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기 공감 형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을 중심으로-

        정진숙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71

        청소년들의 공감 형성은 친사회적 행동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기 신체활동에 있어서 바른 자세가 중요하다. 청소년들의 생활습관 자세와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을 통해 청소년의 공감 형성을 높여 친사회 적 행동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2023년 4월 30일 기준 자연치유적 외발자전 거 운동을 1년 이상 해온 청소년 208명을 대상으로 공감 형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 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감 형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연 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효과가 생활습관 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연치유 외발자전거 운동을 한 대상자를 바탕으로 공감 형성, 친사회적 행동, 자연 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효과, 생활자세습관 간에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공감 형성 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공감 형성의 관점 취하기는 친 사회적 행동에 β=.339(p<0.05)으로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상하기는 친사회적 행동에 β=.181(p<0.05)로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적 관심이 친사회적 행동에 β=.158(p<0.05)로 정(+)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적 느낌이 친사회적 행동에 β=.125(p<0.05) 로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점 취하기는 친사회적 행동에 가장 높 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감적 관심은 친사회적 행동에 가장 낮은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효과가 생활습관 자세에 β=.463(p<0.05)로 정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습관 자세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 향은 β=.389(p<0.05)로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 형성의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느낌은 친사회적 행동에 미 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은 공감 형성이 친사회적 행동을 높 이는 조절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자연치유적 외발자 전거 운동 훈련을 시행하였다.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자 연치유적 외발자전거를 한 번도 타보지 않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바른 자세평가 정도, 공감 형성, 친사회적 행동, 생활습관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경기도와 충청도에 거주하 는 청소년 51명을 대상으로 바른 자세평가, 공감 형성, 친사회적 행동, 생활습관 자세 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훈련의 효과측정을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검증한 결과는 머리 후면의 자세평가에서 전과 후의 평균 차이가 1.183(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 후면의 자세평가에서 전과 후의 평균 차이가 1.043(p<0.01)으로 좋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 후면 자세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188(p<0.01)으로 좋아진 것으 로 나타났다. 허리 후면의 자세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163(p<0.01)으 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목·턱 측면의 자세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144(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등 측면의 자세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몸 상부 측면 자세평가에서 사전 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197(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배 측면의 자세 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120(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허 리 측면 자세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034(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훈련은 청소년의 신체를 바른 자세로 교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감 형성에서 전과 후의 평균 차이가 2.275(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에서 전과 후의 평균 차이가 2.353(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 다. 생활습관 자세에서 전과 후의 평균 차이가 2.765(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 타났다.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은 청소년기에 공감 형성과 친사회적 행동을 높이는 운동 이라고 할 수 있고 생활습관 자세를 바꿀 수 있으며 그리고 신체적인 부분에서 바른 자세를 만들 수 있는 운동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청소년기의 바른 자세와 생활습관 자세는 아주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청소년 들에게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을 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핵심 주제어: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공감 형성, 친사회적 행동, 생활습관 자세

