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raph attention network 기반 멀티뷰 그래프 임베딩 모델 연구

        정해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셜 네트워크, 인용 네트워크 등 현실 세계는 주체 간의 다양한 연결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프는 이러한 연결관계를 반영하는 데이터 형태이며, 이러한 데이터를 기계 처리가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그래프 임베딩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임베딩 방법론을 사용하여 그래프 내의 다양한 관계를 반영하여, 더 높은 표현력을 가지는 노드를 학습함으로써 노드 분류와 그래프 분류, 그래프 클러스터링에 있어서의 성능을 높이고자 한다. 노드 분류에 쓰인 데이터로는 Amazon 상품구매 데이터와 IMDB 프로그램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그래프 분류와 그래프 클러스터링에 있어서는 통신사 3사 고객들의 IPTV 시청기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였다. 이러한 태스크들에 있어 적용한 방법론은 Deep Multiplex Graph Infomax(DMGI) 알고리즘과 Multi-view Graph Attention Network(MGAT)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DMGI 방법론은 노드에 대한 라벨이 없이도 임베딩이 가능한 비지도 학습 방법이지만, 그래프 관계 간의 중요도를 학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Multi-view Graph Attention Network(MGAT) 방법론을 사용하여 노드 임베딩 시 관계 간의 중요도를 반영하였다. 그 결과 임베딩 벡터의 표현력을 높여 학습된 모델을 활용하여, 노드 분류와 그래프 클러스터링에 대한 성능을 높일 수 있었다. The real world, such as social networks and citation networks, is composed of various connections between subjects. A graph is a form of data that reflects these connections, and a graph embedding process is required to make such data machine-processable. This study aims to improve performance in node classification, graph classification, and graph clustering by learning nodes with higher expressive power by reflecting various relationships in the graph using the network embedding methodology. Amazon product purchase data and IMDB program data were used for node classification, and IPTV viewing record data of customers of thre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was used for graph classification and graph clustering. The methodology applied to these tasks is based on the Deep Multiplex Graph Infomax (DMGI) algorithm and the Multi-view Graph Attention Network (MGAT) algorithm. The DMGI methodology is an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that enables embedding without labeling nodes,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not learn the importance between relationships in multi-view graph. Accordingly, the multi-view graph attention network (MGAT) methodology was used to reflect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when embedding node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node classification and graph clustering by using the learned model by increasing the expressiveness of the embedding vector.

      • DDC의 패싯 구조에 대한 연구 : 생명과학과 문학을 중심으로

        정해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대 분류체계는 열거식 체계와 조합식 체계로 구분되고 있다. 열거식 체계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는 유용성이나 편리성 때문이지만 이 체계 합성주제나 복합 주제의 표현이 어렵고 자료에 내포되어 있는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어렵다. 조합식 체계는 폐싯 구조를 사용하여 모든 주제에 대한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영향으로 기존의 열거식 체계에서도 조합식의 구조적 요소를 많이 수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열거식 체계가 조합식으로 변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전망해 보기 위하여 열거식 체계로 시작된 DDC가 수용하고 있는 조합식 체계를 중심으로 패싯 구조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고찰한 다음, 패싯 구조로 변화한 DDC 21판의 생명과학과 초판부터 패싯 구조를 갖고 있는 문학의 패싯 구조를 분석해 보고, 이를 CC의 해당 주제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였다. 1) DDC의 패싯 구조는 기본 패싯에 표준분이나 특정 패싯 기호를 합성한다. 그러나 한 번 결합된 패싯 구조를 기본 패싯으로 하여 재차 합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지만, CC는 각 주제에 따라 일정한 패싯 공식을 사용하므로 적용이 단순하다. 2) DDC의 생명과학 패싯 구조는 다음과 같다. 가) 생명과학에서 생물학적 주제와 특정 생물을 동시에 취급한 경우, 571-575(내부 작용과 구조)에서는 주제를 우선하고, 기타 주제(576-590)에서는 생물을 우선적으로 표현한다. 따라서 내부 생리작용과 구조 이외의 일반주제는 576-578로 분류하고, 특정 생물에 한정된 주제는 579-580에 분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나) 내부 생리작용과 구조(571-575)에서 특정 생물의 표현기법은 기호 1은 동물이나 특정 동물, 기호 2는 식물과 미생물(573에서는 동물 생리학의 특수주제), 기호 3은 생리학의 특정주제가 다른 주제와 관련을 지닐 때(생화학에서는 일반주제의 개념), 기호4는 동물과 식물의 생리체계에서는 생화학의 의미로 사용된다. 