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작곡가 백영호의 작품분석과 가요사적 의미

        정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63

        작곡가 백영호의 작품분석과 가요사적 의미 정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응용예술학과 지도교수 홍성규 본 논문은 한국대중음악 작곡가 백영호의 음악분석과 가요사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백영호의 생애와 작품활동을 고찰하고 작품의 음악분석을 통해 작품세계를 탐구하며 시대별 작품경향과 대중가요사적 맥락에서 그 역할과 위상을 조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백영호의 생애와 교류했던 음악인, 음악 활동 내용, 발표된 음악, 저서와 수상 내용 등의 업적을 기술하였다. 또한, 작품 445곡을 시대별, 장르별, 작사가별, 가수별로 분류하였고 음악분석을 위해 악보가 있는 작품 151곡의 구조적 특징, 선율적 특징, 리듬적 특징, 화성적 특징, 가사와 선율 강세의 관계성, 특징적 연주법 등을 살펴보았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이후까지 시대별 작품경향과 9개 항목으로 분류한 위상과 평가를 통해 백영호 작품의 가요사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백영호의 음악적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백영호는 55년 동안 대중가요 작곡에 정진하였고,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까지 가장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 이 시기 상업적 성공을 거둔 가요, 영화 주제가, 드라마 주제가가 많이 발표되었고 시대마다 다양한 리듬의 곡을 작곡하였는데 그가 전 생애를 걸쳐 가장 많이 작곡한 장르는 트로트였다. 둘째, 백영호 음악은 대부분 ‘전주 – 1절 노래 – 간주 – 2절 노래 – 후주’ 로 구성된 유절형식의 노래이다. 곡의 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선율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곡마다 독립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노래 선율은 순차진행과 도약진행의 적절한 조화로 매끄럽고 자연스러우며 주제 전개는 대비 악절, 대등 악절 형태를 갖춰 균형 있게 발전하고 있다. 셋째, 백영호는 미국대중음악의 흐름을 받아들여 1950년대부터 이미 7음음계 선율을 만들었고 4/4박자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작곡기법을 곡에 반영하였고 세컨더리 도미넌트 코드, 6th코드, 모달 인터체인지 코드 등의 화성을 사용하였다. 백영호는 대중음악작곡가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요소인 시대의 흐름과 음악의 유행을 읽어내는 것에 적극적이었고 본인 트로트 작품에도 이를 적용하였다. 넷째, 백영호의 트로트에는 공통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리듬형 이 있는데, 대부분의 트로트 곡에서 이 리듬형이 사용되었다. 이 리듬형은 트로트의 꺾는 창법을 표현하는데 적합한 리듬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대부분의 백영호 노래는 가사와 노래 선율의 강세가 조화롭게 일치하고 있다. 백영호는 가사가 작성된 후에 선율을 붙이는 방식으로 작곡했는데 한국어 가사가 갖는 운율을 반영하여 노래 선율에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다. 백영호는 서양풍의 노래들이 범람하여 한국어 파괴 현상이 나타났던 시기에도 한국어 가사를 고려하여 노래 선율을 만든 작곡가이다. 백영호의 가요사적 맥락에서의 위상과 평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백영호는 1950년대 한국가요계의 암흑기 시절 대구·부산에서 활동하며 한국 대중가요계의 명맥을 이어준 주역이었다. 한국대중가요사 최초의 100만 장 이상의 음반판매 기록을 가진 <동백 아가씨>를 작곡하였고 많은 히트곡을 만들어 1960년대 트로트의 전성기와 한국가요사의 황금기를 이끄는 데 일조하였다. 또한, 무명가수였던 이미자를 국민가수로 등극시켰고 1960∼1970년대 한국영화와 드라마 음악의 주류 작곡가로 활동하며 대중문화 발전에 이바지했다. 백영호는 작곡가뿐 아니라 작사가와 기획자였으며 신인가수 발굴과 인재양성에도 힘을 쏟았다. 그는 험난한 한국의 근현대사를 살아낸 사람으로 그의 노래는 우리의 정서를 표현하고 애환을 위로하였다. 백영호는 55년 동안 한국대중음악과 함께하며 수많은 히트곡을 만들어 낸 대한민국 대중가요사의 위인 중 하나임이 틀림없다. 본 논문은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백영호의 작품을 우리나라 최초로 수집·분류하여 음악적 관점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대중가요사 발전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朝鮮後期 山水畵에 나타난 소나무 그림 硏究