      • 청소년기 공감 형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을 중심으로-

        정진숙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71

        Empathy among adolescents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increasing pro-social behavior. Proper posture is important when engaging in physical activity during adolescence. There is a need for ways to maintain teenagers' lifestyle habits and correct pos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8 adolescents who had been engaging in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for more than a year as of April 30, 2023, in order to study ways to increase pro-social behavior by increasing empathy among adolescents through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The impact of formation on pro-social behavior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control effect of natural healing single-leg exercise exercise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effect of empathy formation on pro-social behavior. In addition, the effect of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on lifestyle habits was analyzed. Based on subjects who did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the causal relationship was identified between empathy formation, pro-social behavior,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effect, and lifestyle habi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empathy formation on pro-social behavior, first, perspective-taking in empathy form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with β=.339 (p<0.05). Second, imagin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β=.181 (p<0.05). Third, empathic concer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β=.158 (p<0.05). Fourth, personal feeling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β=.125 (p<0.05). Perspective taking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Empathic concern was found to have the lowes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nd the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effec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lifestyle habits with β=.463 (p<0.05). The influence of lifestyle attitudes on pro-social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at β=.389 (p<0.05). Regarding the effects of perspective taking, imagining, empathic interest, and personal feelings in forming empathy on pro-social behavior, the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was found to be a moderating factor in forming empathy that increases pro-social behavior. This study conducted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training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 of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we surveyed 51 youth living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to measure the degree of correct posture assessment, empathy formation, pro-social behavior, and lifestyle habits among youth who have never ridden a natural healing unicycle. Correct posture evaluation, empathy formation, pro-social behavior, and lifestyle habits were measured in pre- and post-test for people.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training by dividing it into pre and post tests showed tha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n the posture evaluation of the back of the head improved to 1.183 (p<0.01). In the posture evaluation of the back of the shoulder,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was found to have improved to 1.043 (p<0.01). In the posterior spine posture evaluation,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was found to have improved to 1.188 (p<0.01). In the posture evaluation of the back of the back,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was found to have improved to 1.163 (p<0.01). In the posture evaluation on the side of the neck,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was found to have improved to 1.144 (p<0.01). In the dorsal posture evaluation,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was shown to have improved to (p<0.01). In the upper body posture evaluation,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was found to have improved to 1.197 (p<0.01). In the dorsal side posture evaluation,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was found to have improved to 1.120 (p<0.01). In the lumbar side posture evaluation,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was found to be 1.034 (p<0.01).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adolescents'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training corrects correct posture.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n forming empathy was found to have improved to 2.275 (p<0.01).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n pro-social behavior was found to have improved to 2.353 (p<0.01).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n lifestyle habits was found to have improved to 2.765 (p<0.01). The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can be said to be an exercise that increases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 in adolescence, and has been confirmed as an exercise that can change lifestyle habits and create correct physical posture. Therefore, I believe that correct posture and lifestyle habits during adolescence are very important.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lead the natural healing unicycle exercise among teenagers. 청소년들의 공감 형성은 친사회적 행동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기 신체활동에 있어서 바른 자세가 중요하다. 청소년들의 생활습관 자세와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을 통해 청소년의 공감 형성을 높여 친사회 적 행동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2023년 4월 30일 기준 자연치유적 외발자전 거 운동을 1년 이상 해온 청소년 208명을 대상으로 공감 형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감 형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연 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효과가 생활습관 자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연치유 외발자전거 운동을 한 대상자를 바탕으로 공감 형성, 친사회적 행동, 자연 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효과, 생활자세습관 간에 인과관계를 파악하였다. 공감 형성 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공감 형성의 관점 취하기는 친 사회적 행동에 β=.339(p<0.05)으로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상하기는 친사회적 행동에 β=.181(p<0.05)로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적 관심이 친사회적 행동에 β=.158(p<0.05)로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적 느낌이 친사회적 행동에 β=.125(p<0.05) 로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점 취하기는 친사회적 행동에 가장 높 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감적 관심은 친사회적 행동에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효과가 생활습관 자세에 β=.463(p<0.05)로 정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습관 자세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β=.389(p<0.05)로 정(+)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 형성의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 개인적 느낌은 친사회적 행동에 미 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은 공감 형성이 친사회적 행동을 높 이는 조절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자연치유적 외발자 전거 운동 훈련을 시행하였다.