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 주거공간 열환경 개선 요소의 효과 및 민감도 분석 : 공동주택(아파트)을 대상으로

        정지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도시의 이상기후와 함께 과도한 개발의 집중화로 인해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도시 열환경이 악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현상으로 도심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2~5℃ 높게 나타나는 도시열섬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도시민이 느끼는 열 스트레스 강도인 열쾌적성에도 영향을 주어 도시민 삶의 질을 악화시키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공간계획 과정에서부터 도시 열환경을 고려한 쾌적한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증대시켰다. 공간계획 중 특히 주거지역은 용도지역의 절반 이상(53.83%)을 차지하고 있으며 주거지역 중 59.9%는 공동주택(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 환경 개선과 도시민의 복지를 위해 도시 주거 공간의 열환경 관리는 더욱 필요하다. 열섬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은 크게 네 가지로, 증발 잠열성을 유지 및 증대시켜주는 녹지조성, 현열을 차단하는 고 반사성 재료 도포, 인공 열 절약, 바람길 유지 및 조성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열섬 완화를 위한 수단과 방법은 다각적 접근을 통해 정립되고 있으나, 개선요소별 개선효과에 대한 민감도를 주거 특성별로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여기서 민감도란,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에 대한 영향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주거 공간의 대표적 주거 형태인 공동주택(아파트)을 대상으로 아파트 유형별(판상형, 탑상형) 도시 열환경 개선 요소(지면녹화, 쿨페이브, 옥상녹화, 쿨루프)에 대한 시나리오를 최소에서 최대를 설정하여 동일한 구간으로 세분화하였다. 이에 따라 총 48개의 시나리오가 구성되었다. 세분화 한 구간별로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열환경 개선효과(기온 저감, PET 저감)와 적용 효과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주거 형태를 고려한 도시 주거공간에 맞는 열환경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 연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 열환경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열섬현상 발생지역을 도출하고, 최종 분석 대상지를 선정한다. 이를 위해 기상관측자료(S-DoT․AWS)를 이용하여 분석에 적합한 날을 선정하고, 보간법인 Universal Krigging을 통해 서울시 전체 대기온도를 산정하여 도시열섬지역을 도출한다. 각 공동주택(아파트) 유형(판상형, 탑상형)별로 ENVI-met 분석이 적합한 지역인 사면이 도로에 접해있으며 대지가 정방형에 가까운 곳을 최종 분석대상지로 선정한다. 최종 분석지를 대상으로 각 개선 요소의 시나리오별 적용 면적을 산정한다. 이때 각 개선 요소의 시나리오는 지면녹화, 쿨페이브먼트, 옥상녹화, 쿨루프를 최소 0%에서 최대 75%까지 15%씩 세분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ENVI-met 모델을 활용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변수를 입력한다. 이후 도시 열환경 개선 요소의 적용 효과를 분석한다.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열환경 개선 효과를 0% 적용과 대비하여 분석한다. 판상형과 탑상형 아파트의 최대 기온 저감 효과는 쿨페이브먼트(1.6℃, 2.33℃) > 지면녹화(0.48℃, 0.17℃) > 옥상녹화(0.07℃, 0.05℃) > 쿨루프(0.06℃, 0.02℃) 순서로 나타났다. 최대 PET 저감 효과는 지면녹화(5.31℃, 3.15℃) > 쿨페이브(1.26℃, 1.35℃) > 옥상녹화(0.71℃, 0.51℃) > 쿨루프(0.37℃, 0.31℃) 순서로 나타났다. 다른 시나리오와 다르게 쿨페이브먼트 PET의 경우 주간시간대(06~19시)에 PET가 증가하고, 야간시간대(20~05시)에 감소하였는데, 이는 MRT가 주간시간에 증가하기 때문이다. 민감도 분석은 시나리오 구간(15%↑)에 대한 기온·PET 저감량을 비교하여 파악한다. 각 시나리오별 변화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그 이상이거나 이하로 나타나는 구간을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간으로 정의한다. 지면녹화 시나리오의 기온 저감 효과는 판상형에서 60%, 탑상형 15%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쿨페이브먼트는 판상형과 탑상형 모두 알베도 0.85에서, 옥상녹화의 경우도 판상형과 탑상형 모두 15%를 적용하였을 때 구간별 변화율이 높았다. 쿨루프의 경우, 판상형은 알베도 0.80, 탑상형은 알베도 0.65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PET 저감 효과는 지면녹화, 판상형 45%, 탑상형 15%, 쿨페이브먼트, 판상형과 탑상형 모두 알베도 0.85, 옥상녹화, 판상형과 탑상형 모두 15%, 쿨루프, 판상형 0.50, 탑상형 0.35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판상형 아파트가 탑상형보다 지면녹화, 옥상녹화, 쿨루프 시나리오 에서 더 높은 변화율을 보였다.