다) 동물생리학과 식물생리학은 각각 특정 기호(1은 동물, 2는 식물)로 표현되고, 여기에 특정 동물이나 식물의 생리작용을 표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기호(1과 2)의 적용범위는 생리학뿐만 아니라 생화학(572)에도 전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어, 일종의 패싯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571.3-571.9에서는 특정 동식물에서 둘 이상의 생리작용이 서로 관련되었거나 이들 주제가 특정 생물에 영향을 미칠 때 해당 생물과 결합할 수 있도록 패싯 기호를 일관되게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라) 생화학에서 전개된 세목이나 하위세목을 특정 동물과 식물에 적용할 때는, 생리학에 적용한 것과 동일한 기호(1은 동물, 2는 식물)를 사용하여 특정 동물의 생화학 관련주제를 표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572.5-572.8에서는 3을 생화학의 일반주제의 의미로, 4는 신진대사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마) 동물의 생리계통과 지역조직학, 지역생리학(573)은 동물에만 적용되는 관계로, 1은 동물을 의미하고, 2는 특정 생리체계가 다른 생리체계와 관련을 가지는 경우 이를 표현하는 기호로 사용되며, 3은 해부학, 4는 생화학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바) 식물의 구성요소와 생리체계(575)는 식물에만 적용되는 주제이기 때문에 패싯 기호 1은 사용하지 않고, 기호 2는 특정 식물이나 특정 식물의 기관, 기호 3 은 식물의 구성요소나 작용과정을 표현하는데 사용한다. 특히 식물의 생리작용 (575.6-575.9)에서는 기호 4를 생화학을 의미하는 패싯 기호로 사용한다. 사) 미생물, 균류, 조류(579) 및 식물(580)과 동물(590)은 패싯기호 1을 사용하여 생물의 종류에 따른 자연사에 관한 주제를 표현하도록 하고, 특히 기호 17에서 7은 특수 환경의 생물을 표현하는 패싯 개념으로 적용하고 있다. 3) DDC 문학의 패싯구조 가) 문학은 주제에 따라 세분되는 것이 아니고 언어, 문학형식, 시대, 특성/테마/사람 등의 패싯에 의해 세분된다. 따라서 문학은 수사학(808.1-808.7)과 두가지 이상의 상이한 문학전집(808.8), 둘 이상의 문학사, 비평, 연구(809), 각국 문학(810-899)으로 전개되어 있다. 나) 형식 패싯은 개인의 작품은 Table 3-A의 형식 패싯을, 2인 이상의 작품은 Table 3-B의 패싯을 사용한다. 다) 시대 패싯은 본표의 각국 문학아래 전개되어 있는 시대 패싯을 사용하고, 2개국 이상의 문학인 경우에는 표준구분의 시대 기호를 적용한다. 라) 특성/테마/사람 패싯은 Table 3-C에 전개되어 있는 패싯을 사용하는데 이 패싯은 808, 809 및 Table 3-B에서 지시가 있을 경우에만 적용한다. 마) 개인 작품의 패싯 구조는 8 + 언어 + 형식 + 시대이다. 형식 패싯은 Table 3-A을 사용하고, 잡문학(-8)은 하위 형식이 있을 경우 시대 패싯 다음에 결합하며 특성/테마/사람 패싯은 사용하지 않는다. 바) 2개국 이상의 문학의 전집과 비평에 대한 패싯 구조는 언어 패싯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문학 전집(808.8)이나 비평(809)을 기본 패싯으로 하고, 808.8 또는 809 + 형식 + 시대, 808.8 또는 809 + 형식 + 특성/테마/사람, 808.8 또는 809 + 시대를 무시한 특성/테마/사람 또는 808.8 또는 809 + 시대 패싯을 적용한다. 사) 각국 문학에 대한 패싯 구조는 문학 패싯(8)에 언어 패싯, 형식패싯, 시대패싯 순으로 조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각국 문학에 문학형식을 적용할 때는 전집이나 비평이 뒤에 표현되나 시대나 특성/테마/사람의 패싯은 전집이나 비평을 표현한 후에 패싯을 적용한다. 아) 전집, 비평 전기에 대해서 CC는 ACI의 구분에 따라 패싯구조가 변하지 않으나 DDC는 이들 형식이 하위 형식으로 되어 문학형식이 없는 경우에는 형식 패싯으로 사용되지만 문학형식이 있을 경우에는 모든 패싯의 다음에 위치한다. 자) CC는 DDC의 특성/테마/사람에 대한 패싯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공통구분지를 사용하여 이 패싯을 표현할 수 있다. DDC와 CC의 생명과학과 문학의 패싯 구조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제시한다. 1) CC는 랑가나단의 분류 원리를 철저히 지키고 있으나, DDC는 CC보다 먼저 개발된 열거식 체계이며, 기존의 체계를 크게 어지럽히지 않는 범위에서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 모든 분류이론이 적용되지 않고 있다. 2) DDC는 합성주제의 표현을 위한 패싯 공식이 없어 개개의 주제 아래에 지시된 합성 방법을 준수해야 하므로 패싯 구조가 복잡하다. 3) 문학의 패싯 구조는 두 체계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만 언어 패싯은 DDC도 CC에서 언어 공통구분을 적용하는 방법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4) DDC는 개정을 통하여 전체적인 체계가 패싯 구조로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생명과학은 패싯 기호를 도입하여 생명과학 전체에 일관되게 적용하고 있으나 기호의 의미가 이중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기호안에서 구분 능력이 없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DDC의 패싯 구조가 패싯 분류표의 방법을 따르는데 아직은 구분의 항목이 제한되어 있어 하위 구분지의 배열에 무리가 따르며 기호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분석한 결과 DDC가 수용해야 할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DDC는 기호체계로 인해 동일 수준의 주제를 9가지로 한정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실제로 기본주제의 전개가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상위 법주와 하위 범주를 대등한 수준으로 전개하고 있어 전개 수준에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다. 그런데 DDC가 지닌 기호체계의 약점으로 인해 동일 수준의 주제를 동일한 계층에 전개할 수 있는 방안이 현실적으로 있을 수 없다는 한계는 있다. 따라서 DDC도 CC에서 주제영역을 확장할 때 기본 주제에 영문자를 합성하여 전개하는 방법과 같이 십진체계의 골격은 유지하면서 목의 위치에 영 문자를 사용하면 주제 전개에 융통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DDC에서 패싯 기호의 도입은 장려되어야 하지만 동일한 패싯 기호가 상이한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패싯 기호의 의미를 동일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9개의 기호를 가지고 특정 개념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모든 주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한계가 있으나 특정 주제마다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3) DDC의 표준구분의 기호는 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방법이 다양하고, 동시에 두가지 기호를 동시에 표현하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조합기호나 상관기호의 도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4) DDC에서도 18판 이후 상관계를 일부 도입하고, 필요한 경우 해당 주제에서 이를 표현하고 있으나 모든 주제에 일관성있게 적용할 수 있도록 표준구 분에 -042-047을 상관계 기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DC 편집정책위원회에서 패싯 기호를 사용하여 의미가 있는 요소를 확인하고, 통일된 기호를 사용하여 반복되는 내용을 표현하도록 하는 것은 정보검색의 효율을 기하려는 의도이지만 실질적으로 DDC의 구조 형태를 패싯으로 보기 어렵다. 