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위 쇄골 골절의 보존적 치료 후 발생한 불유합의 관련 인자

        정재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63

        보존적 요법을 시행한 원위 쇄골 골절 환자의 치료 결과 및 불유합과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순 방사선 사진을 통해 Neer 분류, 오구 쇄골간 거리, 초기 전위 및 분쇄 여부, 골유합 여부를 알아보았다. 임상적 결과 판정을 위해 최종 추시 시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UCLA) 점수,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ASES) 점수 및 Subjective Shoulder Value(SSV)를 측정하였다. 불유합이 6예에서 발생하였으며, 증상이 없는 불유합이 3예였다. 유합 군이 불유합 군보다 최종 추시 시 평균 UCLA, ASES, SSV 점수가 더 높았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고령 및 수상 당시 오구 쇄골간 거리가 길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불유합의 빈도가 높았다. 원위 쇄골 골절의 보존적 치료 후 만족할 만한 중기 추시 임상적 결과를 보였으며, 고령 및 수상 당시 오구 쇄골간 거리가 길었던 경우에 불유합이 잘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and to analyze associated factors of nonunion after conservative management in patients with distal clavicle fracture. We analyzed the 29 cases. Neer type, coracoclavicular distance, initial displacement, comminution, union, and presence of bony union were evaluated by plain radiographs. Clinical outcomes according to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and Subjective Shoulder Value (SSV) scores were assessed. Six cases had developed nonunion. Three cases had asymptomatic nonunion. Mean UCLA, ASES, SSV scores in the union group were more higher than in the nonunion group. Although the non-union group had inferior clinical outcomes than the uni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lder age and more coracoclavicular distance correlated with nonunion. Conservative management of distal clavicle fractures provided satisfactory clinical outcomes. Occurrence of nonunion correlated with older age and more coracoclavicular distance.

      • 육군 상담활동의 실태 및 상담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정재훈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병사들이 인식하는 군상담 실태를 파악하고 병사들의 군상담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군상담이 병사들에게 보다 많은 관심과 지지를 제공해야하는 시기와 영역을 확인하여 군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문제는 첫째, 육군의 상담활동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병사들이 희망하는 상담의 요구 및 내용은 무엇인가? 셋째, 군상담의 개선을 위한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의 세 가지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지역에 있는 3개 부대에 병사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병사들이 인식하는 군상담의 실태와 병사들의 군상담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 최훈일(2007)의 "병사들이 인식하는 군상담의 실태 및 상담에 대한 요구 설문지"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사들이 인식하는 군상담 실태를 살펴보면, 병사의 입대전 상담자는 친구가 가장 높고, 그 상담자를 선택한 이유는 부담없이 편하게 얘기할 수 있을 것 같아서이다. 군생활중 상담자는 동기생이 가장 높다. 부대내 상담실과 상담전문가의 존재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군생활 중 상담경험 시기는 자대배치후 100일 휴가전이 가장 높고 상담계기는 간부가 불러서가 가장 높았다. 상담받은 내용은 부대생활 적응이 가장 높았으며, 상담받은 내용의 효과면에서 약간 도움이 되었다가 가장 높았다. 상담 받은 내용이 긍정적 효과인 이유에 대해서는 부대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어서가 높았으며, 상담받은 내용이 부정적 효과인 이유에 대해서는 문제해결이 안되어서가 가장 높았다. 상담시 불편했던 사항은 선임병과 동료들이 의식되어서가 가장 높았다. 둘째, 병사들의 군상담 요구에 대해 살펴보면, 병사가 가장 고민하고 있는 내용은 전역후 진로문제가 가장 높았으며, 부대생활 적응, 신체 및 건강상태, 상관 및 선임병과의 관계, 이성문제와 가정문제순으로 나타났다. 군생활중 상담요구로는 없다가 가장 높고 있다와 생각해 보지않았다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담받고 싶은 상담자는 동기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친구, 전문상담관, 소대장/ 중대장, 선임병, 분대장, 부모님순으로 나타났으며 상담자를 선택한 이유는 부담없이 편하게 얘기할 수 있을 것 같아서가 가장 높았으며, 나를 잘 이해해 줄 것 같아서, 문제를 잘 해결해 줄 것 같아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담받고 싶지 않은 이유는 현실적 도움이 되지 않아서가 가장 높았으며, 비밀이 보장되지 않아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희망하는 상담의 형태는 1:1 개인상담이, 같은 문제를 가진 사람들끼리의 집단상담순으로 나타났다. 군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전체적으로 보면, 비밀보장의 문제, 상담자의 전문성, 간부들의 상담에 대한 중요성 인식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time and the field to give a lot of concerns and supports to army soldiers and to provide informations for army counseling through investigating ab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for counseling. There are 3 subjects in this study. First, how the actual conditions is. Second, What the needs and the contents that the soldiers want is. Third, what the right way to improve army counseling is. Study subjects are 307 soldiers at 3 units in KangWon Do. Research instrument is 'the actual conditions and needs for army counseling soldiers understanding' that is consist of the actual conditions that soldiers knowing and needs for army counseling of soldier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the actual conditions that soldiers knowing, the counselor before entering the armed service is friends the most. Because they seem to talk comfortably. The counselor in service is the comrade the most. They recognize about the counseling dapartment and an expert for counseling. The time of counseling is by 100 days after arranged in their branch for service. The reason to counsel is because of their a chief asked. The contents of counseling is adjustment for army life and it helped a little. The positive effect of counseling is that it helped their life adjust, the negative effect of counseling is that it can't solve the problem. The discomfort part of counseling is that a senior officer and collage know it. Second, about the needs for army counseling, the source of trouble is the life way after armed service the most. Next is adjustment for army life, body and health, relationship with a senior officer and a upper officer, girlfriend, and home problems. About the needs for counseling, nothing is the most, next are 'exist' and 'haven't thought'. The best counselor that they want is a collage, next are friends, a expert, a command, a senior officer, a squad leader, parents. The best reason of choice is that they can say the problems to collages, next they can understand them well and they can solve the problems. The best reason that they don't want is it can't helped to them, next are that it don't be secured the secret. The hoping type for counseling is an individual counseling, next is a group counseling with same problems. The best way for revitalization of the army counseling is to keep the secret, next are a speciality of counseling, the perception of senior officers about counseling.