      • 성인의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관계

        정지애 창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제 7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2017년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함으로써 비만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 7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2차년도 자료조사에 참여한 총 8,127명 중 본 연구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질문에 응답한 5,067명이 최종 선정되었고, 이들의 이차자료를 이용하여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으로 여성 50대-60대, 대졸이상의 교육수준,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와 사무종사자, 중간 수준의 경제상태 등과, 높은 음주, 흡연 및 조금 느끼는 스트레스 등의 대상자이었다.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정도는 아침식사 결식이 21.9%이었고, BMI는 비만 34.3%, EQ-5D 평균지수는 0.94±0.11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아침식사의 결식의 차이는 성별(χ²=16.60, p<.001), 연령(χ²=851.40, p<.001), 결혼(χ²=443.82, p<.001), 교육수준(χ²=307.83, p<.001) 및 직업(χ²=249.56,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음주여부(χ²=50.70, p<.001), 흡연여부(χ²=24.54, p<.001) 및 스트레스 정도(χ²=85.16,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비만의 차이는 성별(χ²=53.41, p<.001), 연령(χ²=87.07, p<.001), 결혼여부(χ²=54.44, p<.001), 교육수준(χ²=56.55, p<.001), 직업(χ²=30.19, p<.001) 및 경제상태(χ²=13.58, p=.009)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흡연(χ²=22.38, p<.001)과 스트레스 정도(χ²=22.75,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는 성별(t=6.81, p<.001), 연령(F=167.49, p<.001), 결혼여부(t=-11.12, p<.001), 교육수준(F=281.26, p<.001), 직업(F=58.14, p<.001) 및 경제상태(F=29.98,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음주여부(t=-9.51, p<.001), 흡연여부(t=-2.61, p=.009) 및 스트레스 인지(F=58.32,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는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 결식과 삶의 질은 순 상관관계이었고(rₛ=.12, p<0.01), 비만과 삶의 질은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rₛ=-.07, p<.001). 그러나 아침식사 결식과 비만은 상관관계가 없었다(rₛ=.01, p=.556).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만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아침식사 결식을 감소시키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아침식사 결식 감소는 물론 아침식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보다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대책 마련으로 궁극적인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한다 핵심어: 아침식사 결식, 비만, 삶의 질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the importance of eating breakfast in reducing the obesity and raising the quality of life by analysing correlation statistically among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degree of obesity and quality of life aimed at adults over the age of 20. From the 8,127 data of the Seventh Kora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perform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total of 5,067 adults who were responded to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sampled and analysed those secondary data using SPSS/WIN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Genaral/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50~60 aged female, college graduate or higher, manager/expert class, office worker, middle class economic status, high percentage of drinking, low smoking rate, low level stress covered the large part of study participants. Rate of skipping breakfast was 21.9%, BMI 34,3%, and average of EQ-5D was 0.94±0.11. 2. Test results of statistical depend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Gender(χ²=16.60, p<.001), age(χ²=851.40, p<.001), marital status (χ²=443.82, p<.001), educational standards (χ²=307.83, p<.001), occupation (χ²=249.56, p<.001), drink or not (χ²=50.70, p<.001), smoke or not (χ²=24.54, p<.001) and stress level(χ²=85.16,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3. Test results of statistical depend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obesity; Gender(χ²=53.41, p<.001), age(χ²=87.07, p<.001), marital status (χ²=54.44, p<.001), educational standards (χ²=56.55, p<.001), occupation (χ²=30.19, p<.001), economic status (χ²=13.58, p=.009), smoke or not (χ²=22.38, p<.001), stress level (χ²=22.75,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of obesity. 4. Test results of statistical depend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Gender(t=6.81, p<.001), age(F=167.49, p<.001), marital status(t=-11.12, p<.001), educational standards(F=281.26, p<.001), occupation(F=58.14, p<.001), economic status(F=29.98, p<.001), drink or not (t=-9.51, p<.001), smoke or not (t=-2.61, p=.009), recognition of stress (F=58.32,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life. 5. Results from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rₛ=.12, p<0.01) between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quality of life, on the contrary, negative correlation (rₛ=-.07, p<.001) between degree of obesity and quality of lif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degree of obesity(rₛ=.01, p=.556).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ducing the breakfast skipp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realizable and concrete action to encourage the eating breakfast must be taken. key words: breakfast skipping, obesity, quality of life