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자 연치유적 외발자전거를 한 번도 타보지 않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바른 자세평가 정도, 공감 형성, 친사회적 행동, 생활습관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경기도와 충청도에 거주하 는 청소년 51명을 대상으로 바른 자세평가, 공감 형성, 친사회적 행동, 생활습관 자세 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훈련의 효과측정을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검증한 결과는 머리 후면의 자세평가에서 전과 후의 평균 차이가 1.183(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어깨 후면의 자세평가에서 전과 후의 평균 차이가 1.043(p<0.01)으로 좋아 진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 후면 자세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188(p<0.01)으로 좋아진 것으 로 나타났다. 허리 후면의 자세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163(p<0.01)으 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목·턱 측면의 자세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144(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등 측면의 자세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몸 상부 측면 자세평가에서 사전 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197(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배 측면의 자세 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120(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허리 측면 자세평가에서 사전과 사후의 평균 차이가 1.034(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 훈련은 청소년의 신체를 바른 자세로 교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감 형성에서 전과 후의 평균 차이가 2.275(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에서 전과 후의 평균 차이가 2.353(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 다. 생활습관 자세에서 전과 후의 평균 차이가 2.765(p<0.01)으로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은 청소년기에 공감 형성과 친사회적 행동을 높이는 운동 이라고 할 수 있고 생활습관 자세를 바꿀 수 있으며 그리고 신체적인 부분에서 바른 자세를 만들 수 있는 운동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청소년기의 바른 자세와 생활습관 자세는 아주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자연치유적 외발자전거 운동을 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영재선발방법에 따른 영재학생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정진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방법 즉, 시험 선발과 자동진급에 따라 선발된 영재학생간의 학업정서, 메타인지, 자기효능감을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선발 방법에 따른 영재 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영재교육을 위한 영재교육대상자 판별 및 선발에 있어서의 타당한 근거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첫째, 영재선발방법에 따라 선발된 영재학생간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및 자기효능감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시험 선발 영재학생과 자동진급 영재학생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재학생이라는 동질집단의 경우에는 선발방법의 변인이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동일 선발 방법에 따라 선발된 영재학생간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자기효능감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동일 선발 방법에 따라 선발된 영재학생의 학업정서 연구결과에서는 시험 선발과 자동진급 영재 학생 모두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영재교육원 영재학생이 영재학급 영재학생 보다 평균과 긍정적 정서가 높았다. 메타인지능력 연구결과에서는 시험 선발과 자동진급 영재학생 모두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영재교육원 영재학생이 영재학급 영재학생 보다 평균과 메타인지능력의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효능감 연구결과에서는 자동진급의 경우 영재교육원 영재학생이 일반학급 영재학생 보다 평균이 높게 나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영재선발방법에 따른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이변량 상관분석 검증을 실시하였다. 선발방법에 관계없이 각 변인들 간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발 방법에 따라 선발된 영재학생의 학업정서, 메타인지능력, 자기효능감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자동진급된 영재학생들의 학습 동기 저하와 영재수업에 대한 불성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의 강구가 필요하며 영재학생의 판별 및 선발보다는 영재교육의 운영 및 관리가 더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남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and talented according to Gifted Students Selection, that is, Examination Selection and Non-examination Selection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difference of Student’s emotions,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of the gifted and to help to provide valid evidence in distinction and selection for effective gifted education. First, Independent two samples test was done to verify the influence of Students' Emotion,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entered by Gifted Students Selection.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gifted students selected by entrance exam and gifted students by Automatic promotion. Second, Independent two samples test was done to verify the influence of Students' Emotion,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selected by the same Gifted Students Selection.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study of students selected by the same Gifted Students Selection when it comes to Student's Emotion; in both students selected by Gifted Students Selection and by Non-examination Selection, the average sco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average of students in the gifted education center was higher than gifted students in class for gift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udy of Metacognition, in both students selected by Gifted Students Selection and Non-examination Selection, the average sco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average score of students in the gifted education center was higher than gifted students in class for gifted. In the study of Self Efficacy, under the circumstance of Non-examination Selection, the average of students in the gifted education center was higher than gifted students in class for gifted. Third,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to analyze correlation of Students' Emotion,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Gifted Students Selection. It turned out each variable was highly correlated at the meaningful level, irrespective of Gifted Students Sele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gifted when it comes to Students' Emotion,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But, it is needed to consider alternatives for the gifted's demotivation and dishonesty about the gifted class derivated from Non-entrance Selection. In addition, there are implications that it is much more significant to manage or supervise the gifted class than to adopt Gifted Students Selection or Distinction based on the study of the gifted's characteristics The gifted have higher learning objectives, Metacognition, and Self-Efficacy than general students and static Student's Emotion is formulated because they apply proper Learning Strategies.