또한 DDC가 특정 개념을 공통적으로 표시하는 패싯 기호를 분류표가 개정될 때 반영하고, 기호 조합을 위한 합성지시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모든 주제를 표현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모든 주제를 분류의 대상으로 할 때, 조합식 체계로 변화하는 것이 요구되며, DDC에서도 UDC에서 사용하는 부가기호나 상관기호의 도입을 심도 있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Modern classification schemes are divided into the enumerated and faceted schemes. The enumerative scheme is in general use for its utility and convenience. It is however difficult with the enumerated scheme to manifest the compound or complex subjects, and to make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subject involved in the materials. With the faceted scheme it is possible to classify any subject by the facet structure. This is the reason the enumerated scheme employs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faceted scheme. This study intends to: 1) confirm the possibility to transform the enumerated scheme into the faceted scheme; 2) review general theories on facet structure employed in DDC of the enumerated scheme; and 3) analyze the facet structure of life science and literature. Followed a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1) The facet structure of DDC synthesizes the standard subdivisions or specific facet indicators with basic facet. The facet structure may be very complicated because of its multiple syntheses. 2) The facet structure of life science in DDC is as follows. a) In the facet structure of life science dealing with biological systems and specific organs together, the primary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systems for internal processes and structure(571-575), while the organs are classified first in other systems(576-590). The general systems except for the internal biological processes and structure are thus classified as 576-578, and the systems limited to the specific organs are classified as 579-580. b) In the internal biological processes and structure(571-575), the facet indicator 1 is in use to indicate animals or specific kinds of animals, and indicator 2 to plants and microorganisms while to specific physiological systems in animals for 573. The facet indicator 3 is employed when the specific physiological systems are related with other systems, or in use for the concept of general systems in biochemistry, and indicator 4 means the biochemistry for the physiological systems in animals and plants. c) The physiological systems in animals and plants are expressed by the facet indicators - animals by 1 and plants by 2, and the specific biological processes in animals and plants are presented through these symbols. The facet indicators of 1 and 2 are applied to biochemistry as well as physiology, and can be understood as facet concepts. d) When the section and subsections for biochemistry are applied to the specific animals and plants, the same symbols as applied to physiology - 1 for animals and 2 for plants - are employed to present the specific biochemical systems in animals. However, in 572.5-572.8 the 3 is employed to indicate the general systems in biochemistry, and symbol 4 to metastasis. e) Because the specific physiological systems in animals, regional history and physiology(573) are applied to animals only, the 1 means animals, the 2 indicates the operation of one physiological system within another system, the 3 presents anatomy and the 4 means biochemistry. f ) Because the specific parts of and physiological systems in plants(575) are applied to plants only, the facet indicator 1 is not used, the 2 is employed to indicate the specific kinds of plants, and 3 to generalities of parts or processes. Especially for reproductive organs and physiological systems in plants(575.6-575.9), the 4 is used to mean biochemistry. g) For microorganism, fungi and algae(579), plants(580) and animals(590), the facet indicator 1 is used to specific topics in natural history of the specific organs. Especially in facet indicator 17, the i' is employed to indicate organs in the special environment. 