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설과 소설 원작 드라마의 비교 연구

        정진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71

        소설과 드라마는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다룬다. 양자는 매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현실성과 허구성이 존재하는 공간에 인물들의 갈등을 담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 TV가 광범위하게 보급되면서 영화와는 미학을 달리하는 TV드라마가 정착되기 시작했다. 드라마연출가들은 다양한 소재와 이야기가 담긴 소설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는데, 소설작품의 각색을 통해 드라마의 주제를 넓혀 나갔고, 소설의 미학을 충실하게 반영한 독특한 드라마를 산출하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경향을 이끈 게 바로 <TV문학관>이다. 이 연구는 소설을 원작으로 삼아 각색한 드라마를 중심으로 문자매체와 영상매체가 어떤 관계를 유지해 왔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소설과 드라마의 차이점을 사회적, 윤리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살피었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각색의 과정을 통해 소설이 드라마로 영상화된 작품 몇 편을 다루었다. 소설과 TV드라마와의 본질을 비교해 상호 텍스트의 교환을 보는 방법론이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해보았으며 아울러 보다 다양한 각색의 방향을 실제로 방영된 각색드라마의 사례를 들어 연구했다. 분석 결과, 드라마 연출자는 원작 소설에 새로운 인물을 첨가한다거나 인물의 성격 변화, 갈등의 추가 개입 등을 사용하여 구성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단, 시대와 동떨어진 가치관이나 풍습이 담긴 소설은 경우에 따라 원작의 모습을 거의 새로운 구조로 각색하는 흐름을 보이기도 했다. 전반적으로 보아, TV드라마는 고급예술에 속하는 소설의 주제와 미학을 충실하게 반영하면서도, 대중성을 위해 다소 흥미 위주의 사건, 인물, 배경을 삽입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정서적 지지와 소명의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진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71

        ABSTRACT The Effect of Emotional Support and Calling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ung, Jin-A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and calling perceived by daycare center teach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acquire basic data and plans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emotional support, calling conscious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director and colleague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nursery school teachers? Second, emotional support perceived by daycare center teacher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what is the effect of emotional support and calling perceived by daycare center teach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9 teachers in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emotional support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modified and secured by Seo Mi-jeong (2016) an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Ji-won (1985) was used.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Dick, Eldridge, Steger and Duffy (2008)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Shim Yerin, Yoo Sung-kyung (2012). VQ) was us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asurement tool was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Portor, Steers, Mowday and Boulian(1974) and translated by Park Tae-joon(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of daycare centers were highly aware of emotional support, calling conscious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hole sense of calling, commitment to effort, and commitment to maintenance among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age of char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hole item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value commitment, which is a sub-factor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support, calling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daycare center teachers. The whole emotional support and the whole vocation conscious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sub-factors of emotional support and vocation conscious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whole sense of calling and the wh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sense of call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whole emotional support and the whol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factors of each variable. Third, the emotional support and calling perceived by the nursery school teachers were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oth the director support and the peer support, which are sub-factors of calling and emotional support, were variables tha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support perceived by the nursery school teachers and the higher the sense of calling,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nursery school teacher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motional support with the director and fellow teachers who are members of close relationships in the daycare center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o lead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fant education. It also suggests that education and various programs to raise the sense of calling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childcare teachers. Key words :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Support, Call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국문초록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정서적 지지와 소명의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진아 유아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정서적 지지, 소명의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조직몰입 제고를 위한 방안과 기초자료 획득에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정서적 지지, 소명의식, 조직몰입은 어떠한가? 둘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정서적지지, 소명의식, 조직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정서적 지지와 소명의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 어린이집 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인 정서적 지지 척도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도구를 서미정(2016)이 수정, 보안한 설문을 사용하였고, 어린이집 교사의 소명의식 측정도구는 Dik, Eldridge, Steger와 Duffy(2008)가 개발하고 심예린, 유성경(2012)이 번역, 수정한 소명의식척도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를 사용하였다. 조직몰입 측정도구는 Portor, Steers, Mowday와 Boulian(1974)가 개발하고 박태준(2016)이 번안하여 사용한 조직몰입 설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했으며 기술통계, 빈도분석, t-검증, ANOVA,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적 지지, 소명의식, 조직몰입은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교사 경력이 소명의식 전체, 조직몰입 전체와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중 노력몰입, 유지몰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담당연령에서는 조직몰입 전체 항목과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가치몰입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정서적 지지, 소명의식, 조직몰입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다소 높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적 지지 전체와 소명의식 전체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서적 지지의 하위요인 모두와 소명의식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명의식 전체와 조직몰입 전체에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소명의식은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모두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적 지지 전체와 조직몰입 전체에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였으며 각 변인별 하위요인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정서적 지지와 소명의식은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소명의식과 정서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원장지지, 동료지지 모두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력이 있는 변인이었다. 이는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정서적 지지가 높고,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을 증진시켜 영유아 교육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지게 하려면 어린이집 조직 내 밀접한 인간관계의 구성원인 원장 및 동료교사들과의 정서적 지지 강화를 도모해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소명의식을 높이는 교육과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어린이집 교사에게 적용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주제어 : 어린이집 교사, 정서적 지지, 소명의식, 조직몰입