      •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 동기와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통합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정진숙 중부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에 대한 동기와 참여 경험의 만족도가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 관점과 정성적 관점의 통합 설계를 통해 입체적으로 파악하고 그 의미를 가늠하고자 하는 의도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및 경기도에 소재한 노인교육 시설에 재학 중이거나 교육 이수 경험자 252명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지를 사용하여 정량적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 절차를 거쳐 분석하였다. 또한, 정성적 연구를 위한 연구참여자 5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 전통에 따라 자료를 분석함으로서 그 의미를 확인하였다. 정량적 접근을 통해 분석한 연구결과는 첫째, 평생교육 참여 동기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생학습 참여 동기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 참여 동기의 하위요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지향과 목표지향이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생교육 참여 동기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 만족도의 하위요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내용 만족과 교육방법 만족, 교수자 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연구 설계에 근거하여 정성적 접근을 통해 노인 평생교육 참여자의 평생교육 참여와 동기, 만족을 분석한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평생교육 참여를 통해 ‘함께하는 즐거움’, 배우는 뿌듯함’, ‘성취하는 특별함’, ‘회복되는 자신감’을 통해 평생교육 참여 동기를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교육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력을 얻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스스로 성공적인 노화에 있음을 자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는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며 이러한 사실은 양적, 질적으로 명백하게 확인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노인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와 처지를 막론하고 이들이 평생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차원의 기회를 만들어야 하며 이는 교육 내용과 운영에 앞서 전제 되어야 하는 선제적 가치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nior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 on successful aging through an integrated design from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and to evaluate its significance. To this end, quantitative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with 252 people, who had been attending or had completed courses at senior education facilitie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and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procedures. In addition, fiv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for qualitative research, wher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ir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foun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Seco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rried out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sub-factors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found that learning orientation and go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ir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lifelong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found that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Fourt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sub-factors of satisfaction with lifelong education on successful aging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contents,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methods, and satisfaction with the instru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subjec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based on a qualitative approach according to the integrated research design, it was found that they had felt “joy of being together,” “proud of learning,” and “special sense of achievement” by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hich helped them keep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ncouraged them to continue learning. They had been aware that they were on the path of successful aging through such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Senior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contributes positively to successful aging, and this can be clearly demonstrat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institutional opportunities for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regardless of their social or economic status, which is a pre-emptive value that must be considered before educational contents and implementation.