        정진아 (鄭晋我)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소나무는 예로부터 추위 속에서도 청정한 자태나 고고한 형상을 잃지 않기에, 君子의 德으로 상징되면서 산수화를 구상하는 경물로써 뿐만 아니라 독립된 畵材로도 많이 그려져 왔다. 옛 문헌에 보면 孔子의『論語』가운데 <子罕>에는 “세한 연후에야 송백이 늦게 시듬을 안다” 고 하였으며 荊浩의『筆法記』에서는 “소나무는 어려서부터 휘어지긴 해도 굴곡지지 않는 성질이 있다....그 모양은 실로 군자의 덕풍과 같다.” 고 하여 지조와 절개를 갖춘 군자로서의 성정을 말하였다. 韓拙의『樹木論』에서는 소나무의 천태만상적 형세를, 郭熙?郭思의『林泉高致』에서는 장수의 상징으로서의 소나무를 언급하고 있다. 조선후기 이전의 소나무 그림으로는 기록만 남아있을 뿐 현존하지 않는 신라 率居의 <老松圖>, 고려 海崖의 전칭작인 <歲寒三友圖>, 조선초기 傳 李上佐의 <松下步月圖>, 조선중기 김제의 <童子牽驢圖>등이 있는데 조선 초기에는 대부분 安堅의 <四時八景圖>와 <瀟湘八景圖>에서의 소나무처럼 근경의 바위에 위치한 雙松의 모습을 띤다. 이러한 현상은 안견파로 대표되는 조선 초기의 특징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그 전통은 중기까지 이어진다. 조선 초·중기에 주로 나타난 소나무의 표현은 대부분 馬夏, 浙派에서 흡수된 것으로 꺾일 듯 심하게 굴절되어 있는 뼈대만 앙상한 소나무이거나 雙松의 표현으로 압축할 수 있다. 조선 후기에는 실학사상의 등장과 더불어 봉건적 계급구조가 이완되면서 개인적 자아실현의 길이 열리게 되고 예술전반에 걸쳐 자기화의 바람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회화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소나무 그림에서도 18세기 謙齋 鄭敾을 위시한 진경산수의 대두와 남종문인화의 풍미로 말미암아 전·중기의 踏步式 표현에서 벗어나 작가의 창의성을 토대로 개성 있는 화법의 소나무 그림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조선후기의 화가들도『顧氏畵譜』나『芥子園畵傳』같은 畵譜類를 참고하였으나 전 시기와 달라진 점이라면 趣만 할 뿐 形은 추구하지 않았으며 절충성을 띄거나 옛것을 뛰어넘는 표현을 구사했다는 점에 있다. 이에 謙齋松이라고 불리는 大米點을 바탕으로 한 정선의 수직 측필 미점의 T자형 소나무, 寫意性 짙고 기상어린 이인상의 <雪松圖>의 소나무, 속도감 있는 필치가 돋보이는 단원의 소나무, ‘古松流水館道人’이라는 호에서도 감지되듯 ‘古松’과 ‘流水’를 즐겨 그리며 南北宗畵의 종합적 양식을 취하되 독자성을 이끌어 낸 이인문의 소나무, 수채화적 설채법이 참신한 김수철·신윤복·윤제홍의 소나무, 渴筆과 乾墨의 능숙한 구사로 文字香·書卷氣를 풍기는 김정희의 <歲寒圖>와 禿筆로써 작가의 응축된 심상을 한껏 발휘하고 있는 전기의 <溪山苞茂圖>같은 그림들이 속출할 수 있었고 이러한 그림들은 현재까지도 많은 감동을 자아내게 한다. Called a king of trees from ancient times, a pine tree has remarkably abundant formal beauty with a sense of change among various trees and does not lose its clean figure or lofty form even in coldness. Thus, it has been much painted not only as a scenary figuring a landscape but also as an independent painting material symbolized as true gentlemanship. To provide ancient literature, its nature is described as a gentleman with fidelity and integrity in the section Jahan among the Analects of Confucius, Hyungho's Pilbupgi and Hanjol's Sumok-non, and as a symbol of longevity in Gwakhee and Gwaksa's Imchungochi. Non-existing pine tree paintings only with records prior to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are Solgu's Nosong-do in the Shilla Age, Haeae's reported and called work Sehansamu-do, Lee Sang-ja's Songhabowol-do before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and Kimje's Dongjagyunryu-do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like the pine trees in Angyun's Sashipalgyung-do and Sosangpalgyung-do most of them took the form of a pair of pine trees located on the rocks in nearby landscape. Such phenomenon can b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of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represented by the Angyun school. The tradition continues to the middle. Absorbed from the Maha and Jul schools most of the expressions about a pine tree shown primarily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s can be summarized as almost broken, severely bent pine trees only with thin frames or a pair of pine trees. With the appearance of a realistic idea in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a relaxed feudal hierarchy opened a way to personal self-realization and promoted individualization over the whole art including painting. Also in the pine tree painting the rise of true scene landscape including Gyumjae Jungsun in the 18th century and the flavor of a literary painting of the Southern school allowed a technique of individuality to emerge based on the creativity of an artist out of the standstill expression in the former and middle periods. The artist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who referred to kinds of picture albums such as Gosihwabo or Gaejawonhwajun,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revious period in that they only took them, did not pursue their forms, and freely used individualized expression matured one more step. The following paintings could appear one after another: Jungsun's T-shaped pine tree with vertical-horizontal points of side brushes based on great horizontal points called Gyumjae's Pine Tree, Lee In-sang's spirited Sulsong-do with the thick nature of describing an artist's inner world as well as the external shapes of things, Danwon's Pine Tree with remarkable speedy touch, Lee In-mun's Pine Tree of enjoying painting 'an old pine tree' and 'flowing water' and taking independently the general painting modes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schools as detected in his pen name, Kim Su-chul, Shin Yoon-bok and Yoon Je-hong's Pine Tree with a fresh technique of coloring after painting ground in Chinese ink, the one used in a watercolor painting, Kim Jung-hee's Sehan-do with character fragrance and book spirit by freely using dried Chinese ink and a painting technique by economizing the Chinese ink in a brush, and Jungi's Gyesanpomu-do where his condensed imagery is fully expressed by a brush without any hair, which evoke much impression even now.