3) The facet structure of literature in DDC is as follows. a) Literature is not subdivided by its subject, but by the facets of language, form, period, and feature/ theme/persons. Thus literature is subdivided into rhetoric(808.1-808.7), collection of literary texts from more than two literatures(808.8), history, description, critical appraisal of more than two literatures(809), and literature in specific languages and language families(810-899). b) The facet of form in Table 3-A is employed for individual works, and the facet in Table 3-B is for the works by two or more authors. c) The facet of period in main schedule of literature in specific languages and language families is employed, and the period table in standard subdivisions are used for works written in two or more languages. d) For the facet of feature/theme/persons, the use of notation is permitted only with any indication in 808, 809, and Table 3-8. e) The facet structure of the works by individual is organized as 8 + language + form + period. The Table 3-A is employed for the form, while for miscellaneous writings(-8) the notation is added next to the period. But the feature/theme/persons is not used in this case. f ) The languages cannot be employed for the collection of literary texts from more than two literatures and history, description, critical appraisal of more than two literatures. Thus the collection(808.8) and critical appraisal(809) are basic facets, and such formulae are employed as 808.9 or 809 + form + period, 808.9 or 809 + form + feature/theme/persons, 808.9 or 809 + feature/theme/persons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period, or 808.9 or 809 + period with focus on the period. g) The literature of specific languages and language families is structured in order of language, form, and period. 'The collection(-08) and critical appraisal(-09) are located next to the form, but the feature,/theme/persons is located next to facet for the collection and critical appraisal of feature/ theme/persons.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facet structures of life science and literature in DDC and CC,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conclusions. 1) CC follows thoroughly the classification principles by Ranganathan. But DDC is the enumerated scheme developed prior to CC, and has been revised to the extent of not destroying the existing system. Thus all classification theories are not properly applied to DDC yet. 2) Because DDC does not have any formula to classify the compound subjects, but has to follow the compounding methods presented in each subject, its facet structure is too complicated. 3) The facet structure of literature is same in CC and DDC schemes. It is, however, necessary to consider for DDC to employ Cc's way of applying common classification for language. 4) DDC has transformed the entire system into the facet structure through its revisions. Especially the life science transformed into 1 he facet structure employes the facet indicators and applies them to all the systems in life science. But the notations have sometimes twofold meanings, and no ability to differentiate the meanings in the same notation When DDC follows the classification method by facet, the number of items for classification is so limited that it is difficult to array the subdivisions and that length of notations becomes longer and longer. Based on the comparison of DDC and CC,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elements which should be accepted by DDC. 1) Because DDC restricts the same levels of the facets to only 9 class, the array of basic subjects is not rational. And DDC applies upper and lower classes in the same level, which means lack of consistency in the application of division. However, because of weakness in its notation systems, DDC does not have any method to array the subjects of the same level in the subject of the same level. If DDC use English alphabets for subdivisions with its basic frame of decimal system, which follows CC's way to extand the subjects by adding the English alphabets to the basic subjects, DDC may have some flexibility in array of subjects. 2) It is encouraged that DDC employes the facet indicators. However, the same facet indicator is sometimes used with different meanings, and should be used with same meaning. Because there is some limitation in presenting some specific concepts with 9 indicators only, and it is very difficult to have any method to be applied in all subjects, it is necessary to have same meaning within the specific subjects. 