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기 위암환자에서 시행한 복강경하 위 절제술의 초기 경험

        정치영 경상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use of laparoscopic surgery for gastric disease has been gaining popularity. However, there has been the controversy over the indications and the standard techniques of laparoscopic gastric surgery in the early gastric cancer (EGC).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among a hand-assisted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HALDG), a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and an open distal gastrectomy (ODG) and to discuss the role of these procedures in the treatment of EGC.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2001 and July 2004, laparoscopic surgery including LADG (n=7), HALDG (n=18) was performed on 25 patients with EGC in our institu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clinical data such as the operative time, the hospital stay, the start of oral intake, and the number of harvested lymph nodes.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early and late groups by using the date of surgery and were also grouped by surgical procedure.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laparoscopic surgery for EGC, we compared the clinical data with those for ODGs performed during the same period.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harvested lymph nodes between the laparoscopic group and the open group, but the operation time in the laparoscopic group was longer than that in the open group (p<0.05).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clinical data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Comparing the early and the late periods of the series, the number of harvested lymph nodes for a HALDS increased from 22.31 ± 4.29 to 29.40 ± 3.21 (p<0.05). Conclusion: Our early experience with laparoscopic gastric surgery shows that a wide range of possibilities exist for applying laparoscopic gastric surgery to selected gastric cancer patients. However, the surgical procedure should be standardized, and the outcomes of laparoscopic surgery, in comparison to those of open surgery, need to be confirmed based on a large randomized study.

      •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of the liver of viral haemorrhagic disease in rabbits : 토끼의 바이러스性 出血症 感染詩 肝의 光學 및 電子顯微鏡的 觀察

        정치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9 국내박사

        RANK : 247631

        토끼의 바이러스性 出血症 感染時 肝 病變에 대한 대한 病理組織學的 觀察을 하기 위하여 88마리의 自然 感染兎 및 12마리의 實驗 感染兎의 肝 組織을 光學 및 電子顯微鏡으로 觀察하였다. 實驗感染兎 및 自然 感染兎의 肝 病變은 동일한 所見을 보였으며 特徵的인 光學電子顯微鏡的 所見은 주로 肝細胞의 壞死, 肝細胞 細胞質의 好酸性 變成, 肝 門脈部位에 單核細胞의 浸潤 및 膽細管의 증식, Councilman 樣 好酸性 小體의 出現, Kupffer 細胞의 증식, 血管內 纖維案性 血栓등 急性肝炎 및 電擊性 肝炎所見의 樣相을 보였다. 肝組織細胞의 壞死形態는 廣汎한 壞死(69%), 小葉周邊性 壞死(21%), 巢狀壞死(6%)와 小葉 中心性 壞死(4%) 順으로 나타났다. 電子顯微鏡的 所見으로 肝細胞의 미토콘드리아 및 小胞體의 腫脹이 特徵的으로 觀察되었다. 肝細胞, 內皮細胞, 單核球 및 多形核白血球에서 円型이며 直徑 27-33nm인 被包體가 없는 picornavirus 粒子들이 細胞質內에 散在되어 있거나 集團的으로 치밀하게 配列하고 있었다. 廣汎한 肝細胞 壞死는 토끼의 바이러스性 出血症에 있어서의 汎發性 血管內 凝固症 및 出血性 素因과 密接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思料되었다. Liver tissues from the 88 naturally and 12 experimentally infected rabbits by viral haeuorrhagic disease were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The hepatic lesions of the experimentally infected rabbits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naturally infected rabbits. Histopathologic changes were characterized by acidophilic degeneration, dramatic massive necrosis and shrinkage of liver cells, increased eosinophilia of hepatocellular cytoplasms, presence of numerous Councilman-like acidophilic bodies,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central and portal veins and in sinusoids,proliferation of Kupffer cells, and exudative and proliferative changes in the portal zones, thus assuming acute viral hepatitis and fulminant hepatitis. From 100 cases the 4 patterns of hepatic necrosis were described:massive necrosis (69),peripheral necrosis(21), spotty necrosis(6), and centrilobular necrosis(4). Inclusion body staining techniques were attempted in vain to detect the viral inclusions. Mitochondrial swelling and often dilation of endoplasmic reticulum in the hepatocytes were the characteristic ultrastructual findings. Nonenveloped round 27- 33㎜ picornaviral virions were densely arranged or scattered in the cytoplasm of hepatocytes, endothelial cells, monocytes, and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Massive liver cell necrosis would play a considerably significant role i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D and a haeumrrhagic tendency.