      • 실제 착의 치수를 반영한 20대 전반 여성의 체형별 재킷 패턴 개발

        정진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855

        In the study, jacket patterns were made for each body type that reflect the real human body fit in order to improve fit of adult females in their twenties whose body shapes are becoming more like those of westerners lately. For this purpose, 348 females aged from 20 to 24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were measured while wearing a provided t-shirt and jeggings over their own inner wear. Their body type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ccording to drop values, which are bust girth-waist girth, hip girth-waist girth, hip girth-bust girth. Torso pattern was developed in three methods by applying the average size from each shape category and fit evaluation was proceeded. As a result the torso patterns were selected for developing jacket patterns for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body type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drop values, the body types of females in their twenties have been classified into N-Type, Y-Type, and X-Type. Type I is N-shaped body closest to normal body shape with an average drop value, Type II is Y-shaped body with big bust girth and well-build upper body, and Type III is X-shaped body like a fiddle with big drop values at all parts. Second,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torso pattern for different body types to be used to develope jacket patterns for education, ESMOD type (Pattern I), New Culture type (Pattern II), and Lee-Nam type (Pattern III) were designed by applying the average size of three body types which has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rop value. Third, in order to make jacket pattern with good fit, three patterns for industry (Test jacket I∼III) and three patterns for education made by applying selected torso pattern (Test jacket IV∼VI) were design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each body type. The result of appearance evaluation has shown that test jacket I and III had the best evaluation on ease of body plank, test jacket VI has most appropriate parting line of front and back of the sleeves, and test jacket I had best evaluation on the ease of sleeves. Further, items that are differentiated by body types and those need to be revised and modified have been examined through appearance evaluation by fit experts. Those differentiated by body shapes were about front length and bust girth, waist girth, and hip girth. Shoulder length were evaluated to be long in all three body types, and ease of sleeves were too big in size that the appearance was not aesthetically good. Fourth, to produce jacket patterns for experiment, jacket patterns are suggested for each body type and test jackets were designed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implementation on fit evaluation and pattern analysis, and the fit of test jackets were verified through fit evaluation. The suggestions on test jacket for industry are as followed. For N-Type, the front length was designed to be the shortest among three, back hip girth was bigger than the front hip girth by 0.5㎝, and abdominal girth had a small ease for it is the body type with less abdominal fat deposit. For Y-Type, 1㎝ more ease was given in front than back waist girth and back hip girth in order to improve the existing pattern making formula for the body type has big bust girth while having small hip girth. For X-Type which has big drop value, 1cm and 0.5cm more ease was given in the front bust girth and waist girth than back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of