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50세 이상 일부 성인의 대장내시경 검진 수행 관련요인

        정해숙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장내시경 검진률을 향상시키고자 50세 이상 일부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하여 대장내시경 검진 수행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임의표본추출한 5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Lee 등(2002)이 한국형으로 개발한 유방암 건강신념 측정도구(K-CHBMS)와 Rawl 등(2001)이 개발한 Colonoscopy Benefits and Barriers Scale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총 119부였고, SPSS Window를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건강신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건강신념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수입, 민영보험 가입여부, 건강관심도, 규칙적 운동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적 특성과 대장내시경 검진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을 실시한 결과 수입과 건강관심도에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내시경 검진여부와 건강신념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그룹간 건강신념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장내시경 검진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 사항을 통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각성, 장애성,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장내시경 검진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심각성, 자기효능감을 높게 인지하고, 장애성을 낮출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과 교육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교회학교 영아부 활성화를 위한 실태 조사

        정해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회학교의 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때 교회의 미래이며 교회학교에서 인성형성의 가장 초기 교육을 담당하는 영아부의 활성화는 영아의 영적 성장측면과 교회학교 성장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아부담당사역자들을 대상으로 영아부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여 교회학교 영아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교회학교 영아부 운영관리의 지역별, 교단별 실태는 어떠한가? 2.교회학교 영아부 교육환경의 지역별, 교단별 실태는 어떠한가? 3.교회학교 영아부 교육과정의 지역별, 교단별 실태는 어떠한가? 4.교회학교 영아부 가족과의 연계의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교회학교 영아부의 실태를 조사연구하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영아부를 운영하고 있는 교회 197곳의 영아부 담당사역자를 그 대상으로 정갑순(2000), 김영희(2003), 남윤미(2004)의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구와 여성 가족부 보육시설평가인증지표(2006)를 교회학교 운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14.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N)와 백분율(%)을 사용하였다. 교회학교 영아부 교육 실태와 교육환경 등의 지역별, 교단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Chi-square 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학교 영아부 운영의 주요 교육대상은 부모와 영아의 병행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아부의 운영기간은 5년 이하의 짧은 운영기간을 갖고 있으며, 영아부 담당사역자는 교육전도사가 가장 많이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부 예산 집행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영아들에 대한 기록 보관은 비교적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충원은 부서자체에서 물색하여 영입하고 교사수련회나 세미나, 수시로 교역자를 통한 계속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들이 영아의 지도에 있어서 비교적 상호작용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단별로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의 경우 영아중심교육(54.8%)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지역, 경기?인천지역, 기타지역 등의 순으로 영아부 운영 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지역교회가 다른 지역교회에 비해 영아에 대한 교육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회학교 영아부의 교육환경은 냉·난방 시설, 안전한 영아부실, 청결상태 등의 실내 환경이 좋은 반면, 자료실을 통한 자료들이 체계적 정리 및 영아들의 휴식을 위한 공간상태 등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지역과 서울지역교회가 기타지역 교회에 비해 자료실 운영으로 자료들이 체계적 정리를 상대적으로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각 기자재들의 보유 및 활용수준은 경기?인천지역이 기타지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부 교육과정은 영아부 담당사역자의 재량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곳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운영은 교회마다 각기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교의 대상은 부모와 영아를 병행하여 구성하거나 영아만을 중심으로 구성된 설교 비율이 비슷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주요 설교 매체로는 컴퓨터와 프로젝트, 융판 자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단별로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교회의 경우 부모와 영아를 병행하여 설교를 구성하는 비율이 55.5%로 가장 높은 반면,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과 기타 교단의 경우 영아중심의 설교구성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기타지역교회의 경우 영아부 예배와 프로그램 소유시간이 1시간 미만인 교회(43.3%)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지역 교회에 비해 영아부 예배와 프로그램 소요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과의 연계에 있어서 가정과의 의사소통 방법으로 전화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회의 비율은 68.4%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방 방법으로는 전화 심방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계획하여 정기적으로 심방하는 경우는 낮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인터넷을 서울과 경기인천지역 교회가 기타지역에 비해 활용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교육의 경우 서울지역교회(80.0%)가 다른 지역교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회학교 영아부 운영의 만족도는 크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만족한다는 응답의 경우 서울지역 교회가 다른 지역교회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교회학교 영아부 운영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영아부 중요성의 인식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영아전문 사역자, 시설 및 환경개선, 교육프로그램 개발, 다양한 자료와 매체, 부모교육, 영아전문교사 확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ality of Sunday school programs for infants in Seoul, Kyeng-ki, Incheon, and other districts of Korea in order to provide data base in vitalizing the current programs for infants in Sunday school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study questions were set up as below. 1. How is the reality of administrative management of infants programs at Sunday school? 2. How is the reality of educational environment of infants programs at Sunday school? 3. How is the reality of educational process of infants programs at Sunday school? 4. How is the reality of connection with family and infants programs at Sunday school? Properly modified and supplemented questionaire based on Jeong, Gab-sun (2000), Kim, Yeong-hui (2003) and Nam, Yun-hui (2004) and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Index for Child Care Centers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as distributed to seoul, kyeng-ki, Incheon, and other districts. SPSS WIN 14.