3) The notation of standard subdivisions in DDC includes 0, which is used in very various ways. However, DDC does not have any method to present two symbols simultaneously, and should employ the faceted and related indicators. 4) DDC has employed the phase relation and presented under the corresponded subjects since its eighteenth revision. However, it is recommended to use -042-047 in the standard subdivisions as the phase relation, and to be applied to all subjects with consistency. This study shows the meaningful elements of using the facet structure. The DDC Editorial Policy Committee, one of whose primary missions is to explore efficiency in information retrieval, pursues to express the repeated contents by using the facet indicators. When DDC revises the scheme, it reflects the facet structure which gives the common expression for the specific concepts, and employes the method of number building for the faceted structure. This study, however, also shows that there is some limitations in classifying all the subjects. Because all the subjects may become the targets of classifica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numerated into the faceted scheme. DDC should consider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by UDC.

      • 갑상선 질환의 통합의학적 연구

        정해성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갑상선 질환의 통합의학적 연구 정 해 성 지도교수 홍 성 균 대체의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최근 급격한 산업화와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갑상선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갑상선 질환에 대해 통합의학적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최근 국내는 물론이고 최 장수국중의 하나인 일본을 비롯한 미국 그리고 외국의 여러 나라에서도 갑상선질환 환자는 더욱 더 증가되고 있는 현실에 있다. 우리나라에서 갑상선 암은 남녀 전체를 통틀어서 2위이고 여성에서는 1위로 발생하는 암 질환이다. 매년 암에 걸리는 환자 4명 중 1명은 갑상선암이라고 할 정도로 갑상선암의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갑상선기능항진증,갑상선기능저하증과 같은 갑상선 관련 질환도 계속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갑상선은 우리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담당하는 중요기관중의 하나이다. 갑상선암은 한번 발병되면 암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 후에도 일생동안 지속적으로 약을 일정시간에 맞추어서 매일 복용해야 하는 고통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은 국가경제에 큰 손실을 입히며 국민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갑상선질환에 대해 추후 통합의료 차원에서 대체 의학적 치유방법을 모색하고 통합의학에 대한 범국가적인 연구와 지원 및 인력양성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그리고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체의학을 필두로 하는 통합의학에서 이러한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을 시스템화 하고 효과적으로 이용한다면 갑상선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의 꿈을 줄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아무리 첨단과학을 활용하여 의학이 발달하고 새로운 의료기기가 개발된다고 해도 우리 인류에게 시시각각으로 다가오는 모든 질환을 막을 수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통합의학을 바탕으로 하면서 현대인들의 질병을 과학적이고 전인적으로 치료할 수 있거나 예방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가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더욱이 정규대학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남부대학교에 통합의료학과가 개설이 된 것을 발판으로 하여 국내는 물론이고 국외에서도 이와 같은 학과가 많이 개설되어 통합의료를 담당하는 치료사들을 양성하여 갑상선질환과 같은 평생 질병에 노출되어 있는 많은 환자들의 고통을 줄여 주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갑상선질환은 인류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만성적인 질환이며 한번 걸리게 되면 생을 마칠 때까지 갑상선제를 복용해야 하는 등 정신적, 육체적, 사회적으로 우리 사회를 건강하지 못하도록 고통을 주고 있는 질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의학 한의학 그리고 대체의학이라고 하는 세 가지 갑상선 질병치료법을 최초의 통합의학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계기를 줄 수 있는 시도였다고 하는데 그 의미를 두고자 하며 앞으로 더욱 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발전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 여성 고령자용 밭고랑 제초기의 구동부 안전성을 위한 구조 및 동역학적 해석