front opening gaping due to its small size. Also, because X-Type and Y-Type are the types with bigger bust girth than N-Type, front length was designed in moderate size so that bust line may come to the right place while shoulder line does not move backward and the jacket hem upward. Side seam at the bust level was moved to the front from back by 0.7㎝, which was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back side seam shifting to the front and bad appearance caused by the unnecessary ease of the back. Through the result above, the differences of jacket design patterns according to the body types that reflect the actual wearing measurement were analyzed and the jacket patterns for experiment were suggested. The findings from the stud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clothing industry that research and design clothing for adult females in their twenties who have bigger drop values. 본 연구는 최근 서구화된 신체 변화 양상을 보이는 20대 전반 여성의 재킷 맞음새 향상을 위해 실제 착의치수를 반영한 체형별 재킷 패턴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24세의 여성 348명을 대상으로 각 피험자들의 이너웨어 착용 상태에서 직접 계측을 실시하여 체형을 분석하였으며, 젖가슴둘레-허리둘레, 엉덩이둘레-허리둘레, 엉덩이둘레-젖가슴둘레의 3가지의 드롭항목으로 체형을 유형화하였다. 분류된 체형별 평균 사이즈를 적용하여 3가지 방식의 토르소 패턴을 제작하고 착의 평가하여 교육용 재킷 패턴에 활용될 토르소 패턴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토르소 패턴을 적용한 교육용 재킷 패턴 3가지와 업체식 재킷 패턴 3가지를 체형별로 각각 제작하고 외관 평가와 동작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체형별 20대 전반 여성을 위한 재킷 패턴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형 유형화를 위해 직접 계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드롭치를 사용해 체형을 분류한 결과, N체형, Y체형, X체형의 3체형으로 분류되었다. 체형Ⅰ은 드롭치가 평균치에 가까운 보통 체형인 N체형이고, 체형Ⅱ는 젖가슴둘레가 큰 상반신이 발달된 Y체형이다. 체형Ⅲ은 드롭치가 모두 큰 체형으로 몸매의 굴곡이 가장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 X체형이다. 둘째, 교육용 재킷 패턴에 적합한 체형별 토르소 패턴을 선정하기 위해 드롭치에 의해 분류된 3체형의 평균 사이즈를 적용하여 ESMOD식(패턴Ⅰ), 신문화식(패턴Ⅱ), 이형숙·남윤자식(패턴Ⅲ)으로 패턴을 제작하였다. 전체적인 외관과 맞음새가 좋은 토르소 패턴을 선정하기 위해 착의 적합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N체형과 Y체형, X체형 모두 전반적으로 패턴Ⅱ가 재킷용 토르소로 가장 적절하다고 평가되어 연구복 재킷 패턴을 위한 토르소 패턴으로 패턴Ⅱ를 선정하였다. 셋째, 착의 적합성이 좋은 재킷 패턴을 도출하기 위해 산업용 패턴 3가지(실험복Ⅰ~실험복Ⅲ)와 선정된 토르소를 적용한 교육용 패턴 3가지(실험복Ⅳ~실험복Ⅵ)를 각 체형별로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외관 평가 결과, 몸판의 여유 부분에서 실험복Ⅰ과 실험복Ⅲ이 좋은 평가 결과를 보였고, 소매의 앞뒤 분리선 위치는 실험복Ⅵ가 적정하고, 여유 부분은 실험복Ⅰ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외관 평가 결과를 통해 체형별로 구별되는 항목과 수정·보완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였다. 체형별로 구별되는 항목은 앞길이와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에 관한 것이었으며, 3체형이 공통적으로 문제가 된 항목은 어깨길이로 모두 길다고 평가되었으며, 소매의 여유량도 커서 외관상 적합하지 못 하였다. 넷째, 실험복 재킷의 착의적합성 평가 및 패턴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체형별로 재킷 패턴을 제시하고, 연구복의 착의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맞음새를 검증하였다. 체형별로 연구복 재킷 패턴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N체형의 경우 3체형 중 앞길이가 가장 짧고, 엉덩이둘레의 여유량이 앞보다 뒤가 0.5㎝ 많으며, 배에 지방 침착이 없는 체형 특성상 배둘레 대한 여유를 적게 두었다. Y체형의 경우 가슴둘레는 크나 엉덩이둘레는 작은 체형으로 다른 체형에 비해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여유를 앞보다 뒤를 1㎝ 적게 주어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드롭치가 큰 X체형의 경우 가슴둘레가 1㎝, 허리둘레가 0.5㎝로 앞보다 뒤의 여유량을 적게 두어 가슴둘레가 작아 앞여밈이 벌어지는 현상을 보완하였다. 또한, X체형과 Y체형은 N체형에 비해 가슴둘레가 큰 집단이므로 앞길이를 적정하게 해주어 가슴선이 제 위치에 놓이도록 하여 어깨선이 뒤로 젖혀지거나 밑단이 들리지 않도록 하였으며, 앞판과 뒤판의 차를 0.7㎝ 두어 옆솔기선이 제자리에 놓일 수 있도록 하고, 기존의 패턴 제도 시 문제가 되었던 뒤판의 여유량이 많아 외관상 적합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실제 착의 치수를 반영한 체형 분류에 따라 재킷 패턴 제도상의 차이를 분석 적용하여 연구복 재킷 패턴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최근 드롭치가 커진 20대 전반 여성의 아이템별 의복 설계 연구와 대량 맞춤 생산을 하는 의류 업계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1년 이상 강제금연자의 재흡연과 관련요인