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and frequency (N), percentage (%) were applied according to research data questions. Chi-square 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ants programs at Sunday school. Post hoc Scheffe's test was executed to see, if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tistics. The results of this paper were drawn as follows. First, infants program at Sunday school generally educat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t the same time, which was the most frequent types of infants program at Sunday school in seoul, kyeng-ki, Incheon, and other districts. Many churches operated infant class less than 5 years and most of ministers in charge of infant class were education directors. Budget execution for nursery class went very well, but keeping record of children was relatively insufficient. Teachers, who were found and scouted in each divisions, were continuously educated through the training meeting for teachers, seminars and religious workers and they seemed to practice good correlation with children. Second, its educational environment had good indoor environment considering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safety of a classroom and cleanness. On the other hand, data was not systematically arranged in a edu cation material rooms and the classroom was devoid of space application for children's recess. Third, their curriculum were organized by the decision of ministers for infant class, which was the most frequent occasion. Every church had different methods to operate programs. In general, all the churches relatively had a higher rate in preaching focused only on children, even though education conducted to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most popular medium for preaching was a computer. A projector and data for attaching on a velcro board came after respectively. Fourth, a phone call was mostly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and infants Sunday school programs. Especially, churches in Seoul and Incheon relatively more applied the internet than churches in other places. Almost all churches performed education for parents. Making a call was broadly used as the methods of visit, but regular visit, which was scheduled, was very rare. Fifth, church school's satisfaction with infant class seemed not to be quite high. Many ministers pointed that people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fant class to vitalize its operation. Professional ministers for children,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diverse data and means, parents education, securing professional teacher for children were respectively demonstrated as the measures for vitalizing nursery class in church school.

      • 골프장 이용 고객의 외식업체 선택요인

        정해숙 수원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nalyzes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golf players to choose certain restaurants. The golf offers various benefits such as releasing stress by situating in rural areas out of Metropolitan, where golf players enjoy playing a grassland with fresh air. The golf has been taking places of leisure sports that anyone can play because it requires less consumption of physical strength and lower risk than other spor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dining restaurants for utilizing the information of building a strategy of competitive advantage that helps recruit and secure customer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surveying the factors to choose restaurants for golf customers who want to recover tiredness and to devise amity after the game. The respondents were golf players who use golf course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09.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224 were collected, and 76 insincere responds were eliminated.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were used in the research. One way ANOVA, SCHFEEF, T-test, and statistics authorization were also used to analyze the data. Based on the method and procedure of this study, the concluded result is demonstrated below. Firstly, in the frequency of general matters of golf and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research showed that non-member of golf club was the most frequent visitor, 2~3times for month. It showed golf players enjoy playing with friends and colleagues for companions. Each person's reasonable price was appeared 10,000 won 20,000 won for lunch and 20,000 won to 30,000 won for dinner. High educated people, over bachelor degrees, visited the golf course than others. The most frequent form of food was Korean style food by 76.3%, the process of choosing certain type of dining was "rely on the companion's opinion", and the reason for visiting again was "the flavor of food" by 70.0%. Secondly, in terms of restaurant choice, the result of the surveyed participants' general trait is as below. The result shows that choosing popular restaurants was more important factor to graduates and above than high school graduates. And it also shows a accessibility to restaurant was more important factor to the professional college graduates than high school graduates. When it comes to membership forms, choosing restaurants where have good flavor was more important to non-members than membership holders. Thirdly, In the relation with the reasonable price for the cost of meal after the golf game and the cause of population statistics, most of people who dine out with family have a tendency to pay 10,000 won to 20,000 won as the reasonable price but a reasonable price for the group of people who have professional job pay more than 20,000 won. As a result,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golf players to choose certain restaurants which are the popularity of restaurants (family, relatives, recommendation of golf members, recommendation of golf helpers, and great reputation), accessibility (close to golf course, comfortable, and easy to move), the cost of food, the favor of food, atmosphere of restaurants, service attitude, and so on are very important. So, this study suggests that restaurant should keep the predominance using the most likable food, Korean food with reasonable price and different menu in this deepen competition.