      • 중년여성 자원봉사활동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지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housewives in volunteer activities and to provide efficient management methods for more active and sustainable volunteer activitie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esearch examined how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affect participation intensity,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period of volunteer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263 female volunteer workers, aged between 35 and 60, who belong to various volunteer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social survey using survey questionnaire from April 27th to May 22nd in 2007. A frequency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tilized as data-analyzing methods by using a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for Service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of religion, participation type of volunteer activities, family support, sociality, social identity, education, relationship with clients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ppear to be influential elements in participation intensity of volunteer activities. Regarding this, volunteers with no religion than Buddhist volunteers; volunteers working as small groups than independent volunteers; and volunteers with stronger family support seem to participate more enthusiastically in volunteer activities. In addition, volunteers with relatively higher sociality and social identity; volunteers with higher satisfaction at education opportunities and education contents; and volunteers with better relationship with clients and colleagues appear to show more intense participation in their volunteer activities. Second, five factors such as age, housework sharing, gender-role attitude, education, and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seem to be influential in participation frequency of volunteer activities. As volunteers are older; a degree of housework sharing among volunteers' family members is higher; volunteers' gender-role attitude is more modern; a degree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opportunity and education contents is higher; and a degree of gratification by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is higher, volunteers' participation frequency seems to increase more. Third, participation dur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ppears to be affected by volunteers' age, family support, supervision and evaluation,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and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 As volunteers are older; volunteers' family members show stronger support; volunteers feel stronger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and evaluation,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regarding their volunteer work; volunteers have better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volunteer workers seem to participate in their activities long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in order to encourage more active and sustainable participation of middle aged women's volunteering activities. First, in order to help volunteers' family members recognize the value of volunteering various family volunteering program can be developed. Second, by providing diverse education opportunities for participants and by supporting different kinds of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more active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can be drawn. Third, more participation can be encouraged when volunteers have better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through social gathering. Fourth, when supervisors and related officials evaluate volunteers through constant interest, volunteers can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m, and this can result in continuous participation of volunteering. It is appeared that volunteer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is affect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especially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to encourage more active participation of middle-aged women in volunteering, development of various volunteer work programs and management methods is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 및 지속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이들의 특성을 알고, 이를 토대로 좀 더 적극적이며, 지속적인 자원봉사활동이 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적 요인, 가족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 조직 요인으로 구분하여 자원봉사활동 참여강도, 참여빈도, 참여기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 내 소재 자원봉사센터에 자원봉사자 회원으로 소속되어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35세에서 60세까지의 중년여성 263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07년 4월 27일부터 5월 22일까지 설문지에 의한 사회조사로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는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for Service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 참여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종교, 참여형태, 가족지지도, 사회성, 사회적 정체감, 교육, 대상자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의 변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교가 불교인 사람보다는 무교인 사람이, 개인 활동보다는 소모임(그룹)활동으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때, 그리고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들의 지지도가 클수록 자원봉사활동 참여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성과 사회적 정체감이 높을수록, 교육의 기회 제공과 내용에 대해 만족할수록, 그리고 대상자와 동료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원봉사활동 