      • Proteomic Profiling of Human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Tissues and Characterization of Fatty Acid-Binding Protein 5 : 간내세포암의 프로테옴 프로파일링과 fatty acid-binding protein5의 발현양상

        정치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CC) is a rare primary malignant liver tumor with an extremely poor prognosis. Although the incidence of ICC continues to increase, little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factors related to its molecular carcinogenesis, such as changes in the expression patterns of oncogenes, tumor suppressor genes, and cell-cycle proteins. The biological behavior of ICC, with respect to its genetic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remains to be clarified. When compared with other malignancies, ICC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aggressive proliferation, invasion, and early metastasis. To improve the prognosis of patients diagnosed with ICC,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s behind its proliferation and progression is necessary. Methods: To examine the proteomic alterations associated with carcinogenesis of ICC, we compared protein expression profiles in 16 cases of ICC. Tissues from surgically resected ICC samples were compared to adjacent noncancerous bile duct tissues. The proteomic techniques employed in our analysis were proteome separation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visualization of separated spots by staining, protein excision, tryptic peptide digestion, and protein identification by MALDI-TOF/mass spectrometry. Results: We identified 151 spots that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expression. Of these, 44 spots demonstrated significantly increased intensity and 16 spots manifested significant decrease in ICC tissues. The proteins represented by these spots were identified by MALDI-TOF/mass spectrometry. Subsequent analysis with Western blot also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FABP5 was increased in cholangiocarcinoma tissues. Furthermore, immunohistochemical data for FABP5 confirmed that their expression was increased in cholangiocarcinoma tissues compared to normal bile duct tissues. Finally, FABP5 expression levels in ICC tissues were clinicopathologically verified in 43 MF-ICC patients, suggesting that increased expression of FABP5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umor size (p=0.047), lymph node metastasis (p = 0.013), angioinvasion (p=0.032), and staging (p=0.007).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FABP5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ICC compared with that of corresponding normal bile ducts, and suggested a potential role for FABP5 in tumor progression. Additional functional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precise role of FABP5 in ICC, and its implication as a potential biomarker and/or therapeutic target in the treatment of ICC. 2006년 6월부터 2009년 4월까지 3년여 간 경상대학교병원에서 종괴형성형 간내 담관암으로 진단받고 대량 간 절제 및 담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암 조직과 정상 담관 조직을 각각 채취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후, 이차원 전기영동을 시행하고 말디토프/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개개의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젤 상에서 단백질의 발현이 3배 이상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점적(spot)을 분석한 결과, 새롭게 동정된 단백질 중 fatty acid-binding protein 5(FABP5)는 정상 담관 조직에 비해 암 조직에서 거의 5배 가량 증가하였다. Western blot에서도 전체 16쌍 중 9쌍에서 FABP5는 정상 담관조직에 비해 암 조직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간내 담관암 조직에서의 FABP5의 발현 정도를 확인해 보고자 43례의 종괴형성형 간내담관암 환자의 파라핀 조직을 이용한 면역화학염색을 시행한 결과, 간내담관암 조직에서 FABP5의 발현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향적으로 분석한 43례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징과 면역 염색 강도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p = 0.013), 종양크기가 5cm이상 (p = 0.047), 혈관침윤이 있거나 (p = 0.032), 병기가 높은 (p = 0.07) 간내담관암에서 유의하게 그 발현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FABP5 단백질이 간내담관암의 발생과 진행에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해 주고 있다. 향후 기능적 프로테옴 연구를 통해 간내담관암에서 FABP5 단백질의 발현 및 그 역할기전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혈액이나 담즙에서의 연구를 통해 종양 표지자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경영전략과 혁신역량이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정치영 금오공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organization's business strategy(low-cost leadership, differentiation, focus strategy) and innovation capability(product, process, organization, marketing innovation) affect technology commercialization(commercialization speed, market scope, technology breath), to examine the link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innovation. The positive effect of innovation capability on firm performance has been investigated in the vast field studies regarding business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However, few papers empirically have analyzed the mediation effect of innovation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t is argued that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ight be the missing-link enh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firm performance as the capacity of a firm’s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a key catalyst for the financial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two hypotheses were proposed: 1) business strategy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H1) and 2) innovation capabil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H2). A total number of 7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such as CEOs, R&D managers, and high-level managers working at the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mainly located at the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the 596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rough emails and personal contacts. Among them, the 37 suspiciously answered and obliquely mark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finally the 55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 research model consists of one of 3 business strategie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4 innovation types as the mediating variables, and one of 3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dimensions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a single model. Therefore, the 9 models(3 business strategies × 3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dimensions) were proposed and tested with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Process macro(model 4). The results of the H1 are as follows: the impact of business strategy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the relationship. For example, the low-cost leadership strateg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ommercialization speed, market width, and technology scope. In this sense, the strategy selling products at a lower price or sustaining the price competitiveness with cost reduction significantly relates to the capacity of time-to-market. It indicates that the capability to develop and then launch the new products to the market in a timely manner is improved by the cost reduc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H2 are as follows: the mediation effect size of innovation capability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s. The product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significantly positively mediate the whole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 strategy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t indicates that the successfu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an be achieved regardless the particular business strategy the company took if a company has the better product and marketing innovation capability compared to the competitor. Since the marketing innovation provides market adaptability with the quick-response ability to the change of new technology and the challenge of new competitor in the market, the marketing innovation is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overall dimensions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e process innovation shows the non-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commercialization speed with all the business strategy, but other relationships are significantly positively mediated by the process innovation that is usually highlighted and required for the purpose of cost reduction by improving the production line utilization and product quality with reshaping the production system design.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shows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only the technology breath regardless the particular business strategies but the mediation effects on other relationships are non-significant. It indicates that the performance of manufacturing-oriented innovation (manufacturing flexibility increase, production size increase, production cost reduction, etc.) can increase by introducing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That is, the organization innovation provides the capacity to integrate the several technologies into a product so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are relatively bigger than other innovations with technology breath. It addres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synergy effect between them. As the findings of the synergy effect, 1) the link of [business strategy – product innovation] and [business strategy–marketing innov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o the commercialization speed. 2) the link of [business strategy–product innovation], [business strategy–marketing innovation], and [business strategy–process innov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o the market scope. 3) the link of [business strategy–product innovation], [business strategy–marketing innovation], [business–process innovation], and [business strategy-organizational innova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to the technology width.