      • 현대 사회에 있어서 가족의 역기능 해소 방안 연구

        정해숙 호서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amily of contemporary society we are living today was gone through the severe changes unlike the old generation lived under the typical structure of big family. Under the new environment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ontemporary family brought out various social, spiritual, and mental problems in the functional aspect. Contemporary families were happened the problems of juvenile delinquency, side-parent, marital trouble, divorce, home violence, the aged trouble, adult child and so on. Thus an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to solve the problems with grasping the cause the disfunctional phenomenon of contemporary family in the internal and related respect and classifying the phenomenon for the cause of the disfunctional family dissolution in the light of the theory of the family system. There are shown the practical improvement programs of home welfare that are the counsel applying the theory of the family system without making simple system device or executing the budget and the healing programs.

      • 대학의 성별 구성이 여학생의 교육경험 및 교육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해숙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identify and measure the effects of the women's colleges and coeducational colleges on the female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s and outcomes. The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questions : 1) Is there any differences in current educational state for women students between women's colleges and coeducational colleges in Korea? 2) What is differences in educational experiences for women students between women's colleges and coeducational colleges? 3) Do the college attendance of female students at women's colleges and coeducational colleges affect on educational outcomes such as career preparation, attitudes, self-reports of academic ability, social ability, and job related skills? In order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in this research, two methods were used in the following ways : 1) Besides an extens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 in this fields of inquiring, a surve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how female students feel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at their college environments and to measure the impact of the college experience on their educational outcomes. For this survey, 3 women's collges and 4 coeducational colleges in Seoul were selected. A total of 923 female students (women's college : 500 students, coeducational college : 423 students) on the junior level in these colleges were surveyed. Finally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crosstabulation, t-test, two-way ANOVA, mutiple regression. 2) The raw data on colleges and universities of the Educational Statistical Yearbook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was analyzed to compare the majors distributions of female studtents, employment and advancement rate of female college grduates, and proportion of the female professors in women's colleges/universities and coeducational colleges/ univerities in 1996. The findings of this surveys and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Female students seems to have different educational experiences : women's colleges are found to provide female students more positive experiences than coeducational colleges. Female students at women's colleges apparently have more female role models than coeds. Professors at women's colleges have more concerns on women's issues than professors at coeducational colleges, and feamle professors have more concerns on women's issues than male professors. Also female professors show stronger sense of equality in gender role than male professors. Female students at women's colleges a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career counselling and advising, administrative services and supports for the employment of female students provided by their universities than thdse at the coeducational universities. 2) However, women's colleges are found to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abilities of female students. Neverthless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effects on the other educational outcomes such as academic ability, job-related skills and self esteem were not shown in this study. 3) On the other hand, the college experiences of female students at the different types of college found to influence significantly the development of academic ability, social ability and job-related skills, and attitudes on the self-esteem and gender-role consciousness : female students at women's colleges report more positive on the development of job-related skills than coeds, and also show more equal gender-role consciousness than those at the coeds. 4)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olleges/universities data in 1996, female graduates from women's colleges/universities show higher employment rates and advancement rates than those from coeducational colleges/univer -sities. And there found to be no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major departments by female students at women's colleges/universities and coeducational colleges/universities with the exceptions of technology. Besides there are much more female professors at women's collges/univesities than coeducational colleges/universities. In addition most of female professors at coeducational colleges/universities are working at departments called 'womanly majors' such as home management, nursing, and languages. These phenomenon are not found to be true with the distribution of women's professors at the women's colleges/universities.