참여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참여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가사분담정도, 성역할태도, 교육, 인정 및 보상 등 5개의 변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가족들의 가사분담정도가 높을수록, 성역할태도에 대해 근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을수록, 교육의 기회 제공이나 내용에 대해 만족할수록, 그리고 자원봉사활동의 인정 및 보상에 대해 만족할수록 자원봉사활동 참여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자원봉사활동 참여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가족지지도, 지도감독 및 평가, 인정 및 보상, 담당자와의 관계 등 5개의 변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들이 지지도가 클수록, 그리고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지도감독·평가, 인정·보상이 만족스러울수록, 담당자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원봉사활동 참여기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자원봉사자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가족구성원에게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을 높여주기 위해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가족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개발한다. 둘째, 참여 대상자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교육 기회의 제공과 다양한 형태의 보상·인정을 지원함으로써 자원봉사활동을 보다 활발하게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원봉사자 친목 모임의 지원을 통해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원만해지며, 또한 사회성이 발달하여 자원봉사활동을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담당자는 자원봉사자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활동에 대한 평가를 해줌으로써 담당자와의 관계가 원만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자원봉사활동을 이끌어 갈 수 있다. 중년여성은 개인의 일반적 특성 외에 가족이나 사회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조직에서의 관리정도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중년여성의 활발한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위해 이들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과 관리방안의 개발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 保健所 禁煙클리닉에서 提供되는 藥物療法의 比較 分析

        정지애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금연사업은 많은 예산과 시간이 투자되는 사업으로 사업결과뿐만 아니라 비용효과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6년 “ㅈ"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한 흡연자에게 제공되는 금연 서비스 자료를 비교 평가하여 비용효과적인 금연 서비스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6년 1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ㅈ”구보건소 금연클리닉에 등록한 지역흡연자 968명중 서비스 결과 판정 없이 등록 마감된 경우와 상담횟수가 3회 이하인 경우 148명을 제외한 8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820명을 대상으로 흡연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방법의 실태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련된 금연 성공 요인을 분석하였고, 금연 성공자와 실패자 523명을 대상으로 금연 성공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서비스방법에 따른 금연 성공률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약물요법 대상자 751명을 대상으로 니코틴의존도에 따른 약물요법의 금연성공률과 약물요법에 따른 소비비용 및 금연 성공집단에서의 1일 소비비용을 분석하였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에서 제공되는 금연 서비스방법은 니코틴패치 사용에 매우 편중되어 있었다. 금연 성공에는 상담횟수와 금연 시도 여부가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서비스방법에 따른 금연성공은 상담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약물요법의 금연 성공 빈도는 부프로피온군이 가장 높았으며 니코틴 의존도에 따른 금연 성공 비교에서도 니코틴 의존가 높은 때는 부프로피온 사용 또는 부프로피온과 니코틴패치 혼합 사용이 금연 성공을 높게 하였다. 하지만, 소비비용을 비교하였을 때 부프로피온군의 금연성공은 저비용(0~68,079원)이 소비되고 1일 소비비용(389.8원)도 낮았다. 반면 부프로피온과 니코틴패치 혼합 사용군은 고비용(68,467원~252,258원)이 소비되고 1일 소비비용(591.8원)도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므로 부프로피온과 니코틴패치 혼합 사용은 비용면에서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니코틴 의존도가 높은 경우에는 부프로피온을 사용하거나 부프로피온과 니코틴패치를 혼합 사용하여 금연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1일 소비비용은 부프로피온 사용에 비해 부프로피온과 니코틴패치 혼합사용이 더 높기 때문에 니코틴 의존도가 높은 흡연자는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부프로피온의 사용이 금연을 성공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It is necessary to be analyzed the results and cost-effectivenes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 of a community health center, which is required a huge budget and time. This study, focusing on the registered smokers of 'J' community health center of Seoul in 2006, was conducted to bring up cost-effective methods of smoking cessation service. Among 968 smokers registered from January 2 to December 31. 2006, 820 smokers were the target of analysis, except for 148 smokers who were under 3 times of counseling and stopped treatment in the curing program.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states of smoking cessation clinic service and socio-dermographic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The chief elements of smoking cessation sucess and the distinctions of success ratio by the different curing methods were analyzed for 523 smokers. Cost-effectiveness of pharmacotherapy was analyzed by the differences of success ratio in connection with nicotine dependence, the cost needed for pharmacotherapy, and the spending cost per day of a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group, among 751 smokers undergoing the pharmacotherapy. The treatment methods of smoking cessation clinic of a community health center was emphasis on nicotine patch. The elements of sucess were dependant on the number of counseling times and the attempts at smoking cessation. The success frequency of smoking cessation was high in the counseling group. The success frequency for pharmacotherapy, the bupropion group have a high success ratio. Comparison of success ratio of the smoking cessation related to nicotine dependence, the smokers of high nicotine dependence have a high success