        정진아 忠南大學校 保健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1년 이상 강제금연자의 재흡연과 관련요인 정 진 아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전공 (지도교수 남해성)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자발적 의지가 아닌 강제로 금연한 강제금연자의 출소 후 강제성이 소멸된 뒤 재흡연 양상과 재흡연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범법자 수용병원에서 1년 이상 수용 후 출소한 사람(강제 금연기간이 1년 이상인 사람)을 기준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2016년 8월 31일 사이에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하여 설문에 응답한 성인남자 8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특성, 흡연관련 특성, 금연관련 특성 및 자기효능감을 조사하여 강제금연기간에 따른 재흡연율 양상과 재흡연 관련요인에 대해 SPSS(Version 22.0)로 유의수준 p<0.05에서 χ2-검정, t-test, Logistic regression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의 전체 재흡연율은 56.8%였고, 교도소를 포함한 집단거주시설로 출소한 경우, 현재 지지자와 함께 살고 있지 않은 경우, 금연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 금연동기, 금연자신감, 금연준비도가 낮은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재흡연율이 높았으며, 재흡연군이 금연유지군에 비해 강제금연기간이 길고, 총 흡연기간은 짧았으며, 입소 전 흡연량이 더 많고, 니코틴 의존도는 높고, 자기효능감이 낮았다. 강제금연 기간이 길수록 재흡연율이 높게 나타난 결과로, 자발적 금연의지가 아닌 강제적으로 금연을 시행한 대상자가 출소하여 흡연행위를 본인이 선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강제금연 기간은 금연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대상자의 니코틴 의존도가 높고, 교도소를 포함한 집단거주시설로 출소한 경우에 재흡연에 대한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범법자 수용병원에서는 수용자의 지속적인 금연유지를 위하여 강제금연을 지속하는 수용기간 동안 적극적인 금연교육 및 관련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출소 후 치료계획에 금연관리가 포함되도록 교도소 및 집단거주시설과 연계하여 금연유지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등 수용자가 출소 후에도 지속적인 금연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정책을 운영할 필요가 있겠다. 중심단어 : 범법자 수용병원, 강제금연, 재흡연, 금연의지

      • 후기현대조각의 금기위반 현상과 양가성(兩價性) :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을 중심으로

        정진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1855

        모더니즘이 총체적인 형태나 양식적 표현 탐구였다면 후기 현대미술은 그 양식을 깨뜨리는 해체주의 경향을 지닌다. 또한 리오타르의 관점에서 보면 개인의 존재는 소수 영웅이 지정한 하나의 진리 앞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 자체가 여러 개의 진리 중의 하나이다. 즉 주체는 하나가 아닌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취하고 일반화시킴으로써 다원화와 일상성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후기 모더니즘 시기에는 엘리트를 중심으로 하는 고급예술의 향유가 점점 대중화 되면서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구분의 위치가 모호해지거나 무시되게 되었다. 애브젝트 예술(abject art)의 양상과 그로테스크한 표현이 두드러진 후기 현대조각에서는 사회의 변화와 더불어 금기시 되어오던 주제의 발현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고 사료된다. 금기와 위반은 두 가지 상반된 충동을 반영한다. 금기는 위반을 금지하지만 그 매력으로 위반을 부추긴다. 금기(taboo)라는 말의 확인된 의미분석만을 통해서도 터부 금지를 이중적 감정의 결과로서 이해해야 할 것이며 따라서 프로이트가 제시한 양가성(兩價性)이 후기현대미술의 전반의 속성으로 관찰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60년대 후반부터의 현대 조각과 설치미술 작품들의 현상 중에서 금기위반 즉, 신체와 성, 배설물 등을 주제로 한 그로테스크한 작품에 주목하였고, 특히 쿠사마 야요이의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하는 재료와 표현되는 형태의 관계를 통해, 보여지는 작품의 의미해석을 금기위반과 양가성 개념으로 접근하였다. 작가의 사적(私的) 경험이 작품에 반영될 때 예술가의 자의식과 사회심리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고찰하였고, 작품의 주제와 반복의 형태 및 재료와 형태의 변이에 따른 표현방법과 시각위반의 양가성을 분석하였다. 금기와 위반에 대한 양가성 연구는 그 시대의 조건을 이해하는 것과 같다. 금기위반은 새로운 규범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일어난다. 이때, 갖가지 위반형태는 기존의 익숙한 형태로부터 이탈된 낯섦으로 인해 항상 충격을 가져온다. 위반은 금기를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이미 그 내부에 양가적 성향을 지녔으며, 그 결과에서도 양가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금기위반 현상과 양가성을 논하는 것은 새로운 개념이 생성되는 과정을 이해하려는 노력과 같다고 볼 수 있으며, 우리 시대 미술의 현장을 이해하려는 것과 같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고 작업해 온 주제인 배설물과 성적인 소재의 표현이 예술에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이해하려는 데 더 큰 목적을 두었다. 예술에 저급한 주제를 도입했을 경우 생성되는 일차적 양가성 뿐 아니라, 저급한 소재에 색채와 촉각성을 강조한 장식성을 병치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중적 양가성을 도출하고, 그 긍정적인 역동성이 작품을 죽음으로의 퇴행 혹은 죽음의 욕동의 표출로 작용 한다기보다 죽음을 거친 부활, 즉 삶으로의 새로운 의미작용으로 작동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While Modernism was the quest of comprehensive forms and stylistic expression, Postmodernism has a tendency of deconstruction in which those styles are broken. On Lyotard’s viewpoint, the existence of individual doesn’t lie in front of the truth that is designated by some heroes. Rather the individual itself is one of many truths. That is to say that the subject takes various forms instead of one and through generalizing them it contrives plurality and dailyness. As a consequence, in postmodern society, the distinction between high and low culture have become ambiguous or ignored. Together with the change of society, the aspect of abject art and grotesque expression come to the fore in postmodern sculpture along with revelation of the subject that had been prohibited as taboo. Taboo and transgression reflect contrary impulses. Taboo prohibits transgression; however, it entices transgression with its attraction. I would like to suggest understanding the prohibition of taboo as the consequence of dual emotion, and accordingly, the observation of the ambivalence that Freud indicated stating overall characteristic of postmodern art. This study is not only to discuss how the ambivalence is revealed between represented reality and seen reality in focusing of Yayoi Kusama’s artwork but also to observe the phenomena of contemporary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that need three dimensional space, particularly paying attention to taboo transgressive works since the end of 1960s and grotesque expression based on body, sex, and excremen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ial and the form I analyzed the meaning of artwork in transgression and the ambivalence. Also I investigated how the artist’s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psychology operate when the artist’s private experience is reflected on the artwork. The study of ambivalence of transgression is the same as understanding the condition of this epoch. Transgression occur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new rules. At that moment, various aspects of transgression cause the impact through secessed strangeness from familiar form. Transgression has the tendency of ambivalence because it presupposes taboo. Discussing the phenomena of transgression and ambivalence is the endeavor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the new rule is formed and the scene of contemporary ar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comprehend how the subject as excretion or sexuality can be interpreted in art. Not only the primary ambivalence that occurs when an artist introduces vulgar subject in art, I would like to grope for double ambivalence through juxtaposing the vulgar subject and decoration that emphasizes the colors and tactile impression while asserting that positive dynamics operates as the significance of life instead of regression or the death drive.