      • 정보원천으로서 웨딩플래너의 신뢰도가 정보만족과 추천의도 및 예식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해숙 배재대학교 관광축제호텔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Hotels had focused on their room sales as a lodging industry before, but food and beverage services are beginning to represent an increasing share of their total sales in today’s society. Actually most of hotels’ sales of food and beverage services are above those of room services. Especially Wedding services from hotel’s banquet department rushed into competition as resuming its’ sales for First-degree’s hotel from the Augustin 1999, and have consequently been emerged as an alchemy in sales of hotel business. One of the noticeabl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in today’s wedding trends is the wedding service by experienced planners from the consulting company who perform instead of busy customers. It is not too much say that wedding planners came up in 1990’s changed whole marriage trends in Korea just in decade. Therefore we should not overlook the wedding planner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sources to activate hotel's wedding service which takes primary part in today's hotel busines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wedding planner's reliability affects satisfaction for the customers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s an information resource. Furthermore, it is an ultimate purpose that how wedding planners' information affects satisfaction and what makes their reliability improved, and then find out hotel wedding services' competitivenes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among the various kinds of reliabilities of wedding planners, the more professional and sensible the information is and also the higher objectivity of its fact is, both satisfaction of informa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bout the wedding planner are becoming higher and the satisfaction of wedding itself is increasing at the end. Followings are verified hypotheses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wedding planner’s reliability is directly proportional to satisfaction of the information. Although planner’s objectivity of given information is important, but especially customers are highly affected by wedding planner’s professionalism. Therefore, the hypothesis 1, “Wedding planner’s reliability would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of information”, is verified. It is also found that customer’s satisfaction of wedding is directly proportional to intention of recommendation, and satisfaction of information about marriage follows positively with that of wedding at hotel. Therefore the hypothesis 2 and 3 are verified with this reason. As mentioned earlier, food and beverage service in hotel takes a large proportion of total sales, and gets more importance as time goes by. First, to strengthen this business, marketeers of the hotel can result both activation of wedding business and growing sales by exercising wedding planner’s experienced specialties. Second of all, wedding planners have to endeavor to do their duties to be more professional and sensible than customers. They also have to consult customer’s wedding sincerely instead of pursuing only their profits. Next, the company who employs planners should train and educate them as well as invest for wedding business. In addition, marketing managers for hotel wedding servcie should keep promoting their benefits and advantages to wedding planners so that they recommend customers for choosing hotel service rather than ordinary wedding company. They also collect opinions from unmarried couple and apply to their service to satisfy customers for increasing sales of wedding business. Hotels have to improve their facilities and keep web site convenient to attract potential customers. At last active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ingenious wedding event satisfying young generation, weekday-wedding or evening-wedding, and service for second marriage are helpful for activation for hotel wedding service. 예전에는 호텔의 주력 분야가 숙박업으로써 객실이 주로 이루었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식음료 분야가 호텔 매출신장에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거의 대부분의 호텔들의 식음료 매출이 객실매출을 상회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호텔연회사업의 한 부분인 예식부분은 1999년 8월부터 특1급 호텔의 예식 영업이 재계됨에 따라 호텔예식연회가 새로운 경쟁시대로 돌입하게 되었으며 호텔 매출의 꽃으로 부각되고 있다. 최근 결혼문화에서 가장 큰 변화이자 특징은 바쁜 현대인들을 대신하여 직접 수행해 주고 대행해 주는 웨딩컨설팅 회사의 웨딩플래너의 도움으로 결혼 준비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90년대 후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웨딩플래너는 불과 10여년 만에 우리나라 결혼 문화를 크게 변화시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현대 호텔산업에서는 호텔연회매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예식 활성화를 위해 예비신랑신부의 정보원천 중 하나인 웨딩플래너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발맞추어 호텔예식이용자를 중심으로 웨딩플래너가 제공하는 정보원천의 신뢰도가 고객의 정보만족 및 웨딩플래너의 추천의도, 그리고 예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웨딩플래너가 제공하는 정보원천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요인을 분석하고, 고객의 정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호텔예식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행한 연구결과를 정리해 보면, 웨딩플래너의 신뢰성 중 웨딩플래너가 제공하는 정보가 보다 전문가적이고 감각적으로 표현할수록, 그리고 진실 객관성이 높을수록 정보만족도가 상승하며 그에 따라 웨딩플래너에 대한 추천의도가 높아지며, 결과적으로 예식만족도도 상승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의 검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웨딩플래너의 신뢰도는 정보만족에 정(+)의 영향이 있음을 알수 있었고, 특히 웨딩플래너의 진실객관성도 중요하지만, 전문역동성이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그러므로 “웨딩플래너의 신뢰도는 정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1은 채택 되었다. 