ratio of smoking cessation in the bupropion group or the combined treatment group of bupropion-nicotine patch. However, in analysis of spending cost, bupropion had a high success ratio in the low cost group(₩0 ~ 68,079) and spending cost per day(₩389.8), but in the combined treatment group of bupropion-nicotine patch had high cost group (₩68,467 ~ 252,258) and spending cost per day(₩591.8). So, the combined treatment group of bupropion-nicotine patch was not effective in the point of the cost. In case of high nicotine dependence, both the bupropion group and bupropion-nicotine patch group have a high ratio of sucess. But the spending cost per day of bupropion treatment with nicotine patch was higher than that of bupropion alone. And so in case of high nicotine dependence, the use of bupropion was much cost-effective method for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 아동의 그림과 정서가 만나는 미술치료교육 경험탐구

        정지애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술전공자로서 미술교육과 미술치료의 합일점에 대한 고민을 해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미술교육과 치료의 합일점에 대한 해명을 위해 두 아동과의 미술교육에 미술치료적 기법과 치료자의 자세로 만난 경험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자는 미술학원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에게 미술치료 수업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2명의 아동을 목적 표집을 하여 2022년 4월 6일부터 5월 18일까지 총 12회기에 걸쳐서 미술교육과 치료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두 아동과 함께한 미술치료 수업 경험으로 알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기법과 함께한 미술 수업 경험은 무엇인가? 둘째, 미술치료기법과 함께한 미술 수업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12회의 과정은 미술의 기교와 향상도 있었으나 아동의 정서를 만나고 정서 표현의 자유와 경험이 야기되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수업의 경험 이야기를 바탕으로 도출된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의 완성도 보다 아동들과 그들의 감정을 만났다. 둘째, 치료자는 감정을 끄집어내어야 한다는 반성이 야기되었다. 셋째, 그림은 정서를 표현하고 표현의 자존감을 가지는 계기였다. 연구에서 아동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미술작업을 통해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미술치료의 치유성과 긍정적 표현으로 내적의 힘을 키우는 성장을 경험 탐색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미술교육 수업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던 학습된 기능적 능력이 아닌 감정을 다루는 미술치료 수업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자기표현을 통한 정서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아동들이 감정을 다루는 것은, 아주 소중하고 중요한 요소이다. 거기에서 ‘나’와 마주하고 알아가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싶다. An inquirer who majored the art began with this inquiry to explain the concern about the unity between art education and therapy. This inquiry explored the experience of the art therapy techniques and a therapist’s attitude to teaching art with two children.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classe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art academy classes before, the therapist invited two children and executed twelve teaching art and therapeutic sessions in parallel from April 6 to May 18, 2022. The inquiry questions, the therapist tried to figure out, were as follows. First, what was the experience in the art class with the art therapy techniques? Second, what was the significance of the class experience with the techniques? In the course of all sessions, there was expressed art skills and improvement, but the inquirer felt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d their expressing emotions freely. The meanings of experiences derived from the therapy class experience were as follows. First, the therapist could met them and encounter their emotions rather than requesting to complete their pictures. Second, the therapist reflected that the therapist should bring out their emotions. Third, the painting was an opportunity to express emotions and have the self-esteem of expression. It is meaningful to examine what children experienced in the therapy classes; changing the perception of teaching art through creating artwork, the growth of nurturing inner strength through healing, and the positive expression of the art therapy. In this process, the inquir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art therapy class that handled their emotions instead of promoting their functional ability, which positioning a large part of the art teaching, and their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self-expression. Finally, the therapist wished to attach importance to meeting and knowing herself.

      • 대학취업센터 상담자의 소명,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 작업동맹 간의 관계

        정지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취업센터 상담자의 소명,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 작업동맹은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상담자의 소명과 작업동맹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상담자의 소명과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전국 대학취업센터에서 진로상담을 담당하는 상담자 110명과 내담자 208명을 대상으로 208쌍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 하였다. 자료분석은 Windows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소명,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 동맹,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담자의 소명과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은 유의미한 정적상 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상담자의 소명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 상담자의 소명과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과 내담자의 작업동맹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상담자의 소명과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의 관계를 살펴보기위해 소명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두고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담자의 소명은 상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변량의 25%를 설명하였다. 