        정해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밭작물 재배 면적이 높은 상위 작물 5개 작물의 재배양식 두둑 폭, 높이, 고랑 폭에 대해 최대값과 최소값을 조사하였고 고령 여성인 60 ∼ 69세 여성 신체 치수의 평균값과 최소 최대값을 조사하였다. 여성자들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재배양식 및 여성 신체 치수를 밭고랑 제초기 설계에 반영하고 클러치 및 변속기 없이 구동 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시작기 주요 구동부품의 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 및 동역학적 시뮬레이션 분석을 진행하였다. In this study,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width, height and furrow width were investigated for the width, height, and furrow width of cultivation styles of the top five crops with high field cultivation in Korea. The averag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60 - 69 year old women’s the body size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verification and analysis, in order to increase the ease of use for women, cultivating and weeding machine was designed for consideration of cultivation style and female body dimensions.

      • 닭의 품종과 해동조건 및 염지처리가 삼계탕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해성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닭의 품종과 해동조건 및 염지처리가 삼계탕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1에서는 백세미, 브로일러, 토종닭, 산란성계를 이용하여 상압 및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했을 때의 육질특성과 관능적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백세미와 브로일러의 생육이 전반적으로 가장 우수한 육질특성을 나타냈고, 토종닭과 산란성계는 높은 불용성 콜라겐농도로 인해 전단력이 컸다. 산란성계는 다른 품종에 비해 수분함량이 낮았고 지방함량과 전단력이 높았다. 상압 삼계탕과 레토르트 삼계탕에서 백세미와 브로일러가 가장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방산 조성에있어서 산란성계가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았고, 특히, 다리육에서 필수지방산인 linolenic acid가 가장 높았다. 토종닭은 포화지방산 비율이 높고 필수 지방산인 α-linolenic acid과 arachidonic acid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향기패턴 분석결과, 품종에 따라 극명하게 다른 향기패턴이 확인되었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에서 토종닭은 백세미와 브로일러 다음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산란성계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위와 같은 결과에 따라, 토종닭은 삼계탕의 원료육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었고, 산란성계는 질긴 육질과 많은 지방 함량 때문에 추가적인 가공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연구 2에서는 해동온도(0℃, 10℃)와 해동방법(침수, 냉장)에 따라 해동된 백세미로 상압 및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하여 육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해동된 백세미로 제조한 상압 삼계탕에서 해동온도가 높을수록 전단력과 총 감량이 높아졌고, 침수해동보다 냉장해동에서 가슴육의 전단력이 높게 측정되었다. Inosine monophosphate(IMP) 함량은 부위에 상관없이 0℃ 침수해동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hypoxanthine 함량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정량적 묘사분석을 이용한 관능검사에서는 해동온도가 높아질수록 다리육에서 질김 및 씹힘성 강도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레토르트 삼계탕에서는 해동온도가 높거나 침수해동에서 다리육의 전단력이 높았다. 핵산관련물질의 경우, IMP 함량은 침수해동에서 더 높았고, hypoxanthine의 함량은 해동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침수해동보다 냉장해동에서 더 많이 축적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해동온도가 높아질수록 가슴육에서 씹힘성의 강도가 커졌다. 따라서 고품질의 레토르트 삼계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낮은 해동온도에서 침수해동을 하는 것이 권장된다. 연구 3의 첫 번째 실험에서는 원료육에 염지액과 훈연액 처리하여 삼계탕의 육질특성과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염지처리는 표면육색의 명도를 증가시키고 적색도를 감소시켰으나, 훈연액 처리는 명도를 감소시키고 적색도와 황색도를 증가시켰다. 염지 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pH, 흡수율, 수분함량을 증가시켰고, 총 감량 및 전단력을 감소시켰다. 기호도 평가결과, 염지액 단독 처리구가 맛, 다즙성, 연도, 종합적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따라서 원료육의 염지액 처리가 상압삼계탕의 육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염지처리와 F0값( 8과 28)이 레토르트 삼계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염지처리는 부위에 상관없이 전단력을 낮추고 수분함량을 증가시켰다. 핵산관련물질 측정결과, 염지처리와 F0값에 따른 IMP 함량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hypoxanthine의 경우, 염지한 처리구에서 F0값이 높을수록 hypoxanthine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소비자 기호도 평가결과, 염지 처리는 F0값과 부위에 관계없이 맛, 다즙성, 연도, 종합적 기호도 점수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레토르트 삼계탕의 육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료육을 염지처리하여 낮은 F0값으로 멸균하는 것이 권장된다. In this study, the quality of Samgyetang (Korean ginseng chicken soup) made from different commercial chicken breeds was investigated to observe the possibility to be used as raw material for Samgyetang. Further, the suitability of different thawing methods and carcass curing processes was also investigated. In study 1, the carcasses of white semi broiler (WSB), commercial broiler (CB), korean native chicken (KNC), and old layer hen (OLH) were used for making boiled (traditional) and retort Samgyetang. Meat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were investigated. Among chicken breeds, WSB and CB showed overall the best quality in both traditional and retort Samgyetang, while KNC and OLH showed