      • 서울시 지하철 승객의 공간적인 통행패턴과 연결체계

        정치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change of the Seoul City space, The metropolitan Seoul is now advancing toward the global city among the world. To conduct this study, the Seoul Metro transportation system has been chosen, which shows the short term change of the city spatial structure better, and takes charge of higher transportation for Seoul citizens. Moreover, Seoul Metro system has the advantage of O-D data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d and analyzed the O-D data of the October of the year of 2000 and 2005, and passengers movement patterns have been analyzed in comparison with each other through the raw data ( the ist,2nd,and 3rd) and R -mode factor analys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patterns in this study, the whole Seoul Metro stations have been tied and reanalyzed into one hundred and eight transportation sections. To delineate the city spatial structure of Seoul, one major area and five minor areas have been set 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and connected structures, which could explain the movement of passengers and the spatial patterns of Seoul Metro.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aw data analysis based on the year 2000 and 2005, the movement patterns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respectively. In the year of 2000 and 2005, the change patterns of connected city areas have been identified as follows: On the basis of the major and minor areas, the central areas have been weakened, and the sub-central areas have been strengthened. And passengers' movement have been shifted from the northern areas of the city to the southern areas. The raw data analysis has showed how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the connected structure have been changed in the city spatial structure. Accordingly, in the year of 2005 the connected areas have emerged strongly and they have been more complicated and multinuclear. Second, through R-mode factor analysis, O-D data analysis of the year 2000 and 2005 has been made and four patterns have been sampled, and among them three patterns have been identified. In the year of 2000 and 2005, the factor 1 has been valued most. In 2000, the factor 4 and in 2005 the factor 2 have been identified as strong patterns in the sub-central areas. In 2000, the factor 2 and in2005, the factor 3 have been identified as strong patterns in the northern areas of Seoul city, Third, in 2000 and 2005 the raw data analysis and the factor analysis have identified three patterns. In these patterns the movement patterns have been weakened in the central areas but they have been strengthened in the sub-central areas. These patterns have been as strong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areas. In conclusion, the central areas of Seoul have been maintained as having strong connectivity. But according as the multinuclear phenomena grow, the sub-central areas become strong, such as the southern areas (Gangnam) of Seoul. The reason why the spatial patterns occur in the city could be that the connectivity of the southern areas in the city develops more and more. The central business function of Seoul City has been formed around the central city, but in the southern areas (Gangnam and Yeo i do) the business function continues to be strengthened and passengers' movement has been changed. According as the sub-central areas grow gradually, passengers living in Kyounggi Do moves into Seoul by subway. This result shows that in 2005 Gangnam areas get strengthened. in connectivity of the city. 