      • 유도수업적용이 수업참여요인, 체육교과만족, 신체활동가치 및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정재훈 우석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Abstract The Effect of Judo class on factor in class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value of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health. Jae-Hun, Jung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Major Advisor : Hyun-Chul, Cho, Ph.D This study aims to find out participation causes of physical education,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value of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itness for middle school student dependent on Judo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135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llabuk-do and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for the study were revised one of them which was adapted by Yu(1999) was originally developed by McAuiey et al(1991) to ask inner motives of physical education. Another one was used to fit for research questions by Kim(1987), Lee(1993), Kim(2001), Kang(2001) and Kim(2002). The other one was used for physical activities(health, challenge, competition and expressions) by Lee(1992) and Kim(2008) after executing examinations about reliability and propriety. Healthy fitness was assesse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in middle school student physical fitness system. This study was performed cording work and analyzed the data by SPSS 20.0 program.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executed f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rom the data. Seco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samples t-test were used for healthy fitness alteration rely on gender and type of physical education. Third, one-way ANOVA analysis was performed. Fort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xecuted to understand effect of class participation factor o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atisfaction and physical activity valu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articipation motives and curriculum usefulness according to typ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p<.001).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s sub-factor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atisfaction according to form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showed more significantl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n Judo class(p<.001). The satisfaction difference of physical activity value was proposed significantl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an Judo class it were health satisfaction (p<.01), challenge satisfaction (p<.001) and competition satisfaction (p<.001). Participation factors depending on the type of class affect the test results for the F value of 15.557 to be analyz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1),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class type F value of 7.077 for the factors involved in effect of the interaction showed a significant (p<.01).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class affect the test results for the F value of 8.173 to be analyz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1),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class type F value of 5.367 for the factors involved in effect of the interaction showed a significant (p<.01). Physical activity value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class affect the test results for the F value of 10.847 to be analyz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1),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class type F value of 8.955 for the factors involved in effect of the interaction showed a significant (p<.01). It was showed a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in physical activity value satisfaction as sub-factors of participation factor on its relative influence, teacher instruction(ß=.333, p<.05). It was showed a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in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atisfaction as sub-factors of participation factor on its relative influence, teacher instruction(ß=.442, p<.01). It was showed a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in physical activity value satisfaction as sub-factor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atisfaction on its relative influence, learning content satisfaction(ß=.855, p<.001). Cardiovascular endurance of health fitness was more higher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an in Judo class(p<.001), on the other hand grip strength(both the left and right) were more higher in Judo class(p<.001, p<.01). Cardiovascular endurance of middle school boys were more higher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an in Judo class(p<.001), while hand grip strength(both the left and right) were more higher in Judo class(p<.001, p<.01). Cardiovascular endurance of middle school girls were more higher in physical education class(p<.001) than in Judo class, while hand grip strength(both the left and right) were more higher in Judo class than in physical education class(p<.001, p<.05). These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Judo for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depend on physical activities with the 7th amendment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conclusion,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study would like to further research suggestions. Factors involved in this study only were analyzed totally without individual student’s opinion. Therefore this study is difficult that all Judo class to generalize. These tentative conclusions await further refinement and correction in the light of further research.