      • 식육부산물을 활용한 순대의 안전성 평가를 통한 HACCP Model 개발

        정진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55

        최근 식육부산물 가공식품의 소비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식육부산물의 생산, 유통 그리고 소비과정에서 위생안전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육부산물을 활용한 가공식품인 순대의 위해요소를 분석, 평가하여HACCP에 근거한 식육부산물 생산업체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소규모 생산업체의 품질관리 기준 설정 및 위생관리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순대생산업체의 원료, 제조공정, 제조설비 및 도구, 작업장의 환경, 작업자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위하여 Total plate counts, Coliform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Listeria monocytogenes, Enterohemorrhagic E. coli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원·부재료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에서는 돈혈의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은 각각 6.28±0.48, 4.07±0.42 log CFU/g, 돈소창의 대장균군은 3.23±0.16 log CFU/g로 Solberg가 제시한 원재료의 안전기준치를 초과하였다. 또한 제조공정에서는 혼합공정과 충진공정의 일반세균은 각각 5.23±0.17, 5.45±0.37 log CFU/g, 대장균군은 각각 3.25±0.23, 3.31±0.24 log CFU/g로 오염도가 높게 나타났고, 증숙공정에서는 고압증기 가열로 인한 미생물 제어효과를 보였으나 냉장보관 공정에서 미생물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작업환경에서는 일반구역의 충진실과 돈소창 세척실의 일반세균은 110.8±46.25~261.6±268.17 CFU/plate, 대장균군은 7.60±15.29~8.30±10.51 CFU/plate로 오염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작업장 환경의 세척·소독 후 일반세균은 일반구역의 충진실과 돈소창 세척실은 약 98% 미생물 오염도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대장균군은 모든 구역에서 불검출 되었다. 그리고 제조시설 및 도구에서는 당면 커터기, 배합기, 충진기, 돈소창 세척대, 칼, 행주에서 일반세균은 3.08±0.40~3.58±0.24 log CFU/100cm2 범위로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충진기와 칼의 대장균군은 즉각 조치강구 수준이었다. 작업자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에서는 돈소창세척실의 대장균군은 앞치마, 위생장갑, 위생장화에서 2.52±0.59~3.67±0.11 log CFU/100cm2의 높은 오염도로 위생 상태가 불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위해요소 분석, 평가를 실시하여 최종 Critical Hazards로 L. monocytogene, Enteroheorrhagic E. coli, Metallic Particle(Fe, SUS)를 결정하고 증숙공정과 X-ray공정을 CCP로 최종결정하였다. 증숙공정의 한계기준을 온도 95~100°C, 시간 19분 11초~20분 27초, 인버터 수치 36~38로 정하였고, X-ray 검출공정에서 한계기준을 Fe ∮0.8mm, SUS ∮1.0mm, 글라스 ∮3.0mm, 세라믹 ∮3.0mm 이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HACCP plan을 개발하여 제시하였고 순대 제조공정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세척·소독 및 구역별 분리와 작업자의 위생관리가 선행되어야 하며, 제품의 보관 및 유통단계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할 것을 제안하였다.