      • Goethe의 詩에 부친 Schubert와 Wolf 歌曲의 比較 分析

        정진 忠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ied, one of the representative forms of Romantic music in the 19th century, was mainly composed by F. Schubert, R. Schumann, J. Brahms, and H. Wolf. They bulit up an ideal form of the lied through the correspondence between music and forms and contents of poems. So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lieder to which Schubert and Wolf set poems of Goethe will find out the charactersitics of techniques in their music and the developments of the lied in their ag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is paper, therefore, tells us that the interpretation of a lyric has been developed by the contemporary composers little by little as the flow of times. To summerize those briefly, (1)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poems has been made diverse gradually according to the course of history. (2) The study on chords shows the enlargement of the chromatic scale ignoring the convention from the diatonic scale and the development of contents, or the expansion of a discord and the avoidance of the settlement of tonality. (3) The melody has lost the leadership as the flow of times. (4) The Rythme has been developed from the natural accordance with Schubert to the emphasis on the meaning of leading rythme with Wolf. (5) As for the position of piano part, it was led by the voice part in Schubert, which was raised to equal in Wolf. (6) The whole expression has been made minut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composers as the flow of times. This paper shows both the two composers developed the lied by using the lyric beauty and the objective type of rooms, but their musical techiniques varied and developed, which reflected each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