      • 포트폴리오법을 활용한 음악과 수행평가 방안 : 7학년 중심으로

        정진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21st century is a knowledge-based society. A knowledge-based society means a society where knowledge becomes the source of value creation and a society where new knowledge overflows and we can live only when we throw out new knowledge endlessly. The education in such a knowledge-based society is changing toward a direction to require a self-led study ability based on a basic ability of understanding and configuring information and enhance situation study and creation through experience, experiments, or practice. In order to meet this, the 7th education course is also putting up a basic direction called 'upbringing of self-controlled and creative Koreans who will lead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alization era in the 21th century'. As a content, being presented is the extension of a self-led ability to be adapted to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alization, so a concept called "performance evaluation" has newly appeared as a study method of such a self-led ability. Because the performance evaluation is realized during study processes rather than an evaluation after finishing study as an evaluation of study processes, learner's development and change processes can be totally and constantly grasped, so study should be able to happen through an evaluation process. The portfolio method which is one of the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evaluation was devised in order to more broadly and exactly describe student's study status on the basis of the data by openly collecting student's performance data and study activities. The portfolio in the music teaching is a process portfolio. The process portfolio includes all of the efforts and correction processes for better works from initial stage status and the development processes, program solution strategy and procedures of continuous thinking rather than collecting and making only the individual's well done works differently from the portfolio in the traditional art field. The advantage of portfolio in music teaching is that students can know their own strong or weak points through the portfolio produced by themselves and judge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portfolio and that this can be a chance to confirm how it appears and develops in terms of their own musical understanding and knowledge. Therefore, music and portfolio evaluation enables students to do specific self-reflection and thinking. Besides, if a teacher has abundant ideas and works to evaluate and has appropriateness with composition of contents about what the teacher taught, it will be easy to confirm what the students have practiced, what skill has been developed, and what have been successful. Such a portfolio method can be diversely applied to the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appreciation fields which are the activity sectors in the department of music and is very suitable for taking a chance of general self-development processes and reflection in these 4 activity fields. Education evaluation should be planned preferably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realized based on the evaluation plan. Namely, evaluation and teaching/learning should be planned and proceeded with together. Based on such a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processes, the learners should have a chance to reflect on how their music understanding and musical skills are developing, and the teachers should lead students to enable them to develope their creativity and musical potential by grasping learner's changes and growth with continuous concerns and take a chance of their development by improving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hrough evaluation. 21세기는 지식기반 사회이다. 지식기반 사회란 지식이 가치 창출이 원천이 되는 사회를 말하며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이 쏟아져 나오고,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을 쏟아 내어야 살아 갈 수 있게 되는 사회를 말한다. 이런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교육은 정보를 이해하고 구성할 수 있는 기초기본능력을 바탕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요구되고, 경험이나 실험 . 실습을 통한 상황학습과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서도 `21세기 세계화 .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이라는 기본 방향을 내세우고 있다. 그 내용측면으로 세계화 .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의 신장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자기 주도적 능력의 학습 방법으로 "수행평가"라는 개념이 새로이 등장하였다. 수행평가는 학습과정의 평가로서 학습이 끝나고 난 후의 평가라기보다 학습과정 중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자의 발전과 변화과정을 전체적이면서 지속적으로 파악 할 수 있으므로 평가 과정을 통하여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수행평가의 다양한 유형 중 하나인 포트폴리오법은 학생들의 수행 자료와 학습활동을 공개적으로 수집하여 수집한 자료를 기초로 학생의 학습상태를 좀 더 폭 넓고 정확하게 묘사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음악수업에서의 포트폴리오는 과정 포트폴리오이다. 