      • 웃음치료가 시설거주 노인의 수면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정진숙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laughter therapy on sleep and self-esteem of the elders in senior hom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impacts of laughter therapy on sleep and self-esteem were examined. Before analyzing the impacts of laughter therapy on sleep and self-esteem, the homogeneity of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confirme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had the same tendency on sleep and self-esteem were acknowledged. After confirming that both groups were homogeneou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 laughter therapy on an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steem. The elders may evaluate themselves negatively due to sense of loss caused by economical inactivity and physical degeneration by aging. However, laughter therapy made them evaluate themselves positively. In contrast, it was shown that self-esteem on a control group was decreased as time passed by. Secondly, laughter therapy on an experimental group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leep. Elders who live in senior home can give different results due to cohabitation and public sleep. Therefore, we need to examine the effect of laughter therapy on sleep in the elders living at home. 본 연구는 웃음 치료가 시설노인의 수면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면에 대한 웃음치료의 효과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웃음치료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웃음치료가 수면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기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수면과 자아존중감에 있어서 동일한 성향을 지닌 집단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동질성 여부를 확인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실험 군 을 대상으로 한 웃음치료는 자아 존중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비경제활동으로 인한 상실감과 노령화에 따른 신체적 퇴화 등으로 인해 자신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 일 수 있는 노인들에게 웃음치료는 긍정적으로 자신을 평가 할 수 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아 존중감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 군 을 대상으로 한 웃음치료는 수면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시설 거주 노인들의 경우 공동생활과 공동수면으로 인한 환경의 영항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가정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웃음치료의 수면에 대한 효과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 8주간의 걷기운동과 맨발걷기가 중년여성의 혈중 세로토닌과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에 미치는 영향

        정진숙 대전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8주간의 걷기운동과 맨발걷기가 중년여성의 혈중 세로토닌과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에 미치는 영향 정 진 숙 대전대학교 보건의료 대학원 (지도 교수 김 병 완) 본 연구는 8주 동안의 중년여성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 중 일반 걷기운동과 맨발걷기 운동이 혈중 세로토닌과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운동 집단 간의 호르몬 변화 차이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반 걷기운동과 맨발걷기운동 프로그램을 주3회 30분 이상으로 실시하고, 일반걷기집단은 40∼60%(HRmax), 맨발걷기집단은 10~12단계(RPE)로 설정하여 실행하였으며, 중년여성들의 정신적인 스트레스개선과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는것에 목적을 두고자 한다. 모든 결과에 대한 자료 처리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 간의 차이와 기긴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위해서는 이원변량분석을 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가 있을겨우 구체적인 확인을 위해 집단간으 검사는 독립 t-test,기간에 따른 검사는 종속 t-test를 통해 비교하여 집딘간, 기간간, 상호작용 가설수락수준은 p<.05, p<.01, p<.001 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반 걷기운동과 맨발걷기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세로토닌의 농도가 참여전보다 참여후가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주 효과의 기간 간에 차이가 F(1,18)=8.281, p=.01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 간에는 F(1,18)=.289, p=.597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 작용효과는 F(1,18)=.432, p=.520 수준으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일반 걷기운동과 맨발걷기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코티졸 농도는 주 효과의 기간간의 차이는 F(1,18)=.292, p=.595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 간의 차이는 F(1,18)=.121, p=.732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 작용효과는 F(1,18)=.899, p=.356 수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일반 걷기운동과 맨발걷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에피네프린의 농도는 대응표본 t-teset 결과, 일반걷기운동집단이 맨발걷기운동 집단보다 기간 간에 차이가 t= 2.326, df=9,p=.045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 작용효과는 F(1,18)=5.815, p=.027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 걷기운동과 맨발걷기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의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는 일반걷기집단이 맨발걷기집단보다 기간 간에 F(1,18)=24.505, p=.001수준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간에는 F(1,18)=.175, p=.680 수준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효과는 F(1,18)=.902, p=.355수준에서 차이는 없었다.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이번 연구에 적용된 일반걷기운동과 맨발걷기 운동이 프로그램이 앞선 선행연구들과 비교해 중년여성들의 호르몬 생성요인에 영향을 줄 수있는 여러요인들 중 계절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점, 운동을 이행하는 시간을 일정하게 정하지 못한점, 식이별 제한점, 중년기에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점을 고려하지 못한 점등을 지적할 수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쉽게 할 수 있는 일반걷기운동과 맨발걷기운동이 중년여성들의 스트레스 해소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있었다. 앞으로 중년여성들의 건강과 우울증개선을 위한 선행연구들은 온도의 변화, 운동시간별 변화, 운동 강도의 변화, 중년기의 심리적 변화 등을 보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 서울 지역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의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위한 순회교육의 현황과 개선과제