또한, 예식에 대한 정보만족은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이 있음을 알수 있었으며, 예식 정보만족은 그에 따른 예식만족에도 정(+)의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에 가설 2, 3도 채택 되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현대 호텔산업에서 호텔연회매출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호텔예식매출의 증대를 위해서 호텔 마케팅 관계자들은 웨딩플래너라는 정보원천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냐에 따라 호텔예식 활성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웨딩플래너는 일반인들보다 훨씬 전문가적이고 감각적인 능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며, 본인들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예비신랑신부의 입장에서 진실성을 갖고 진심을 다해 컨설팅 하는 태도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웨딩컨설팅업체는 이러한 인력을 양성하고 고용하며 또한 그들의 교육과 훈련에도 지속적인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호텔예식마케팅 담당자는 여러 웨딩플래너에게 일반예식장과는 다른 호텔예식만의 장점과 혜택을 지속적으로 홍보하여야 하며, 또한 젊은 예비신랑신부의 요구사항을 잘 파악하여 그들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히는 것이 호텔예식 매출 증진에도 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또한, 호텔예식장의 시설적인 투자로 경쟁우위를 확보해야 하며, 웹사이트의 철저한 관리로 예비신랑신부를 유인할 수 있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기존의 틀에 박힌 획일적인 결혼식보다는 젊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이벤트예식의 개발 및 발전, 재혼이나 주중, 저녁예식 등의 적극적인 마케팅도 호텔 예식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단위공간을 통한 주거공간 연구 변이

        정해숙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은 1960~70년대의 폭발적인 주택수요를 충족하는 획일적인 공동주택의 등장과 1980년대 경제적 이익의 극대화 논리가 작용, 주거환경의 고밀화(高密化), 고층화(高層化)는 주거환경을 악화시켰고, 부동산 가격 상승문제와 주택부족 난을 해결하지 못한 채 1960~70년대에 지어진 주택은 주택노후화에 따른 재개발문제 등장과 무분별한 재개발과 주택부족 난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1990년 초반에 다세대, 다가구주택의 개발로 이어져 왔다. 이러한 양상은 거주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재고 없이 획일적인 공동주택을 낳게 된 것이다. 기존 공동주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도시기능의 다양화와 지역 특성을 살린 다양한 주거환경 조성을 하고 보다 적극적인 대안으로써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대응한 맞춤형 주거공간과 빠르게 변화해 가는 사회현상에 맞는 가변형 주거공간 등 보다 다각적인 접근과 종합적인 도시계획 및 주거계획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계획은 불량주택, 노후주택, 무분별한 재개발, 재건축으로 인한 도시주거의 문제점의 개선방향과 획일적인 주거공간을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대응한 단위공간변이를 통해 새로운 주거공간을 계획하는 것에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도시주거의 개선방향으로는 무분별한 재개발, 재건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공동주택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공동주택의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기존의 주거필지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토지이용률을 극대화하는 방향과 공동주택의 장점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중정형 모델과 중저층형의 공동주택을 연구 개발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중정형 모델의 특징으로 경제적인 요인, 도시 맥락적 측면과 집합형태적 ㅍ측면을 고려하였으며 중저층형의 공동주택의 연구는 접지성의 장점과 영역성 및 아이덴티티(Identity)의 실현, 커뮤니티의 형성 및 활성화의 장점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계획하여 기존필지의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의 효율성과 다양한 공동주택 개발을 형성할 것이다. 둘째 주거공간계획으로는 우선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의 전체적인 주거평면의 흐름을 알아보고 기존의 문제점 등을 파악한 결과 각 시대별로 약간씩의 차이는 있었으나 주거공간의 다양성과 다채로운 디자인 유형의 계획보다는 각 실의 크기변화, 남향의 선호로 인하여 최대한 남향에 실을 배치하는 형식의 주거계획안이 대부분으로 나타나 공동주택 하면 떠오르는 똑같은 평면 똑같은 동 배치, 똑같은 형태의 디자인일색에서 벗어나 거주자의 요구사항이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공간 계획이 필요하였다. 정보화 사회의 다양한 코드중의 하나인 디지털의 특성으로 인하여 하루가 다르게 변화해 가는 현 상황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요인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주거공간변화를 예측하고 다양한 유니트 개발을 함으로써 거주자의 생활양식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새로운 주거 유니트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단위공간변이의 공간계획으로는 다양한 주거공간을 계획하기 위한 요인으로 단위공간변이를 채택하였으며, 공간변이를 하기 위한 매개변수는 도시기능의 다양화와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발전의 기초가 된 디지털의 특성,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요인, 단위공간변이, 행위 등을 통해 주거 유니트의 유형을 추출하였고 주거 유니트의 유형은 1 Coiling, 2 Banding, 3 Tracking으로써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대응한 주거 유니트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단위공간변이를 통한 주거공간계획은 단순히 공간을 변이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주거유형을 개발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변화를 연구, 예측하고 변화요인이 가능하고 빠른 디지털이 갖고 있는 특성을 접목시켜 다양한 공간산출을 통해 획일적인 공동주택이 아니라 다양한 공동주택을 개발하는데 목적의 의의가 있다 영문초록: As for multi-unit housing in Korea, the emergence of uniform multi-unit housing meeting explosive housing demand from the 1960s to the 1970s, the application of the logic of economic profit maximization in the 1980s and the high-density and high-rise residential environment exacerbat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Housing built over the period between the 1960s and the 1970s with no resolution of the problem of a rise in real estate price and housing shortage led to the development of multi-family and multi-household