과정포트폴리오는 전통적인 예술 영역의 포트폴리오와는 달리 개인의 잘된 작품만을 모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시작 단계의 상태부터 나은 작품을 위한 노력과 수정과정, 계속적인 사고력의 발전과정과 문제해결전략과 절차까지 모두 포함된다. 음악 수업에서 포트폴리오의 장점은 학생들이 자신들이 제작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자신의 장점이나 약점을 알 수 있고 어떤 내용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야 할지 판단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음악적 이해도와 지식측면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발전 되어 가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악과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의 입장에서 구체적인 자기반성과 사고를 할 수 있다. 또한 교사가 평가될 아이디어나 작품이 풍부하고, 교사가 무엇을 가르쳤는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타당도가 있으며 학생이 무엇을 연습했는가, 무슨 기술이 발전 되었는가, 무엇이 성공 하였는가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다. 이러한 포트폴리오법은 음악과의 활동영역인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네 가지 활동영역에서의 전반적인 자기 발전과정과 반성의 기회를 삼기에 매우 적합하다. 교육 평가는 교육과정의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우선적으로 평가를 계획하고 평가 계획을 바탕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야 한다. 즉 평가와 교수-학습은 함께 계획, 진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수-학습과 평가 과정을 바탕으로 학습자는 자신의 음악적 이해와 음악적 기술이 어떻게 발전되어 가는지에 대하여 반성하는 기회를 가지도록 하고 교사는 학습자의 변화와 발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파악함으로써 창의성과 음악적 잠재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며 평가를 통해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하여 교사 자신의 발전의 기회를 삼아야 하겠다.

      • 적응학습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네트워킹의 영향 : 전환학습의 매개효과와 팀 풍토 및 팀 업무특성의 조절효과

        정진아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Various phenomena of modern society have been caused by the fluid and dynamic work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of members in organizations is emphasized because they learn new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the activity. Since characteristics of service are easy to replicate, it is important that service personnel continually acquire skills and knowledge to have a competitive ed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ntinuous leaning activity of service personnel. In this study, countinuous learning activity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a) adaptive learning, and (b) transformative learning. Among the two, the adaptive learning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s because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that fits goal and values of organization was considered as adaptive leaning, At the individual level,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networking was considered as predictor variables, and transformative learning was considered as mediator variable, person-team fit was considered as morderator. The cross-level moderating effect of team learning climate and team knowledge characteristics also was test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For this study, data of 198 employees from 45 service teams was collected. HLM(Hieraichical Linear Model) and AMO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ffected adaptive learning through transformative learning, but networking did not have any effect. Person-team fit morderated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and adaptive learning.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e also comfirmed that team learning climate and team knowledge characteristics separately morderated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and adaptive learning. 현대사회의 여러 현상들은 유동적이고 역동적인 업무환경을 초래하여 왔으며, 이에 따라 기업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갖추기 위해서 조직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서비스는 복제가 쉽다는 특징 때문에, 기업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 서비스 종사자들의 계속적인 기술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업 종사자들의 지속학습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학습활동을 적응학습, 전환학습으로 분류하였으며, 조직의 가치와 목표에 적합한 방향의 지속학습활동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지속학습활동 중 적응학습을 중점으로 접근하였다. 개인수준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네트워킹이 각각 전환학습을 통하여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전환학습과 적응학습의 관계에서 개인-팀 부합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조직수준에서는 전환학습과 적응학습의 관계에서 팀 학습풍토와 팀 지식특성 각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45개의 팀에서 198명의 서비스업 종사자들로부터 수집하였다. 그리고 분석을 위해 HLM과 AMO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네트워킹이 전환학습을 통해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기각되었으나.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전환학습을 통해 적응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부분매개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환학습과 적응학습의 관계에서 개인수준인 개인-팀 부합의 조절효과는 기각되었으나, 팀 수준인 팀 학습풍토와 팀 지식특성 각각의 조절효과는 확인되었다.