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it should be interviewing students and teachers how to recognize for Judo class. It will be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f these points are examined because it is not clearly established Judo class operating and evaluating system. 국문초록 유도수업적용이 수업참여요인, 체육교과만족, 신체활동가치 및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전공 정재훈 지도교수 조현철 본 연구는 중학생의 유도수업과 일반체육수업을 적용한 학교별 학생들의 참여요인, 체육교과만족, 신체활동가치 및 건강 체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설문 및 측정은 중학생 총 1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도수업과 일반체육수업 인식도에 대해서는 McAuiey, E., Wraith, S., & Duncan, T. E.(1991)가 개발하고 유생열(1999)이 번안한 체육수업의 내적동기 설문지, 김낙현(2001)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 연구, 김영택(1987)의 체육수업에 관한 남·여 고등학생들의 의식구조 조사연구와 이강청(1993)의 남·여 고등학생의 체육학습에 대한 관심도 조사연구의 설문지를 수정 보완한 김낙현(2001)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도 연구와 강인표(2001)의 체육수업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도 조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김민우(2002)의 고등학생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도 연구가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신체활동가치 변인은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건강, 도전, 경쟁만족도에 관해서는 이종길(1992)과 김현우(2008)의 설문항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조사하였다. 건강 체력은 학교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학생체력시스템을 이용하여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를 위하여 회수된 설문지를 통계처리 할 수 있도록 코딩작업을 실시하고, 입력된 데이터는 SPSS(ver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사항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둘째 성별과 체육수업형태에 따른 체력변화를 알아 보기위해 독립표본 t검증(t-test)과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셋째 성별, 학년 체육수업형태에 따른 참여요인, 체육교과만족, 신체활동가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참여요인이 체육교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참여요인이 신체활동가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및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육수업형태에 따른 참여요인의 하위요인 참여 동기와 교과효용성에서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체육수업형태에 따른 체육교과만족의 하위요인 학습만족요인과 평가만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만족에서 일반체육수업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체육수업형태에 따른 신체활동가치 만족도의 차이는 건강만족(p<.01), 도전 만족(p<.001), 경쟁만족(p<.001)로 일반체육수업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업형태에 따라 참여요인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검정결과 F값이 15.557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p<.001), 성별과 수업형태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F값은 7.077로 참여요인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수업형태에 따라 체육교과만족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검정결과 F값이 8.173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p<.01), 성별과 수업형태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F값은 5.367로 체육교과만족 요인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수업형태에 따라 신체활동가치 만족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검정결과 F값이 10.847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p<.001), 성별과 수업형태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F값은 8.955로 신체활동가치 만족요인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참여요인의 하위요인들이 신체활동가치 만족영역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사지도(ß=.333, p<.05)에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요인의 하위요인들이 체육교과만족영역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사지도(ß=.442, p<.01)에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교과만족의 하위요인들이 신체활동가치 만족영역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면, 학습내용만족(ß=.855 p<.001)에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체력 중 심폐지구력은 일반체육수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1), 반면 악력(좌)에서는 유도수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1), 악력(우)에서도 유도수업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1). 남학생의 심폐지구력은 일반체육수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1), 반면 악력(좌)에서는 유도수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1), 악력(우)에서도 유도수업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여학생의 심폐지구력은 일반체육수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1), 반면 악력(좌)에서는 유도수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1), 악력(우)에서도 유도수업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이와 같은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본 연구는 유도수업과 일반체육수업이 참여요인, 체육교과만족, 신체활동가치 만족도 및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제7차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안에 따른 신체활동가치중심의 체육수업을 위한 투기도전활동(유도) 적용가능성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통해 체육수업내용에 따라 참여요인과 체육교과만족, 신체활동가치 만족도 및 건강 체력을 규명해 보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참여요인과 체육교과만족, 신체활동가치 및 건강 체력에 대한 자료는 전체적인 의견만 분석됐을 뿐 학생 개개인의 유도수업에 대한 자세한 의견은 조사되지 못하였으며, 본 연구 유도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자료만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질적 연구를 통한 학생들의 유도수업의식과 일반체육수업의식, 유도수업을 직접 실시하고 있는 체육교사의 의식에 대한 연구, 그리고 유도수업과정 중 문제점과 제한요인에 대해서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아직 현행체육수업 종목에 비해 유도수업운영과 평가체계가 명확하게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을 조사한다면 한층 폭넓고 다양한 연구가 될 것이다.