housing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 as the alternative to resolving the emergence of the redevelopment problem arising from housing dilapidation, unplanned redevelopment and housing shortage. These aspects have come to bring about uniform multi-unit housing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matters of demand from residents. To supplement the drawbacks of existing multi-unit housing, there was the need to diversify the urban function and foster a divers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aking advantage of the local characteristics. As the more active alternative, the more many-sided approach and comprehensive urban planning and residential planning were needed such as the customized residential space responding to the change of lifestyle and the variable residential space well-suited to the rapidly changing social phenomenon.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problem of urban residence due to blighted housing, dilapidated housing, indiscriminate redevelopment and rebuilding and plan the uniform residential space as the new residential space through the variation of the unit space responding to the change of lifestyle. First, as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urban residence,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using the existing residential lot as it is and maximizing the land utilization rate to supplement the problems of indiscriminate redevelopment and rebuilding, raise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multi-unit housing and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multi-unit housing and the method of the medium-rise multi-unit model and medium- to low- rise multi-unit housing as the scheme for securing the advantage of multi-unit housing.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medium-rise model, this study took into consideration the economic factor, the aspect of the urban context and the aspect of collective form.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medium- to low- rise multi-unit housing, it focused on planning it in the method of developing the advantage of continuity, and the realization of territoriality and identity, the advantage of formation and activation of the community and formed economic efficiency and the development of diverse multi-unit housing by using the existing lot of land. Second,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stream of the overall residential plan of Korean multi-unit housing and identify its existing problem in terms of the residential space plann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it according to each period but that the residential space planning mostly exhibited the southward layout of the room due to preference for the southward as well as the variable size of each room rather than the diversity of residential space and the residential planning of colorful design type.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get away from the identical plan, the identical house layout, the identical form of design and the like recalled from multi-unit housing and make the residential space planning responding to residents' demands and changed lifestyle. Contemporary society rapidly changes day by day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digital, one of diverse cords of information society. By identifying rapidly changing current situations and the factors of changed lifestyle, it would be possible to meet residents' needs for lifestyle and create new housing units by predicting the future change of residential space and developing diverse residential units. Third, this study attempted to adopt the unit space variation as the factor for planning diverse residential space in terms of the spatial planning of unit space variation. And it sought to extract the type of residential unit through such the mediating variables of spatial variation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diversification of the urban function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the changed factor of lifestyle, the variation of unit space, action and the like. And it attempted to present the model of residential unit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digital lifestyle by means of coiling, banding and tracking in relation to the type of residential unit. The residential space planning through the variation of unit space like this is aimed at studying and predicting the change of lifestyle to develop each residential type, not simply changing, and developing a diversity of multi-unit housing, not uniform multi-unit housing, though the calculation of diverse spaces, by grafting the characteristics capable of change and inherent in rapid digital

      • 청소년 랩에 대한 라깡 정신분석적 탐구 : 음악치료로서의 랩