      • 2-파이론의 새로운 합성법

        정진아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2-Pyrones are a kind of 6-membered heterocycle which possess unsaturated lactone ring. It has been widely found in nature, such as plants, animals, marine organisms, bacteria, fungi, and insects, etc., Natural compounds that containing 2-pyrone exhibit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like antifungal, antibiotic, cytotoxic, neurotoxic, and phytotoxic activity. Furthermore, these are very important building block for Diels-Alder reaction, when reaction with acetylene and olefin dienophiles it generates aromatic and cyclohexene moieties respectively. Because of these advantages, various synthetic method has been developed by several research groups. Most of the reported methods they have utilized toxic reagent, expensive metal catalyst, high temperature, microwave radiation condition, etc., Herein, we have developed novel methodology for synthesis of 2-pyrone using metal-free, and enviromental friendly reaction. Using this condition, we have synthesized aryl, naphthalene, thiophene substituted 2-pyrones in moderate to good yields.

      • 관람객 피로를 중심으로 본 박물관 현장연구

        정진아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박물관에서는 전시 관람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시를 관람하기 위한 신체적 활동, 전시물에 의한 심리적 포만감과 지루함에 필연적으로 피로를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런 피로는 관람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관람객이 박물관을 다시 찾지 않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장연구를 통하여 관람객 피로 행태를 발견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여 피로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박물관 현장연구 결과 피로의 행태는 관람객 대표적 행위인 관람, 휴식, 이동에서 다음과 같이 보인다. 1) 휴식 중 나타나는 피로의 행태 휴식은 관람객 피로에 의해 발생되는 필연적 행위이며 큰 전시실과 부족한 휴게시설이 피로를 가중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이런 휴식은 휴식공간으로 지정되지 않은 공간까지 모든 공간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전시실 출구와 외부와 연계된 공간에서 특히 많이 나타난다. 전시실 출구는 관람을 마친 후 관람객의 피로를 완화시키기 위한 휴식공간의 역할과 관람한 내용을 정리하고 다음관람 준비를 위한 전이공간의 역할을 한다. 또한 외부와 연계된 공간은 관람객이 특히 선호하는 공간으로 외부공간과의 연계되지 않는 전시공간과 높은 주의를 요하는 전시물로부터 전환을 꾀하는 역할을 한다. 2) 관람 중 나타나는 피로의 행태 관람객은 피로함을 느낄 때 관람 행태는 유지하지만 다른 시설물에 기대거나 앉아서 관람하거나, 통과관람으로 빨리 관람을 마치고자 한다. 즉, 피로는 관람 의욕을 감소시키며 후반부로 갈수록 관람 시간을 빨라지게 한다. 그러나 잘 알려져 있거나, 새로운 전시물을 접하게 될 때 이런 현상이 완화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전시물은 피로가 나타날 때 새로운 자극으로 작용하여 피로의 행태를 완화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3) 이동 중 나타나는 피로의 행태 관람객은 전체적 관람동선 안에서 대부분의 행위를 해결하고자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전체적 관람동선에서 벗어난 휴게실이 거의 이용되지 않고 관람 중 휴식을 위해 휴게시설로 이동하기보다 전시실 출입구에서 대부분의 휴식을 해결하는 모습에서 알 수 있다. 그러나 새롭거나 잘 알려진 전시물이 관람동선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 그 전시물로 이동하여 관람하거나, 외부공간을 발견하게 될 때 외부공간과 연계된 공간으로 이동하여 휴식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관람객이 자극과 전환의 요소에 끌려 이동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이다. 이런 관람객 피로를 완화 해줄 공간계획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시실 형식은 전시내용을 중심으로 주제별 단위로 분절된 형식을 제공하도록 한고, 전시방법에 있어서는 곳곳에 적당한 전환과 자극적 요소를 배치하도록 한다. 이것은 피로의 근본적 원인인 긴 전시동선과 지나치게 많은 정보의 집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2) 전시실 출입구에는 전시실 출구의 많은 휴식과 잘 아는 전시물에 관람객의 관심이 높은 것을 감안하여 전이공간으로서 정보와 휴식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전시 홀을 배치하여야 한다. 이것은 관람 전 전시물에 대한 정보 제공으로 전시실에서 관람과 연계되도록 하여 어려운 정보에 대한 피로를 완화 해줄 수 있다. 또한 관람 후 출구에서 단순히 다리의 피로만 해결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관람한 내용을 다시 정리하면서 휴식을 함께 할 수 있는 적극적인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3)휴게시설의 위치는 전체관람 과정 중간 접근하기 쉽게 배치되어야 한다. 이것은 관람객이 휴식을 다음 관람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전체적 관람동선 안에서 대부분의 행위를 보이는 것에 근거한 것이다. 4) 다른 전시실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나 계단이나, 휴게실을 외부공간과 적극적으로 연계시켜줄 필요성이 있다. 이것은 관람 중 높은 주의력을 유지해야하는데서 오는 피로와 내부공간에만 있어야 하는 답답함을 완화 시켜줄 수 있는 전환 요소의 제공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박물관 건축 형태나, 공간 조직에 한정되어 주로 연구되어왔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현장연구를 통하여 박물관 주 이용자인 관람객의 행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관람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런 적용 방안에 의한 피로의 완화는 관람객이 박물관 관람을 더 이상 힘든 것이 아닌 즐거운 것으로 인식하게 됨으로서 박물관의 원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 중학생 영어 CD-ROM 코스웨어 분석 및 평가