본 논문은 세계화 속에서 급변하는 서울시의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해서 연구한 것이다. 도시공간구조의 단기간의 변화를 가장 잘 나타내주는 변수로 서울시 지하철의 승객 흐름을 지표로 택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이유는 서울시 교통수단에서 가장 높은 수송 분담률을 가지고 있으며, 지하철 승객 흐름의 자료는 O-D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은 2000년과 2005년 10월달 O-D데이터를 사용하여 원자료 분석(1,2,3차류)과 R모드 인자분석을 통해서 나타난 통행패턴 유형을 상호 비교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연결 패턴을 연구하기 위해서 연구지역인 서울시 전체 지하철역을 148개 교통권역으로 묶어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울시의 도시 공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통행량과 결절성에 따라 1개의 도심과 5개의 부도심으로 설정하여 서울시 지하철 승객흐름의 공간적인 통행패턴을 설명하였다.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료 분석에 따라서 1차류와 2차류, 3차류를 2000년과 2005년 시점에서 각각 분석하여 얻게 된 통행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변화 패턴을 파악하였다. 원자료 분석에서 나타나는 지역연결체계를 각각 2000년과 2005년에서 찾아낼 수 있었고, 도심과 부도심 간의 결절성과 계층 구조에 따라서 파악하여, 지역연결체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2000년과 2005년의 지역연결체계 변화패턴은 도심이 약화되고 부도심을 연결하는 흐름은 강화되며 강북으로 밀집되어 있던 통행 흐름이 강남으로 상당수 이동해 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원자료 분석에서의 가장 큰 결과는 서울시 도시 공간 구조에서 나타나는 계층구조와 결절성을 파악하는 것이고 이러한 계층과 결절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결과적으로 도심이라는 결절성은 여전히 강하게 나타나지만 부도심들에서 나타나는 결절성이 2005년에서 훨씬 강화되면서 서울시의 지역연결체계가 복잡해지고 서울시 도시공간구조가 다핵화되어 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R모드 인자분석을 통해서 2000년과 2005년의 O-D데이터 분석결과 공통적인 패턴 4가지가 추출되었다. 이중 중요한 3가지 패턴이 확인되었다. 2000년과 2005년의 통행패턴의 비교분석 결과 2000년과 2005년 1인자로 가장 많은 설명량을 가지고 있었으며 도심의 통행패턴을 설명하고 있었다. 이는 도심이 여전히 강한 통행패턴이라는 것을 설명하며 비교 분석에서는 설명량이 2000년에는 51%였지만 44%로 줄었다. 이는 강남의 통행패턴이 중요해지면서 도심의 결절성이 2005년에는 약해지기 때문이다. 2000년 4인자와 2005년 2인자의 비교에서 부도심의 강화가 되는 패턴을 확인하였고, 2000년 2인자와 2005년 3인자는 강북과 강남과의 통행패턴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2000년과 2005년을 원자료 분석과 인자분석을 비교 분석한 결과 3가지의 통행패턴이 확인되었다. 도심의 결절성이 약화된다는 것, 부도심의 결절성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강북과 강남의 통행이 강화되는 패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아직 서울의 도심은 강한 결절을 유지하고 있지만 다핵화 진행되면서 부도심의 결절성이 강화되고 그중에서 특히, 강남의 결절성이 강화되면서 강남의 통행패턴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패턴의 변화를 가져온 원인은 강남의 결절성이 성장함에 따라서 업무 통행패턴의 변화가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서울시의 중심업무기능은 여전히 도심을 중심으로 강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강남과 여의도에서의 업무기능이 계속적으로 강해짐에 따라서 통행 흐름에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부도심들의 결절성의 증가로 인해서 도심이 강하게 가지고 있던 중심 상업기능과 업무기능이 분산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는 2005년으로 가면서 통행패턴에도 영향을 가져와서 도심을 중심으로 이동하던 서울시 외곽지역들의 패턴이 도심이 아닌 인접한 부도심으로 연결된다. 특히, 강남에서 이러한 현상은 가중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한강 이남의 연결체계가 더욱 중요해 질 것이다.