      • 해양성 메탄올 산화세균 Methylophaga sp. MP에서 메탄올 산화에 관여하는 mxaF 유전자의 클로닝

        정재훈 조선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mxaF gene encoding the large subunit of methanol dehydrogenase(MDH) was cloned from a marine methylotroph Methylophaga sp. MP. The gene was smplified from the Methylophaga chromosomal DNA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using a pair of conserved sequences in MDH as primers. A 537 bp PCR product in size was cloned into TOPO-cloning vector and the nucleotide sequence was determined. The calculated GC content was 43.99%. However, 14 kinds of codons including AGA and AGG were not found within the open reading frame of the sequenced mxaF gene. It was revealed by the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that there was about 49% homology, comparing to those from 16 methanotrophs and methylotrophs. The allgned amino acid sequences showed that several key amino acids (asparagine 287, aspartate 327, arginine 357, and asparagine 420) required for the enzyme activity were located at the active site of MDH, as commonly found in soll methylotrophic bacteria. The tryptophan docking motlfs corresponding to W4 and W5 were also found in the residues 282 to 292 and 337 to 347, respectively. It was confirmed by Southern blot analysis that the cloned mxaF gene was located in chromosomal DNA of the marine methylotroph Methylophaga sp-MP in a single copy. In addition, the mxaF gene could hybridize to 14 kb of EcoRⅠ, 9.4 kb and 5.6 kb of HindⅢ, 7.0 kb and 3.8 kb of PstⅠ, and 7.0 kb of ClaⅠ fragment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DH gene cluster might be located in chromosomal DNA of Methylophaga sp. MP as a gene clus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xaF gene is also highly conserved in marine methylotrophic bacterium.