higher shear force value compared to WSB and CB due to high insoluble collagen concentration. However, the meat of KNC was more tender than that of OLH. The OLH was characterized by the lowest moisture content and the highest crude fat content and shear force value. In terms of fatty acid composition, OLH and KNC contained higher propor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The highest unsaturated fatty acid was observed in the meat of OLH, and linoleic acid, the essential n-6 fatty acid, was abundant in its thigh meat. The KNC were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and α-linolenic acid and arachidonic acid, which were essential fatty acids. Electronic nose revealed that the meat aroma pattern was clearly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sumer test results revealed that OLH had the lowest overall acceptance, while no differences were found on flavor, texture, juiciness and appearance between WSB, CB and KNC. Therefore, KNC shows possibility to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Samgyetang Meanwhile, additional process is required to tenderize the meat of OLH. In study 2, the effect of thawing temperature (0℃ or 10℃) and thawing method [water immersion (WT) or refrigerator (RT)] on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of traditional and retort Samgyetang made from WSB was investigated. At 10℃, higher thawing loss and total loss with shorter thawing time were observed in RT than in WT. In addition, high thawing temperature in refrigerator increased the shear force value of WSB. However, the thawing temperature and method did not affect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cooked meat. The higher the thawing temperature was, the higher the shear force and total loss were observed in traditional Samgyetang. Inosine monophosphate (IMP) and hypoxanthine contents wer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of thawing temperature and thawing method.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QDA) revealed that as the thaw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intensity of tenderness and chewiness increased. In retort Samgyetang, the higher the thawing temperature was, the higher the shear force value of the thigh muscle was observed in WT group. The concentration of IMP was higher in WT, on the other hand, hypoxanthine content increased as higher thawing temperature was applied in both RT and WT. In QDA, the higher thawing temperature was, the higher intensity of chewiness was. Therefore, low thawing temperature and water immersion thawing were recommended to manufacture retort Samgyetang with high quality. In the first experiment of study 3, the effects of the curing solution and the smoke solution on the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of traditional Samgyetang made from WSB were investigated. The curing solution treatment increased the lightness and decreased the redness, on the other hand, the smoking solution treatment decreased the lightness and improved the redness and yellowness. Curing increased pH, curing uptake and moisture content, but decreased total weight loss and shear force value in comparison with control.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at curing increased the score of taste, juiciness, tenderness, and overall acceptance. It was concluded that the curing process for raw chicken carcass could improve the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of traditional Samgyetang. Second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ring process and F0(8 vs 28) value on quality and consumer acceptance of retort Samgyetang. The curing process decreased the shear force value but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cooked me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concentration of IMP according to the F0 values, but hypoxanthine content increased as the F0 values increased in the cured groups.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at curing process increased the score of taste, juiciness, tenderness and overall regardless of F0 valu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etort Samgyetang, it is recommended to pre-treat the raw chicken carcass through curing process.

