01). Teacher education course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develop humanistic and non-interventionist beliefs. And there is a need for a longitudinal study of these pre-service teachers when they became in-service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예비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을 조사함으로써 바람직한 자질을 갖춘 예비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 과학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 중등 과학교사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피어슨 상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은 비교적 높았으며, 하위 영역인 개인적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 기대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교수 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개인적 과학 교수효능감이 더 높았다(p< .05). 과학 교수 효능감은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4학년이 2학년과 3학년보다 효과적인 과학 교수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며, 학생들이 과학에 관심을 갖게 하는 방법을 더 잘 알고 있다고 하였다(p< .05). 과학 교수 효능감은 교육실습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개인적 과학 교수 효능감 영역은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더 높았다(p< .05). 둘째, 예비 중등 과학교사는 학급 경영에 있어서 다소 통제적이며 간섭적인 경향을 보이며, 특히 수업 경영에 있어서 인적 경영보다 더욱 통제적이고 간섭적인 경향을 보였다.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은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은 교육실습 경험 유무에 따라서도 차이가 없었다. 교육실습은 실제적인 직무를 통해 교사의 관점에서 교직을 바라보고 경험하는 과정임에도 불구하고 교육실습 경험이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의 교육실습은 예비 중등 과학교사들이 학생 지도와 학급 경영에 있어서 더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예비 중등 과학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학급 경영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개인적 과학 교수 효능감 영역과 인적 경영 영역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p< .05), 과학 교수 결과 기대감 영역과 수업 경영 영역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p< .01). 예비 중등 과학 교사는 학급 경영에 있어서 다소 통제적인 경향을 보였는데, 과학 교과에서 추구하는 활동 중심, 탐구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예비 교사 양성 과정에서 인본적이며 비간섭적인 신념을 형성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 양성 과정에서 형성된 과학 교수 효능감과 학급 경영에 관한 신념이 현직 교사가 되었을 때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에 관한 종단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통역,번역에 유용한 표현 연구

        정혜영 선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화 정보화의 발달로 우리가 접하는 지식과 정보의 양은 엄청나다. 그 중 정말 유용하고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는 일은 시간과 노력을 아끼기 위해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늘 새로운 주제의 통역과 번역을 해야 하는 통번역사들에게 있어 유용한 표현 정리는 소중한 자산이다. 뿐만 아니라 정확한 정보의 분석과 전달, 그리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보다 많은 배경지식과 다양한 표현을 습득해야 한다. 본 논문은 통&#8226; 번역을 함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고 정확한 의미 전달을 위해 유용한 표현을 정리한 것이다. 특히 통&#8226;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한국어에 대응하는 영어표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같은 단어라 하더라도 문맥상 다른 의미를 지닐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어 대 단어’ 식의 표현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이에 실제로 통&#8226; 번역 현장에서 활용하기 용이한 문장 단위의 표현 방식을 선택했다. 이 논문에서는 통&#8226; 번역사 뿐만 아니라 영어를 공부하는 누구라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정치, 경제, 사회, IT, 의료 등에 관련된 표현들과 실제 연설문에서 발췌한 표현들이 정리되어있다. With the advancement of globalization and digitalization, the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e encounter in our daily lives is huge. Thus, selecting useful and necessary information among them is imperative to save time and efforts for would-be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In particular, a collection of useful expressions is an valuable asset for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who always engage in new subjects through their jobs. In addition, they should learn various expressions and acquire a wide range of background knowledge to have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lients and to analyze and transmit information accurately.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useful expressions for interpreters and translators, and those who want to learn English. By doing so, more effective and accurate communication can be possible. Finding the right expression for the right moment is not easy at all. At the same time, I believe that ‘word for word’ translation is meaningless in that even the same word can carry different connotation in context. So I tried to introduce expressions in the context of sentence. Expressions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describe various area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medic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