        정진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itineran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ithout special classes by surveying the general and itinerant teachers and finding ways to improve them.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general and itinerant teachers in charge of elementary schools without special classes in Seoul.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responses of 20 questionnaires about 12 itinerant educati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onduc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fter looking at the actual conditions of itinerant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without special classes, general and itinerant education teachers rarely collaborate in the preparation of IEP and the itinerant education is often not conducted in designated places. In addition, itinerant teachers doesn't have enough time to prepare for classes and that the cause is overloaded with work other than itinerant education. Moreover, some of the itinerant education teachers sometimes use their own money due to the lack of budget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General and itinerant education teachers are very necessary for itineran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ithout special classes and both groups also recognize that the placement of career itinerant teachers are slightly necessary. In addition, both groups recognize that the prior training for itinerant teachers and guidance on itinerant education for general teachers and parents education is very necessary. However, it pointed out the lack of number of itinerant education and weekly itinerant education hours, lack of overall support for itinerant education, and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general teachers and itinerant teachers and parents. Some students are unable to adjust to school life with the help of teachers and pe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dapt the contents or textbook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without special clas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ensure that itinerant education is a way to actively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full- inclusion education. This study has meaning to explore perception of itinerant and general teachers about itineran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age and consider ways to improve them. This study is useful to be basis for better research about itineran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ithout special classes. 이 연구는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사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를 알아보고 순회교육대상 학생의 학교생활 실태를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의 실제와 문제점을 다면적으로 알아보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서울 지역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을 담당하는 순회교사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9년 12월 기준 서울시 11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순회교사와 담임교사에게 총 20부의 질문지를 수거하여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서울 지역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의 수업실태를 알아본 결과, 개별화교육계획(IEP) 작성에 있어서 순회교사와 담임교사의 협력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종종 지정된 장소에서 순회교육이 실시되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회교사들은 순회교육 이외 업무과중으로 인하여 수업준비 시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으며 몇 몇 순회교사들은 수업준비 비용을 자비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순회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순회교사와 담임교사 집단 모두󰡐매우 필요하다󰡑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 있는 순회교사의 배치에 대해서도 두 집단 모두 󰡐약간 필요하다󰡑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순회교사를 위한 사전 연수와 담임교사의 순회교육에 대한 안내의 필요성은 순회교사와 담임교사 모두󰡐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순회교육대상 학생 학부모를 위한 부모교육은 두 집단 모두󰡐매우 필요하다󰡑정도로 인식하고 있었다. 순회교육의 한계점으로는 순회교육 횟수 및 주당 순회교육 시간의 부족, 순회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원 부족, 순회교사와 담임교사 및 학부모간의 의사소통 부족을 손꼽았다. 순회교육대상 학생의 전반적인 학교생활 적응 및 또래관계에 있어서도 교사와 또래의 도움을 받고도 학교생활이나 또래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 참여 정도 또한 모든 과목시간에 집중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학생도 있었지만 이에 따른 수업내용이나 교재의 수정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령기의 시작인 초등학교 시기의 특수학급 미설치 순회교육에 대해 순회교사와 담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더 나은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집단꼴라쥬 미술치료가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진숙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요양시설에 있는 치매노인에게 집단꼴라쥬 미술치료 프로그램응 실시하여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안성시 ㅅ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치매노인 1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6명씩 나누었다. 실험집단에는 주 2회 총 15회기의 집단꼴라쥬 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후로 문제행동 검사를 하였다. 자료는 SPSS/PC 12.0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전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은 t-test로 분석하였고, 프로그램 전후의 문제행동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분석결과 집단꼴라쥬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문제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집단꼴라쥬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회기별에 따른 치매노인의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초기에는 무기력하고 서로 무관심하며 활동에도 부정적인 태도가 집단원에게 상호관계가 일어나고 부정적인 언어가 줄어들며 불안이나 초조성으로 일어나는 문제행동이 감소되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집단꼴라쥬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요양시설에 있는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쳤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시설생활을 이용하고 있는 치매노인의 문제행동을 줄이며, 진행되는 치매를 예방하여 편안한 요양생활을 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에 연구의 의의를 가졌다.