소명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친사회적 성향, 목적/의미, 초월적 부름 순으로 나타났다. 상담자의 소명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소명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두고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을 종속변 인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담자의 소명은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변량의 7%를 설명하였다. 소명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초월적 부름, 친사회적 성향, 목적/의미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자의 소명과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소명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두고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을 종속변인 으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담자의 소명은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 변량의 8%를 설명하였다. 소명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초월적 부름, 친사회적 성향, 목적/의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과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을 독립변인으로 두고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을 종속변인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담자의 상담자 지각은 내담자가 지각한 작업동맹 변량의 53%를 설명하였다. 상담자 지각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신뢰도, 전문성, 호감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calling of the university career center counselor,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 and working alliance. In order to solve the purpose, the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which is relationship between the calling of counselor and working alliance? Second, which is relationship between the calling of counselor and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 Third, which is relationship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 and working aliance percieved by client?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208 counselor-client dyads which is from 110 counselors and 208 clients at university career center. The data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Windows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ounselor’s calling, it was the correlation between counselor’s calling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ounselor was positive. Also, correlation between counselor’s calling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ent was positive. Then, the correlation between counselor’s calling and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 was positive. In addition to the correlation between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 and between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ent. Moreover, the correlation between client perceptions f counselor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ent was positive. Second, it was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calling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ounselor. In the model, Counselor’s calling factors were independent variables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ounselor was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counselor's calling had positive effect on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ounselor, which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was 25 percents. Prosocial orient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ranscendent summons and purpose/meaning in counselor’s calling. In addition to, it was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calling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ent. In the model, Counselor’s calling w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ent w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mulitiple regression analysis, counselor’s calling had positive effect of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ent, which explanatory power was 7 percents. Transcendent summons was more drrective than purpose/meaning and prosocial orientation in counselor’s calling factors. Third, it was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calling and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s. In the model, Counselor’s calling factors were independent variables and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s was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counselor’s calling had positive effect on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 which explanatory power was 8 percents. Transcendent summons was more drrective than purpose/meaning and prosocial orientation in counselor’s calling. Fourth, it was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s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ent. In the model,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s were independent variables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client was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s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 had positive effect on working alliance percieved by client, which explanatory power was 52 percents. The relative effects of client perceptions of counselor factors were in order of trustworthiness, expertness, attractiveness.