      •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리더십 프로파일 연구

        정치영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리더십유형이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센터의 효율적 경영과 스포츠센터 교육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구체적 자료를 이끌어 내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2014년 현재 서울,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민간 스포츠센터에서 운동을 수행하는 20세 이상 60세 이하 성인 남⋅여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대상의 표집방법은 스포츠센터 내 운동에 참여하는 대상을 중심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감안하여 다단계 유층집락 무선표집(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방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표집된 400명의 설문지 중 연구 자료로 부적합한 43명의 설문지는 제외한 후 357명의 설문지를 최종자료로 채택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t-test, 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통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거래적 리더십 중 예외적 관리는 연령, 학력, 직급, 수입, 건강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거래적 리더십 중 상황적 보상은 학력, 직업, 직급, 건강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 중 카리스마는 성별, 학력, 직업, 직급, 수입, 건강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 중 동기부여는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직급, 수입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 중 개인적 배려는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직급, 수입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 중 지적자극은 성별, 연령, 학력, 수입, 건강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스포츠센터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에 비해 스포츠센터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볼 때, 스포츠센터 지도자는 참여자 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명확한 비전 제시, 원활한 의사소통 그리고 주기적 목표의 설정을 통한 동기부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if leadership type of a sports center leader shows difference according to various lifestyles, and based on that result, to derive the specific data regarding what is neede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a sports center and development of its educational system. The study population was recruited from mail and female grown-ups of age ranging from 20s to 60 who use the private sports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exercise as of the present time of 2014. The sample selection was done based on the method of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which considers the demographic factors of the study population of sports center users. 357 surveys out of 400 sample surveys with 43 surveys unfit for the research excluded were selected as research data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s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posteriori test of Scheffe were performed. The followings are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series of statistical analysis. First, the exceptional management ou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appears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with age, education, career level, income, and health. Second, the situational compensation out of transac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appears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with education, occupation, career level, and health. Third, the charisma out of innov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appears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with gender, education, occupation, career level, income, and health. Fourth, the motivation out of innov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appears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with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career level, and income. Fifth, the personal consideration out of innov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appears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with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career level, and income. Sixth,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out of innov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appears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with gender, age, education, income, and health. From these results, it appears that transactional and innovational leadership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of sports center user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innovational leadership in comparison with transactional leadership seems to have greater impact o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of sports centers users. Overall, it can be learned that sports center leaders need to provide clear vision to promote educational efficiency, and motivation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nd periodic goal-setting.

      • 신세대 장병을 위한 군 조직문화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치영 송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세대 장병이 군에 유입되는 시점에 그들을 통솔하기 위한 올바른 방안을 정립해야 조직을 올바르게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신세대 장병의 의식 및 특성을 파악하여 군 조직문화에 원활하게 적응하고, 지휘통솔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신세대 장병을 중심으로 군 조직문화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세대 장병을 효율적으로 지휘통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21세 이상 31세 미만의 신세대 장병 6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5일부터 10일까지 총 6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성별, 연령, 계급에 따른 군 조직문화와 지휘통솔 인식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고, 군 조직문화와 지휘통솔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 조직문화는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에 어릴수록 상대적으로 군 조직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어렵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둘째, 지휘통솔은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연령이 어릴수록 상대적으로 지휘통솔에 대한 만족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군 조직문화가 지휘통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군 조직문화에 대한 신세대 장병들의 만족이 높아지면 지휘통솔에 대한 만족도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지휘통솔 개선을 위해선 군 조직문화도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식조사 결과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전문요원의 충원이 필요하다. 신세대 장병들이 대화를 통해 전문적 상담요원을 배치하여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 둘째, 명확한 목표의 제시하고, 동기를 부여하여 군 조직 문화에 적응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셋째, 정보획득의 능력을 바탕으로 신세대 장병을 체계적으로 지휘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야 한다. 군의 지도력이 확실하지 않으면 신세대 군인들이 조직에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것을 위해서는 군대 조직 문화에 적응하기 위한 분명한 목표를 제시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연구결과 신세대 세대들의 행동을 적극적으로 통솔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 자신이 먼저 그들의 목표를 인정하는 창의적이고, 자발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개발하고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이 연구는 신세대 병사들의 군 조직문화와 지휘통솔방안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고, 두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파악한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목표지향적 행동이론(MGB)을 적용한 해외 K-pop공연 관람객의 방한의도 연구