      • 록볼트의 보강효과에 관한 연구

        정해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록볼트의 역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 공동에 설치된 단일 록볼트에 발생하는 축응력 분포, 록볼트-그라우트 접촉면에서의 전단응력 분포와 중립점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현장의 다양한 지질조건에 대한 록볼트의 보강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지반조건과 터널 크기에서 록볼트의 설치 간격과 설치 길이를 변화시키며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록볼트의 최대 인장응력은 중립점에서 나타났으며 록볼트-그라우트 접촉면에서의 전단응력은 중립점을 기준으로 (+), (-)부호의 전환이 발생하였다. 중립점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공동의 굴착폭이었으며 암반의 초기 현장응력에는 무관하였다. 록볼트가 불연속면을 통과하여 설치된 경우, 록볼트의 최대 인장응력은 불연속면위치에서 발생하였으며 록볼트-그라우트 접촉면에서의 전단응력은 불연속면 주변에서 반대부호의 최대 전단응력이 발생하였다. 공동의 굴착폭은 록볼트에 발생하는 응력분포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초기 현장응력이 클수록 불연속면 주변암반에서는 높은 전단응력이 발생하였다. 패턴볼팅으로 보강된 원형공동에서 록볼트에 의한 암반의 봉압효과는 응력 증가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소성대 감소효과와 지반 변위 감소효과는 각각 소성대 감소비와 변위 감소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록볼트에 의한 응력 증가비, 소성대 감소비, 변위 감소비는 록볼트의 면적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연암에서 보다 풍화암에서 더욱 컸다. 그러나 터널의 직경이 증가할 경우, 응력증가비와 변위 감소비는 증가한 반면 소성대 감소비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 정보교과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인식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을 대상으로

        정해성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blem solving and programming” area of information subject 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520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from September 7 to September 18. Excluding the questionnaire that was not suitable for analysis, 472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After data collection,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variance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students who received programming educ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grade. In addition, the perceptions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education period and number of classes were compared.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who received programming education is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instruction.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first grader is evidence that education is improving, and improvement in areas of dissatisfaction is also required. Thir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bout the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class satisfaction. Overall, the higher the level of recogn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but students with a very high level of recognition tended to be less satisfied with clas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perception that the content of the class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in programming classes, and to present tasks for this. It is important to improve dissatisfaction and maintain policy coherence in order to give better classes to students in the future.

      • 양성자가속기 고주파시스템의 보호로직과 반복학습제어기 통합

        정해성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 part of the R&D towards the RF control system of the linear proton accelerator, the iterative learning controller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hrough the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In order to compensate the heavy beam loading perturbation, the feedforward control algorithm is essential part with the PI feedback controller. To analyse the accelerator cavity, the transfer function and state space model were simulated through the MATLAB with Simulink. After that, the iterative learning algorithm was also analysed with the parameter sweep in the simulator. For implementation of the iterative learning algorithm, the equation of parallel type learning controller was simplified and interpreted qualitatively to be implemented with VHDL on the FPGA. Also, the cavity protection logic in the FPGA linked with the iterative learning algorithm that the non-consecutive temporary error data can be passed over. Eventually, the iterative learning algorithm with PI feedback controller was tested using the 350MHz dummy cavity an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confirms that this design will be effective for compensating the external beam loading sta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