      • 이회성 초기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성 고찰

        정재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회성 초기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성 고찰 정재훈 국어국문학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이회성 초기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일 조선인의 발생 조건과 이들이 일본 사회로부터 받는 차별과 배제가 이미 한일합방 이전에 일제에 의해 생성된 오리엔탈리즘 세계관에서 나온 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회성의 초기 소설을 통해 재일 조선인의 재일 인식의 과도기적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간 완결된 민족적 정체성의 표본으로 평가되던 이회성 문학 연구에 새로운 시도를 불어넣기 위함이다. 또한 그동안 작품 내적 연구에만 치중되어 등한시해 온 역사적 사실을, 근거 자료를 통해 밝혀냄으로써 작품 연구에 보다 다양한 측면을 보려고 시도하였다. 재일 조선인 문학은 일제의 식민지배라는 역사적 조건에서 발생한 디아스포라 문학으로, 재미 한인 문학,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 재중 조선족 문학과 함께 한민족 문화권의 문학 내에 자리 잡고 있다. 재일 조선인 문학의 주체인 재일 조선인은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의 소산이며, 일본의 가혹한 이민족지배를 가장 예리한 형태로 체현하는, 살아있는 역사의 증인이다. 그리고 현재에도 여전히 일부 재일 조선인들은 자신의 본래 이름을 숨기면서 살아가고 있다. 이들은 일본 사회 내에서 타자, 소수로 살아가며 끊임없이 자기 검열, 자기 부정에 시달리는 피억압적 존재라 할 수 있다. 작가 이회성은 재일 조선인 2세대 작가로서 동세대 작가들 중에서 민족적 정체성을 가장 강하게 의식한 작가로 평가되어 왔다. 자전적 요소가 강한 재일 조선인 문학에서 이회성 또한 자신의 경험 등을 바탕으로 소설을 창작하였다. 그의 초기 소설에는 주로 청소년기에 접어든 재일 조선인 2세대 인물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이제 막 일본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시기이거나, 민족교육을 받지 못해 여전히 일본인과 비슷한 사고를 가진 인물이다. 주목할 점은 이들 인물들이 스스로 재일 조선인임을 인식하는 과정이 피식민 역사의 흔적을 발견하면서 시작된다는 데에 있다. 즉 일본 사회 내에서 ‘조센’ 즉, ‘조선인’이라는 표상과 그에 따른 차별 등이 작품에 드러나기 때문이다. 자전적 구성이라는 창작 방식을 통해 드러나는 작중 인물의 재일 인식 과정은 곧 작가의 재일 인식과도 연관된다. 본고는 이러한 재일 인식의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그동안 이회성 연구에서 간과된 민족적 정체성의 과도기적 성격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2세대 재일 조선인의 민족적 정체성은 정주성과 연관되어 매우 유동적으로 나아간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것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조선인과 일본인의 관계가 전복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일제 식민지배 때부터 형성되어 유포된 부정적 조선인 상에 대해 의문을 갖고, 이에 대해 부정하거나, 극복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식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관계 전복은 과거 식민 종주국과 피식민 민족이라는 불평등한 관계가 현재 재일 조선인에게도 적용되는 측면을 부각함과 동시에,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민족의 과업인 통일 조국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회성 초기 소설에서 통일 조국은 재일 조선인의 긍정적인 삶을 위해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로 인식된다. 특히 이것은 작품들 곳곳에 배치되는데, 작가는 이 문제를 재일 조선인 개인과 사회, 그리고 조국을 모두 포괄하여 민족의 공통된 과제라는 점이라고 인식함으로써 식민지배에 의한 작금의 분단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Examination of Decoloniality Revealed in the Early Novels of Lee Hoe Seong Jeong Jae Ho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loniality revealed in the early novels of Lee Hoe Seong. It is going to examine the point that the occurrence conditions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eir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from the Japanese society already came from the world view of Orientalism created by the Japanese Empire before Korean-Japan Annex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early novels of Lee Hoe Seong, the examination of the transitional course of the recognition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through the early novels of Lee Hoe Seong is to give a new trial about the literary research of Lee Hoe Seong evaluated as a model of national identity completed during that time. In addition, the historical facts ignored from the focus on the internal research on works in the past were revealed to see various aspects of work research.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the Diaspora literature which was generated from the historical condition called the Japanese colonial rule settled down within the literature of the cultural area of the Korean race along with that of the Korean residents in America, that of those in Central Asia and that of those and that of those in China.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as the main body of the literature of those are the product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Korea and the living historical witnesses to embody the severe different race’s rule by Japan as a sharp type. Furthermore, even at present some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still hide their original names for living. They live as minorities in the Japanese society and can be considered to be suppressed existence who is suffering from consistent self-inspection and self-denial. Author, Lee Hoe Seong as the sencond generation author of the Korean resident in Japan has been evaluated as an author who has the strongest consciousness of the national identity among the contemporary authors. In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ith the strong autobiographical factor, Lee Hoe Seong also created novels based on his own experiences. In his early novels, mainly the send generation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in the early adolescence appears and they just entered the Japanese society or still has a similar way of thinking with Japanese due to no national education. What to be careful is that the course of their recognition as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starts from the discovery of the colonized historical trace. Namely, it is because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symbol called ‘Joseon’, that is to say, ‘Korean resident in Japan’ in the Japanese society is revealed in his works. The course of the character in the works to recognize the Korean resident in Japan revealed through a creative method of the autobiographical composition is connected to that of the author to recognize the Korean resident in Japan. By examining the course to recognize the Korean resident in Japan, this paper will reveal the transitional character of the national identity overlooked in the researches on Lee Hoe Seong in the past. In particular,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second generation of the Korean resident in Japan is connected with settlement to be considered to be flowing very much. Furthermore, the course of this development shows the aspect of relationship overturn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Japanese and this is believed to be followed by the author’s consciousness to have inquiries about the image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which was forme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deny or overcome it. This relationship overturn raises the aspect in which the unequal relationship of the past ruling country and the suppressed country is still applied and spontaneously, suggests the unified country of our national task in the course to overcome that. The unified country in the early novels of Lee Hoe Seong is recognized as a problem to be essentially achieved for the positive life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In particular, this is displaced in each side of the works and it may be thought that the author recognizes the nation’s common task including all the individuals of the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society and nation to overcome the present divided reality by the colonial rule.