        정치영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한류가 드라마를 시작으로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인기를 끌었다면, 최근 한류는 K-pop을 중심으로 아시아를 넘어 유럽, 미국, 남미 등 세계적으로 붐이 되고 있다. K-pop의 확산에는 미디어의 발전이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이러한 대중문화의 확산은 관광산업의 발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해외시장에서 K-pop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K-pop공연과 연계한 관광으로 엔터투어먼트(entertourment)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으며, 특히 K-po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한국을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의사도 높아진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도 제시되고 있어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K-pop에 관심이 많은 해외 잠재관광객을 대상으로 그들이 한국에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의사에 대해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K-pop의 주 소비층을 대상으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잠재관광객으로서 한국에 대한 방문의도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특히 K-pop의 주요 소비층을 해외에서 개최된 K-pop공연 관람객으로 설정하고 그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목표지향적 행동모델의 구성개념인 태도, 주관적 규범,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 지각된 행동통제, 열망과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봤으며, 추가적으로 K-pop 팬덤의 변수를 더하여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해외에서 진행되는 K-pop 관람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조사지역은 대만,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태국 방콕, 호주 시드니와 멜버른에서 각각 조사가 진행되었다. 총 설문지 1,700부를 배포하여 1,530부가 회수되었고, 최종 분석에는 1.371부가 사용되었다.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K-pop팬덤은 한국으로의 여행에 대한 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K-pop팬덤은 한국에 대한 방문의도 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pop으로 인해 형성된 팬덤이 실제로 한국을 여행하고자 하는 방문의사를 증가시키고 있음을 확인한 결과라 하겠고, 이는 향후 한국의 인바운드 관광상품을 개발하는데 있어 K-pop이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한류콘텐츠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둘째, 목표지향적 행동이론(MGB)을 적용하여 방한의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태도, 주관적 규범,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 지각된 행동통제 모든 요인이 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열망과 지각된 행동통제 역시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성립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의 외생변수가 모두 행동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심리적이자 동기유발적인 열망을 형성하는데 유용한 변수임이 확인됨과 동시에 열망이 높아짐에 따라 행동의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긍정적 예기정서는 열망을 형성하게 하는 주요 변수였으며, 행동을 이끌어 내는 행동의도의 형성에 열망이 아주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While the Korean wave in the past gained its popularity in the East Asia such as in Japan and China, it is now popular around the world such as in Europe, North and South America. The development of media greatly influenced the spread of K-pop, and such popularity positively affected tourism industry as well. In recent years, interest in K-pop has dramatically increased in foreign markets and raised interest in entertourment, which connects tourism with K-pop performances. As previous research also suggests that people with more interest in K-pop are more willing to visit Korea, further research is needed at this moment. It is necessary to study why the potential foreign tourists choose to visit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on the intention of visiting Korea was conducted using the MGB focused on main consumers of K-pop. In particular, the research limited the main consumers of K-pop to the previous audience of K-pop performances abroad,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the research group. Constructs of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MGB), namely, attitude, subjective norm,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desires are all analyzed in relation to behavioral intention. K-pop fandom, another variable, was also added to study the relationship to behavioral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udiences of K-pop performances abroad, and the study area includes Taiwan, Kuala Lumpur in Malaysia, Bangkok in Thailand, Melbourne and Sydney in Australia. A total of 1,7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530 copies were collected. 1,371 copies a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 from empirical analysis shows, firstly, that K-pop fandom significantly influences a trip to Korea and it also 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of visiting Korea. The result confirms that the fandom created by K-pop actually increases the intention of visiting Korea, and it suggests that K-pop could be a viable tour content in developing future inbound tour products. Secondly, the result from MGB analysis on the intention of visiting Korea shows that subjective norms,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negative anticipated emo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ignificantly affects desires; and that desire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lso significantly affects behavioral intentio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xogenous variables of MGB are all useful variables in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s and in creating psychological and motivating desires. At the same time,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behavioral intention also increases as the desires are more intense. It was especially noteworthy to find out that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was a critical variable in forming desires, and that desire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behavioral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