        정해숙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ap which cannot be recognized as its artistic and literary value as well as potential capacity. This study is also to grasp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the rap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music therapy through the psychological analytical function, which exists in rap because rap represents their identity and ego as a cultural phenomenon, popular music, particularly, an important way of experience of adolescent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culture and rap;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text existential system of rap by classifying the pattern of the Lacanian psychoanalytic theory; the third is to evaluate the meaning of Lacanian psychoanalysis by the cultural metaphor existed in rap; the fourth is to inquire the possibility of rap therapy on the basis of Lacanian psychoanalytical theory. Rap is chosen as a research tool so that rap can be recognized its value by commercializing as the most plain and straight talk expressive way not indirect way in juvenile world. In this study I referred to the domestic music download chart, such as Melon, Soribada and Bugs, in cooperation with adolescents and used music in 2000 or earlier than that because the music in the period could be required the juvenile mentality analysis. One of the main thoughts of Lacan ― "Human sense of independence is constructed my their language" or "Unconsciousness is organized as if language does" ― theoretically suggests that rap as a juvenile's language can be possible to analyze psychologically.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connect with the Lacanian psychoanalytical theory and the rap as a juvenile culture. And also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rap therapy in juvenile psych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text existential way show that hook song represents the want and the desire of adolescents as a game and this song also symbolizes a substitute of mothers' position of adolescents. Rhyme means the repetition between consonants and vowels and the order will of the rhyme through the constant changes mean the repetition between absence and presence from the circulation of the symbolic system. An approach to the symbolic system is a ceremony which changes over from the order of nature to the order of culture. Story telling makes a adolescents' indescribable fantasy into literary elements and it also satisfies adolescents' want. Story telling gives an opportunity of approach and sublimation for the system of reality with fantasy. Secondly, the results from the study show that the theme of rap consists of love in the cultural way of existence of rap. The 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juvenile identity are said that the object of love for adolescents is the source of their desire as well as the object of an imaginable projection. An abusive language by adolescents could be an evidence of superego. It is a principle that suppression always recurs to the suppression. The abusive language is a way of eruption from the juvenile suppression. Therefore, the suppression will be recurred if adolescents are strictly banned from using the foul language. Money is 'objet a' which causes a desire as a very man who produces the separation and the want. Adolescents can understand 'an objet a' through various rap lyrics related to money and can be helpful to get their commercial moral perspective. Blos(1967) characterized that juvenile age is the second individualization and said that the age is the second opportunity which can solve the disagreements of the babyhood effectively. Bohleber(1999) also said that the juvenile age is not the repetition of the babyhood but a kind of new creation. Rap sets juvenile's fantastic activities free and gives possibilities to enter from an imaginable system to the other imaginable one. The order of culture can be possible to obtain languages and humanity can realize the law of humanity, that can be referred as the linguistic law or the social law. From these laws the cultural elements of rap provide the second opportunity which can solve the need of behavioral characteristic and fantasy of juvenile age. Although rap affects the juvenile culture a lot, the study of an influence on politics, culture, education, psychology as well as an analysis on the meaning of messages or lyrics of rap is not properly being proc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ap can be understood and used as the music therapy for adolescents. However, in the analyzing rap by Lacanian psychoanalytical theory, there are some limited boundary line, for example, this study depends largely upon not only subjective viewpoints but not to present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rap as music therapy. 본 연구는 예술적⋅문학적 가치와 잠재력을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랩(rap)을 주목하였다. 랩은 문화현상으로, 대중음악으로, 특히 랩은 청소년들의 중요한 표현수단으로 정체성과 자아를 표현하기 때문에 랩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문화와 랩의 관계를 파악해 보는 것이며, 라깡의 정신분석 이론 유형 분류에 따라 랩을 텍스트 존재방식과 문화적 존재방식으로 탐색하여 랩에 내재된 은유와 환유를 통하여 청소년 랩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분석된 결과가 라깡 정신분석적 음악치료로서 가능한지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랩은 청소년의 세계를 가장 솔직하고 직설적인 언어 표현방식으로 상품화시켜 놓음으로써 그 가치를 찾으려고 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도구로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친숙한 멜론, 소리바다, Bugs의 장르별 국내 음악다운로드 차트를 참고하였으며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분석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2000년대 전후의 곡을 사용하였다. 