        정진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의 목적은 중학생 영어 CD-ROM코스웨어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코스웨어 개발자에게 효과적인 코스웨어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CD-ROM코스웨어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5가지 준거가 적용되었다 : 교육과정 적합성, 교수.학습 적합성, 표현상 적합성, 프로그램 적합성, 장점과 단점.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주요한 사항들만 열거할 수 있다. 교육과정 적합성에 있어서, 일부 CD-ROM이 7차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항목을 골고루 반영하지 않았다. 교수.학습 적합성에 있어서는 게임형이 거의 없었으며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는 동기유발과 피드백에 대한 교수전략으로 학습 내용과 직접 관련된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같은 멀티미디어 요소를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 했다. 또한,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은 마우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용에 대한 지시사항뿐 만 아니라 마우스 활용에 대한 지시사항도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활동에 있어서는 실제 학습에 도움이 되는 역할극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기본적으로 모든 텍스트가 마우스를 클릭해서 원어민 음성을 항상 들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피드백의 유형에 있어서는 설명적 피드백이나 오류관련 피드백이 부족했으며 멀티미디어 요소를 통합적으로 제시하여 여러 감각을 동시에 자극할 수 있는 피드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현상 적합성에 있어서는 의사소통 학습에 도움이 되는 애니메이션과 상황 학습에 탁월하며 추상적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비디오, 그리고 실제감을 주는 효과음들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 질적으로 높은 정보를 제공하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을 통제하고 여러 학습으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설계된 아이콘은 그 내용을 적절히 대표할 수 있어야 하며 일관성 있도록 주의 깊게 고안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적합성에 있어서는 교과서 CD-ROM에서 학습자에 관한 기록이 저장되고 보존되지 않아서 개별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을 위해 진도와 방향을 결정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일부 CD-ROM에서 다양한 Window체계와 맞지 않아서 프로그램의 반응이 다소 느리거나 실행이 되지 않았다. 그리고, 대부분의 CD-ROM에서 음성 인식 기술과 녹음 기술을 활용하지 않아 실제적인 의사소통 학습이 불가능했다. 장점과 단점으로는 지시사항이 문자로 주어지지 않고 음성으로만 주어졌으며 상업용 CD-ROM에서 로고 화면이 다소 길고 통제하기가 어려웠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CD-ROM은 다양한 평가 항목에 의해서 그 교육적 효과를 평가하여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요소들은 듣기, 말하기 학습 뿐 만 아니라 읽기, 쓰기, 문법 학습에서도 활발하게 사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쉽고 흥미로운 학습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CD-ROM은 중학생 학습자에게 있어 탁월한 매체이기 때문에 CD-ROM의 활발한 개발과 더불어 멀티미디어의 다양한 요소들이 그 내용과 조화를 이루어 최대의 학습 효과를 올릴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발에 앞서 개발자, 학습자, 교사, 디자이너들이 양질의 CD-ROM을 개발하기 위해 상호보완적으로 평가하여 효과적인 코스웨어가 제작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