      • 열린교육방법과 아동의 인성특성과의 관계

        정지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 open education method affect (1) personality characteristics - achievement, friendliness, aggressiveness, dominance, and autonomy- and (2)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n a different way as compared to a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or not.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Study Question 1. Whether a group receiving the open education method is different from a group receiving group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in terms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r not? Specifically, whether a group receiving the open education method is different as compared to a group receiving group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in terms of achievement, friendliness, aggressiveness, dominance, and autonomy or not? Study Question 2. Whether a group receiving the open education method is different as compared to a group receiving group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in terms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or not? Specifically, whether a group receiving the open education method is different as compared to a group receiving group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in terms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that is, school activities and classes which the students are satisfied with.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the current study reviewed not only the definitions of open education and its theoretical backgrounds but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open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a test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400 elementary students. 200 elementary students were selected from 5 classes in a S public elementary school using open education methods and the other 200 elementary students from 5 classes in a H public elementary school using traditional education methods. However, data from 372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and cronbach α was calculated as a reliability index and t-test was used in order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group receiving the open education method (M=19.02)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s compared to the group receiving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M=17.38) at the level of 0.0001. The result suggested that open education group got more confidence and motivation because the open education method fostered student's interests, and self-govern attitude. 2. The group receiving the open education method (M=20.27) did not show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friendliness as compared to the group receiving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M=19,67) (α=0.095).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formulation of positive self image is hindered because excessive competition owing to the entrance exam oriented education in our society is dominant and the objective evaluation of each individual student's performance is emphasized in the elementary school. 3. The group receiving the open education method (M=15.82) did not show a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aggressiveness as compared to the group receiving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M=16.59) (α=0.070). Considering that the study used 4-6 grade students as a subject, experience of 2-4 year open education was not sufficient to decrease level of aggressiveness accumulated during the past 4-6 year traditional education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open education. 4. The group receiving the open education method (M=15.61)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ominance as compared to the group receiving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M=14.23) at the level of 0.0001. The result suggested that open education allows students to study actively rather than passively and persuade other students because they can choose learning activity and solve the problem by themselves. 5. The group receiving the open education method (M=19.95)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group autonomy as compared to the group receiving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M=18.85) at the level of 0.003.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emphasis of each individual's interests, attitude and aptitude in open education allows students to make learning plan and solve the problem freely. sig 6. 