라깡의 주요 사상 중 하나인 ‘인간 주체는 언어를 통해 구성된다’,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화 되어 있다’는 이론적 제시는 청소년의 언어인 랩을 심리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주고 있다. 라깡 정신분석 이론으로 연계하여 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랩의 텍스트 존재방식을 분석한 결과 후크송(hook song)은 청소년의 욕구와 욕망을 표현하고 있는 놀이의 하나이다. 이는 어머니의 빈자리를 대표하는 상징의 대체물로 대상에 대한 욕망이 상징에 대한 욕망으로 재탄생한 것이다. 라임(rhyme)의 자음과 모음의 반복, 끊임없는 변화를 통한 질서의지는 상징계의 순환으로 부재와 현존의 반복을 뜻한다. 상징계로의 진입은 자연의 질서로부터 문화의 질서로 이행하는 의식이다. 스토리텔링(story telling)은 청소년의 말로 표현되지 못한 환상을 문학적 요소로 표현하게 하며 청소년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스토리텔링은 환상을 통한 실재계의 진입과 승화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랩의 문화적 존재방식에 나타난 청소년의 문화적 의미를 분석한 결과 랩의 주제는 대중성이 강한 사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청소년에게 사랑하는 대상은 그들의 욕망의 근원이자 상상적 투사의 대상이며, 사랑과 사랑하는 대상이 무의식의 환타즘이라는 것을 알아차릴 때 그들은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것이다. 청소년에게 있어 욕은 초자아에 대한 증거이며 억압은 반드시 억압으로 회귀한다는 원리이다. 욕은 청소년기의 억압을 분출하는 한 방법이므로 엄격하게 금지한다면 다시 억압으로 회기 할 것이다. 돈은 인간주체의 분리와 결핍을 낳게 한 장본인으로서 욕망의 원인인 ‘오브제 a’이다. 돈에 대한 여러 시각의 가사를 통해 청소년은 ‘오브제 a’를 이해하고 재화의 건전한 상(商) 윤리관을 갖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Blos(1967)는 청소년기를 ‘두 번째 개별화’라고 특징짓고, 재활성화된 유아기의 갈등에 대한 최고의 해결을 강구할 수 있는 두 번째 기회라고 하였으며, Bohleber (1999) 역시 청소년기는 유아기의 반복이 아니며 오히려 일종의 새로운 창조물이라고 말했다. 랩은 텍스트의 존재방식으로 욕망과 불안을 소멸시킴으로써 억압된 환상활동을 자유롭게 풀어주고 있고, 문화의 존재방식으로 상상계에서 상징계로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다. 문화의 질서란 언어를 획득해야만 가능해지는 것이고, 인간은 인간의 법칙, 즉 언어의 법칙과 사회의 법칙을 깨닫게 된다. 따라서 랩 텍스트와 주류를 이루고 있는 문화적 요소들은 청소년기의 행동화와 환상에 대한 욕구를 해소해 주는 두 번째 개별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랩이 청소년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랩의 가사나 랩의 메시지에 대한 의미 분석, 정치⋅문화⋅교육학⋅심리학 등에 미치는 랩의 영향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청소년의 무의식을 이해하고 음악치료실천의 장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정신분석 이론으로 랩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주관적인 견해에 의존한다는 점, 음악치료로서의 랩에 대한 임상적 결과를 제시하지 못한 점 등의 제한점을 지니고 있다.

      •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정신분석적 음악심리치료 효과 분석 :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우울, 신체화 증상, 성장지표를 중심으로

        정해숙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Domestic violence women victims who are unable to bear violence any longer take refuge in a shelter. At the time when they put an end of their living in the shelter, they must decide whether they will go back home to live with their husbands and other family members, or they will divorce to be separated from their family and build a new family. In this stage, they are in need of psychotherapy for their own healthy life. The symptom of domestic violence women victims is said to be the same as tha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Therefore, in Korea, the discipline models to give emphasis on the empowerment and affirmative thoughts are generally suggested as the good program for their PTSD induced by domestic violence. In this study, however, it was recogniz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al family and the destructive affect induced by the histories of the unconscious in the familial relationship are identified in domestic violence. Psychoanalytically informed music therap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ir PTSD induced by domestic violence. Our study shows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between the group of victims receiving the treatment of psychoanalytically informed music therapy and the group receiving no treatment of music therapy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For example, the treated group shows the decrease of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depression and somatization as well as the increase of the growth index. Psychoanalytic approach of music psychotherapy is very suggestive of the potentialities of the application for domestic violence women victims exposed to the PTSD induced by domestic violence. 가정폭력에 더 이상 견디지 못하여 쉼터로 피신한 여성들이 쉼터에서의 생활을 마치고 원래의 가정으로 다시 복귀하여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더불어 살 것인지, 아니면 이혼이나 별거를 하면서 새로운 가족의 형태를 구성하여 살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건강한 선택과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심리치료단계가 필요한 것이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증상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에 해당되는 것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프로그램으로 일반적인 접근법인 강점관점과 긍정적인 사고를 하도록 훈련하는 모델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가족과의 관계와 무의식적 환상에서 오는 파괴적인 정동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그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정신분석적 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정신분석적 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한 치료집단과 비치료집단의 결과를 분석해보면, 프로그램 참여한 치료집단과 비치료집단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치료집단은 사회적 회피와 불안, 우울, 신체화 증상이 감소하였고, 성장확인표는 상승효과를 보였다. 음악심리치료의 정신분석적 접근은 가정폭력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가진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에게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으로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