      • 용액공정 방식을 이용한 Flexible OLEDs에 관한 연구

        정재훈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OLEDs)는 양 전극에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여러 유기층을 거쳐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로 낮은 소비전력, 높은 명암비, 우수한 색재현율 그리고 용액공정 적용 시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플렉시블 소자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OLED는 일반적으로 열증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데 우수한 박막을 얻을 수 있어 발광특성 및 수명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공정이 복잡하고 제작시간이 길며 고진공을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단가가 비싼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 용액공정으로 OLED를 제작하면 재료이용효율이 높고 대면적 제작이 용이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실험은 용액공정을 이용하여 OLED를 제작하고 발광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하여 플렉시블 용액공정 OLED를 제작하고 발광특성 및 물리적 변화에 따른 전기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용액공정은 용매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다층구조로 제작이 쉽지 않아 높은 발광특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다층박막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나중에 코팅하는 상부층의 용매를 하부층을 녹이지 않는 orthogonal solvent를 사용해야 한다. 또 다른 방법은 고분자 재료의 열처리를 통해 다층박막을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용액공정을 이용하여 다층박막을 제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하고,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공정 및 재료를 사용하여 OLED를 제작하고 발광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용액공정을 이용하여 단층을 코팅한 OLED 소자를 제작하였고 orthogonal solvent를 이용하는 방식과 고분자 재료의 열처리를 통한 방식을 각각 이용하여 2 layer를 용액공정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orthogonal solvent와 고분자 재료의 열처리를 동시에 사용하여 용액공정 3 layer를 이용한 OLED를 제작하고 용액공정으로 제작한 OLED와 진공증착으로 제작한 OLED의 발광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플라스틱 기판은 OLED 소자를 플렉시블로 제작할 수 있고 기존의 유리기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며 생산성이 매우 높은 roll to roll process를 이용하여 OLED를 제작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기판과 유리기판을 이용하여 동일 구조를 갖는 용액공정 OLED를 각각 제작하고 발광 특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이기 때문에 벤딩이 자유롭게 이뤄져야 하는데 upward 및 downward 벤딩, 곡률직경 그리고 벤딩 지속 시간에 따른 ITO가 코팅된 plastic 기판의 전기전 변화를 조사하였고 OLED 소자를 제작하여 벤딩에 따른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 사용자 행동의 의미 추출과 인터랙션디자인 영역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관찰법과 의미론 관점의 동사 의미망을 중심으로

        정재훈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조작 방법은 대상물의 변화와 함께 꾸준히 변해왔다. 최근에도 유무선 초고속 인터넷의 발달과 주변 기술 발달로 인해 기기는 네트웍화(Network), 소형화(miniaturization), 내재화(Imbedded), 지능화(Intelligence)의 방향성을 가지고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방향으로 인해 대상물(object)는 디지털로의 변화 이후 또 다시 물리적/인지적 측면에서 큰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한 이유로 유비쿼터스와 같은 개념과 같은 환경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들이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사용에 있어서의 기본적 접근 방향은 물리적 도구 환경과 같이 직접적인 조작으로 느끼게 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행동 자체가 중요해 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이 행동에 대해 갖고 있는 의미를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더불어 좋은 조작방법은 대상물에 대한 의미와 사람이 경험과 학습을 통해 인식하고 있는 행동에 대한 의미가 잘 어우러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조작방법을 보면, 대상물의 의미와 대상물의 기능에 대한 의미로부터 디자인하고자 하는 접근방향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러한 접근 방법 외에 행동의 의미로부터 조작방법을 디자인 하는 방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사람들이 행동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의미파악을 목적으로 관찰법과 설문/인터뷰를 통한 방법과 언어활용을 통한 방법을 사용해 그 의미 구조를 밝혀 기록해 보고, 인터랙션 디자인 영역에 있어 그 활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Manipula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ubject. People learn the meaning of a subject with their experiences. Also, they learn the meaning of behaviors when manipulating a subject. Thus, we can say good manipulation methods come from two important factors; the meaning that a subject itself has and the meaning that is recognized by people with their experiences. The designing approach only from the semantic analysis of a subject itself and its functions have been made so far.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design a product based on user behaviors in developing manipulation methods. With the developments of networked, miniaturized, embedded and intellectualized technologies, studies on interface design such as ubiquitous computing, pervasive computing, augmented reality, tangible and haptic interfaces have been made. The similarity of those interface design is making user to feel like they are using it in real life. For the realizations of those human based natural interfaces, the following efforts should be made simultaneously; - developments of interface related technologies based on behavior recognitions - analysis on user behaviors toward subjects from the experiences of physical environments This study is intended on extracting the semantic network in user behaviors. Several methods such as observation, survey, interview and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in cognitive linguistics were used simultaneously through this study. The semantic network was structured and recorded with those methods. Also, we are going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semantic network of human behaviors considering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