45% of students receiving the open education method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42.1% of students receiving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of education. Based on aforementioned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at open education in school setting may influence the personality factors-achievement, dominance, and autonomy- of students. Therefore, open education can play a great role in giving a help to children to get a confidence and grow with a self-ruling attitude or responsibility as a independent human being during the childhood in which critical personality developments occur. 본 연구에서는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과 전통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과 비교해서 성취감, 친애성, 공격성, 지배성, 자율성을 중심으로 인성측실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학교생활에서의 교육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과 전통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에 있어 인성특성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을 것인가? 즉,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과 전통적인 방법을 적용한 집단에 있어 성취감, 친애성 공격성, 지배성, 자율성과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2. 열린교육방법과 전통교육방법을 적용한 두 집단에 있어 교육만족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즉, 열린교육방법과 전통교육방법을 적용한 두 집단의 현재 학교생활에 대한 교육만족도, 만족하는 활동시간, 만족하는 수업과 불만족스러운 활동과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론적인 근거로서 열린교육의 정의와 열린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고, 학교교육방법의 인성과 열린교육과의 관계를 알아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열린교육방법을 2년 이상 실시하고 있는 공립 S초등학교 5개반 200명과 전통교육방법을 실시하고 있는 H초등학교 5개반 20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최종적 372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자료의 신뢰도 측정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두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유의성을 t 검증을 통해 살펴 보았다. 이에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성취감의 평균 19.02와 전통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성취감의 평균 17.38로서 두 평균차의 검증 결과 유의도 p= .000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아동들이 흥미와 자율적인 태도를 존중하면서 다양한 학습활동의 분위기로 해서 자신감과 의욕을 갖게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친애성의 평균 20.27와 전통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친애성의 평균 19.67로서 두 평균차의 검증 결과 유의도 p= .095로 의미없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직까지 입시위주의 지식편중이 원인으로 초등학교에서부터 아동 개개인간에 객관적인 평가에 더 많은 비중을 두므로 바람직한 자아상을 형성하는데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지나친 경쟁의식이 자리잡고 있는 사회적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공격성의 평균 15.82로 전통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공격성의 평균 16.59로서 두 평균차의 검증 결과 유의도 p= .070으로 의미없는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4-6학년은 열린교육의 수업을 받기 이전에 이미 2-4년간 전통교육을 받은 까닭에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한 2년이 공격성을 크게 감소시키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지배성의 평균 15.61과 전통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지배성의 평균 14.23으로서 두 평균차의 검증 결과 유의도 p= .000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열린교육방법의 수업을 받은 아동들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며, 선택학습활동을 통하여 공부를 억지로 시키는 것보다는 스스로 찾아내고 자기가 주도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되므로 의견의 정당성을 상대방에게 설득시키려면 학습자의 활동에 강력한 의지력이 작용하는데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 다섯째,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자율성의 평균 19.95와 전통교육방법을 적용한 집단의 자율성의 평균 18.85로서 두 평균차의 검증 결과 유의도 p= .003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열린교육방법의 수업을 받은 아동들은 개성이나 요구·흥미·태도 등 개인차를 고려하여 스스로 학습계획을 세우고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게 한 결과이다. 여섯째, 현재 학교생활에 대한 교육만족도는 열린교육의 수업을 받은 아동들이 59.4%로 전통교육의 수업을 받은 아동들 42.1% 보다 만족도가 높다. 또한 학교생활에서 만족하는 활동은 어린이회의나 클럽활동시간으로 전통교육의 수업을 받은 아동들이 만족도가 높다. 그러나 짧은 기간의 열린교육의 실시로, 아직도 아동들은 자유롭고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노는 시간 즉, 점심·휴식시간·방과 후의 시간을 원하고 있다. 또 학교생활에서의 만족스러운 수업이 두 집단 모두가 수업 중에 열린교육의 수업형태인 다양한 선택과제를 할 때와 교과서 이외에 다른 자료를 사용할 때, 나의 의견을 말할 기회가 많을 때의 순으로 만족스러운 수업을 보였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학교생활에서 불만스러운 활동으로 조별수업시 자기 의견만 주장하든가, 서로 미루어 치우게 될 때, 다른 조의 소리가 방해될 때에 불만도가 높으며, 열린교육의 수업에서 2년의 짧은 열린방법으로의 실시로 아직 남에게 피해주지 않는 기본질서와 자율적인 책임학습이 배여 들지 않은 결과이다. 또 전통교육의 수업을 받은 아동들이 교사 수준대로 무조건 따라야 할 때와 교과서 위주의 설명에 대하여 잦은 질문에 답하는 전통교육에 불만도가 약 37%를 차지함에서 매우 큰 불만이 됨을 알 수 있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에서 시사하는 바는 학교장면에서 아동들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서는 열린교육방법을 적용하여 인성변인 즉, 성취감과 지배성·자율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인생에 있어서 인격발달에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는 아동기에 성취감을 갖고서 자기에 대한 책임을 부여한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존재로 성장하는데 열린교육방법이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