      • 시각관념에 대한 고찰과 형태표현연구

        정진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5

        Simplicity attracts people's minds and hearts. People are fond of simplicity. However, people pursue simplicity not only because of personal preference but also because of the cognitive efficiency involved in recognizing objects and remembering them in their brains. In order to conduct an in-depth investigation on this matter,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so as to i) determine what types of visual conceptions there are and ii) discover what sort of simplified core elements can be found among these various types of visual ideations. Drawing on these core elements discovered from the survey, the researcher prepared and hosted a solo exhibition of formative art. I have performed various designing projects using geometrically simplified forms for a long time. However, I have discovered that expressing an accurate meaning with minimum amount of elements is far more difficult than expressing a detailed meaning with multiple elements. In order to convey accurate meaning with minimal elements, core elements need to be extracted and others omitted. Nonetheless, determining and choosing what is at core is not an easy task. Abridged and simplified expressions of form can be found, for instance, in the geometrically simplified form of an apple―remember: we usually draw a circle and add a stalk―, children's drawings, and ancient mural paintings. As can be seen, there lies a core, essential form that portrays the heart of an object. Thus, in the cognitive process of perceiving an object, we simplify and only remember its core, essential form; and when having to express this object, we extract what we remember i.e. we draw what we have cognitively recognized and processed as depicting the core, essential traits of the object. The present study defines visual ideation as this core, essential form that simplifies and abridges the main traits of an object and is used by people when having to express the object. In order to provide objective and scientific evidence that supports my theory of visual ideation as well as investigate what types of visual ideations there are, a survey was conducted. In detail, 20 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emantic typology of Korean nouns, and these 20 words were presented to subjects who were asked to quickly draw the image of these words. The various forms that subjects drew were then classified and analyzed so as to statistically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any common core forms. This survey aimed to confirm the existence of visual ideations in the subject group; and if they did exist, to identify the form of these visual ideations. Through this survey, the present research attempted to i) discover what sort of visual ideations subjects had on a series of tangible and intangible concepts, ii) find out what archetypical forms existed, and iii) if so, investigate what sort of archetypical forms portrayed common traits of various objects.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dul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kindergarteners.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confirmed using chi-square analysis for suitability and independence verification. Analysis of the survey via independence verification confirmed that visual ideations in certain forms did exist for each word although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and among subject groups and words. Words used in the survey were classified into substance and non-substance words; and substance words were more frequently found to have affiliations with major core forms and thus, had more archetypical forms of visual ideations than non-substance words. Among substance words, for example, the word that showed the highest typicality in visual ideations was “fire.” All subjects in all three age groups clearly shared an identical form of a visual ideation for “fire.” Among non-substance words, on the other hand, the word that showed the highest typicality in visual ideations was “love.” All subjects in all three age groups commonly identified “love” with the iconic form of the “heart.” Thus, the present research has revealed that although “love” is a non-substance word, it has been visually conceptualized in the minds of people from early age through learning or indirect experience. Because non-substance words cannot be directly experienced or remembered through the eye, whether or not someone holds a visual ideation of them can be influenced by learning or indirect experience. Additionally, non-substance words have been categorized into situational and abstract classes; and it was discovered that they were expressed i) by using substitutes, ii) by citing examples from experience, or iii) by citing symbols obtained from learning. Drawing on the core forms extracted from the abovementioned statistical analysis, I compiled the forms of visual conceptions of 20 words and created a series of artworks. Among them, ten works were displayed in my solo exhibition. There, the works exhibited were portrayals of the visual ideations of hobgoblin, flower, puppy, cat, pig, water, hope, freedom, happiness, and autumn. Through these works, I attempted to pursue essence, purity, and simplicity. By using geometrical forms and simple expressions of simple proportions, I tried to express core forms. At the same time, I resorted to expressions that depict the essence of an object and candid expressions that do away with unnecessary ornamental decorations so as to show the simple beauty of modera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detailed survey and analyzed its results and developed them into artworks; and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present scientific grounds for future research on basic formative arts. 단순함은 인간이 좋아하는 키워드가 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이 단순함을 좋아하고 추구하는 것은 인간의 기호(嗜好)뿐만이 아니라, 인간이 대상을 인지하고 뇌에 기억하는 과정에서의 인지의 효율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관계를 증명하기 위해서 본 연구자는 시각관념을 설문조사를 통해서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시각관념에 단순화된 공통의 핵심적인 요소가 있음을 증명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한 핵심적인 형태를 바탕으로 조형적인 작업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오랜 기간동안 기하학적인 단순한 형태를 사용하여 디자인 작업을 계속해오고 있으나, 많은 요소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것보다 최소한의 요소로 정확한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더 어려운 디자인의 과정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핵심이 되는 것으로 축약하고 생략해야 하는데, 어떤 것이 핵심적인 것인지를 판단하고 선택하는 것은 쉽지만은 않다. 사과를 표현할 때 동그라미 형태에 꼭지형태를 더하여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로 표현하듯이 어린아이의 그림이나 고대 유물에서 나타나는 벽화나 유물의 그림에서 축약적인 단순한 형태표현을 찾아 볼 수 있다. 어떤 대상을 표현할 때 그 표현하는 형태에는 근본이 되는 핵심적인 형태가 존재한다. 인지과정에서 단순화하여 입력된 기억을 인출하여 대상을 그대로가 아닌 기억하고 있는 사고한 형태로 표현한다. 이때의 인지과정에서 단순화되어 사고의 과정을 거쳐서 표현될 때의 나타나는 핵심적인 형태를 시각관념으로 정의하여 연구하였다. 시각관념의 형태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증명하고, 구체적인 시각관념 형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방법은 국어 명사의 의미 분류법에 의해 20개의 단어를 선정하고, 20개 단어를 제시하여 빠른 시간 안에 그림을 그리도록 하여 조사된 형태를 분류하고 분석하여 공통적인 핵심 형태가 있는지 통계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조사 대상 집단에서 시각관념의 존재여부를 확인하며, 시각관념이 존재한다면 그 형태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유무형의 개념에 대하여 어떤 시각관념을 가지고 있는지, 그 원형이 존재하는지, 존재한다면 공통된 속성을 가진 원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집단은 성인집단, 초등학생집단, 유치원생집단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카이제곱 분석으로 적합도 검증과 독립성 검증을 하여 연구 가설을 증명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각 단어의 특정 형태 표현의 시각관념의 형태가 존재하며 집단별, 단어별 차이점은 있지만 시각관념의 존재는 독립성 검증으로 증명되었다. 설문조사의 단어는 크게는 실체 단어와 비실체 단어로 분류하였는데 실체단어들이 추출된 주요핵심 형태의 빈도수가 높아서 비실체 단어보다 시각관념의 전형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실체 단어 중에 시각관념의 전형성이 가장 높은 단어는 ‘불’이였다. 불은 모든 연령대의 집단에서 확실하게 시각관념이 같은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실체 단어 중에서 전형성이 가장 높은 단어는 ‘사랑’ 이였다. 사랑이라는 단어는 하트라는 상징적인 형태로 모든 연령대의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사랑’은 비실체 단어이지만 학습이나 간접 경험에 의해서 유치원생의 어린나이에서 부터도 시각관념화 되어 있음이 연구결과로 밝혀졌다. 비실체 단어는 사태분류와 추상분류로 나누어졌는데 비실체 단어는 직접 눈으로 경험하고 기억할 수 있는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간접적인 경험이나 학습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비실체 단어는 대체물에 의한 표현, 경험에 의한 사례의 표현, 학습에 의한 상징 표현의 세 가지 방법으로 표현되었다. 본 연구자는 통계분석을 통해 추출된 핵심 형태를 기반으로 20개의 단어의 시각관념 형태를 정리하고 그 형태를 기반으로 한 작품제작을 하였다. 그 중에서 10개의 작품을 논문심사 개인전에 전시하였으며, 전시된 작품들은 도깨비, 꽃, 강아지, 고양이, 돼지, 물, 희망, 자유, 행복, 가을의 단어들이다. 본 연구자의 추구한 작품 표현의 방법은 본질추구와 순수성 추구, 단순미의 추구이다. 기하학적인 형태를 사용하여 단순한 비례의 단순한 표현으로 핵심적인 형태를 표현하여 대상의 본질을 관통하는 표현과 장식적인 치장 없이 정직한 표현과 직설적인 표현의 순수함으로 단순한 절제의 미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구체적인 설문조사와 분석근거를 가지고 결과를 분석하여 작품제작으로 연결시킨 연구이며, 이러한 시각관념의 연구는 기초조형 연구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